KR200373197Y1 -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 Google Patents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197Y1
KR200373197Y1 KR20-2004-0030378U KR20040030378U KR200373197Y1 KR 200373197 Y1 KR200373197 Y1 KR 200373197Y1 KR 20040030378 U KR20040030378 U KR 20040030378U KR 200373197 Y1 KR200373197 Y1 KR 200373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iece
piece
movable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운식
Original Assignee
조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운식 filed Critical 조운식
Priority to KR20-2004-0030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1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1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어놓은 주택의 여닫이문이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용 금구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 고층 아파트에 바람이 잘 들어오도록 외부로 통하는 창문을 열어놓았을 때 강한 바람이 불면 방의 여닫이 출입문이 갑자기 닫히는 경우가 자주 있다.
출입문이 닫히면 다시 열어놓는 것이 성가시고, 큰 소리가 나서 집안 식구들이 놀라고, 아래 위의 층에 소음이 들려 이웃에 미안하고, 간난 아이를 키우는 세대에서는 문에 끼어 아이가 다칠 염려가 있다.
무거운 물체로 여닫이문을 고여서 닫히지 않도록 하는 경우가 많지만 고이고 치우는 과정이 번거롭고 출입에 지장을 주고 미관상 좋지 못하다.
본 고안의 고정용 금구는 여닫이문을 벽체에 닿을 때까지 열면 여닫이문에 부착된 고정편이 벽체에 부착된 가동편을 위로 밀면서 가동편 아래로 들어가고, 중력에 의해 가동편이 아래고 내려오면 가동편의 결합턱과 고정편의 결합턱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문이 벽체에 고정되고 닫히지 않으며 문을 닫을 때는 가동편을 위로 들면 결합이 해지되어 문을 닫을 수 있도록 된다.
방문을 열어놓을 필요가 없는 겨울철에는 가동편을 수평으로 유지하는 걸침대를 부착판 쪽으로 이동시키고 가동편을 아래로 내려놓으면 여닫이문을 끝까지 열어도 고정편과 가동편이 결합되지 않아 편리하다.

Description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door-stop}
본 고안은 열어놓은 주택의 여닫이문이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용 금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여닫이문을 열린 채로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창호용 철물은 "도어스톱"이라고 불리는 말굽모양의 철물이 있다.
이것을 철제 여닫이 출입문의 하단에 부착하여 문을 원하는 각도로 열고 아래로 내리면 문이 열린 상태로 고정된다.
이것은 출입문의 상단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우저"라고 불리는 철물에 내장된 용수철의 힘으로 문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도어클로우저가 없으면 도어스톱은 작용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클로우저가 부착된 여닫이문은 열 때는 힘이 많이 들고 닫을 때는 저절로 닫히지만 닫히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가벼운 목재 출입문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도어스톱은 건물의 바닥에 접촉되어 마찰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장판지가 부착된 실내에 사용하면 장판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스톱은 출입문의 하단에 부착되어 사람이 몸을 숙여서 작동시켜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에 응용되는 빗면, 결합턱, 용수철, 가동편 등은 흔히 사용되는 부품들이지만 이것을 조합하여 여닫이문을 열린 채로 벽체에 고정하는데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창호용 금구는 아직 시중에 나오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것은 도어클로우저가 없어도 사용이 가능하며, 건물의 바닥에 고정되지 않고 벽체에 고정되도록 만들어 장판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작동이 가능하며, 별도의 동작 없이 열어서 밀기만 하면 문이 열린 채로 고정되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를 만드는 것이다.
여닫이문을 열린 채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는 겨울철에 여닫이문을 열 때마다 벽체에 고정된다면 여간 성가신 일이 아니므로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는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이다.
도1은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를 설치한 여닫이문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설치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3은 여닫이 고정용 금구를 설치한 여닫이문의 수평단면도
도4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평면도
도5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정면도
도6은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고정부 좌측면도
도7은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가동부 우측면도
도8은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a-a' 방향 단면도
도9는 가동편이 들린 상태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a-a' 방향 단면도
도10은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가동부 사시도
도11에서 도17까지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가동편과 고정편이 접근하여 결합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도18은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가동편을 위로 올려 결합을 해지한 정면도
도19는 격리대가 부착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단면도
도20은 상기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가동편이 들려 결합이 해지된 단면도
도21은 상기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격리대를 올려 작동을 정지시킨 단면도
도22는 격리대의 정면도
도23은 격리대의 우측면도
도24는 걸침대가 있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단면도
도25는 걸침대가 있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가동편을 올린 상태의 단면도
도26은 걸침대의 정면도
도27은 걸침대의 우측면도
도28은 걸침대를 부착판 쪽으로 밀고 가동편을 아래로 내리는 도중의 단면도
도29는 걸침대를 부착판 쪽으로 밀고 가동편을 아래로 내린 상태의 단면도
도30는 용수철과 멈춤판이 있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단면도
도31은 용수철파 격리대가 있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단면도
도32는 용수철과 걸침대가 있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단면도
도33은 도32에 도시된 용수철과 걸침대가 있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평면도
도34는 도32에 도시된 용수철과 걸침대가 있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정면도
도35는 b-b' 방향의 용수철을 제거한 가동편과 회전축의 단면도
도36는 c-c' 방향의 용수철을 제거한 가동편과 회전축의 단면도
도37는 d-d' 방향의 용수철을 제거한 가동편과 회전축의 단면도
도38은 도32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고정부 좌측면도
도39는 도32의 용수철과 걸침대가 있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가동부 우측면도
도40은 도32의 용수철과 걸침대가 있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가동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11 : 문틀
12 : 여닫이문 13 : 손잡이
14 : 벽체 15 : 나사못
20 : 가동부 21 : 가동편
22 : 빗면 23 : 결합턱
24 : 누름판 25 : 회전축
26 : 부착판 27 : 나사구멍
28 : 옆판 29 : 멈춤판
30 : 고정부 31 : 고정편
32 : 고정판 40 : 가동부
42 : 걸침턱 43 : 격리대
50 : 가동부 52 : 걸침대
53 : 걸침대홈 60 : 가동부
61 : 가동편 62 : 용수철
70 : 가동부 80 : 가동부
본 고안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10)는 여닫이문(12)에 부착되는 고정부(30)와 벽체(14)에 부착되는 가동부(20)로 구성되는데 반대로 벽체에 고정부를 부착하고 여닫이문에 가동부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부터 도7까지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20)는 단부에 경사진 평면 형태로 형성된 빗면(22)과 가동편(21)에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평면인 결합턱(23)이 형성되고 후부에 회전축(25)을 박는 원형 구멍이 있는 가동편(21)과, 원형 막대 형태이며 가동편(21)에 부착되어 옆판(28)에 결합되는 회전축(25)과, 평판 형태로서 가동편과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접합되는 누름판(24)과, 평판 형태로서 가동편에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접합되는 멈춤판(29)과, 가동편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평판 형태이며 가동부(20)를 벽체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나사못(15)을 박는 나사구멍(27)이 있는 부착판(26)과, 평판 형태이며 회전축(25)을 박는 구멍이 있는 옆판(28)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부(30)는 도4에서 도6까지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경사진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빗면(22)과 고정편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평면 형태로 형성된 결합턱(23)이 있는 고정편(31)과, 고정편의 길이 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고정부를 여닫이문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있는 고정판(32)으로 이루어진다.
가동부(20)의 누름판(24)을 부착판(26) 쪽으로 밀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편(21)이 위로 들려 가동편과 고정편(31)이 분리된다.
멈춤판(29)은 부착판(26)에 닿아서 가동편(21)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막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만든다.
가동편(21)은 회전축(25)을 중심으로 상하로 자유롭게 회전하며 자체 무게에 의하여 아래로 내려와 멈춤판(29)에 의하여 정지되어 항상 수평을 유지한다.
가동편(21)과 고정편(31)에 형성된 빗면(22)은 고정편이 가동편을 밀 때 가동편이 비스듬하게 밀려 위로 올라가도록 만든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20)는 벽체(14)에 부착되고 고정부(30)는 여닫이문(12)에 부착된 채 도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턱(23)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여닫이문은 열린 채로 벽체에 고정된다.
열린 채 고정된 여닫이문(12)을 닫을 때는 누름판(24)을 부착판(26) 쪽으로 밀면 도9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편이 위로 들려 가동편(21)의결합턱(23)과 고정편(31)의 결합턱(23)이 분리되어 여닫이문을 닫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가동편(21)와 고정편(31)이 결합되는 과정은 도11에서 도17까지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31)의 빗면(22)이 가동편(21)의 빗면을 밀면 가동편은 회전축(2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가고 고정편이 계속 전진하여 고정편의 결합턱(23)이 가동편의 결합턱(23) 아래를 지나면 가동편의 무게 때문에 가동편이 아래로 내려오고 가동편의 결합턱과 고정편의 결합턱이 맞물려 결합된다.
도19에서 도23까지의 도면에 도시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는 가동부(40)와 고정부(30)로 이루어지며,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40)는 단부에 빗면(22)과 결합턱(23)이 형성되고 후부에 회전축(25)을 박는 구멍이 있는 가동편(21)과, 가동편에 부착되는 회전축(25)과, 가동편에 접합된 누름판(24)과, 가동편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평판 형태이며 가동부를 벽체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있는 부착판(26)과, 회전축(25)을 박는 구멍과 격리대(43)를 박는 구멍이 있는 옆판(28)과, 가동편이 수평을 유지하고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게 만드는 격리대(43)와, 가동편의 하부에 형성되어 격리대의 회전을 막아 고정시키는 걸침턱(42)으로 이루어진다.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작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대(4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걸침턱(42)에 걸쳐놓으면 가동편(21)이 위로 들려 고정편(31)의 결합턱(23)과 가동편의 결합턱(23)이 결합을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작동이 정지되는데 여닫이문을 열린 채로 고정할 필요가 없는 겨울철에 유용하다.
도24에서 도27까지의 도면에 도시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는 가동부(50)와 고정부(30)로 이루어지며,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50)는 단부에 빗면(22)과 결합턱(23)이 형성되고 후부에 회전축(25)을 박는 구멍이 있는 가동편(21)과, 가동편에 부착되는 회전축(25)과, 가동편에 접합된 누름판(24)과, 가동편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평판 형태이며 가동부를 벽체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있는 부착판(26)과, 회전축을 박는 구멍과 걸침대(52)를 박는 걸침대홈(53)이 있는 옆판(28)과, 가동편이 수평을 유지하고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게 만드는 걸침대(52)로 이루어진다.
걸침대홈(53)은 좁고 긴 단면을 같는 구멍이며 부착판에 가까운 쪽은 낮고 고정부에 가까운 쪽은 높게 형성되고 높은 쪽의 단부는 아래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이다.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작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도28과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침대(52)를 부착판(26) 쪽으로 밀어놓으면 가동편(21)이 아래로 내려오고 고정편(31)의 결합턱(23)과 가동편의 결합턱(23)이 결합할 수 없어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작동이 정지되고 가동편(21)이 벽체에서 돌출된 길이를 줄여 통행하는 사람이 걸리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30에 도시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는 가동부(60)와 고정부(30)로 이루어지며 가동부(60)는 단부에 빗면(22)과 결합턱(23)이 형성되고 후부에 회전축(25)을박는 구멍이 있고 용수철을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가동편(61)과, 가동편과 옆판에 부착되는 회전축(25)과, 회전축에 부착된 용수철(62)과, 가동편(61)에 접합된 누름판(24)과, 가동편에 접합되며 가동편이 수평을 유지하고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게 만드는 멈춤판(29)과, 가동편(61)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평판 형태이며 가동부(60)를 벽체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있는 부착판(26)과, 회전축을 박는 구멍이 있는 옆판(2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는 도8에 도시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가동편(21) 대신에 용수철(62)을 부착할 수 있는 가동편(61)으로 구성되고 용수철을 부착하여 용수철이 가동편(61)을 미는 힘으로 가동편(61)이 아래로 내려와 가동편(61)의 결합턱(23)과 고정편의 결합턱(23)이 결합되도록 만든 것으로서 가동편과 고정편의 결합이 확실하게 유지되고 가동부를 벽체에 부착할 때 가동편이 위에 위치하지 않고 옆이나 아래에 위치하도록 부착해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31에 도시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는 가동부(70)와 고정부(30)로 이루어지며 가동부(70)는 단부에 빗면(22)과 결합턱(23)이 형성되고 후부에 회전축(25)을 박는 구멍이 있고 용수철을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가동편(61)과, 가동편에 부착된 회전축(25)과, 회전축에 부착된 용수철(62)과, 가동편(61)에 접합된 누름판(24)과, 가동편(61)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평판 형태이며 가동부(70)를 벽체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있는 부착판(26)과, 회전축(25)을 박는 구멍과 격리대(43)를 박는 구멍이 있는 옆판(28)과,가동편이 수평을 유지하고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게 만드는 격리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는 도19에 도시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가동편(21)을 용수철(62)을 부착할 수 있는 가동편(61)으로 바꾸고 용수철을 부착하여 용수철이 가동편(61)을 미는 힘으로 가동편(61)이 아래로 내려와 가동편(61)의 결합턱(23)과 고정편(31)의 결합턱(23)이 결합되도록 만든 것으로서 가동편과 고정편의 결합이 확실하게 유지되고 가동부를 벽체에 부착할 때 가동편이 위에 위치하지 않고 옆이나 아래에 위치하도록 부착해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32에 도시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는 가동부(80)와 고정부(30)로 이루어지며 가동부(80)는 단부에 빗면(22)과 결합턱(23)이 형성되고 후부에 회전축(25)을 박는 구멍이 있고 용수철을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가동편(61)과, 가동편에 부착된 회전축(25)과, 회전축에 부착된 용수철(62)과, 가동편(61)에 접합된 누름판(24)과, 가동편(61)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평판 형태이며 가동부(80)를 벽체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있는 부착판(26)과, 회전축을 박는 구멍과 걸침대(52)를 박는 걸침대홈(53)이 있는 옆판(28)과, 가동편이 수평을 유지하고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게 만드는 걸침대(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는 도24에 도시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가동편(21) 대신에 용수철(62)을 부착할 수 있는 가동편(61)을 사용하고 용수철을 부착하여 용수철이 가동편(61)을 미는 힘으로 가동편(61)이 아래로 내려와가동편(61)의 결합턱과 고정편의 결합턱(23)이 결합되도록 만든 것으로서 가동편과 고정편의 결합이 확실하게 유지되고 가동부(80)를 벽체에 부착할 때 가동편이 위에 위치하지 않고 옆이나 아래에 위치하도고 부착해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는 도어클로우저가 없어도 사용이 가능하며, 건물의 바닥에 접촉되지 않아 장판지가 손상되지 않으며,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작동이 가능하며, 별도의 동작 없이 열어서 밀기만 하면 문이 열린 채로 고정되어 편리하다.
또한 건물의 바닥에 깔린 장판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아파트의 방문에 설치할 수 있어 여름철마다 열어놓은 창문을 통해 바람이 들어와 문을 급작스럽게 닫아버리는 것 때문에 불편을 겪는 기존 아파트의 입주자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고정부(30)는 단부에 가동편(21)과 접촉하여 가동편을 위로 밀어올리는 빗면(22)과 가동편의 결합턱(23)과 결합하여 여닫이문(12)을 열린 채로 고정하는 결합턱(23)이 형성된 고정편(31)과, 고정편의 후부에 고정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는 평판 형태이며 여닫이문에 고정부(30)를 부착할 때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형성된 고정판(32)으로 이루어지며.
    가동부(20)는 단부에 고정편(31)의 빗면과 접촉하여 가동편(21)이 위로 밀리도록 만드는 경사진 평면인 빗면(22)과 고정편의 결합턱(23)과 결합하여 여닫이문을 고정하며 가동편(21)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평면 형태의 결합턱(23)이 형성되고 후부에는 회전축(25)을 박는 구멍이 형성된 가동편(21)과, 가동편의 후부에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눌러서 가동편을 반시계방향인 위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누름판(24)과, 가동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평판 형태이며 가동부(20)를 벽체에 부착할 때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있는 부착판(26)과, 옆판(28)의 구멍에 박혀서 옆판과 가동편을 연결하며 가동편이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회전축(25)과, 부착판(26)과 직각을 이루며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회전축을 박는 구멍이 있는 옆판(28)과, 가동편(21)의 후부에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부착판(26)에 닿아 가동편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판(29)으로 이루어진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로서.
    가동편(21)과 고정편(31)이 충돌하면 빗면(22)이 서로 미는 작용으로 가동편이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갔다가 고정편의 결합턱(23)이 가동편의 결합턱(23) 아래를 지나면 가동편의 무게에 의하여 가동편이 다시 아래로 내려와 가동편(21)의 결합턱과 고정편의 결합턱(23)이 서로 맞물려 여닫이문을 벽체에 고정시키며, 마주보는 평면을 이루는 열려있는 여닫이문의 표면과 벽체의 표면에 대하여 가동편(21)과 고정편(31)의 길이 방향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가동부(20)와 고정부(30)가 부착되는 형태로 만들어져 여닫이문을 열린 채로 벽체에 고정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2. 고정부(30)는 단부에 가동편(21)과 접촉하여 가동편을 위로 밀어올리는 빗면(22)과 가동편의 결합턱(23)과 결합하여 여닫이문(12)을 열린 채로 고정하는 결합턱(23)이 형성된 고정편(31)과, 고정편의 후부에 고정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는 평판 형태이며 여닫이문에 고정부(30)를 부착할 때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형성된 고정판(32)으로 이루어지며,
    가동부(40)는 단부에 고정편(31)의 빗면과 접촉하여 가동편(21)이 위로 밀리도록 만드는 경사진 평면인 빗면(22)과 고정편의 결합턱(23)과 결합하여 여닫이문을 고정하며 가동편(21)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평면 형태의 결합턱(23)이 형성되고 후부에는 회전축(25)을 박는 구멍이 형성된 가동편(21)과, 가동편의 후부에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눌러서 가동편을 반시계방향인 위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누름판(24)과, 가동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평판 형태이며 가동부(40)를 벽체에 부착할 때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있는 부착판(26)과, 옆판(28)의 구멍에 박혀서 옆판과 가동편을 연결하며 가동편이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회전축(25)과, 부착판(26)과 직각을 이루며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회전축을 박는 구멍과 격리대(43)를 박는 구멍이 있는 옆판(28)과, 가로가 길게 세워진 벽돌형태로서 상부는 반원형 단면이고 하부는 평면을 이루며 좌우 측면의 위쪽에 회전축 역할을 하는 원형 막대가 붙어있고 옆판(28)에 형성된 구멍에 부착되어 가동편을 받혀서 수평을 이루도록 만들고 가동편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걸침턱(42)에 고정시키면 가동편이 들린 채 내려오지 못하게 만들어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격리대(43)와, 가동편의 하부에 가동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인 면을 갖는 돌출부의 형태로 형성되어 격리대의 회전을 방지하고 고정시키는 걸침턱(42)으로 이루어진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로서.
    가동편(21)과 고정편(31)이 충돌하면 빗면(22)이 서로 미는 작용으로 가동편이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갔다가 고정편의 결합턱(23)이 가동편의 결합턱(23) 아래를 지나면 가동편의 무게에 의하여 가동편이 다시 아래로 내려와 가동편(21)의 결합턱과 고정편의 결합턱(23)이 서로 맞물려 여닫이문을 벽체에 고정시키며, 격리대를 회전시켜 위로 올려 걸침턱에 고정시키면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고, 마주보는 평면을 이루는 열려있는 여닫이문의 표면과 벽체의 표면에 대하여 가동편(21)과 고정편(31)의 길이 방향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가동부(40)와 고정부(30)가 부착되는 형태로 만들어져 여닫이문을 열린 채로 벽체에 고정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3. 고정부(30)는 단부에 가동편(21)과 접촉하여 가동편을 위로 밀어올리는 빗면(22)과 가동편의 결합턱(23)과 결합하여 여닫이문(12)을 열린 채로 고정하는 결합턱(23)이 형성된 고정편(31)과, 고정편의 후부에 고정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는 평판 형태이며 여닫이문에 고정부(30)를 부착할 때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형성된 고정판(32)으로 이루어지며.
    가동부(50)는 단부에 고정편(31)의 빗면과 접촉하여 가동편(21)이 위로 밀리도록 만드는 경사진 평면인 빗면(22)과 고정편의 결합턱(23)과 결합하여 여닫이문을 고정하며 가동편(21)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평면 형태의 결합턱(23)이 형성되고 후부에는 회전축(25)을 박는 구멍이 형성된 가동편(21)과, 가동편의 후부에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눌러서 가동편을 반시계방향인 위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누름판(24)과, 가동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 형태이며 가동부(50)를 벽체에 부착할 때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이 있는 부착판(26)과, 옆판(28)의 구멍에 박혀서 옆판과 가동편을 연결하며 가동편이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회전축(25)과, 부착판(26)과 직각을 이루며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회전축을 박는 구멍과 단면이 긴 구멍으로서 가동편의 단부에 가까운 곳은 걸침대(52)가 이탈되지 않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되어있고 걸침대를 부착판 가까이에 이동시키면 걸침대가 이탈이 되지 않고 가동편을 아래로 젖힐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부착판 쪽이 낮고 가동편의 단부 쪽이 높게 만들어진 걸침대홈(53)이 형성된 옆판(28)과, 걸침대홈(53)에 박혀있고 가동편의 단부에 가까운 쪽에 있을 때는 가동편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을 유지시키며 부착판 쪽으로 이동시키면 가동편이 아래로 내려와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만드는 걸침대(52)로 이루어진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로서.
    가동편(21)과 고정편(31)이 충돌하면 빗면(22)이 서로 미는 작용으로 가동편이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갔다가 고정편의 결합턱(23)이 가동편의 결합턱(23) 아래를 지나면 가동편의 무게에 의하여 가동편이 다시 아래로 내려와 가동편의 결합턱과 고정편의 결합턱이 서로 맞물려 여닫이문을 벽체에 고정시키며, 걸침대(52)를 부착판(26) 쪽으로 이동시키면 가동편(21)이 아래와 내려와 가동편과 고정편의 결합턱이 분리되고 결합하지 못하여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작동이 정지되고 가동편(21)이 벽체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줄어들며, 마주보는 평면을 이루는 열려있는 여닫이문의 표면과 벽체의 표면에 대하여 가동편(21)과 고정편(31)의 길이 방향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가동부(50)와 고정부(30)가 부착되는 형태로 만들어져 여닫이문을 열린 채로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4. 고정부(30)는 단부에 가동편(61)과 접촉하여 가동편을 위로 밀어올리는 빗면(22)과 가동편의 결합턱(23)과 결합하여 여닫이문(12)을 열린 채로 고정하는 결합턱(23)이 형성된 고정편(31)과, 고정편의 후부에 고정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는 평판 형태이며 여닫이문에 고정부(30)를 부착할 때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형성된 고정판(32)으로 이루어지며.
    가동부(60)는 단부에 고정편(31)의 빗면과 접촉하여 가동편(61)이 위로 밀리도록 만드는 경사진 평면인 빗면(22)과 고정편의 결합턱(23)과 결합하여 여닫이문을 고정하며 가동편(61)의 길이 방향과 직각인 평면 형태의 결합턱(23)이 형성되고 후부에는 회전축(25)을 박는 구멍과 용수철을 부착할 공간이 형성된 가동편(61)과, 가동편의 후부에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눌러서 가동편을 반시계방향인 위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누름판(24)과, 가동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평판 형태이며 가동부(60)를 벽체에 부착할 때 박는 나사구멍(27)이 있는 부착판(26)과, 옆판의 구멍에 박혀서 옆판과 가동편을 연결하며 가동편이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회전축(25)과, 회전축에 부착되어 가동편을 시계방향인 아래로 미는 힘을 가하여 가동편과 고정편이 결합되도록 만드는 용수철(62)과, 부착판과 직각을 이루며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회전축을 박는 구멍이 있는 옆판(28)과, 가동편의 후부에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부착판(26)에 닿아 가동편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판(29)으로 이루어진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로서.
    가동편(61)과 고정편(31)이 충돌하면 빗면(22)이 서로 미는 작용으로 가동편이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갔다가 고정편의 결합턱(23)이 가동편의 결합턱(23) 아래를 지나면 용수철(62)이 미는 힘에 의하여 가동편(61)이 다시 아래로 내려와 가동편(61)의 결합턱과 고정편(31)의 결합턱(23)이 서로 맞물려 여닫이문을 벽체에 고정시키며, 마주보는 평면을 이루는 열려있는 여닫이문의 표면과 벽체의 표면에 대하여 가동편(61)과 고정편(31)의 길이 방향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가동부(60)와 고정부(30)가 부착되는 형태로 만들어져 여닫이문을 열린 채로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5. 고정부(30)는 단부에 가동편(61)과 접촉하여 가동편을 위로 밀어올리는 빗면(22)과 가동편의 결합턱(23)과 결합하여 여닫이문(12)을 열린 채로 고정하는 결합턱(23)이 형성된 고정편(31)과, 고정편의 후부에 고정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는 평판 형태이며 여닫이문에 고정부(30)를 부착할 때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형성된 고정판(32)으로 이루어지며.
    가동부(70)는 단부에 고정편(31)의 빗면과 접촉하여 가동편(61)이 위로 밀리도록 만드는 경사진 평면인 빗면(22)과 고정편의 결합턱(23)과 결합하여 여닫이문을 고정하며 가동편(61)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평면 형태의 결합턱(23)이 형성되고 후부에는 회전축(25)을 박는 구멍과 용수철을 부착할 공간이 형성된 가동편(61)과, 가동편의 후부에 접합되는 평면 형태이며 눌러서 가동편을 반시계방향인 위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누름판(24)과, 가동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평판 형태이며 가동부(70)를 벽체에 부착할 때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있는 부착판(26)과, 옆판(28)의 구멍에 박혀서 옆판과 가동편을 연결하며 가동편이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회전축(25)과, 회전축에 부착되어 가동편을 시계방향인 아래로 미는 힘을 가하여 가동편과 고정편이 결합되도록 만드는 용수철(62)과, 부착판과 직각을 이루며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회전축을 박는 구멍과 격리대(43)를 박는 구멍이 있는 옆판(28)과, 가로가 길게 세워진 벽돌형태로서 상부는 반원형 단면이고 하부는 평면을 이루며 좌우 측면의 위쪽에 회전축 역할을 하는 원형 막대가 붙어있고 옆판(28)에 형성된 구멍에 부착되어 가동편을 받혀서 수평을 이루도록 만들고 가동편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걸침턱(42)에 고정시키면 가동편이 들린 채 내려오지 못하게 만들어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격리대(43)와, 가동편의 하부에 가동편과 직각인 면을 갖는 돌출부의 형태로 형성되어 격리대의 회전을 방지하고 고정시키는 걸침턱(42)으로 이루어진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로서.
    가동편(61)과 고정편(31)이 충돌하면 빗면(22)이 서로 미는 작용으로 가동편이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갔다가 고정편의 결합턱(23)이 가동편의 결합턱(23) 아래를 지나면 용수철이 미는 힘에 의하여 가동편(61)이 다시 아래로 내려와 가동편(61)의 결합턱과 고정편의 결합턱(23)이 서로 맞물려 여닫이문을 벽체에 고정시키며, 격리대(43)를 회전시켜 위로 올린 상태에서 걸침턱에 고정시키면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고, 마주보는 평면을 이루는 열려있는 여닫이문의 표면과 벽체의 표면에 대하여 가동편(61)과 고정편(31)의 길이방향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가동부(70)와 고정부(30)가 부착되는 형태로 만들어져 여닫이문을 열린 채로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6. 고정부(30)는 단부에 가동편(61)과 접촉하여 가동편을 위로 밀어올리는 빗면(22)과 가동편의 결합턱(23)과 결합하여 여닫이문(12)을 열린 채로 고정하는 결합턱(23)이 형성된 고정편(31)과, 고정편의 후부에 고정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는 평판 형태이며 여닫이문에 고정부(30)를 부착할 때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27)이 형성된 고정판(32)으로 이루어지며.
    가동부(80)는 단부에 고정편(31)의 빗면과 접촉하여 가동편(61)이 위로 밀리도록 만드는 경사진 평면인 빗면(22)과 고정편의 결합턱(23)과 결합하여 여닫이문을 고정하며 가동편(61)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평면 형태의 결합턱(23)이 형성되고 후부에는 회전축(25)을 박는 구멍과 용수철을 부착할 공간이 형성된 가동편(61)과, 가동편의 후부에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눌러서 가동편을 반시계방향인 위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누름판(24)과, 가동편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 형태이며 가동부(80)를 벽체에 부착할 때 나사못을 박는 나사구멍이 있는 부착판(26)과, 옆판(28)의 구멍에 박혀서 옆판과 가동편을 연결하며 가동편이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회전축(25)과, 회전축에 부착되어 가동편에 시계방향인 아래로 미는 힘을 가하여 가동편과 고정편이 결합되도록 만드는 용수철(62)과, 부착판(26)과 직각을 이루며 접합되는 평판 형태이며 회전축을 박는 구멍과 단면이 긴 구멍으로서 가동편의 단부에 가까운 곳은 걸침대(52)가 이탈되지 않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되어있고 걸침대를 부착판 가까이에 이동시키면 걸침대가 이탈이 되지 않고 가동편을 아래로 젖힐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부착판 쪽이 낮고 가동편의 단부 쪽이 높게 만들어진 걸침대홈(53)이 형성된 옆판(28)과, 걸침대홈(53)에 박혀있고 가동편의 단부에 가까운 쪽에 있을 때는 가동편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을 유지시키며 부착판 쪽으로 이동시키면 가동편이 아래로 내려와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만드는 걸침대(52)로 이루어진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로서.
    가동편(61)과 고정편(31)이 충돌하면 빗면(22)이 서로 미는 작용으로 가동편이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갔다가 고정편의 결합턱(23)이 가동편의 결합턱(23) 아래를 지나면 용수철(62)이 미는 힘에 의하여 가동편이 다시 아래로 내려와 가동편(61)의 결합턱과 고정편(31)의 결합턱(23)이 서로 맞물려 여닫이문을 벽체에 고정시키며, 걸침대(52)를 부착판(26) 쪽으로 이동시키면 가동편(61)이 아래와 내려와 가동편과 고정편의 결합턱이 분리되고 결합하지 못하여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작동이 정지되고 가동편(61)이 벽체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줄어들며, 마주보는 평면을 이루는 열려있는 여닫이문의 표면과 벽체의 표면에 대하여 가동편(61)과 고정편(31)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가동부(80)와 고정부(30)가 부착되는 형태로 만들어져 여닫이문을 열린 채로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KR20-2004-0030378U 2004-10-25 2004-10-25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KR200373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378U KR200373197Y1 (ko) 2004-10-25 2004-10-25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378U KR200373197Y1 (ko) 2004-10-25 2004-10-25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197Y1 true KR200373197Y1 (ko) 2005-01-15

Family

ID=4944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378U KR200373197Y1 (ko) 2004-10-25 2004-10-25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1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34B1 (ko) 2013-06-18 2013-08-12 이광재 원터치 방식 도어 스토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34B1 (ko) 2013-06-18 2013-08-12 이광재 원터치 방식 도어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6127C (en) Adjustable blind assembly
KR200373197Y1 (ko)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CN211397289U (zh) 一种具有隐藏式自动关闭装置的防火窗
KR200384211Y1 (ko)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KR200384256Y1 (ko)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US2356409A (en) Window construction
CN214424336U (zh) 一种推拉平开一体门系统
KR200312116Y1 (ko) 창호시스템
JP5112653B2 (ja) 上吊式引き戸サッシにおける網戸支持構造
AU2018101154A4 (en) Window or Door Assembly
JP2545633Y2 (ja) 排煙窓
JPH0310300Y2 (ko)
JPS597508Y2 (ja) 開き用2重窓
KR20040065757A (ko) 창호시스템
CN209761192U (zh) 一种内平开窗
JP2542822Y2 (ja) 滑り出し窓
JPS6317837Y2 (ko)
JP3559984B2 (ja) 上げ下げ窓
JPS5916477Y2 (ja) 小窓付きドア
JPH0427981Y2 (ko)
JPH037497Y2 (ko)
JPS6039425Y2 (ja) 開き用2重窓
JPH033737Y2 (ko)
KR200263691Y1 (ko) 창호용 프레임 처짐 방지구
JPH03103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