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938Y1 - 퓨즈홀더 - Google Patents

퓨즈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938Y1
KR200371938Y1 KR20-2004-0028621U KR20040028621U KR200371938Y1 KR 200371938 Y1 KR200371938 Y1 KR 200371938Y1 KR 20040028621 U KR20040028621 U KR 20040028621U KR 200371938 Y1 KR200371938 Y1 KR 200371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ase
holder body
fuse hold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현
Original Assignee
임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현 filed Critical 임창현
Priority to KR20-2004-0028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9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퓨즈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로 노출된 도전성 금속재의 퓨즈케이스 표면을 합성수지재의 보호커버로 감싸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퓨즈 교환시 별도의 걸림편에 의해 퓨즈가 퓨즈캡과 같이 분리되게 함으로써, 퓨즈케이스의 노출에 따른 감전과 퓨즈에 남아있는 잔류 전류에 의해 감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되게 함은 물론 이러한 퓨즈홀더는 볼트체결 방식이나 또는 끼움결합 방식을 모두 수용하여 별도의 분리작업 없이도 제어기기에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퓨즈홀더{A Holder of Fuse}
본 고안은 퓨즈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로 노출된 도전성 금속재의 퓨즈케이스 표면을 합성수지재의 보호커버로 감싸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퓨즈 교환시 별도의 걸림편에 의해 퓨즈가 퓨즈캡과 같이 분리되게 함으로써, 퓨즈케이스의 노출에 따른 감전과 퓨즈에 남아있는 잔류 전류에 의해 감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되게 함은 물론 이러한 퓨즈홀더는 볼트체결 방식이나 또는 끼움결합 방식을 모두 수용하여 별도의 분리작업 없이도 제어기기에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퓨즈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받아 가동되거나 운전되는 배전기기 즉, 배전반, 제어기등에는 과전류나 과전압에 의한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정 용량을 갖는 퓨즈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퓨즈는 용단여부를 확인하거나 용단된 퓨즈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퓨즈홀더에 장착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퓨즈홀더는 크게 중간에 퓨즈 하단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전,후면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하여 체결부재에 의해 배전반에 체결 고정되는 퓨즈홀더몸체와, 상기 퓨즈홀더몸체 상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퓨즈 중간부분을 수용하는 퓨즈케이스와, 상기 퓨즈케이스와 퓨즈홀더몸체 내부에 퓨즈가 삽입되면 상기한 퓨즈케이스에 나사 결합되어 퓨즈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캡과, 상기 퓨즈홀더몸체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고 배전반에 고정 부착된 가이드레일에 끼움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블럭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퓨즈홀더중 퓨즈케이스는 통상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나 기타 사용자가 퓨즈케이스와 접촉되었을 때 퓨즈케이스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감전될 위험이 항상 내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퓨즈 교환시 퓨즈캡을 퓨즈케이스에서 분리 한 후, 퓨즈케이스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퓨즈를 작업자 손으로 직접 인출해야 하기 때문에 퓨즈에 잔류하는 전류에 의해 감전될 위험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퓨즈홀더는 퓨즈홀더몸체에 체결구멍을 형성한 후, 이 체결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퓨즈홀더가 배전반 등에 고정되게 하는 볼트 체결방식과, 배전반에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퓨즈홀더몸체 하단에는 가이드블럭을 각기 별도로 형성한 후, 상기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블럭이 삽입 고정되게 하는 끼움 결합방식을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퓨즈홀더는 볼트 체결방식과 끼움 결합방식을 병행하기 위해 제작 판매시 퓨즈홀더몸체 하단에 가이드블럭이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체결 체결방식으로 퓨즈홀더를 장착시에는 상기한 퓨즈홀더몸체에서 일일이 가이브 블럭을 분리한 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부로 노출된 도전성 금속재의 퓨즈케이스 표면을 합성수지재의 보호커버로 감싸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 후, 작업 또는 부주의로 인해 도전성 금속재의 퓨즈 케이스에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퓨즈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퓨즈 교환시 별도의 걸림편에 의해 퓨즈가 퓨즈캡과 같이 분리되게 함으로써, 퓨즈에 남아있는 잔류 전류에 의해 감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퓨즈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퓨즈홀더가 볼트체결 방식이나 또는 끼움결합 방식을 모두 수용하여 별도의 분리작업 없이도 제어기기(배전반, 제어함)에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퓨즈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퓨즈홀더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퓨즈 홀더의 결합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커버에 의해 퓨즈가 퓨즈캡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퓨즈홀더가 배전반에 체결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퓨즈홀더몸체 110 ; 수용홈
120,200 ; 체결구멍 130 ; 가이드블럭
140 ; 퓨즈케이스 150 ; 퓨즈캡
160 ; 퓨즈 170 ; 체결부재
300 ; 보호커버 310 ; 체결홈
400 ; 걸림편 410 ; 연결판
A ; 퓨즈홀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퓨즈케이스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감쌀수 있도록 대응한 형상을 가지며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홈을 통하여 퓨즈케이스 상단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의 보호커버와,
상기 퓨즈케이스에 퓨즈캡이 나사 결합될 때 퓨즈 상단을 약간 강압적으로 밀착 고정하여 퓨즈와 퓨즈캡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한 퓨즈캡 상단 내벽에 밀착 고정되는 걸림편과,
상기 퓨즈홀더몸체 하단에 가이드블럭이 일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퓨즈홀더가 체결부재에 의해 배전반에 바로 체결 고정될 있도록 가이드블럭에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퓨즈홀더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퓨즈 홀더의 결합 사시도 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커버에 의해 퓨즈가 퓨즈캡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퓨즈홀더가 배전반에 체결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퓨즈홀더(A)도 중간에 퓨즈(160) 하단을 수용하는 수용홈(110)이 형성되고 전,후면에 형성된 체결구멍(120)을 통하여 체결부재(170)에 의해 배전반에 체결 고정되는 퓨즈홀더몸체(100)와, 상기 퓨즈홀더몸체(100) 상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퓨즈(160) 중간부분을 수용하는 퓨즈케이스(140)와, 상기 퓨즈케이스(140)와 퓨즈홀더몸체(100) 내부에 퓨즈(160)가 삽입되면 상기한 퓨즈케이스(140)에 나사 결합되어 퓨즈(16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캡(150)과, 상기 퓨즈홀더몸체(100)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고 배전반에 고정 부착된 가이드레일에 끼움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블럭(130)으로 이루어지며 기본적으로 작동되는 맥락은 종래와 같다. 한편, 상기와 같은 퓨즈홀더(A)의 전기적인 회로 관계는 통상 사용되는 기술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은 더욱 효과적으로 퓨즈홀더(A)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4에서와 같이 퓨즈케이스(140) 상단에 결합되는 보호커버(300)와, 퓨즈케이스(140)에서 퓨즈캡(150)이 분리될 때 상기한 퓨즈캡과 함께 퓨즈 (150)가 따라 나오게 하는 걸림편(400)과, 볼트 체결방식이나 끼움 결합방식이 모두 사용 가능케 하는 체결구멍(200)이 기본적으로 동원된다.
보호커버(300)는 퓨즈케이스(140)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감쌀수 있도록 대응한 형상을 가지며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홈(310)을 통하여 퓨즈케이스(140) 상단에 결합 사용된다. 상기한 보호커버(300)의 재질은 작업자가 접촉되어도 감전되지 않도록 비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걸림편(400)은 퓨즈케이스(140)에 퓨즈캡(150)이 나사 결합될 때 퓨즈(160)상단을 약간 강압적으로 밀착 고정하여 퓨즈와 퓨즈캡이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역활을 수행하는데, 상단은 퓨즈캡(150) 내부 보다 직경이 작은 연결판(4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판(410)의 좌우측에는 퓨즈캡(150) 내벽에 밀착 고정되고 퓨즈 상단을 밀착 고정하는 걸림편(400)이 하향 절곡 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편(400)은 도면에서는 두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하였으나, 퓨즈(160) 상단을 밀착 고정하여 퓨즈케이스(140)에서 분리되는 퓨즈캡(150)과 함께 분리되게 할 수 있다면 상황에 따라 다수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체결구멍(200)은 퓨즈흘더몸체(100) 하단에 가이드블럭(130)이 일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퓨즈홀더(A)가 체결부재(170)에 의해 배전반에 바로 체결 고정될 있도록 가이드블럭(130)에 형성되고, 형성 위치는 공지의 퓨즈홀더몸체에 형성된 체결구멍(120)의 직하방에 형성된다.
이는 가이드블럭(130)에 별도의 체결구멍(20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퓨즈 홀더몸체(100)에서 가이드블럭(130)을 분리하지 않아도 체결부재(170)를 이용하여 퓨즈홀더(A)를 배전반등에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된 도전성 금속재의 퓨즈케이스 표면이 별도의 보호커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항상 감싸져 있기 때문에 작업 또는 부주의로 인해 도전성 금속재의 퓨즈케이스에 접촉되는 근본적으로 차단되어 접촉에 의한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퓨즈캡 내부에 형성된 걸림편 사이에 퓨즈의 일단이 압입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퓨즈 교환시 퓨즈는 퓨즈캡과 같이 분리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퓨즈에 남아있는 잔류 전류에 의해 감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퓨즈홀더는 볼트체결 방식이나 또는 끼움결합 방식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체결구멍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부품 분리작업 없이도 퓨즈홀더를 제어기기(배전반, 제어함)에 볼트 체결방식이나 또는 끼움결합방식이 간편하게 이루지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중간에 퓨즈(160) 하단을 수용하는 수용홈(110)이 형성되고 전,후면에 형성된 체결구멍(120)을 통하여 체결부재(170)에 의해 배전반에 체결 고정되는 퓨즈홀더몸체(100)와, 상기 퓨즈홀더몸체(100) 상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퓨즈(160) 중간부분을 수용하는 퓨즈케이스(140)와, 상기 퓨즈케이스(140)와 퓨즈홀더몸체(100) 내부에 퓨즈(160)가 삽입되면 상기한 퓨즈케이스(140)에 나사 결합되어 퓨즈(16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캡(150)과, 상기 퓨즈홀더몸체(100)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고 배전반에 고정 부착된 가이드레일에 끼움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블럭(130)으로 이루어진 퓨즈홀더에 있어서,
    상기 퓨즈케이스(140)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감쌀수 있도록 대응한 형상을 가지며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홈(310)을 통하여 퓨즈케이스 상단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의 보호커버(300)와, 상기 퓨즈케이스(140)에 퓨즈캡(150)이 나사 결합될 때 퓨즈(160) 상단을 약간 강압적으로 밀착 고정하여 퓨즈(160)와 퓨즈캡(150)이 일체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한 퓨즈캡(150) 상단 내벽에 밀착 고정되는 걸림편(400)과, 상기 퓨즈홀더몸체(100) 하단에 가이드블럭(130)이 일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70)에 의해 퓨즈홀더(A)가 배전반에 바로 체결 고정될 있도록 가이드블럭(130)에 체결구멍(2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홀더.
KR20-2004-0028621U 2004-10-08 2004-10-08 퓨즈홀더 KR200371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621U KR200371938Y1 (ko) 2004-10-08 2004-10-08 퓨즈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621U KR200371938Y1 (ko) 2004-10-08 2004-10-08 퓨즈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938Y1 true KR200371938Y1 (ko) 2005-01-06

Family

ID=4935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621U KR200371938Y1 (ko) 2004-10-08 2004-10-08 퓨즈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9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717567A (en) Circuit breaker
KR200419493Y1 (ko) 정션박스용 파워커넥터
CN108183041A (zh) 用于电气开关装置的可移除开关元件和包括其的开关装置
KR200405990Y1 (ko)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KR200371938Y1 (ko) 퓨즈홀더
KR100814931B1 (ko) 파워커넥터 및 그 퓨즈교환방법
KR200401130Y1 (ko) 감전 방지기능을 갖는 퓨즈홀더
KR102088887B1 (ko) 프로텍터
KR20120136497A (ko) 차량용 정션박스의 터미널 이탈 방지 장치
US20070008061A1 (en) Electric plug
KR200409939Y1 (ko) 퓨즈 풀러 고정 구조
AU745816B2 (en) Connection mechanism, in particular for flex outlets or junction boxes
KR200409204Y1 (ko) 정션 박스의 브래킷 결합구조
KR200185369Y1 (ko)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KR200409936Y1 (ko) 자동차의 암전류 차단용 퓨즈 고정구조
CN211670169U (zh) 一种刀型熔断器安装座
KR20140038638A (ko) 고전압 정션박스
DK156794B (da) Stikkontaktaggregat til forbindelse af et kabel med en stroemskinne
KR200341344Y1 (ko) 회로차단기의 보조핸들 구조
KR101186625B1 (ko) 차량용 멀티박스의 커넥터 보호장치
KR100681949B1 (ko) 자동차의 암전류 차단용 퓨즈 고정구조
KR960009080Y1 (ko) 착탈 가능한 퓨즈 보호 덮개
KR200199189Y1 (ko) 배전반의 시험용 단자대
KR19980017808U (ko) 휴즈 고정장치
KR200209709Y1 (ko) 휴즈홀더 고정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