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690Y1 -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690Y1
KR200372690Y1 KR20-2004-0029577U KR20040029577U KR200372690Y1 KR 200372690 Y1 KR200372690 Y1 KR 200372690Y1 KR 20040029577 U KR20040029577 U KR 20040029577U KR 200372690 Y1 KR200372690 Y1 KR 200372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ocket
mattress
springs
spr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몬스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몬스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몬스침대
Priority to KR20-2004-0029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6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2Spring inlays of different resilienc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3Spring inlays wrapped or otherwise protected
    • A47C27/064Pocketed spring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의 흡수율을 극대화 시켜 줌은 물론 탄성의 약화가 방지됨에 따라 내구성이 크게 증대되고 매트리스의 부분적인 꺼짐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스프링구조물을 장착하여 되는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구조물을 상하의 지지테들 사이에 종횡으로 배열되게 착설되는 일반적인 주 포켓스프링들과, 상기 주 포켓스프링들 보다 높이가 낮고 직경이 작으며 상기 주 포켓스프링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개재되게 배열되는 부 포켓스프링들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매트리스{a mattress}
본 고안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의 흡수율을 극대화 시켜 줌은 물론 내구성이 대폭 향상되게 한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에 사용되고 있는 매트리스의 쿠션감은 그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구조물에 종횡 다수열로 배열 착설된 스프링들의 탄성에 의해 좌우되는데, 종래에는 동일한 탄성을 갖는 스프링들을 종횡으로 착설하여 스프링구조물을 제작하였기 때문에 매트리스 전부분의 쿠션감이 동일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매트리스에 눕게 되면 무게가 서로 다른 인체의 각 부위들 중 무거운 부위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눌려져 매트리스는 어느 정도 인체의 곡선을 따라 눌려지는 상태가 되기는 하지만, 목부위나 허리 등은 머리나 몸통 또는 엉덩이에 비하여 폭이 좁고 잘록하기 때문에 매트리스는 머리로부터 다리에 이르는 부분이 거의 동일한 상태로 눌려지므로 허리나 목부위 등은 매트리스로부터 격리되어 거의 받쳐지지 않게 됨에 따라 근육이 긴장하게 되고 피로가 쉽게 풀리지 않아 안락하고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스프링들이 종횡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매트리스에 부분적으로 충격이 가해져도 진동이 그 주변의 비교적 넓은 범위까지 전달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특히 2인이 사용하는 더블침대인 경우에 휴식 및 수면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어느 부분에 충격이나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탄성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쉽게 약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매트리스에 부분적인 꺼짐현상이 발생되거나 심하면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항상 안락하고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분적인 꺼짐현상이나 수명의 단축이 방지되는 매트리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인체의 각 부위의 무게 차이에 대응하여 각 부분이 눌려지는 정도를 달리하여 인체의 전 부위를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받쳐주도록 함은 물론 충격의 흡수율을 극대화시켜 줌과 동시에 탄성과 내구성이 보완되어 부분적인 꺼짐이나 수명의 단축 등이 방지되는 매트리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의 일 사용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동 매트리스에 적용되는 스프링구조물의 일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
도 3a는 동 스프링구조물에서 스프링의 배열상태의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3b는 동 스프링구조물에서 스프링의 배열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프링구조물
10a : 중간부분 10b : 외측부분
101-103 : 제1-3외측부
12 : 주 포켓스프링
121 : 포켓 122 : 코일스프링
13 : 부 포켓스프링
131 : 부 포켓 132 : 부 코일스프링
이하,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의 일 사용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동 매트리스에 적용되는 스프링구조물의 일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는 스프링구조물(10)과, 상기 스프링구조물의 상하측에 적층되는 부직포지(20)와, 발포물인 스펀지로 되며 상기 부직포지의 상하측에 적층되는 쿠션부재(30)와, 상기 쿠션부재의 상하를 덮어주는 커버지(40)들과, 상하단이 상기 커버지들의 외주연과 각각 빙둘러 봉재되어 주면부를 감싸주는 측면지(50)를 구비하여 된다.
스프링구조물(10)은 상하의 지지테(11)들과, 이들 지지테 사이에 종횡으로 배열되게 착설되는 일반적인 주 포켓스프링(12)과, 상기 주 포켓스프링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개재되게 배열되는 부 포켓스프링(13)들로 이루어진다.
주 포켓스프링(12)은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이어지게 형성되는 각 포켓(121)내에 코일스프링(122)을 하나씩 내장시켜 되며, 부 포켓스프링(13)은 하나씩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부 포켓(131)내에 하나의 부 코일스프링(132)을 내장시켜 된다.
주 포켓스프링(12)들은 접착제로 서로 접착하여 종횡으로 배열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접착과정에서 상기 주 포켓스프링의 각 포켓(121)에 내장되어 있는 각 코일스프링(122)들에 의해 상기 주 포켓스프링들 사이에 형성되는 각 공간에 부 포켓스프링(13)을 하나씩 개재시켜 줌으로써 상기 부 포켓스프링은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단단히 개재되는 것이며, 상기 부 포켓스프링은 주 포켓스프링에 비하여 높이는 낮고 직경은 상기 공간을 감안하여 작게 된다.
그리고, 각 코일스프링(122)(132)들을 형성하는 강선들은 그 굵기가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도 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굵기를 달리하여 탄성이 서로 다르게 하여도 됨은 물론 이다.
이와 같이 주 포켓스프링(12)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부 포켓스프링(13)이 개재되게 배열하면, 매트리스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1차적으로는 상기 주 포켓스프링이 흡수하지만 그 충격이 비교적 강한 경우에는 2차적으로 부 포켓스프링이 흡수하기 때문에 이들의 상호 보완 작용에 의해 충격의 흡수율이 극대화 됨은 물론 탄성도 보완되어 내구성이 증대되고 매트리스의 부분적인 꺼짐현상도 방지된다.
도 3a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에 적용되는 스프링구조물(10)에서 스프링의 배열상태의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스프링구조물(10)은, 중간부분(10a)과 그 양 외측부분(10b)을 제1-3외측부(101)(102)(103)로 구획하여 주 포켓스프링(12)과 부 포켓스프링(13)의 배열상태가 7등분으로 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부분의 길이방향 폭은 매트리스에 사용자가 누웠을때 인체의 각 부위가 점유하게 되는 간격을 감안하여 정해지는 것으로서, 각 부분의 폭의 크기는 제1외측부<중간부분<제3외측부<제2외측부의 순으로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인체의 각 부위의 무게와 점유하는 간격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매트리스위에 바르게 누웠을 때 스프링구조물(10)의 각 부분이 눌려지는 정도가 인체의 각 부위의 무게에 비례토록 하여 머리와 몸통, 엉덩이와 다리부위는 물론 이들 부위에 비하여 무게가 가볍고 폭이 좁으며 잘록한 부위인 목이나 허리, 오금을 포함하는 전 부위가 모두 인체의 곡선을 따라 받쳐지게 함으로써,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스프링구조물(10)에서 무게가 무겁고 폭이 넓은 엉덩이와 몸통이 각각 위치하게 되는 중간부분(10a)과 제2외측부(102)에는 주 포켓스프링(12)만 배열되고, 제1외측부(101)와 제3외측부(103)에는 상기 주 포켓스프링과 이들 사이의 공간에 부 포켓스프링(13)을 개재시켜 탄성을 보완시켜 준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누웠을 때 스프링구조물(10)은 엉덩이와 몸통이 위치하게 되는 중간부분(10a)과 제2외측부(102)는 많이 눌려지게 되고, 허리가 위치하게 되는 제1외측부(101)와 머리 또는 다리부위가 위치하게 되는 양 외단측의 제3외측부(103)는 적게 눌려진다.
이에 따라, 스프링구조물(10)은 각 부분의 탄성강도가 인체의 각 부위의 무게에 반비례하게 구성되므로, 매트리스는 인체의 곡선을 따라 눌려지게 되면서 각 부위를 모두 받쳐주게 된다.
도 3b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에 적용되는 스프링구조물(10)에서 스프링의 배열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스프링구조물(10)은, 부 포켓스프링(13)을 전부분에 걸쳐 주 포켓스프링(12)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모두 개재되게 배열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스프링구조물(10)의 전부분이 주 포켓스프링(12)과 부 포켓스프링(13)에 의해 탄성이 보완되고 충격 흡수율이 극대화 되며, 이에 따라 매트리스의 내구성이 증대됨은 물론 부분적인 꺼짐현상도 방지된다.
그리고, 부 포켓스프링(13)들은 그 높이(h)가 주 포켓스프링(12)들 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부 포켓스프링을 주 포켓스프링들 사이의 공간에 모두 개재되게 배열하여도 이들의 높이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주 포켓스프링이 눌려진 다음에 부 포켓스프링이 눌려지게 되는 것이므로, 전부분이 주 포켓스프링만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매트리스는 인체의 곡선에 부합되게 눌려진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부 포켓스프링(13)이 제1외측부(101)와 제3외측부(103)에만 또는 전부분에 걸쳐 주 포켓스프링(12)들 사이의 공간에 종횡으로 개재되게 배열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부 포켓스프링을 종횡으로 한개 걸러 하나씩 또는 한개나 두개 걸러 하나씩 교대로 배열되지 않게 하여도 된다.
물론, 이렇게 하면 스프링구조물(10)의 탄성이 부분적으로도 다르게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스프링구조물(10)이 눌려지는 정도를 7등분으로 구획하거나 또는 전부분이 동일하게 한 경우를 그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체를 5등분으로 구획하여도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물론 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는, 그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구조물을 일반적인 포켓스프링들과 이들 포켓스프링의 사이에 이 포켓스프링들 보다 탄성이 강하거나 약한 또는 동일한 부 포켓스프링을 개재시켜 구성하여 인체 각 부위의 무게 차이와 곡선에 따라 눌려지는 정도가 다르게 함으로써 인체의 모든 부위를 보다 안락하고도 안정되게 받쳐주는 특징이 있다.
특히, 부 포켓스프링들이 일반적인 포켓스프링들의 사이에 개재되게 배열되어 서로 보완 작용을 하기 때문에, 충격의 흡수율이 극대화 됨은 물론 탄성의 약화가 방지됨에 따라 내구성이 크게 증대되고 매트리스의 부분적인 꺼짐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스프링구조물을 장착하여 되는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구조물은, 상하의 지지테들 사이에 종횡으로 배열되게 착설되는 주 포켓스프링들과, 상기 주 포켓스프링들 보다 높이는 낮고 직경은 작으며 상기 주 포켓스프링들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게 배열되는 부 포켓스프링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포켓스프링은 스프링구조물의 전부분에 배열되며, 상기 부 포켓스프링은 스프링구조물을 중간부분 및 이 중간부분의 양 외측부분을 각각 제1-3외측부로 구획하여 상기 중간부분 및 제2외측부를 제외한 상기 제1외측부와 제3외측부에 배열된 주 포켓스프링들 사이의 공간에만 개재되게 배열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포켓스프링과 부포켓스프링은 스프링구조물의 전부분에 모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주 포켓스프링은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이어지게 형성되는 각 포켓내에 코일스프링을 하나씩 내장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 포켓스프링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부 포켓내에 하나의 부 코일스프링을 내장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KR20-2004-0029577U 2004-10-20 2004-10-20 매트리스 KR200372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577U KR200372690Y1 (ko) 2004-10-20 2004-10-20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577U KR200372690Y1 (ko) 2004-10-20 2004-10-20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690Y1 true KR200372690Y1 (ko) 2005-01-14

Family

ID=4944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577U KR200372690Y1 (ko) 2004-10-20 2004-10-20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6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266A (ko) * 2014-07-21 2016-02-01 안정호 서로 다른 탄성 변형도를 갖는 복수 종류의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KR102248410B1 (ko) * 2020-08-18 2021-05-06 주식회사 한성넥스 매트리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266A (ko) * 2014-07-21 2016-02-01 안정호 서로 다른 탄성 변형도를 갖는 복수 종류의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KR101707713B1 (ko) 2014-07-21 2017-02-27 안정호 서로 다른 탄성 변형도를 갖는 복수 종류의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KR102248410B1 (ko) * 2020-08-18 2021-05-06 주식회사 한성넥스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181B1 (en) Spring construction
WO2002091884A1 (fr) Structure matelassee
KR101410357B1 (ko)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고탄성 코일스프링
WO2013077437A1 (ja) ベースネット及び座席構造
RU2746178C2 (ru) Матрас
KR200372690Y1 (ko) 매트리스
JPH01280413A (ja) シート用クッション体
KR200489297Y1 (ko) 마이크로포켓스프링이 구비된 매트리스
KR20130084477A (ko) 침대용 매트리스
US20060016648A1 (en) Shock absorber of a seat of a wheelchair
KR20170072746A (ko) 사각 침대 매트리스용 코너 보조 스프링
KR200337232Y1 (ko) 매트리스
KR100820579B1 (ko)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의 완충장치
JP6165799B2 (ja) クッション材
KR200278881Y1 (ko) 매트리스
JP2012020082A (ja) ランバー支持部材、輸送機器用座席構造及びシート用クッション
WO2013005867A1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JP6905460B2 (ja) シート、及び、パッド振動特性の調整方法
KR200456426Y1 (ko) 매트리스
KR101832751B1 (ko) 독립스프링 매트리스
KR200333192Y1 (ko) 매트리스
KR200250601Y1 (ko) 매트리스
KR200333193Y1 (ko) 매트리스
KR102618345B1 (ko) 에어볼 매트리스
KR102073357B1 (ko) 내구성이 보강된 스프링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