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218Y1 - 상체 거꾸로식 의자 - Google Patents

상체 거꾸로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218Y1
KR200371218Y1 KR20-2004-0023901U KR20040023901U KR200371218Y1 KR 200371218 Y1 KR200371218 Y1 KR 200371218Y1 KR 20040023901 U KR20040023901 U KR 20040023901U KR 200371218 Y1 KR200371218 Y1 KR 200371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ir
seat plate
upper body
curv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수
Original Assignee
임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수 filed Critical 임승수
Priority to KR20-2004-0023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for changing a straight chair into an easy chair, e.g. by inverting or tilting seat and back-rest in the base frame or by overturning the whole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좌판, 등받이, 의자다리, 팔걸이가 구성된 일반적인 의자 중 좌판과 등받이가 평면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등받이 각도조절장치(21)가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의자다리 후방부(33)에 일정형태의 곡면부(31)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거꾸로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곡면부(31)의 구성은 좌판(10)과 등받이(20)가 평면상태를 형성하여 무게중심이 뒤쪽으로 이동될 때 좌판 앞쪽이 상향회전되면서 좌판(10)과 등받이(20)면이 후하향 기울기(50)가 형성되도록 하여준다. 즉, 본고안은 사용자가 좌판(10)과 등받이(20)를 평형상태로 만든 후 자연스럽게 누운자세를 취할 때 무게중심이 뒤쪽으로 이동되면서 좌판(10)과 등받이(20)가 후하향기울기(50)를 형성하게 되므로 무릎관절부가 좌판 전방부(11)에 걸려 매달리는 자세가 되고 무릎이상의 상체는 거꾸로된 자세가 되어 상체의 체중에 의해 척추 및 경추관절을 이완시켜 줄 수 있다.

Description

상체 거꾸로식 의자{Tiltable-chair for the upper body}
사람은 대부분의 시간을 서거나 앉은 자세 즉, 상체를 세운 자세로 생활하기 때문에 척추 및 경추관절이 상체에서 하체방향 즉,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한쪽 방향으로 만의 눌림현상이 발생되는데 그러한 자세가 장시간 지속되거나, 특히 척추 및 경추관절 부위에 질환이 있을 때에는 피로감을 쉽게 가져오거나 질병의 악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자를 좌판과 등받이가 후하향 경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척추 및 경추관절을 이완시켜줄 수 있는, 본 고안자에 의해 출원된 " 상체 거꾸로식 척추 및 경추관절 이완용 의자(출원번호 : 20-2000-0032879)" 가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의자는 좌판과 등받이가 후하향기울기를 형성할 때 의자를 뒤로 넘어짐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하여 의자다리 즉, 하부받침틀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였는데, 그러한 긴 구성은 설치가 불편하고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좌판과 등받이의 구성을 후하향 기울기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장치 와 스프링장치 등 부설되는 구성물들이 많아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안은 좌판과 등받이가 평면상태가 되도록 등받이의 각도를 눕힌 후 사용자의 상체를 눕힐 때 중심축을 기준으로 무게중심이 좌판쪽에서 등받이쪽으로 즉, 후방부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의자다리 즉, 받침틀의 후방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방부가 상향으로 올라가 좌판 및 등받이와 상체가 후하향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의자다리의 후방부 소정위치에 일정형태의 곡면부를 연장하여 구성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2는 등받이를 180도로 눕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고,
도3은 본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참고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좌판 11. 좌판 전방부
20. 등받이 21.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22. 탄성부재
30. 의자다리 31. 곡면부 32. 의자다리 전방부 33. 의자다리 후방부
34. 가로지지대 40. 팔걸이 41. 손잡이 50. 후하향 기울기 51. 지면
52. 고정턱
본고안은 좌판, 등받이, 의자다리, 팔걸이가 구성되고 등받이를 180도 까지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각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일반의자에 있어서, 일측이 의자다리 후방부(33) 소정위치에 일체로 연결 부착되며 타측이 후상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길게 곡선형상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곡면부(31)와, 일측이 팔걸이(40) 후방부끝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곡면부(31) 상부끝단에 이르기까지 후하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4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거꾸로식의자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2는 등받이를 180도로 눕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고, 도3은 본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참고도 이다.
본고안은 등받이(20), 좌판(10), 의자다리(30), 팔걸이(40)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20)는 좌판(10)과 평면형태를 이룰 수 있는 180도 이상의 기울기로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각도조절장치(21)가 좌판(10) 및 등받이(20)의 측면에 연결 부착됨은 종래 일반의자의 구성과 유사하다.
본고안의 특징부는 의자다리 후방부(33) 소정위치에 일정형태로 타원을 형성하는 곡면부(31)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곡면부(21) 와 팔걸이(40)가 후방향으로 타원형태로 연장되어 손잡이(41)를 구성한다.
본고안에 적용되는 등받이 각도조절장치(21)는 '상체거꾸로식 척추 및 경추 관절 이완용 의자(출원번호 : 20-2000-0032879)'에 사용된 일반적인 각도조절장치가 적용된다.
의자다리(30)는 고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받침틀 형대가 바람직하며, 지면(51)과 접촉되는 직선형상의 의자다리 후방부(33) 끝단에 타원형상으로 굽은 형태의 곡면부(31)가 후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길게 연결되어 구성된다.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편리하게 손잡이(41)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의자다리 후방부(33)는 곡면부(31)와 손잡이(41) 그리고 팔걸이(40)까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손잡이(41)의 범위가 넓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면부(31)는 의자다리의 후부에 연결 부착되는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일측이 지면(51)과 수평을 형성하는 의자다리 후방부(33) 끝단에 일체로 연결 부착되고 타측이 후상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길게 곡선형상으로 연장되어 가로지지대(34) 후단부 즉, 손잡이(41)후단부에 걸쳐 구성되며,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의자다리 전방부(32)를 상하로 올리거나 내려주는 즉, 좌판(10)에 후하향 기울기(50)를 형성시켜주는 회전 중심축이 된다. 또한 곡면부(31)의 형상은 원 모양과는 다른 긴 타원형태의 곡선으로 구성되어 좌판 전방부(11)가 부드럽게 상향회전되도록 하여주며,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며 상하로 의자가 흔들릴 때에도 의자의 중심을 유지함으로써 의자의 넘어짐을 방지하여 준다. 곡면부(31) 소정위치에는 일정크기로 돌출되어 밴드결속에 의한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고정턱(52)을 구비하여 좌판(10)의 후하향기울기(50)가 너무 급경사가 되지 않도록 곡면부(31)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하여준다.
고정턱(52)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밴드에 일면이 평면을 이루는 받침이 부착된 형태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결속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구성된다.
손잡이(41)는 일측이 팔걸이(40) 후방부끝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타측이 후 방향으로 곡면부(31)상부끝단에 이르기까지 일정길이 만큼 길게 연장되어 구성되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손잡이(41)가 팔걸이(40)와 곡면부(31)를 사이에서 연결하여 주는 곡선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의자의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손잡이(41)는 사용자가 거꾸로된 자세를 취할 때 몸의 균형유지와, 이후 상체를 일으켜 세울 때 붙잡고 일어설 수 있도록 하여준다.
등받이(20) 상부의 후면 소정위치에는 탄성부재(22)가 부착식으로 구비되어 후하향 기울기(50)를 형성하면서 등받이(20) 상부가 지면(51)과 닿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일정 높이로 높게 등받이(20)를 받쳐줌으로써 후하향 기울기(50)가 급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또한 후하향 기울기(50)가 형성될 때 무게중심이 후방향으로 이동되지만 곡면부(31)의 타원형태가 중심축 기능을 하여주고 등받이(20) 상단부의 탄성부재(22)가 지면에 닿게 되므로 의자는 뒤로 넘어지지 않고 후하향 기울기(50)를 형성한채 안정을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상체를 세운 자세로 의자에 앉으면 대부분의 체중이 의자 하부에 집중되는데, 본고안에 의하면 등받이(20)가 통상적인 의자등받이의 각도인 120도 내지 90도를 형성한 때에는 무게중심이 좌판(10)쪽에 있게되어 의자다리(30)는 기울어짐 없이 지면(51)과 평형상태를 이루며,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등받이(20)를 뒤로 젖혀 180도에 이르기 까지 기울기를 조절할 때 대부분 사람의 하체중 보다 상체중이 무거우므로 무게중심이 점차 후방부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곡면부(31)가 중심축이 되어 의자다리 전방부(32)가 상방향으로 들리면서 좌판(10) 및 등받이(20)가 후하향 기울기(5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무릅관절이 굽어진 상태로 좌판 전방부(11)에 걸리게 되고 상체가 거꾸로된 자세를 취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경추 및 척추관절이 이완되게 된다. 이후 손잡이(41)를 잡고 상체를 일으키면서 등받이(20)를 90도 방향으로 세우면 무게중심이 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의자다리 전방부(32)가 지면(51)으로 내려오게 되어 원위치 된다.
한편 본고안은 상기 제시된 의자의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의자에 있어서 본고안의 사상적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내용들을 포함한다.
본고안에 의하면 의자의 등받이(20)와 좌판(10)을 후방으로 젖혀 후하향기울기(50)를 형성할 수 있어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바로 연결된 동작으로 상체를 거꾸로 할 수 있으므로 척추 및 경추관절을 이완시켜 주어 허리를 곧게 펴주고, 신경눌림 등을 예방하여주며, 혈류의 흐름을 증진시켜주는 등 척추 및 경추건강 유지와 피로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본고안은 부설장치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의자다리(30)로 부터 곡면부(31), 손잡이(41), 팔걸이(40)에 이르기까지가 일체로 연결 구성할 수 있으며, 넘어짐의 염려가 없고,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상체 거꾸로식 의자를 제공하여 준다.

Claims (3)

  1. 좌판(10), 등받이(20), 의자다리(30), 팔걸이(40)가 구성되고 등받이(20)를 180도 까지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각도조절장치(21)가 구비된 일반의자에 있어서, 일측이 의자다리 후방부(33) 소정위치에 일체로 연결 부착되며 타측이 후상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길게 곡선형상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곡면부(31)와, 일측이 팔걸이(40) 후방부끝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곡면부(31) 상부 끝단에 이르기까지 후하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4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거꾸로식 의자.
  2.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곡면부(31)의 소정위치에 일정크기로 돌출되어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고정턱(52)이 구성된 상체 거꾸로식 의자.
  3. 삭제
KR20-2004-0023901U 2004-08-17 2004-08-17 상체 거꾸로식 의자 KR200371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901U KR200371218Y1 (ko) 2004-08-17 2004-08-17 상체 거꾸로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901U KR200371218Y1 (ko) 2004-08-17 2004-08-17 상체 거꾸로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218Y1 true KR200371218Y1 (ko) 2005-01-07

Family

ID=4944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901U KR200371218Y1 (ko) 2004-08-17 2004-08-17 상체 거꾸로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2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027B1 (ko) 2006-05-22 2007-03-23 신현권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027B1 (ko) 2006-05-22 2007-03-23 신현권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8991A (en) Sitting device
US9226582B2 (en) Mobile ergonomic rotating adjustable chair with lumbar support
US8646841B2 (en) Seat with a non-vertical central supporting column and tri-planar moveable base
DK174199B1 (da) Indretning til en stol, f.eks. en kombinationsstol
CA2664911C (en) Abdominal support swivel chair
AU2005211844B2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7243935B2 (en) Wheelchair having a pivot provision adjacent the knee of a user
KR20060086946A (ko) 높이 조절용 작업 의자
JP5313167B2 (ja) 椅子(改良型)
JP6888236B2 (ja) 回転可能なシートクレードル
KR200424912Y1 (ko) 등판과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좌판 및 허리받침부를포함하는 의자
JPS61113412A (ja) 椅子
JP2020108780A (ja) 調節可能な人間工学に基づく椅子
US20180199719A1 (en) Pivot seat with a non-rolling weighted base
KR20200046600A (ko) 무브 체어
US20160183686A1 (en) Physical support device
KR200371218Y1 (ko) 상체 거꾸로식 의자
KR20110022040A (ko)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를 갖는 의자
JP2005503879A (ja) 移動可能なアナトミックシート
JP2005503879A5 (ko)
KR20010018174A (ko) 다기능 의자
KR200301493Y1 (ko) 상체 거꾸로식 의자
KR20060090131A (ko) 상체 거꾸로식 의자
KR200222794Y1 (ko) 상체 거꾸로식 척추 및 경추관절이완용 의자
TWI230047B (en)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