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601Y1 -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601Y1
KR200250601Y1 KR2020010020756U KR20010020756U KR200250601Y1 KR 200250601 Y1 KR200250601 Y1 KR 200250601Y1 KR 2020010020756 U KR2020010020756 U KR 2020010020756U KR 20010020756 U KR20010020756 U KR 20010020756U KR 200250601 Y1 KR200250601 Y1 KR 200250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s
spring
mattress
rows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몬스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몬스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몬스침대
Priority to KR2020010020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601Y1/ko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부분별로 스프링의 탄성을 달리 함으로써 인체 각 부위의 무게와 인체의 곡선에 따라 눌려지는 정도가 다르게 하여 인체의 모든 부위를 보다 안락하고도 안정되게 받쳐 주며 휴식과 수면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피로회복등의 촉진은 물론 장기간 사용하여도 허리와 척추등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고 특히 성장기 어린이의 정상적인 신체발육에도 크게 기여토록 하기 위해,
매트리스 내에 장착되는 스프링구조물(10)을, 중간에 복수열로 배열되는 중간스프링(11)들과, 이 중간스프링 보다 탄성이 강하며 이 중간스프링의 양 외측에 이 중간스프링 보다 적은 수의 복수열로 배열되는 제1외측스프링(121)들과, 상기 중간스프링 보다는 탄성이 강하고 상기 제1외측스프링들 보다는 탄성이 약하며 이들 제1외측스프링의 양 외측에 상기 중간스프링 보다 많은 수의 복수열로 배열되는 제2외측스프링(122)들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매트리스{a mattress}
본 고안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에 누웠을 때 인체의 각 부위의 무게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등을 감안하여 부분별로 쿠션감을 달리하여 인체를 보다 안락하게 받쳐주도록 한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에 사용되고 있는 매트리스의 쿠션감은 그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구조물에 종횡 다수열로 배열 착설하는 스프링들의 탄성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서, 쿠션감을 부드럽게 할 때에는 탄성이 약한 스프링을 사용하였고 쿠션감을 단단하게 할 때에는 탄성이 강한 스프링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종래에는 동일한 탄성을 갖는 스프링들을 다수 착설하여 하나의 스프링조물을 제작하었기 때문에 매트리스 전부분의 쿠션감이 동일하게 되었다.
그러나, 인체의 몸통과 엉덩이등은 다른 부위보다 무거운 반면 허리나 다리등은 가볍기 때문에 전부분이 동일한 탄성으로 된 매트리스에 눕게 되면, 상대적으로 인체부위들 중 무거운 부위에 해당되는 부분이 많이 눌려지게 되므로 매트리스는 어느 정도 인체의 곡선을 따라 눌려지는 상태가 되면서 인체를 받쳐주기는 하지만, 특히 인체부위들 중 몸통과 엉덩이를 이어주는 허리나 목부위등의 경우에는 상기 몸통과 엉덩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잘록하게 들어가 있기 때문에 매트리스는 몸통으로 부터 엉덩이에 이르기 까지 거의 동일한 상태로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허리나 목부위등은 매트리스로 부터 이격되어 받쳐지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근육이 긴장하게 되어 쉬 피로하게 되었음은 물론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없게 되었고, 이런 점들에 의해 장기간 사용시 척추가 굽게 되는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어 특히 성장기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정상적인 신체발육에 장애가 되었으며, 또 심한 경우에는 허리디스크등의 발병 요인이 되는 등 사용상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시간 누워 있어도 피로하지 않게 됨은 물론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특히 성장기 어린이들의 정상적인 신체발육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트리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인체각 부위를 무게의 차이에 구애됨이 없이 전체적으로 안락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매트리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구조물에 종횡 다수열로 배열 착설하는 스프링들의 탄성을 그 착설되는 부분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의 정단면도,
도 2는 동 매트리스에 사용되는 스프링구조물의 일부를 발췌한 평면도,
도 3은 동 스프링구조물에 착설되는 각기 다른 스프링을 발췌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의 사용상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의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프링구조물,
11 ; 중간스프링, 12, ; 외측스프링,
13, ; 상하 지지테, 121 ; 제1외측스프링,
122 ; 제2외측스프링, 123 : 제3외측스프링,
20, 20 ; 부직포,
30, 30 ; 스폰지,
40, 40' ; 커버지,
50 ; 측면지.
이하,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의 정단면도 이고, 도 2는 동 매트리스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구조물의 일부분을 발췌 확대한 평면도 이며, 도 3은 동 스프링구조물에 착설되는 각기 다른 스프링들을 발췌하여 확대한 정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는 스프링구조물(10)과, 이 스프링구조물의 상하에 차례로 적층되는 부직포지(20)(20') 및 스폰지(30)(30')들과, 이들 스폰지의 상하 외면에 적층되는 커버지(40)(40')들과, 상하단이 상기 커버지의 외주연과 빙둘러 봉재되어 주면부를 감싸주는 측면지(50)들을 구비하여 된다.
상기 스프링구조물은, 중간에 복수열로 배열되는 중간스프링(11)들과, 이 중간스프링의 양 외측에 이 중간스프링 보다 탄성이 강하고 많은 수의 복수열로 배열되는 외측스프링(12)들과, 이들 중간 및 외측스프링들 중 각 외주연측에 위치하는 스프링들의 상하 각 외주단을 결속편으로 착설하여 상기 중간 및 외측스프링들의 상하 외주연을 빙둘러 지지하는 상하지지테(13)들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스프링이 배열되는 부분은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어느 쪽으로 누워도 엉덩이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며, 상기 외측스프링이 배열되는 부분은 엉덩이를 제외한 다른 모든 부위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 된다.
또한, 상기 중간스프링은 대략 6열로 배열하고 외측스프링들은 대략 13열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매트리스의 전체 길이와 사용자의 신장등을 감안하여 어느 정도의 신장 차이가 있어도 엉덩이가 상기 중간스프링에 위치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중간 및 외측스프링들은 강선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간스프링은 그 강선의 직경이 외측스프링들 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여 탄성이 외측스프링 보다 약하게 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매트리스위에 누웠을 때 인체에서 2번째로 무거운 엉덩이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인 상기 중간스프링들이 외측스프링들 보다 더 눌려지게 되므로, 이들 중간 및 외측스프링들의 경계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중간스프링 보다 상대적으로 덜 눌려지게 되는 외측스프링이 허리를 받쳐주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측스프링들은, 제1,2외측스프링(121)(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외측스프링은 대략 4열로 배열하고 제2외측스프링은 상기 제1외측스프링들의 양 외측에 대략 9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사용자의 신장 차이등을 감안하여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어도 허리는 상기 제1외측스프링 부분에 몸통과 머리는 제2외측스프링 부분에 위치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외측스프링은 중간스프링보다 직경이 큰 강선을 사용하고, 상기 제2외측스프링은 중간스프링보다는 직경이 크고 상기 제1외측스프링보다는 직경이 작은 강선을 사용하여 된다.
즉, 강선의 직경은 제1외측스프링 > 제2외측스프링 > 중간스프링 순으로 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외측스프링은 직경이 대략 2.28 m/m 정도인 강선을 사용하며 제2외측스프링은 직경이 대략 2.18 m/m 의 강선을 사용하고 중간스프링은 직경이 대략 2.08 m/m 의 강선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중간 및 외측스프링들의 강선 직경을 달리하는 것은, 상기 중간스프링이 배열된 부분은 사용자가 매트리스 위에 어느쪽으로 누워도 인체에서 무게가 2번째로 무거운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분이 되고 제1외측스프링이 배열된 부분은 허리가 위치하는 부분이 되며 제2외측스프링이 배열된 부분은 인체에서 무게이 가장 무거운 몸통부위와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이 되기 때문에, 이들 각 부위의무게 차이와 인체의 곡선에 따른 상기 중간 및 외측스프링들의 눌려지는 정도의 차이를 감안하여 각 스프링의 탄성을 달리 함으로써 인체의 각 부위를 보다 더욱 안락하게 받쳐 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상기 중간 및 제1,2외측스프링들은 엉덩이와 몸통 및 머리의 무게와 곡선에 걸맞는 상태로 눌려지게 되지만, 상기 제1외측스프링은 강선의 직경이 제일 큰 것으로 함에 따라 탄성이 제일 강하게 되어 인접한 상기 중간 및 제2외측스프링들이 눌려질 때 동반하여 눌려지는 것이 방지되며, 또 다리가 위치하게 되는 반대측 부분의 스프링들은 거의 눌려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외측스프링은 인접한 상기 중간 및 제2외측스프링들이 많이 눌려져도 동반하여 눌려지지 않게 되므로 허리를 받쳐 주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를 보인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외측스프링(12)이 제1-3외측스프링(121)(122)(123)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1외측스프링은 대략 4열씩으로 배열되며 직경이 2.28 m/m 정도인 강선을 사용하고, 제2외측스프링은 대략 6열씩으로 배열되며 직경이 2.18 m/m 정도인 강선을 사용하며, 제3외측스프링은 대략 3열씩으로 배열되며 직경이 2.28 m/m 정도인 강선을 사용하여 된다.
즉, 상기 제1,3외측스프링들은 탄성이 동일하게 되고, 제2외측스프링은 제1,3외측스프링들 보다 탄성이 약하게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상기 제3외측스프링에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게 되는 것을 감안하여 무게가 무거운 몸통이 위치함에 따라 많이 눌려지는 제2외측스프링들 보다 덜 눌려지게 함으로써,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중간 및 외측스프링들은 상하의 지지테(13)에 헤리칼코일로 결속하여도 되지만, 부직포등으로 되는 포켓(60)에 하나씩 내장하여 결속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에 예시된 중간 및 외측스프링들의 배열 갯수와 강선들의 직경은 그 일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트리스의 길이 에 따라 각 스프링들의 배열 갯수를 증감할 수 있음은 물론 성인과 어린이 또는 남녀의 체중차이등을 감안하여 각 강선의 직경, 즉, 스프링의 탄성을 달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는, 부분별로 스프링의 탄성을 달리 함으로써 인체의 각 부위에 따른 무게의 차이와 인체의 곡선에 따라 눌려지는 정도가 다르게 되어 인체의 모든 부위를 보다 더욱 안락하고도 안정되게 받쳐주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휴식과 수면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피로회복등의 촉진은 물론 장기간 사용하여도 허리와 척추등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는 효과는 물론, 특히 성장기 어린이의 정상적인 신체 발육에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

Claims (9)

  1. 스프링구조물(10)을 구비하는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구조물(10)은 중간에 복수열로 배열 착설되는 중간스프링(11)들과, 상기 중간스프링(11)보다 탄성이 강하며 상기 중간스프링(11)의 양 외측에 상기 중간스프링(11) 보다 많은 수의 복수열로 배열 착설되는 외측스프링(12)들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스프링(11)은 대략 6열로 배열하고, 상기 외측스프링(12)들은 대략 13열로 각각 배열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스프링(11)은 직경이 대략 2.08 m/m 인 강선으로 되고, 상기 외측스프링(12)은 직경이 대략 2.28 m/m 인 강선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스프링(12)들은, 상기 중간스프링(11)의 양 외측에 배열 착설되며 상기 중간스프링(11) 보다 탄성이 강한 제1외측스프링(121)과 상기 제1외측스프링(121)들의 각 외측에 배열 착설되며 상기 중간스프링(11)보다는 탄성이 강하고 상기 제1외측스프링(121)보다는 탄성이 약한 제2외측스프링(1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측스프링(121)은 대략 4열로 배열하고, 상기 제2외측스프링(122)은 대략 9열로 배열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측스프링(121)은 직경이 대략 2.28 m/m 인 강선으로 되고, 상기 제2외측스프링(122)은 직경이 대략 2.18 m/m 인 강선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스프링(12)은, 상기 중간스프링(11)보다 탄성이 강하며 상기 중간스프링(11)의 양 외측에 배열 착설되는 제1외측스프링(121)들과, 상기 중간스프링(11)보다는 탄성이 강하고 상기 제1외측스프링(121)보다는 탄성이 약하며 상기 제1외측스프링(121)의 양 외측에 배열 착설되는 제2외측스프링(122)들과, 상기 제1외측스프링(121)과 동일한 탄성으로 되며 상기 제2외측스프링(122)의 양 외측에 배열 착설되는 제3외측스프링(1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측스프링(121)들은 대략 4열로 배열하고, 상기 제2외측스프링(122)들은 대략 6열로 배열하며, 상기 제3외측스프링(123)들은 대략 3열로 배열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3외측스프링(121)(123)들은 직경이 대략 2.28 m/m 인 강선으로 되고, 상기 제2외측스프링(122)은 직경이 대략 2.18 m/m 인 강선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KR2020010020756U 2001-07-10 2001-07-10 매트리스 KR200250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756U KR200250601Y1 (ko) 2001-07-10 2001-07-10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756U KR200250601Y1 (ko) 2001-07-10 2001-07-10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601Y1 true KR200250601Y1 (ko) 2001-10-19

Family

ID=7310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756U KR200250601Y1 (ko) 2001-07-10 2001-07-10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6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271B1 (ko) * 2011-11-01 2012-07-03 주식회사 한샘 오픈 코일방식의 침대용 매트리스 제조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U196288U1 (ru) * 2019-10-29 2020-02-25 Минасянц Нерсес Давидович Мебельная пружин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271B1 (ko) * 2011-11-01 2012-07-03 주식회사 한샘 오픈 코일방식의 침대용 매트리스 제조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U196288U1 (ru) * 2019-10-29 2020-02-25 Минасянц Нерсес Давидович Мебельная пружин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6268C (en) A mattress
CA2044355C (en) Mattress with removable insert
KR200250601Y1 (ko) 매트리스
KR101656567B1 (ko) 바로잠베개
KR20160101646A (ko) 매트리스
KR200416722Y1 (ko) 밴드형 탈부착 의자 등받이
KR200337232Y1 (ko) 매트리스
KR200382326Y1 (ko) 침대용 매트리스
US2557269A (en) Posture seating device
KR200456426Y1 (ko) 매트리스
KR101787439B1 (ko) 기능성 베개
KR101734028B1 (ko) 매트리스
KR101154866B1 (ko) 맞춤형 매트리스
KR20090003442U (ko) 매트리스
KR200436623Y1 (ko) 신체부위 하중에 따라 독립스프링을 구분 설치한 침대매트리스
CN205072520U (zh) 一种可调整软硬度的组合床垫
CN204336381U (zh) 一种预防腰部疼痛的床垫
KR200333192Y1 (ko) 매트리스
CN210870626U (zh) 一种弹跳型单人沙发
CN219109147U (zh) 一种改进的定型枕
KR200333193Y1 (ko) 매트리스
KR102153753B1 (ko) 2중 매트리스 기능을 가진 침대 프레임
KR102618345B1 (ko) 에어볼 매트리스
CN216984278U (zh) 一种具有分区支撑力记忆功能的睡眠感应床垫
KR20190001012U (ko) 침대용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