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374Y1 - 옷장환경관리기 - Google Patents

옷장환경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374Y1
KR200370374Y1 KR20-2004-0026056U KR20040026056U KR200370374Y1 KR 200370374 Y1 KR200370374 Y1 KR 200370374Y1 KR 20040026056 U KR20040026056 U KR 20040026056U KR 200370374 Y1 KR200370374 Y1 KR 200370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means
blowing duct
main body
heat generat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열
Original Assignee
박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열 filed Critical 박갑열
Priority to KR20-2004-0026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3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흡기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통로가 되는 송풍덕트; 상기 송풍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발생수단; 상기 송풍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오존발생수단; 상기 송풍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팬; 상기 송풍덕트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광촉매코팅이 되어 있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열발생수단, 상기 오존발생수단, 상기 팬, 및 상기 자외선램프의 작동을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기구, 상기 열발생수단, 상기 오존발생수단, 및 상기 배기구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팬은 회전과 역회전의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환경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옷장환경관리기{Wardrobe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기술분야
본 고안은 옷장의 내부 환경을 관리하여 적정한 온도, 습도, 및 청결도 등을 유지하기 위한 옷장환경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열발생수단, 오존발생수단, 자외선램프, 및 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
옷장의 내부는 그 구조적인 특성상 햇빛이 들지 않으며 통풍도 잘되지 않는다. 또한 옷장 내부의 습기도 그 제거가 용이하지 않는 바, 옷장 내부는 각종 세균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는 결과가 된다.
이와 같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옷장의 내부에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라믹이나 활성탄과 같은 제습탈취제를 사용하였으나, 종전의 세라믹이나 활성탄과 같은 제습탈취제는 통기구멍이 마련되도록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케이스와 같은 환경오염물질의 내부에 넣어 사용되었다.
따라서 제습탈취의 효과를 어느 정도 거둘 수 있었으나 환경오염물질을 사용하는 바 옷장의 내부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본래의 취지에 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제습탈취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옷장과 일체화된 송풍장치와 열발생 수단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공기 흐름을 이용한 습기제거 방법이 제안된 바도 있으나, 이는 옷장과 일체화 되어 있는 구조가 되어 다른 옷장에는 적용을 할 수가 없었으며 그 기능도 고온의 열풍에 의한 건조제습 기능에 한정되었다.
즉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모든 옷장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건조제습기능과 함께 탈취기능, 살균기능 등을 하나의 장치로써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조제습기능, 살균탈취기능, 자동조명기능 등이 하나로 결합된 옷장환경관리기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컴팩트한 사이즈의 다기능 옷장환경관리기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연결잭을 매개로 연결되는 개별 살균기가 포함되는 옷장환경관리기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인공지능시스템이 구비되어 각 기능들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는 옷장환경관리기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4는 자외선램프의 단면 구조로서 광촉매코팅을 도시하고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열발생수단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200:송풍덕트 210:흡기구
211: 흡기구커버 212:방향제
220:배기구 230:팬
300:열발생수단
400:오존발생수단
500:자외선램프 510:광촉매코팅
600:제어부 610:디스플레이표시부
620:버튼조작부 630:리모콘수신부
640:개별 살균기 단자 700:암영센서
800:개별 살균기 810:연결잭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흡기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통로가 되는 송풍덕트; 상기 송풍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발생수단; 상기 송풍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오존발생수단; 상기 송풍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팬; 상기 송풍덕트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광촉매코팅이 되어 있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열발생수단, 상기 오존발생수단, 상기 팬, 및 상기 자외선램프의 작동을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기구, 상기 열발생수단, 상기 오존발생수단, 및 상기 배기구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팬은 회전과 역회전의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은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흡기구(21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2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통로가 되는 송풍덕트(200), 상기 송풍덕트(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발생수단(300), 상기 송풍덕트(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오존발생수단(400), 상기 송풍덕트(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팬(230), 상기 송풍덕트(20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220), 상기 본체(10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광촉매코팅(510)이 되어 있는 자외선램프(500), 및 상기 열발생수단(300), 상기 오존발생수단(400), 상기 팬(230), 및 상기 자외선램프(500)의 작동을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기구(210), 상기 열발생수단(300), 상기 오존발생수단(400), 및 상기 배기구(220)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팬(230)은 회전과 역회전의 선택이 가능하여 상기 송풍덕트(200)를 흐르는 공기의 방향이 역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체(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본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그 외부에는 제어부(60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표시부(610), 버튼조작부(620), 리모콘수신부(630), 개별 살균기 단자(640) 및 암영센서(700)와, 자외선램프(500)와, 흡기구커버(211)가 장착된 흡기구(210)와, 배기구(220)가 마련되어 있다.
송풍덕트(200)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부에는 흡기구(210)가 마련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배기구(220)가 마련되어 있으며,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한다.
흡기구(210)는 살균탈취기능시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흡기구(210)에는 탈착가능한 흡기구커버(211)가 마련되어 있으며 흡기구커버(211)에는 보충가능한 방향제(212)가 더 설치되어 있다.
흡기구(210) 다음에는 열발생수단(300)이 송풍덕트(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열발생수단(300)은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집 구조로 성형된 PTC로서 송풍덕트(200) 내부에 설치된다.
PTC란 티탄산바륨계 도자기로서 온도가 상승하면 전기저항이 급격히 커지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으로서 정특성써미스터라고도 하며, 니크롬선을 대신하는 안전한 발열체로서 PTC의 양측 단부에 전원을 인가하면 발열하게 된다.
따라서 송풍덕트(2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벌집 구조로 성형된 PTC를 통과하면서 열을 전달받아 고온의 공기로 가열되면서 살균 및 건조(제습)가 이루어진다.
또한 열발생수단(3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PTC의 발열이 중단되어 공기의 가열이 중단된다.
열발생수단(300)의 다음에는 오존발생수단(400)이 송풍덕트(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오존발생수단(400)은 오존플렛트로서 첨부도면에는 그 형상을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덕트(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송풍덕트(2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오존플렛트에서 발생된 오존과 혼합되어 살균 및 탈취가 이루어진다.
팬(23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덕트(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옷장의 공기를 송풍덕트(200) 내부로 유입하는 동력원이 된다.
팬(230)의 회전방향은 제어부(600)에 의하여 제어되며 유입되는 풍량의 조절은 물론 정회전 및 역회전의 선택도 가능하다. 따라서 정회전의 경우에는 흡기구(210)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배기구(220)로 배출되나 역회전의 경우에는 배기구(220)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흡기구(210)로 배출된다.
배기구(220)는 팬(230)의 정회전시 송풍덕트(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함과 동시에 팬(230)의 역회전시 송풍덕트(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역할을한다. 이와 같이 배기구(220)가 입구 역할을 하는 경우 흡기구(210)가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출구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의 유입 및 유출 방향을 역전하여 2가지 모드의 작동이 가능하다. 즉 팬(230)을 정회전시켜 공기가 흡기구(210), 열발생수단(300), 오존발생수단(400), 및 배기구(2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살균 및 탈취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팬(230)을 역회전시켜 공기가 배기구(220), 오존발생수단(400), 열발생수단(300), 및 흡기구(2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제습 및 건조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자외선램프(50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자외선램프(500)의 표면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티타늄(TiO2)을 이용한 광촉매코팅(510)이 되어 있다. 자외선램프(500)의 표면에 광촉매코팅(510)이 되어 있는 바 자외선램프(500)에 의한 기본적인 살균효과와 함께 광촉매코팅(510)에 의한 효과를 중첩적으로 거둘 수 있다.
광촉매코팅(510)에 의한 오염방지 효과는 자외선램프(500)의 오염에 의한 광량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광촉매코팅(510)의 강력한 산화 작용은 세균 번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과 동시에 불쾌한 담배의 니코틴 냄새 또는 곰팡이 냄새 등 악취 성분을 분해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열발생수단(300), 오존발생수단(400), 팬(230), 및 자외선램프(500)의 작동을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제어한다. 즉 제어부(600)는 입력된 명령 또는 수신된 감지 신호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60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표시부(610), 작동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조작부(620), 및 별도의 리모콘에 의한 작동명령을 수신하는 리모콘수신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60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살균기 단자(6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개별 살균기 단자(640)에는 연결잭(810)을 매개로 개별 살균기(800)가 연결된다.
개별 살균기(800)는 오존플렛트로 구성되어 살균과 탈취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개별 살균기(800)에 의하여 옷장의 구석구석까지 살균과 탈취가 가능하게 된다. 즉 옷장이 다수 개의 칸막이로 구분되어 있거나 옷장 내부에 서랍장이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각의 칸막이 또는 서랍장의 내부에 개별 살균기(800)를 설치하여 살균 및 탈취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첨부도면에는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옷장 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암영센서(700)가 더 포함되며, 제어부(600)는 암영센서(700)에서 감지된신호에 따라 자외선램프(500)를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도 있다. 즉 옷장의 문을 열었을때 암영센서(700)가 빛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600)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600)는 자외선램프(500)를 작동시키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이와 반대로 옷장 문이 열렸을때 자외선램프(500)의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인 옷장환경관리기는 건조제습기능, 살균탈취기능, 자동조명기능 등이 하나로 결합되어 있는 바, 통합적인 옷장환경관리가 가능하다.
둘째, 본 고안인 옷장환경관리기는 컴팩트한 사이즈에 다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옷장 내부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바, 결과적으로 본 고안이 적용된 옷장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인 옷장환경관리기는 연결잭을 매개로 연결되는 개별 살균기를 통하여 옷장의 구석구석까지 개별적인 살균이 가능하다.
넷째, 본 고안인 옷장환경관리기는 인공지능시스템이 구비되어 각 기능들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흡기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통로가 되는 송풍덕트;
    상기 송풍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발생수단;
    상기 송풍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오존발생수단;
    상기 송풍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팬;
    상기 송풍덕트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광촉매코팅이 되어 있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열발생수단, 상기 오존발생수단, 상기 팬, 및 상기 자외선램프의 작동을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기구, 상기 열발생수단, 상기 오존발생수단, 및 상기 배기구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팬은 회전과 역회전의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환경관리기.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표시부;
    작동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조작부; 및,
    별도의 리모콘에 의한 작동명령을 수신하는 리모콘수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환경관리기.
  3. 제1항에서, 상기 흡기구에 보충가능한 방향제가 구비된 흡기구커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환경관리기.
  4. 제1항에서, 옷장 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암영센서;
    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영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를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환경관리기.
  5. 제2항 내지 제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어부에 마련되는 개별 살균기 단자; 및,
    상기 개별 살균기 단자에 연결잭을 매개로 연결되는 개별 살균기;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환경관리기.
  6. 제5항에서,
    상기 열발생수단은 PTC이며,
    상기 오존발생수단은 오존플렛트이며.
    상기 개별 살균기는 오존플렛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환경관리기.
KR20-2004-0026056U 2004-09-10 2004-09-10 옷장환경관리기 KR200370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056U KR200370374Y1 (ko) 2004-09-10 2004-09-10 옷장환경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056U KR200370374Y1 (ko) 2004-09-10 2004-09-10 옷장환경관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514A Division KR100584024B1 (ko) 2004-09-10 2004-09-10 옷장환경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374Y1 true KR200370374Y1 (ko) 2004-12-20

Family

ID=4935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056U KR200370374Y1 (ko) 2004-09-10 2004-09-10 옷장환경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3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905B1 (ko) * 2010-10-12 2012-10-17 백종권 자외선 살균기와 이의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905B1 (ko) * 2010-10-12 2012-10-17 백종권 자외선 살균기와 이의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4795B2 (en) Bathroom management system
JP2007232323A (ja) 天井扇
JP2005214611A (ja) 換気兼用空気清浄器
US10576404B2 (en) Air blower apparatus
KR102329659B1 (ko) 옷장용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232906B (zh) 脱臭器
KR100529217B1 (ko)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KR100584024B1 (ko) 옷장환경관리기
KR200370374Y1 (ko) 옷장환경관리기
JP2004211959A (ja) 浴室空調装置
KR20160142214A (ko) 좌변기 기반의 탈취 장치
KR200419106Y1 (ko) 의류관리기
KR20090112391A (ko) 욕실 환기장치
JP2004144450A (ja) 収納室の空調システム
KR200220876Y1 (ko) 신발 건조장치
KR200334441Y1 (ko) 다목적 블로워
KR200372919Y1 (ko) 자외선살균램프가 구성된 화장실용 공기청정기
JPH11304357A (ja) 換気暖房乾燥装置
KR200337053Y1 (ko) 자외선 살균기 및 히터와 팬 기능이 내장된 옷장 및이불장(장농)
KR200379898Y1 (ko) 클린룸
JPH10318550A (ja) 脱臭器付空気調和装置
KR20050020528A (ko) 다목적 블로워
JP2007023769A (ja) 衛生洗浄装置の芳香制御方法
KR200252076Y1 (ko) 위생 옷장
JPH02285119A (ja) トイレ用脱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