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746Y1 - 절첩식 자전거 - Google Patents

절첩식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746Y1
KR200371746Y1 KR20-2004-0026209U KR20040026209U KR200371746Y1 KR 200371746 Y1 KR200371746 Y1 KR 200371746Y1 KR 20040026209 U KR20040026209 U KR 20040026209U KR 200371746 Y1 KR200371746 Y1 KR 200371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frame
saddle
shaf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춘남
고성부
Original Assignee
임춘남
고성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춘남, 고성부 filed Critical 임춘남
Priority to KR20-2004-0026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7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시나 보관시에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절첩 가능하게 만들어진 절첩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뒷바퀴(1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전방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에는 앞바퀴(2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단에는 핸들(22)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핸들 프레임(2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단부에는 안장(41)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 안장 프레임(40) 및 제2 안장 프레임(50)과, 상기 핸들 프레임(20)의 절첩동작을 안내하며 상기 핸들 프레임(20)을 펴진 상태 및 접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안내부재(60, 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절첩식 자전거{A foldable bicycle}
본 고안은 휴대시나 보관시에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절첩 가능하게 만들어진 절첩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방식의 절첩식 자전거가 공지되어 있으나, 종래의 절첩식 자전거는 대부분 그 구조가 조잡하고 복잡한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차체의 무게를 증가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어 왔었고, 자전거를 절첩시키는 동작이 단순하지 못하고 번거로워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첩시킨 후의 자전거 부피가 여전히 크기 때문에 휴대시나 보관시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자전거에 비하여 보다 작은 바퀴를 구비하고 있으며 절첩구조를 개선시킨 절첩식 자전거를 제공하여 자전거를 절첩시킨 후의 전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의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첩식 자전거를 절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첩식 자전거를 완전히 절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 및 도 9는 상기 절첩식 자전거의 주요부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의 측면도,
도 10 내지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첩식 자전거를 절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첩식 자전거를 완전히 절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뒷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에는 앞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단에는 핸들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핸들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단부에는 안장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 안장 프레임 및 제2 안장 프레임과, 상기 핸들 프레임의 절첩동작을 안내하며 상기 핸들 프레임을 펴진 상태 및 접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는, 뒷바퀴(1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전방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에는 앞바퀴(2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단에는 핸들(22)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핸들 프레임(2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단부에는 안장(41)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 안장 프레임(40) 및 제2 안장 프레임(50)과, 상기 핸들 프레임(20)의 절첩동작을 안내하며 상기 핸들 프레임(20)을 펴진 상태 및 접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1 안내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 프레임(20)의 앞바퀴(21)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뒷바퀴(19)는 통상의 자전거용 바퀴에 비하여 직경이 작은 바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퀴의 크기에 의해서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전방부분에는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상부표면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비스듬히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재(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고정부재(11)에는 구동축(12)을 통하여 페달(13)과 구동 스프로킷(14)이 설치된다. 뒷바퀴(19)와 종동 스프로킷(15)은 종동축(16)을 통하여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후방 끝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14)과 종동 스프로킷(15)의 사이에는 체인(17)이 감겨져 있다. 이들 페달(13), 구동 스프로킷(14), 종동 스프로킷(15), 그리고 체인(17)은 구동유닛을 이룬다.
페달(13)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킷(14)의 회전력을 체인(17)을 통하여 종동 스프로킷(15)과 뒷바퀴(19)에 전달하는 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19)의 직경이 종래에 비해 상당히 작기 때문에, 페달(13)이 1회전하는 동안 자전거가 전진하는 거리가 종래의 자전거에 비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 스프로킷(14)과 종동 스프로킷(15)의 기어비를 크게 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구동 스프로킷(14)에 비하여 종동 스프로킷(15)의 크기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구동력 전달에 필수적인 프리 기어(일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나 그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지 않는 기어로서 각종의 것이 공지 및 시판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의 설치위치를, 종래 종동 스프로킷과 뒷바퀴의 종동축 사이에 설치되던 것에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페달(13)의 구동축(12)과 구동 스프로킷(14)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프리 기어가 뒷바퀴 쪽에서 페달 쪽으로 옮겨져 설치됨으로 인하여 뒷바퀴 쪽의 종동 스프로킷(15)의 크기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페달의 일회전(즉, 구동 스프로킷(33)의 일회전)당 뒷바퀴의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페달의 일회전당 자전거의 전진거리를, 통상의 크기를 가지는 바퀴를 장착한 종래의 자전거에 있어서의 페달의 일회전당 자전거의 전진거리에 상당하는 거리로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프리 기어가 페달 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 페달 쪽에 설치되던 변속용 기어를,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에 있어서는 뒷바퀴 쪽에 서로 다른 직경의 기어를 복수개 구비하여 변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기어를 변속하는 장치 및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프리 기어 대신에 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니들 클러치 베어링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자전거에서와 같이 프리 기어가 뒷바퀴 쪽에 설치되어 있는 자전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핸들 프레임(20)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핸들(22)은 상기 핸들 프레임(20)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구조에 맞춰 핸들(2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핸들 프레임(20)은 핸들(22)을 좌우방향으로 선회시킴에 따라 선회지지 파이프(23) 내에서 소정 각도만큼 선회되어 조향작동된다.
이러한 핸들의 높낮이 조절구조나 조향구조 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구조라도 관계없으므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선회지지 파이프(23)의 후방 외주면에는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부재(24)가 부착된다. 상기 연장부재(24)는 제1 선회축(31)을 통하여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전방 끝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안장 프레임(40)은, 일측이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고정부재(11)에 제2 선회축(32)을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타측에 안장(41)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안장 프레임(40)의 상단부에 설치된 안장(41)은 핸들(2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축 가능하며, 이와 같이 신축 가능한 안장(41)의 설치구조는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구조라도 이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안장 프레임(50)은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후방 부분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동시에 제3 선회축(33)을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 선회부재(51)와, 일측이 상기 제1 선회부재(51)의 상단에 제4 선회축(34)을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타측이 상기 제1 안장 프레임(40)에 제5 선회축(35)을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 선회부재(52)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부재(51)와 제2 선회부재(52)는 제4 선회축(34)을 개재한 경첩부재(5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안장 프레임(40) 및 제2 안장 프레임(5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전거의 뒤쪽을 향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절첩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제2 안장 프레임(40)을 이루는 제1 및 제2 선회부재(51, 52)가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첩 방지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절첩 방지수단은, 상기 제1 선회부재(51)의 경첩부재(53)가 설치된 면의 반대쪽 면에 상기 제1 선회부재(51)와 일체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동시에 말단부분에 관통구멍(54a)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 부재(54)와, 상기 제1 및 제2 선회부재(51, 52)가 일직선상에 있을 때 상기 고정판 부재(54)의 관통구멍(54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판 부재(54)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선회부재(5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 부재(55)와, 상기 제2 선회부재(52)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핀 부재(55)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핀 부재(55)를 상기 고정판 부재(54) 쪽으로 가압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56)와, 상기 스프링 부재(5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고정핀 부재(55)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고정핀 부재(55)가 상기 고정판 부재(54)의 관통구멍(54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당김 고리(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첩 방지수단으로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 및 제2 선회부재(51)의 절첩을 제한할 수 있다면 공지된 다른 어떠한 구성을 가져도 좋다.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는,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7a에는 상기 완충수단이 제2 안장 프레임(50)의 제1 선회부재(51)와 제3 선회축(33)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b 및 도 7b에는 상기 완충수단이 제2 안장 프레임(50)의 제2 선회부재(52)와 제5 선회축(35)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된 완충수단은 도 6a에 도시된 것을 단순히 뒤집어 설치한 것이며, 도 7b에 도시된 완충수단은 도 7a에 도시된 것을 단순히 뒤집어 설치한 것이므로, 이어지는 설명에서 도 6b 및 도 7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충수단은, 일측이 개구되어 이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선회부재(51)를 삽입시킬 수 있는 중공의 통형상 외부 몸체(71)와, 상기외부 몸체(71)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선회부재(51)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2)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 몸체(71)의 타단은 상기 제3 선회축(33)을 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외부 몸체(71)의 측면에는 가이드 홈(7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선회부재(51)에는 돌기(51a)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선회부재(51)가 상기 외부 몸체(71)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1 선회부재(51)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충수단은, 연결핀(75)에 의해 상기 제1 선회부재(51)에 연결되는 상부 몸체(76)와, 상기 상부 몸체(76)에 대하여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 몸체(77)와, 상기 상부 몸체(76) 및 상기 하부 몸체(77)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78)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 몸체(77)는 상기 제3 선회축(33)을 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안내부재(60)에는 일단부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슬릿형상 제1 안내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안내부재(60)의 타단부는 제2 선회축(32)을 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고정부재(11)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안내구멍(61) 내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의 연장부재(24)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축(25)이 삽입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안내부재(60)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의 연장부재(24)로부터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고정부재(11)까지 뻗어 있게 된다.
상기 제1 안내부재(6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안내구멍(61)의 양쪽 끝부분은 도 1에서 볼 때 위쪽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른 제1 및 제2 멈춤부(61a, 61b)를 가진다.
상기 제1 멈춤부(61a)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이 완전히 펴졌을 때 고정축(25)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멈춤부(61b)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이 완전히 접혔을 때 고정축(25)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멈춤부(61a, 61b)는 상기 고정축(25)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핸들 프레임(20)이 선회됨에 따라서 상기 고정축(25)이 상기 제1 안내부재(60)의 제1 안내구멍(61)을 따라서 이동되지만, 핸들 프레임이 완전히 펴지거나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축(25)은 제1 안내구멍(61)의 제1 및 제2 멈춤부(61a, 61b)에 위치됨에 의해 핸들 프레임(2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즉, 상기 제1 안내부재(60)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을 펴진 상태와 접힌 상태로 고정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에 따라 상기 핸들 프레임(20)이 완전히 펼쳐진 후 임의로 접히거나 완전히 접힌 후 임의로 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만, 상기 고정축(25)이 상기 제1 안내부재(60)의 제1 안내구멍(61)을 따라서 임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명 QR 레버로 불리는 조임수단을 이용한다. 조임수단으로서의 QR 레버는, 파지부(26a)에 의해 선회되는 캠부(26b)의 반경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이미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제1 안내구멍(61)의 소정 위치에 상기 고정축(25)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면 QR 레버 이외에도 다양한 조임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과 핸들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제1 선회축(31), 메인 프레임(10)의 고정부재(11)와 제1 안장 프레임(40)을 연결하는 제2 선회축(32), 그리고 메인 프레임(10)과 제2 안장 프레임(50)의 제1 선회부재(51)를 연결하는 제3 선회축(33)에는 각각 스프링 부재(18)가 개재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1 선회축(31) 및 제3 선회축(33)에 개재된 스프링 부재(18)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를 접을 때 각 프레임들이 급격하게 접혀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자전거를 펼 때 사용자가 힘을 덜 들일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의 절첩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펼침 상태, 즉 사용자가 본 고안의 자전거를 탈 수 있는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접음 상태, 즉 본 고안의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핸들(22)을 핸들 프레임(20)의 내부로 삽입시켜 전체 길이를 감축시키고, 안장(41)을 제1 안장 프레임(40)의 내부로 삽입시켜 전체 길이를 감축시킨다.
계속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2 안장 프레임(50)의 제1 및 제2 선회부재(51, 52)를 직선상으로 유지하고 있던 절첩 방지수단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당김 고리(57)를 당겨 고정핀 부재(55)를 고정판 부재(54)의 관통구멍(54a)으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40, 50)을 후방측으로 선회시켜 절첩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핸들 프레임을 180도만큼 회전시켜 앞쪽으로 향하는 앞바퀴(21)가 뒤쪽을 향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핸들 프레임(20)을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 절첩시킨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우선 조임수단의 파지부(26a)를 젖혀 상기 제1 안내부재(60)의 제1 안내구멍(61)의 제1 멈춤부(61a) 내에서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25)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킨다. 그 다음, 상기 핸들 프레임(20)을 선회시키면서 상기 고정축(25)이 제1 안내구멍(61)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메인 프레임(10)과 핸들 프레임(20) 사이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 후 핸들 프레임(20)을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 절첩된 상태의 제1 안장 프레임(40) 상에 얹어 놓는다.
그 다음 사용자는 핸들 프레임(20)을 절첩시킴에 따라 제1 안내구멍(61)을 따라서 이동되어 온 고정축(25)을 제2 멈춤부(61b)에 위치시킨 후, 조임수단의 파지부(26a)를 접어 고정축(25)이 제2 멈춤부(61b)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축(25)이 제1 안내구멍(61)을 따라서 움직일 수 없도록 함으로써 상기 핸들 프레임(20)은 절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자전거의 절첩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2)과 페달(32)을 접음으로써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의 절첩 과정이 완료된다. 상기 핸들(22) 및 페달(32)을 접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관계없다.
절첩되어 있는 자전거를 펼치는 과정은 상술한 절첩 과정의 역순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완전하게 절첩된 자전거는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휴대 및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는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제동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0 내지 도 14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제1 안내부재(60)를 제2 안내부재(80)로 대체한 것으로서, 이하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이 이루어진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는, 뒷바퀴(1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전방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에는 앞바퀴(2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단에는 핸들(22)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핸들 프레임(2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단부에는 안장(41)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 안장 프레임(40) 및 제2 안장 프레임(50)과, 상기 핸들 프레임(20)의 절첩동작을 안내하며 상기 핸들 프레임(20)을 펴진 상태 및 접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2 안내부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충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 역시 완충수단이 생략될 수도 있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충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의 제1 안내부재(60)가 메인 프레임(10)의 고정부재(11)에 설치된 제2 선회축(32)과 핸들 프레임(20)의 연장부재(24)에 설치된 고정축(25)과의 사이에서 뻗어있도록 장착된 것에 비하여, 제2 실시예에서의 제2 안내부재(80)는 제1 안장 프레임(40)에 제2 안장 프레임(50)을 연결하는 제5 선회축(35)과 핸들 프레임(20)의 연장부재(24)에 설치된 고정축(25)과의 사이에서 뻗어있도록 장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서로 상이하다.
또한, 제1 실시예의 제1 안내부재(60)에 있어서 제1 안내구멍(61)은 고정축(25) 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제2 실시예의 제2 안내부재(80)에 있어서 제2 안내구멍(81)은 제5 선회축(35) 쪽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서로 상이하다.
다만, 제1 실시예의 제1 안내부재(60)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의 제2 안내부재(8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안내구멍(81)의 양쪽 끝부분은 볼록하게 솟아오른 제3 및 제4 멈춤부(81a, 81b)를 가진다.
상기 제3 멈춤부(81a)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이 완전히 펴졌을 때 제5 선회축(35)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멈춤부(81b)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이 완전히 접혔을 때 제5 선회축(35)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5 멈춤부(81a, 81b)는 상기 제5 선회축(35)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핸들 프레임(20)이 선회됨에 따라서 상기 제5 선회축(35)이 상기 제2 안내부재(80)의 제2 안내구멍(81)을 따라서 이동되지만, 핸들 프레임이 완전히 펴지거나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5 선회축(35)은 제2 안내구멍(81)의 제3 및 제4 멈춤부(81a, 81b)에 위치됨에 의해 핸들 프레임(2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즉, 상기 제2 안내부재(80)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을 펴진 상태와 접힌 상태로 고정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에 따라 상기 핸들 프레임(20)이 완전히 펼쳐진 후 임의로 접히거나 완전히 접힌 후 임의로 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만, 상기 제5 선회축(35)이 상기 제2 안내부재(80)의 제2 안내구멍(81)을 따라서 임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일명 QR 레버로 불리는 조임수단을 이용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의 절첩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펼침 상태, 즉 사용자가 본 고안의 자전거를 탈 수 있는 상태로부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접음 상태, 즉 본 고안의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0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핸들(22)을 핸들 프레임(20)의 내부로 삽입시켜 전체 길이를 감축시키고, 안장(41)을 제1 안장 프레임(40)의 내부로 삽입시켜 전체 길이를 감축시킨다.
계속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핸들 프레임을 180도만큼 회전시켜 앞쪽으로 향하는 앞바퀴(21)가 뒤쪽을 향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2 안장 프레임(50)의 제1 및 제2 선회부재(51, 52)를 직선상으로 유지하고 있던 절첩 방지수단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당김 고리(57)를 당겨 고정핀 부재(55)를 고정판 부재(54)의 관통구멍(54a)으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40, 50)을 후방측으로 선회시켜 절첩시킨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40, 50)을 후방측으로 선회시키면, 일단이 제5 선회축(35)에 결합되어 있던 제2 안내부재(80)도 함께 움직이며, 나아가서 제2 안내부재(80)의 타단에 고정축(25)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핸들 프레임(20) 역시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우선 조임수단의 파지부(35a)를 젖혀 상기 제2 안내부재(80)의 제2 안내구멍(81)의 제3 멈춤부(81a) 내에서 고정되어 있는 제5 선회축(35)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40, 50)을 후방측으로 완전히 선회시켜 절첩시키면, 제2 안내부재(80)에 의해서 핸들 프레임(20)도 소정 각도만큼 선회된다.
계속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핸들 프레임(20)을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 절첩된 상태의 제1 안장 프레임(40) 상에 얹어 놓는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핸들 프레임(20)을 절첩시킴에 따라 상기 제2 안내부재(8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며 제5 선회축(35)이 제2 안내구멍(81)의 제4 멈춤부(81b)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조임수단의 파지부(35a)를 접어 제5 선회축(35)이 제4 멈춤부(81b)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5 선회축(35)이 제2 안내구멍(81)을 따라서 움직일 수 없도록 함으로써 상기 핸들 프레임(20)은 절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자전거의 절첩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2)과 페달(32)을 접음으로써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자전거의 절첩 과정이 완료된다. 상기 핸들(22) 및 페달(32)을 접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관계없다.
절첩되어 있는 자전거를 펼치는 과정은 상술한 절첩 과정의 역순이지만, 절첩 과정과는 달리 제2 안내부재(80)로 인하여 핸들 프레임(20)을 펼치는 것만으로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40, 50)이 함께 펼쳐질 수 있다. 즉, 제5 선회축(35)이 제2 안내구멍(81)의 제4 멈춤부(81b)에 위치되어 있던 절첩 상태에서 핸들 프레임(20)을 펼치면 제2 안내부재(80)가 움직이면서 제5 선회축(35)이 제2 안내구멍(81)의 제3 멈춤부(81a)에 위치될 수 있고, 계속해서 핸들 프레임(20)을 펼치면 제3 멈춤부(81a)에 위치된 제5 선회축(35)이 당겨지면서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40, 50)이 동시에 펼쳐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절첩구조를 개선시킨 절첩식 자전거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자전거를 절첩시킨 후의 전체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시에 보관장소를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자전거에 비하여 보다 작은 바퀴를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뒷바퀴의 축에 설치되던 프리기어를 페달의 축에 설치되도록 하여 뒷바퀴의 종동 스프로킷의 직경을 최소화함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과의 회전비를 크게 함으로써 페달의 일 회전당 자전거의 전진거리를 종래의 자전거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뒷바퀴(1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전방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에는 앞바퀴(2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단에는 핸들(22)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핸들 프레임(2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단부에는 안장(41)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 안장 프레임(40) 및 제2 안장 프레임(50)과,
    상기 핸들 프레임(20)의 절첩동작을 안내하며 상기 핸들 프레임(20)을 펴진상태 및 접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안내부재(60, 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60)에는 일단부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슬릿형상 안내구멍(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부재(60)의 타단부는 제2 선회축(32)을 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고정부재(11)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내구멍(61) 내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의 연장부재(24)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축(25)이 삽입되며, 상기 안내부재(60)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구멍(61)의 양쪽 끝부분은 볼록하게 솟아오른 제1 및 제2 멈춤부(61a, 61b)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멈춤부(61a)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이 완전히 펴졌을 때 고정축(25)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멈춤부(61b)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이 완전히 접혔을 때 고정축(25)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고정축(25)이 상기 안내부재(60)의 안내구멍(61)을 따라서 임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조임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80)에는 일단부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슬릿형상 안내구멍(8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부재(60)의 타단부는 고정축(25)을 통하여 상기 핸들프레임(20)의 연장부재(24)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내구멍(81) 내에는 제1 안장 프레임(40)에 제2 안장 프레임(50)을 연결하는 제5 선회축(35)이 삽입되며, 상기 안내부재(80)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구멍(81)의 양쪽 끝부분은 볼록하게 솟아오른 제3 및 제4 멈춤부(81a, 81b)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3 멈춤부(81a)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이 완전히 펴졌을 때 제5 선회축(35)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멈춤부(81b)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20)이 완전히 접혔을 때 제5 선회축(35)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5 선회축(35)이 상기 안내부재(80)의 안내구멍(81)을 따라서 임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조임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전방부분에는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상부표면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비스듬히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재(1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고정부재(11)에는 구동축(12)을 통하여 페달(13)과 구동 스프로킷(14)이 설치되며, 뒷바퀴(19)와 종동 스프로킷(15)은 종동축(16)을 통하여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후방 끝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스프로킷(14)과 종동 스프로킷(15)의 사이에는 체인(17)이 감겨져 있고,
    구동 스프로킷(14)에 비하여 종동 스프로킷(15)의 크기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구동력 전달에 필수적인 프리 기어의 설치위치를, 페달(13)의 구동축(12)과구동 스프로킷(14)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핸들 프레임(20)은 핸들(22)을 좌우방향으로 선회시킴에 따라 선회지지 파이프(23) 내에서 소정 각도만큼 선회되어 조향작동되며, 상기 선회지지 파이프(23)의 후방 외주면에는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부재(24)가 부착되며, 상기 연장부재(24)는 제1 선회축(31)을 통하여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전방 끝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안장 프레임(40)은 일측이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고정부재(11)에 제2 선회축(32)을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타측에 안장(41)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안장 프레임(50)은,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후방 부분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동시에 제3 선회축(33)을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 선회부재(51)와, 일측이 상기 제1 선회부재(51)의 상단에 제4 선회축(34)을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타측이 상기 제1 안장 프레임(40)에 제5 선회축(35)을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 선회부재(5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선회부재(51)와 제2 선회부재(52)는 제4 선회축(34)을 개재한 경첩부재(53)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장 프레임(40)을 이루는 제1 및 제2 선회부재(51, 52)가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첩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절첩 방지수단은, 상기 제1 선회부재(51)의 경첩부재(53)가 설치된 면의 반대쪽 면에 상기 제1 선회부재(51)와 일체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동시에 말단부분에 관통구멍(54a)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 부재(54)와, 상기 제1 및 제2 선회부재(51, 52)가 일직선상에 있을 때 상기 고정판 부재(54)의 관통구멍(54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판 부재(54)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선회부재(5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 부재(55)와, 상기 제2 선회부재(52)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핀 부재(55)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핀 부재(55)를 상기 고정판 부재(54) 쪽으로 가압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56)와, 상기 스프링 부재(5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고정핀 부재(55)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고정핀 부재(55)가 상기 고정판 부재(54)의 관통구멍(54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당김 고리(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6. 제 4 항에 있어서,
    제2 안장 프레임(50)의 제1 선회부재(51)와 제3 선회축(33)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완충수단은,
    일측은 개구되어 이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선회부재(51)를 삽입시킬 수 있는 동시에 타단은 상기 제3 선회축(33)을 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공의 통형상 외부 몸체(71)와, 상기 외부 몸체(71)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선회부재(51)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2)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외부 몸체(71)의 측면에는 가이드 홈(7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선회부재(51)에는 돌기(51a)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선회부재(51)가 상기 외부 몸체(71)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1 선회부재(51)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는 완충수단, 그리고
    연결핀(75)에 의해 상기 제1 선회부재(51)에 연결되는 상부 몸체(76)와, 상기 상부 몸체(76)에 대하여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 몸체(77)와, 상기 상부 몸체(76) 및 상기 하부 몸체(77)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78)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하부 몸체(77)는 상기 제3 선회축(33)을 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완충수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7. 제 4 항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10)과 핸들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제1 선회축(31), 그리고 메인 프레임(10)과 제2 안장 프레임(50)의 제1 선회부재(51)를 연결하는 제3 선회축(33)에는 각각 스프링 부재(18)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KR20-2004-0026209U 2004-09-13 2004-09-13 절첩식 자전거 KR200371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209U KR200371746Y1 (ko) 2004-09-13 2004-09-13 절첩식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209U KR200371746Y1 (ko) 2004-09-13 2004-09-13 절첩식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746Y1 true KR200371746Y1 (ko) 2005-01-03

Family

ID=4944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209U KR200371746Y1 (ko) 2004-09-13 2004-09-13 절첩식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74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272B1 (ko) * 2010-07-09 2013-02-07 정재근 자세 전환이 가능한 자전거
KR20180031507A (ko) 2016-09-19 2018-03-28 강병남 변형자전거
WO2018080189A1 (ko) * 2016-10-26 2018-05-03 강병남 변형 자전거
KR102414631B1 (ko) * 2020-12-31 2022-06-28 김홍식 접이식 전기자전거
KR102521400B1 (ko) * 2022-08-12 2023-04-12 강신대 운동 유희 자전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272B1 (ko) * 2010-07-09 2013-02-07 정재근 자세 전환이 가능한 자전거
KR20180031507A (ko) 2016-09-19 2018-03-28 강병남 변형자전거
KR101931496B1 (ko) * 2016-09-19 2019-03-13 강병남 변형자전거
WO2018080189A1 (ko) * 2016-10-26 2018-05-03 강병남 변형 자전거
KR20180045752A (ko) * 2016-10-26 2018-05-04 강병남 변형자전거
KR101931497B1 (ko) 2016-10-26 2018-12-21 강병남 변형자전거
KR102414631B1 (ko) * 2020-12-31 2022-06-28 김홍식 접이식 전기자전거
KR102521400B1 (ko) * 2022-08-12 2023-04-12 강신대 운동 유희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73071B (en) Bicycle
JP5246656B2 (ja) 電動自転車
EP2546130B1 (en) Saddle type vehicle
JP4601480B2 (ja) 自転車用変速装置
KR100854018B1 (ko) 휴대용 자전거
TWI516411B (zh) 腳踏車變速操作裝置
US20110025016A1 (en) Vehicle
JP4115311B2 (ja) 自転車用変速装置
KR20070121932A (ko) 절첩식 자전거
KR200371746Y1 (ko) 절첩식 자전거
CA1069559A (en) Cambering device for cambering vehicle
JPH11171080A (ja) 自転車用変速装置
CN100436873C (zh) 变速装置
KR100657858B1 (ko) 휴대용 자전거
EP1386836A2 (en) Bicycle derailleur with a chain guide
EP1386835B1 (en) Bicycle derailleur with a flexible base member
KR200400672Y1 (ko) 휴대용 자전거
KR200398888Y1 (ko) 절첩식 자전거
WO2010122565A1 (en) Folding bicycle
JP2010284978A5 (ko)
JP2005239032A (ja) 折りたたみ式電動二輪車
JPH115582A (ja) 駆動力の断続機構を備えた折り畳み自転車
WO2020194947A1 (ja) 鞍乗り型車両の風防装置
JP4260068B2 (ja) 変速装置を備える自転車
KR200355177Y1 (ko) 다목적 절첩식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