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414Y1 -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 Google Patents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414Y1
KR200372414Y1 KR20-2004-0028250U KR20040028250U KR200372414Y1 KR 200372414 Y1 KR200372414 Y1 KR 200372414Y1 KR 20040028250 U KR20040028250 U KR 20040028250U KR 200372414 Y1 KR200372414 Y1 KR 200372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conduit
circular
groo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식
Original Assignee
(주)동영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영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동영프라스틱
Priority to KR20-2004-0028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4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4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7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되는 통신 및 전선용 파이프 즉, 원통형 통신관 및 전선관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전선관 스페이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전선 및 통신선이 사용되는 발전설비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관경의 전선관을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원형 관통홈이 형성된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는, 다수의 원통형 통신관 및 전선관을 이격되게 지지하는 전선관 스페이셔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 스페이셔는 하나의 원형 관통홈이 형성된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소정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의 원형 관통홈은 다른 단위 스페이셔 블럭의 원형 관통홈의 직경과 달라서 서로 다른 관경의 전선관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은 동일한 지름의 반원형 홈부를 갖는 2개의 기초 스페이셔 블럭이 대응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 및 단위 스페이셔 블럭에는 H빔형 결합부재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삽입홈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Spacer for electric wire pipe}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되는 통신 및 전선용 파이프 즉, 원통형 통신관 및 전선관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전선관 스페이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전선 및 통신선이 사용되는 발전설비에서 이들 전선 및 통신선을 케이블의 직경과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매설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원형 관통홈이 일체로 형성된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및 전선용 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할 때는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서 소정 관경을 갖는 원통형 파이프 즉, 통신관 및 전선관(이하 '전선관'으로 약칭)을 사용한다. 따라서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원통형 전선관들이 서로 엉키지 않고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전선관 스페이셔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전선관 스페이셔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다수의 원통형 전선관이 관통되는 다수의 원형 관통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종래의 전선관 스페이셔의 일예를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선관 스페이셔(1)는 소정 형상의 틀체로서 그 내부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다수의 원형 관통홈(50)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선관 스페이셔(1)는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10)과 다수의 단위 베이스 블럭(20)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10)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틀체로서 상하부 틀에는 하나씩의 반원형 홈부(60)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하좌우 틀에는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10)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돌부(30) 및 슬라이드홈(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베이스 블럭(20)은 소정 크기의 틀체로서 상부 틀에는 반원형 홈부(60)가 형성되고 하부 틀에는 평평하고 일정 넓이의 받침판(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베이스 블럭(10)에도 다수의 슬라이드돌부(30) 및 슬라이드홈(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선관 스페이셔(1)는 다수의 단위 베이스 블럭(20)을 일렬로 결합시키고, 다시 그 위에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20)을 적층시키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전선관 스페이셔(1)는 하나의 전선관 스페이셔(1)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다수의 원형 관통홈(50)만이 형성되기 때문에 동일한 관경의 전선관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과 특성을 갖는 케이블끼리 묶어서 포설하는 경우, 전선케이블 등과 같은 어떤 케이블은 묶음이 크고 통신용케이블 등과 같은 케이블은 묶음이 작아서 이들을 동일한 직경의 전선관에 각각 포설할 경우 어느 전선관은 너무 좁고 다른 전선관은 너무 커서 전선관을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서로 다른 특성의 케이블을 혼합하여 묶을 경우 통신품질이 저하되고 케이블의 유지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선관 스페이셔(1)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10)과 단위 베이스 블럭(20)을 적층하여 형성함으로 전선관 스페이셔(1)의 상단에 다수의 반원형 홈부(60)가 불필요하게 남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선관 스페이셔(1)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10)과 단위 베이스 블럭(20)에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드돌부(30)와 슬라이드홈(40)을 이용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전선관 스페이셔(1) 사이에 다수의 철근을 배근하게 되므로 포설비용이 증가되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여러 종류의 전선 및 통신선이 함께 사용되는 발전설비에 적합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원형 관통홈이 일체로 형성된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전선관 스페이셔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적정 위치에 다수의 리브를 형성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높임이고, 기초 또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으로부터 분리된 H빔형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이웃하는 기본 또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하여 결합력을 강화함으로써 매설시 사용되는 철근의 양을 줄여 케이블 포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를 제공하는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동일한 형태의 기초 스페이셔 블럭과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적층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및 전선관의 크기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단부에 불필요한 반원형 홈부가 형성되지 않는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전선관 스페이셔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2는 종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 및 단위 베이스 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5은 본 고안에 따른 단위 스페이셔 블럭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6(a)은 본 고안에 따른 기초 스페이셔 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6(b)는 본 고안에 따른 기초 또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결합시키는 H빔형 결합부재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와 다수의 전선관과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210 : 단위 스페이셔 블럭 220 : 기초 스페이셔 블럭
230 : 원형 관통홈 240 : H빔형 결합부재
241 : 걸림턱부 242 : 목부
250 : 삽입홈부 251 : 걸림홈
252 : 가이드홈 260,261,263 : 리브
270 : 반원형 홈부 300 : 원통형 전선관
400 : 철근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는, 다수의 원통형 통신관 및 전선관을 이격되게 지지하는 전선관 스페이셔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 스페이셔는 하나의 원형 관통홈이 형성된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소정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의 원형 관통홈은 다른 단위 스페이셔 블럭의 원형 관통홈의 직경과 달라서 서로 다른 관경의 전선관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은 동일한 지름의 반원형 홈부를 갖는 2개의 기초 스페이셔 블럭이 대응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 및 단위 스페이셔 블럭에는 H빔형 결합부재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삽입홈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기초 및 단위 스페이셔 블럭은 H빔형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기초 스페이셔 블럭은 소정 크기의 틀체로서 상부 틀에는 하나의 반원형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하좌우 틀에는 이웃하는 기초 또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과 H빔형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홈부가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기본 스페이셔 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기초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발전설비용 스페이셔(200)는 소정 크기의 사각형 틀체로서, 그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형 관통홈(230)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원형 관통홈(230)에는 서로 다른 관경을 갖는 전선관(300:도7)이 각각 삽입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발전설비용 스페이셔(200)는 여러 종류의 케이블을 직경과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그 분류된 묶음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크기의 전선관(300)을 선택하여 포설함으로써 전선관 및 전선관 스페이셔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200)는 도3 내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을 상하좌우로 적층시켜 소정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에는 하나의 원형 관통홈(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의 원형 관통홈(230)은 다른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의원형 관통홈(230)의 직경과 다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200)에 형성된 원형 관통홈(230)의 직경이 모두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발전설비용 스페이셔(200)는 서로 다른 관경을 갖는 다수의 원통형 전선관(300)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관경의 전선관(300)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 묶음이 포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은 도4 내지 도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지름의 반원형 홈부(270:도6a)를 갖는 2개의 기초 스페이셔 블럭(220)을 상하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도6(a)을 참조하면, 상기 기초 스페이셔 블럭(220)은 소정 크기의 틀체로서 상부 틀에는 하나의 반원형 홈부(270)가 형성되고 상하좌우 틀의 일측에는 삽입홈부(250)가 좌우로 대칭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기초 또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220)(210)은 H빔형 결합부재(240)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도5 및 도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H빔형 결합부재(240)는 H빔 형상으로, 상기 기초 또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220)(210)의 두께에 대해 동일한 길이을 갖고 걸림턱부(241)와 목부(24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기초 또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220)(210)의 삽입홈부(250)에 의해 형성되는 H빔형 삽입홈부에 상기 H빔형 결합부재(240)의 걸림턱부(241)와 목부(242)가 대응하도록 한 상태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억지끼움으로써 단단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부(250)는 기초 또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220)(210)의 상하좌우 틀에 내측으로 파여진 소정 깊이의 홈으로서 H빔 걸림턱부(241)가 결합되는 걸림홈(251)과 상기 H빔형 목부(242)가 결합되는 가이드홈(252)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초 또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220)(210)을 좌우측으로 결합할 때는 가로 방향으로 H빔형 결합부재(240)가 삽입되고, 상기 기초 또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220)(210)을 상하로 결합할 때는 H빔형 결합부재(240)가 세로 방향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은 상부와 하부가 모두 평평하게 이루어져 있고, 상하좌우 틀의 폭이 모두 동일하다. 또한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은 가운데의 원형 관통홈(230)을 중심으로 상하로 틀체와 직각되는 수직리브(260)와, 상하좌우측 틀의 꼭지점에서 원형 관통홈(230)까지 연결되는 경사리브(26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의 네 귀퉁이에는 수평보조리브(262)와 수직보조리브(262')로 이루어진 보조리브(26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보조리브(262)와 수직보조리브(262')의 일단은 상하좌우측 틀에 형성된 삽입홈부(25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원형 관통홈(23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경사리브(261)나 원형 관통홈(2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200)는 상하좌우 면이 모두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종래의 전선관 스페이셔보다 그 두께가 두꺼운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200)의 제작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동일한 직경의 반원형 홈부(270)를 갖는 두 개의 기초 스페이셔 블럭(220)을 상하로 결합하여 소정 크기의 원형 관통홈(230)을 갖는 하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으로 조립한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반원형 홈부(270)를 갖는 기초 스페이셔 블럭(220)들을 서로 조립하여 다양한 크기의 원형 관통홈(230)을 갖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을 다수 개 조립한다. 이때 두 개의 기초 스페이셔 블럭(220)은 반원형 홈부(270)를 중심으로 상하로 맞댄 후 대응되는 삽입홈부(250)에 H빔형 결합부재(240)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을 상하좌우로 적층시켜 서로 다른 직경의 원형 관통홈(230)을 가진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200)를 조립한다. 이때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은 상기 H빔형 결합부재(240)를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홈부(250)에 억지끼워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200) 조립 시 큰 직경의 원형 관통홈(230)을 갖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은 아래에, 작은 직경의 원형 관통홈(230)을 갖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210)은 위에 위치하도록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200)에 다수의 전선관(300)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경이 큰 전선관(300)은 아랫쪽에 위치되고 관경이 작은 전선관(300)은 상부에 위치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200)는 그 두께가 종래의 것에 비해 두껍고 상하면이 평평하며, 보조리브 등으로 보강되어 있으므로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200)의 사이에 배근되는 철근(400)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철근(400)의 수를 줄임으로써 전체 포설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케이블의 지름과 종류에 따라 적정한 지름의전선관(300)을 선택하여 포설할 수 있으므로 전선관 스페이셔(200)의 크기를 늘리지 않고도 많은 양의 케이블을 효율적으로 포설할 수 있고, 케이블이 종류별로 분류하여 설치되므로 유지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방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전선관 스페이셔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원형 관통홈이 제공되므로 서로 다른 관경을 가진 다수의 통신관 및 전선관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의 지름과 종류에 따라 적정한 관경의 전선관을 선택하여 포설할 수 있으므로 전선관 스페이셔의 크기를 늘리지 않고도 많은 양의 전선 및 통신선을 포설할 수 있고, 케이블을 종류별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전선관 스페이셔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설치 후에도 케이블의 유지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또한 다수의 기초 및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별도의 H빔형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억지끼움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종래의 스라이드 방식에 비해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선관 스페이셔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상면과 저면을 평평하게 하며 각종 리브를 이용하여 강도를 높여서 전선관 스페이셔 사이에 배근되는 철근의 양을 줄임으로써 포설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수의 원통형 통신관 및 전선관을 이격되게 지지하는 전선관 스페이셔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 스페이셔는 하나의 원형 관통홈이 형성된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소정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의 원형 관통홈은 다른 단위 스페이셔 블럭의 원형 관통홈의 직경과 달라서 서로 다른 관경의 전선관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은 동일한 지름의 반원형 홈부를 갖는 2개의 기초 스페이셔 블럭이 반원형 홈부를 중심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스페이셔 블럭은 소정 크기의 틀체로서 상부 틀에는 하나의 반원형 홈부가 형성되고 상하좌우 틀의 일측에는 이웃하는 기초 스페이셔 블럭과 소정의 H빔형 결합부재를 통해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삽입홈부가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4. 제 1항과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은 사각형의 틀체로서, 가운데에는 소정 직경의 원형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 관통홈을 중심으로 상하에는 수직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좌우측 틀의 꼭지점에서 원형 관통홈까지는 경사리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좌우측 틀에는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과 H빔형 결합부재가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삽입홈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의 네 귀퉁이에는 수평보조리브와 수직보조리브로 이루어진 보조리브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조리브와 수직보조리브의 일단은 상하좌우측 틀에 형성된 삽입홈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원형 관통홈의 직경에 따라 상기 경사리브나 원형 관통홈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H빔형 결합부재는 기초 스페이셔 블럭의 두께와 같은 길이이며 걸림턱부와 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부는 기초 스페이셔 블럭의 상하좌우측 틀에 소정 깊이로 대응되게 형성된 홈으로 상기 H빔형 결합부재의 걸림턱부가 결합되는걸림홈과 H빔형 결합부재의 목부가 결합되는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KR20-2004-0028250U 2004-10-06 2004-10-06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KR200372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250U KR200372414Y1 (ko) 2004-10-06 2004-10-06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250U KR200372414Y1 (ko) 2004-10-06 2004-10-06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414Y1 true KR200372414Y1 (ko) 2005-01-14

Family

ID=4944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250U KR200372414Y1 (ko) 2004-10-06 2004-10-06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4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87A (ko) * 2017-07-06 2019-01-1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스크러버 장치를 포함하는 흄 후드용 프로파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87A (ko) * 2017-07-06 2019-01-1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스크러버 장치를 포함하는 흄 후드용 프로파일
KR101964294B1 (ko) * 2017-07-06 2019-04-01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스크러버 장치를 포함하는 흄 후드용 프로파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1447A (en) Conduit spacer anchoring system
KR101223508B1 (ko) 파이프 고정장치
EP2429049B1 (en) Cable connection housing providing multiple methods for waterproofing main cables
KR200372414Y1 (ko) 발전설비용 전선관 스페이셔
CN219351197U (zh) 一种电缆敷设架
KR100940228B1 (ko) 배전선로 전선관 간격편
KR200329930Y1 (ko)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
CN112186661B (zh) 一种网络工程用束线装置
JP5583488B2 (ja) 可撓管スペーサ
CN112018676A (zh) 一种分层铺设且便于检修的缆线线束整理装置
CN209907739U (zh) 一种钢筋分离器及混凝土结构
KR101056640B1 (ko) 통신용 광케이블 이격가설대
KR101881298B1 (ko) 광케이블 보호관
KR20120005832U (ko) 전선 스페이서
CN216215720U (zh) 一种电力工程电缆敷设结构
JP2007121737A (ja) 細径ケーブル一束化用ガイドチューブおよび細径ケーブル入線方法
KR102651241B1 (ko)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CN110752570A (zh) 一种进线档距特小的500kV变电站的进线结构
CN109494673A (zh) 地埋式电缆保护装置
JP4224758B2 (ja) 地中埋設管とその埋設方法
CN211377434U (zh) 一种拼接型电缆卡箍
CN213143872U (zh) 一种预埋电管上弯头保护及间距控制装置
CN219874881U (zh) 一种具有分隔结构的mpp电力电缆保护管
CN210201395U (zh) 一种拼接线盒
KR20020006394A (ko) 전선, 통신선용 케이블 덕트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