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174A - 다기능 의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174A
KR20010018174A KR1019990034003A KR19990034003A KR20010018174A KR 20010018174 A KR20010018174 A KR 20010018174A KR 1019990034003 A KR1019990034003 A KR 1019990034003A KR 19990034003 A KR19990034003 A KR 19990034003A KR 20010018174 A KR20010018174 A KR 20010018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chair
vertical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5031B1 (ko
Inventor
정해창
Original Assignee
정해차어
주식회사 해정지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차어, 주식회사 해정지점 filed Critical 정해차어
Priority to KR101999003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031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착석자세로의 변화가 가능한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는, 좌판부(1)와 등받이(2) 및 이들 등받이 및 좌판부를 지지하는 프레임(3)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의 전방에 경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무릅지지대(4)가 장착되고, 또한 프레임상의 좌판부(1) 선단부와 무릅지지대(4) 장착부 사이에 경사각도와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슴지지구(5)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서, 이때 상기 무릅지지대(4)는 배면에 다수개의 톱니형 고정홈이 형성된 조정간(4a)의 일단부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슴받침구(5)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수직지주 삽입관(5a)과 상부일측에 사각판상의 받침판(5b)이 결합된 수직지주(5c)와 수직지주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설치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쿠션재 가슴받침(5d)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의자는 상체가 앞쪽으로 숙여진 상태에서 가슴부위가 가슴받침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무릅부위가 무릅지지대에 지지되도록 함에 의해서 인체의 자연스러운 척추뼈 곡선이 유지되도록 한 상태로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하여 충분한 근육이완을 통한 편안함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어 가정이나 사무실등의 공간에서 일상적인 사무나 독서 또는 휴식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신체적으로 불편한 노령층이나 장애인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 안마나 지압용 의자로서도 유익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의자{Multi-functional chair}
본 발명은 인체를 지지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좌판부와 등받이 및 이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통상의 의자에 가슴받침구 및 무릅지지대를 결합시켜 착석상태에서 가슴받침구 및 무릅지지대를 통해서도 인체의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중의 분산과 근육조직의 자연스러운 이완에 의한 편안한 착석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의자의 형태는 크게 착석상태에서 착석자의 둔부를 떠받쳐 주는 좌판부와 좌판부의 배면에 세워져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 및 이들 좌판부와 등받이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세 구성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은 통상의 의자에서는 착석자의 거의 대부분의 하중이 둔부 및 허벅지부와 접촉하고 있는 좌판부에 의해서 지지되며, 착석자가 등받이에 상체를 기대고 앉았을 때에는 부분적으로 상체의 하중이 등받이에 의해서 지지되기도 한다.
물론, 일부 안락의자나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의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등받이를 통해서 보다 많은 양의 하중이 지지되긴 하나, 사무용 의자나 학생용 의자를 비롯한 거의 모든 의자에서는 착석자의 체중이 좌판부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같이 의자에 착석중에 있을 때 그 착석자의 체중, 특히 상체의 하중이 좌판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경우에는 착석상태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허리가 결리거나 척추에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보다 편안한 착석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의자가 개발되어 오고 있는 바, 그 중에서 상당부분은 착석자의 상체 하중이 등받이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등받이 구조개선이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의자에 앉았을 때 착석자는 등받이에 자신의 상체(등허리)를 완전히 기댄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가운데 앉아 있기 보다는 통상적으로는 상체를 등받이로부터 뗀 상태에서 상체를 앞쪽으로 어느 정도 구부린 상태의 착석자세를 취함이 일반적이다.
특히, 인체의 자연적인 곡선, 즉 가장 편안한 자세의 인체곡선은 마치 자궁내의 태아가 웅크리고 있는 것과 같은 자세로 알려지고 있는 바, 통상의 의자의 경우에는 상체를 펴고 등짝을 등받이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착석자세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인체의 자연적인 곡선과는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게 되고 그에따라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이 지날수록 거북한 자세에 의한 긴장이 고조되어 불편함이나 고통이 가해지게 된다.
다시말하면, 종래에는 인체의 자연적인 구조와는 거리가 있는 상태로 제작된 의자에 인체를 적응시켜야 하는 시스템을 취하고 있음에 기인하여 의자에 앉았을 때 사람들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거북함이나 불편함 더 나아가서는 통증을 겪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착석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받침구를 설치각도 및 상하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착석자가 상체를 앞쪽으로 숙였을 때 가슴받침구에 의해 체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착석자의 척추뼈가 자연곡선을 유지하여 편안안 착석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다기능 의자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자의 좌판부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상에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무릅지지대를 장착하여 의자 착석시 착석자의 무릅부위가 상기 무릅지지대상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하중의 분산과 함께 척추뼈의 자연곡선이 유지되도록 하여 근육이 이완되고 편안한 착석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슴받침구의 수직지주상에 평판체상의 받침판을 설치하여 의자에 앉은 착석자가 가슴받침구에 가슴부위가 지지되도록 상체를 구부린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위에 책을 올려놓고 읽거나 필요한 사무를 볼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자의 등받이가 뒷쪽으로 젖혀지도록 구성된 의자에 상기 가슴받침구 및 무릅지지대가 장착되도록 하여 착석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체를 등받이에 기대어 등받이가 최대한 젖혀지도록 함과 아울러 다리부위는 무릅지지대의 상부 또는 받침판상에 놓여지도록 하여 신체가 거의 수평으로 누운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상태로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슴받침구의 상단부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그 상단오목부에 착석자의 턱부위가 고여지도록 함으로써 착석상태의 하중이 한층 더 분산되도록 하여 목부위의 근육을 비롯한 신체의 각 근육이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다기능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전체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2 내지 도6은 본 발명 의자의 사용예를 보인 것으로,
도2는 무릅지지대에 무릅을 기대고 앉은 상태이고,
도3은 무릅지지대 위에 다리를 올려놓고 앉은 상태이고,
도4는 상체를 굽혀 가슴받침구에 가슴이 지지된 착석상태이며,
도5는 도4의 상태에서 상체의 굽힘각도가 증가된 상태이고,
도6은 상체를 뒤로 젖힌 채 두 다리를 펴고 눕듯이 앉은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좌판부 2. 등받이
2a. 헤드레스트 3. 프레임
3a. 단위 프레임 3b. 캐스터
3c. 괘지구 4. 무릅지지대
4a. 조정간 5. 가슴받침구
5a. 수직지주 삽입관 5b. 받침판
5c. 수직지주 5d. 가슴받침
5e. 각도조절구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기능 의자는, 양측에 팔걸이가 구비된 좌판부와, 좌판부의 뒷쪽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등받이와, 이들 등받이 및 좌판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경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무릅지지대를 장착하고, 또한 프레임상에 경사각도와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가슴받침구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프레임은 통상적인 의자의 프레임이 중앙의 수직지주를 중심으로 그 상단부에 좌판부가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방사상의 지지간이 연결되고 그 단부에 캐스터가 결합되는 것과는 달리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연장된 전체적으로 궁형을 이루는 단위 프레임 한쌍이 서로 대향되게 고정된 구조로서, 좌판부를 중심으로 그 전방 및 후방 아랫쪽으로 프레임의 단부가 돌출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무릅지지대는 쿠션재가 내장된 두툼한 사각판상으로서 그 중앙 하부가 상기 프레임의 앞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배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홈이 직선상으로 형성된 조정간이 연결되어 그 고정간의 어느 한 고정홈이 프레임상에 고정된 괘지구에 결합되도록 함에 의해 무릅지지대의 경사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가슴받침구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사각 또는 원형 봉상의 수직지주와, 수직지주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설치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쿠션재 가슴받침과, 상기 수직지주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직지주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구 및 수직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사각판상의 받침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다기능 의자의 전체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는, 양측에 팔걸이(1a)가 구비된 좌판부(1)와, 좌판부의 뒷쪽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등받이(2)와, 이들 등받이 및 좌판부를 지지하는 프레임(3)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의 전방에 경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무릅지지대(4)가 장착되고, 또한 프레임상에 경사각도와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슴받침구(5)를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등받이(2)는 두개의 분리된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그 외에 통상의 단일체로 이루어진 등받이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등받이(2)의 뒷쪽 중앙에는 헤드레스트(2a)가 결합되어 있는 바, 이 헤드레스트는 없을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등받이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등받이(2) 및 헤드레스트(2a) 이들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뒷쪽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서 제외된다.
상기 프레임(3)은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연장된 전체적으로 궁형을 이루는 단위 프레임(3a)(3a') 한쌍이 서로 대향되게 고정된 구조로서 각 단위 프레임의 하단외측부상에는 캐스터(3b)(3b')가 각각 장착되고, 특히 프레임의 앞쪽은 좌판부(1)의 전방 단부에 비해 상당히 앞쪽으로 돌출연장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다음, 상기 무릅지지대(4)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돌출된 프레임(3)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그 배면에는 다수개의 톱니형 고정홈이 형성된 조정간(4a)의 일단부가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조정간(4a)의 타단부에는 손잡이(4b)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정간(4a)의 유동범위내의 프레임(3)상에는 괘지구(3c)가 설치되어 있어 그 괘지구(3c)상에 괘지되는 조정간(4a)의 고정홈의 선택에 따라 무릅지지대(4)의 설치각도가 설정된다.
가슴받침구(5)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사각 또는 원형 봉상의 수직지주 삽입관(5a)과, 수직지주 삽입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부일측에 사각판상의 받침대(5b)가 결합된 수직지주(5c)와, 수직지주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설치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쿠션재 가슴받침(5d)과, 상기 수직지주 삽입관(5a)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직지주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구(5e)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지주 삽입관(5a)의 일측에는 조정노브(5aa)가 구비되어 있어 이에 삽입되는 수직지주(5c)의 삽입깊이 조절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지주(5c)의 상부에도 조정노브(5ca)가 장착되어 수직지주에 끼워지는 가슴받침 지지대(5da)의 삽입깊이 조절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다음, 수직지주(5c)상에 결합되는 받침판(5b)은 수직지주에 대하여 각도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결합됨에 있어 그 저면에 부착된 고정간(5ba)의 하단부를 수직지주(5c)상에 상하 다단으로 부착된 괘지구(5cb)중 어떤 괘지구에 결합시키는가에 따라 받침판(5b)의 각도가 정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5b)은 그 일측에 컵홀더(cp) 등을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그 표면은 미끄럼 방지면(5bb)으로 구성하여 표면에 놓여지는 책이나 컵등이 확실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상기 가슴받침(5d)은 내부에 쿠션재질의 소재를 충진하고 그 외부를 가죽이나 섬유재 등으로 씌운 상태에서 마감처리함에 의해 제작되며, 그 상면은 중앙부가 약간 오목하게 형성하여 착석자의 턱부위가 놓여질 수 있는 오목부(5db)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음, 각도조절구(5e)는 일측단부에 조절손잡이(5ea)가 결합되어 있어 조절손잡이를 젖힌 상태에서 가슴받침대(5)를 손으로 잡고 소정의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를 이용한 여러가지 종류의 착석상태를 도2 내지 도6에 의거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 의자의 무릅지지대에 무릅을 기대고 앉은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때 착석자의 무릅은 상향경사지게 조절된 무릅지지대(4)의 상면에 지지된 채 상체는 대략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착석자의 하중중 일부가 무릅을 받치고 있는 무릅지지대(4)에 의해 지지되어 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석자의 모든 하중이 좌판부(2)만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안정적이고 편안한 착석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3은 무릅지지대 위에 다리를 올려놓고 앉은 상태로서, 이때 무릅지지대(4)는 그 표면이 거의 수평상태 또는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조절되며, 그와같이 조절된 무릅지지대(4)의 외측단부에 착석자의 뒷꿈치가 지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체는 앞쪽으로 약간 숙이고 양팔을 받침판(5b)위에 올려놓은 상태이다. 이때, 착석자의 두 다리는 거의 직선상으로 쭉 펴진 상태로 되어 하체의 근육이 충분히 이완된 상태로 된다. 도3의 자세는 받침대(5b) 위에 책을 올려놓고 보거나 필기를 하는 경우등에 적합하다 할 것이다.
한편, 도4 및 도5는 상체를 앞으로 굽혀 가슴지지구에 착석자의 가슴이 지지된 착석상태로서 도5의 자세는 도4에 비해 단지 상체의 굽힘각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자세에서는 앞쪽으로 숙여진 착석자의 상체가 가슴지지구(5)의 가슴받침(5d)에 의해서 떠받쳐짐과 아울러 무릅부위는 무릅지지대(4)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때, 가슴받침(5d)은 이를 충분히 높혀서 착석자의 턱부위가 가슴받침의 오목부(5db)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같은 착석자세에서 착석자의 등뼈라인은 가장 자연스러운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착석자의 신체하중은 가슴받침(5d), 좌판부(1), 무릅지지대(4) 및 받침대(5b)에 의해서 분산되어 지지됨에 따라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라도 국부적인 하중집중에 의한 특정부위의 거북함이나 통증이 발생우려가 훨씬 줄어들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착석자세에서는 착석자의 모든 신체 근육이 충분히 이완된 상태로서 이같은 착석자세는 등허리 부위 및 후두부 주위의 안마나 지압 또는 마사지 등을 받기에 적합한 자세이다. 물론, 상기의 착석자세에서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 도6은 상체를 뒤로 젖힌 채 두 다리를 펴고 눕듯이 앉은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때에는 무릅지지대(4)의 상단부 높이가 대략 좌판부(1)의 상면 높이와 일치되도록 경사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착석자의 다리 뒷꿈치 부위나 발목부위를 무릅지지대(4) 위에 올려놓음과 아울러 상체는 충분히 뒷쪽으로 젖혀서 등부위가 등받이(2)에 접촉됨과 동시에 후두부는 헤드레스트(2a)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의 자세에서는 머리부위에서 다리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신체근육이 충분히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착석자는 편안하게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수 있다.
상기 도2 내지 도6을 통해서 본 발명의 의자를 이용한 여러 형태의 착석 상태 변화를 살펴보았는 바, 그 외에도 가슴받침구(5) 및 무릅지지대(4)의 각도변화 내지는 탈착에 의해서 여러 다른 착석자세의 변화를 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의자에 있어서, 본체 부위의 팔걸이(1a)를 포함한 좌판부(1) 및 헤드레스트(2a)를 포함한 등받이(2)등의 구성은 도시된 구성 그 자체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다른 기존의 좌판부 및 등받이가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상기 팔걸이(1a)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거나 아예 팔걸이 자체를 없앨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는 하나의 의자를 가지고 여러가지의 착석자세 변화를 줄 수 있음에 따라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의자는 상체가 앞쪽으로 숙여진 상태에서 가슴부위가 가슴받침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무릅부위가 무릅지지대에 지지되도록 함에 의해서 인체의 자연스러운 척추뼈 곡선이 유지되도록 한 상태로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하여 충분한 근육이완을 통한 편안함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는 가정이나 사무실등의 공간에서 일상적인 사무, 독서, 컴퓨터 작업 또는 휴식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신체적으로 불편한 노령층이나 장애인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 안마나 지압용 의자로서도 유익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Claims (5)

  1. 좌판부(1)와 등받이(2) 및 이들 등받이 및 좌판부를 지지하는 프레임(3)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의 전방에 경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무릅지지대(4)가 장착되고, 또한 프레임상의 좌판부(1) 선단부와 무릅지지대(4) 장착부 사이에 경사각도와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슴지지구(5)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은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연장되어 전체적으로 궁형을 이루는 단위 프레임(3a)(3a') 한쌍이 서로 대향되게 고정된 구조로서 각 단위 프레임의 하단외측부상에는 캐스터(3b)(3b')가 각각 장착되고, 프레임의 앞쪽은 좌판부(1)의 전방단부에 비해 앞쪽으로 돌출연장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릅지지대(4)는 배면에 다수개의 톱니형 고정홈이 형성된 조정간(4a)의 일단부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정간(4a)의 타단부에는 손잡이(4b)가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조정간(4a)의 유동범위내의 프레임(3)상에는 괘지구(3c)가 설치되어 있어 그 괘지구(3c)상에 괘지되는 조정간(4a)의 고정홈의 선택에 따라 무릅지지대(4)의 설치각도가 설정되도록 구성됨은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가슴받침구(5)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사각 또는 원형 봉상의 수직지주 삽입관(5a)과, 수직지주 삽입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부일측에 사각판상의 받침판(5b)이 결합된 수직지주(5c)와, 수직지주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설치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쿠션재 가슴받침(5d)과, 상기 수직지주 삽입관(5a)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직지주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구(5e)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5b)은 경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면(5b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KR1019990034003A 1999-08-17 1999-08-17 다기능 의자 KR100355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003A KR100355031B1 (ko) 1999-08-17 1999-08-17 다기능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003A KR100355031B1 (ko) 1999-08-17 1999-08-17 다기능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174A true KR20010018174A (ko) 2001-03-05
KR100355031B1 KR100355031B1 (ko) 2002-10-05

Family

ID=1960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003A KR100355031B1 (ko) 1999-08-17 1999-08-17 다기능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03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4668A1 (en) * 2002-05-13 2003-11-20 Sang Sik Kim Chair
WO2010128735A1 (ko) * 2009-06-22 2010-11-11 Lee Sang-Ho 자세교정용 의자
CN105342179A (zh) * 2015-12-14 2016-02-24 周妙思 一种多功能椅
CN108294871A (zh) * 2017-01-12 2018-07-20 上海理工大学 多功能折叠移位车
CN108991792A (zh) * 2018-09-25 2018-12-14 安吉诚宇家具有限公司 一种便于挺直脊背的办公用坐椅结构
KR20200023811A (ko) 2018-08-27 2020-03-06 권민승 탈부착형 가슴받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529B1 (ko) 2007-01-05 2008-05-13 박명진 무릎 책상
KR20190111226A (ko)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옻향 교구용 무릎 책걸상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4668A1 (en) * 2002-05-13 2003-11-20 Sang Sik Kim Chair
WO2010128735A1 (ko) * 2009-06-22 2010-11-11 Lee Sang-Ho 자세교정용 의자
CN105342179A (zh) * 2015-12-14 2016-02-24 周妙思 一种多功能椅
CN108294871A (zh) * 2017-01-12 2018-07-20 上海理工大学 多功能折叠移位车
CN108294871B (zh) * 2017-01-12 2024-02-27 上海理工大学 多功能折叠移位车
KR20200023811A (ko) 2018-08-27 2020-03-06 권민승 탈부착형 가슴받이
CN108991792A (zh) * 2018-09-25 2018-12-14 安吉诚宇家具有限公司 一种便于挺直脊背的办公用坐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5031B1 (ko) 200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5046B2 (en) Task chair
US7396082B2 (en) Task chair
US5114209A (en) Chair insert having a contoured back support portion and a seat support portion
US5738640A (en) Upper spine and neck support cushion
US7040703B2 (en) Health chair a dynamically balanced task chair
US20070108805A1 (en) Reversible chair
GB2165746A (en) Seating unit
US6132004A (en) Back support pillow system
US6655731B2 (en) Therapeutic chair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0355031B1 (ko) 다기능 의자
KR200230508Y1 (ko) 척추가 편한 의자
JP2007098007A (ja) 椅子
JP2007000570A5 (ko)
US20050046258A1 (en) Task chair
WO2008117330A2 (en) Ergonomic structure
GB2028117A (en) Furniture sets for sedentary work
JPH11239526A (ja) 角度調節できる椅子用クッション
KR19990046590A (ko) 의자등받이
US4331361A (en) Posture chair back
JP2003052486A (ja) 椅 子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EP2170125A1 (en) Ergonomic seat
KR20010044318A (ko) 척추가 편한 의자
US20080150336A1 (en) Back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