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877A - 욕실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욕실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877A
KR20180067877A KR1020160169275A KR20160169275A KR20180067877A KR 20180067877 A KR20180067877 A KR 20180067877A KR 1020160169275 A KR1020160169275 A KR 1020160169275A KR 20160169275 A KR20160169275 A KR 20160169275A KR 20180067877 A KR20180067877 A KR 2018006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human body
switch
manag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김성호
박대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7877A/ko
Publication of KR2018006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05B37/022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내외부의 인체 감지 여부 및/또는 욕실 내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욕실 내부를 조명하는 욕실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시스템은, 빛을 조사하여 욕실 내부를 조명하는 욕실등과, 욕실 내부에 배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며 욕실 내부를 가열, 살균 또는 탈취하는 욕실관리기와, 욕실 외부에 배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며 욕실등을 제어하고 욕실관리기와 통신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욕실 내외의 인체감지 여부에 따라 욕실등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Description

욕실관리시스템 {BATHROOM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욕실 내외부의 인체 감지 여부 및/또는 욕실 내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욕실 내부를 조명하는 욕실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은 세탁, 세면, 세수, 샤워 및 배변 등을 하는 장소로서, 사용자의 출입이 잦은 생활 공간이다.
대부분의 욕실은 창이 없거나 창이 매우 작아 어둡기 때문에 욕실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명등은 사용자의 욕실 출입시 사용자에 의하여 점등 또는 소등된다. 그런, 사용자에 의하여 욕실등이 적절하게 점등되거나 소등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의 불편 또는 에너지 낭비가 야기될 수 있다.
욕실 내부에서 인체를 감지하여 욕실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기술이 있으나, 이러한 욕실 내부에서의 인체 감지로는 적절한 욕실등의 점등이나 소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욕실 내외부의 인체 감지 여부 및/또는 욕실 내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욕실 내부를 조명하는 욕실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탈취필터의 재생을 위하여 탈취필터에 자동으로 빛을 조사하는 욕실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시스템은, 빛을 조사하여 욕실 내부를 조명하는 욕실등과, 욕실 내부에 배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며 욕실 내부를 가열, 살균 또는 탈취하는 욕실관리기와, 욕실 외부에 배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며 욕실등을 제어하고 욕실관리기와 통신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욕실 내외의 인체감지 여부에 따라 욕실등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시스템은, 욕실등이 스위치가 인체를 감지한 후 욕실관리기가 인체를 감지한 경우 점등되어, 사용자의 욕실 입실을 감지하여 욕실등을 자동으로 점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시스템은, 욕실등이 욕실 내부의 가스 정도인 욕실가스값 또는 욕실 내부의 상대습도인 욕실내부습도값에 따라 소등되어, 욕실 내부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욕실 내부 활동 여부를 판단한 후 욕실등을 점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시스템은, 탈취필터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스위치가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욕실감지기가 인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점등되어 사용자가 욕실에 없을 때 탈취필터의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욕실관리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하는 스위치와, 욕실 내부의 인체를 감지하는 욕실관리기가 연동하여 자동으로 욕실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욕실 내외부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욕실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욕실 내부의 가스 정도 및 상대습도에 따라 사용자의 욕실 내 활동여부를 판단하여 욕실등을 자동으로 소등하는 장점도 있다. 특히, 욕실 내외부의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의 오감지 또는 고장의 경우에도 욕실등을 소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욕실 내외부에 인체가 감지되지 않을 때 조명부를 점등하여 탈취필터의 재생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위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욕실관리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욕실관리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욕실관리기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욕실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시스템은, 욕실에 배치되어 욕실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환기유닛(400)과, 욕실 내부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욕실등(500)과, 욕실 내부에 배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며 욕실 내부를 가열, 살균 및 탈취하는 욕실관리기(100)와, 욕실 외부에 배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며 환기유닛(400) 및 욕실등(500)을 제어하고 욕실관리기(100)와 통신하는 스위치(200)와, 환기유닛(400), 욕실등(500) 및 콘센트(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분전반(300)을 포함한다.
환기유닛(400)은 욕실 내부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기한다. 환기유닛(400)은 환기팬과 모터, 덕트 등으로 구성된다. 환기유닛(400)은 욕실 천장에 배치되며 배기용덕트와 연통된다. 환기유닛(400)은 스위치(20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환기유닛(400)의 전원선은 한선이 분전반(300)과 연결되고 다른선이 스위치(200)와 연결된다.
욕실등(500)은 빛을 조사하여 욕실 내부를 조명한다. 욕실등(500)은 욕실 천장이나 벽의 상부에 배치된다. 욕실등(500)은 스위치(20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욕실등(500)의 전원선은 한선이 분전반(300)과 연결되고 다른선이 스위치(200)와 연결된다. 욕실등(500)은 스위치(200)의 인체 감지 여부 및 욕실관리기(10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된다.
콘센트(600)는 욕실 내부에 배치된다. 콘센트(600)는 가전기기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콘센트(600)는 욕실관리기(100)의 플러그와 연결된다. 콘센트(600)의 전원선은 모두 분전반(300)과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600)의 전원은 한선이 분전반(300)과 연결되고 다른선이 스위치(200)와 연결되며, 이 경우 스위치(200)가 욕실관리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분전반(300)은 전원을 각 기기에 분배한다. 분전반(300)은 메인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욕실에 배치되는 환기유닛(400), 욕실등(500) 및 콘센트(600)에 전원을 분배한다. 분전반(300)은 환기유닛(400), 욕실등(500) 및 콘센트(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치(200)는 욕실 외부에 배치된다. 스위치(200)는 사용자의 조작, 욕실 내외부의 인체 감지 여부, 또는 욕실 내외부의 환경에 따라 환기유닛(400), 욕실등(500) 및/또는 욕실관리기(100)를 제어한다. 스위치(200)는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한다. 스위치(200)는 환기유닛(400) 및 욕실등(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치(200)는 욕실관리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스위치(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욕실관리기(100)는 욕실 내부에 배치되어 욕실 내부를 가열, 살균 및 탈취한다. 욕실관리기(100)는 욕실 내부의 인체를 감지한다. 욕실관리기(100)는 플러그를 통하여 콘센트(60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욕실관리기(100)는 스위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욕실관리기(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위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200)는,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하는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와,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스위치입력부(210)와, 각종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스위치표시부(220)와,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240)와, 환기유닛(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환기유닛연결부(250)와, 욕실등(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욕실등연결부(260)와, 욕실관리기(100)와 통신을 하기 위한 스위치통신부(270)와,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 스위치입력부(210) 및 스위치통신부(270)로부터 데이터 또는 명령을 입력을 받아 환기유닛연결부(250), 욕실등연결부(260) 및 스위치통신부(270)를 제어하고, 스위치표시부(220)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스위치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는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한다.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는 센서 전방의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는 스위치(200)의 앞을 지나가는 인체를 감지하여 인체 감지시 인체 감지 여부를 스위치제어부(290)에 전달한다.
스위치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환기유닛(400)의 온/오프, 욕실등(500)의 점등/소등 등의 명령을 받아들인다. 사용자는 스위치입력부(210)를 통하여 스위치표시부(220)에 표시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스위치입력부(210)를 통하여 욕실관리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표시부(220)는 욕실 외부의 온도 및 상대습도와, 욕실관리기(100)에서 측정된 욕실 내부의 온도 및 상대습도와, 환기유닛(400)의 동작 상태와, 욕실등(500)의 동작 상태와, 욕실관리기(100)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환기유닛연결부(250)는 환기유닛(400)의 전원선 중 하나와 연결된다. 환기유닛연결부(250)는 스위치입력부(210)의 입력에 따라 전원연결부(240)와 통전되어 환기유닛(400)에 전원을 인가한다. 환기유닛(400)에 전원이 인가되면 환기유닛(400)이 동작하여 욕실 내부를 환기한다.
욕실등연결부(260)는 욕실등(500)의 전원선 중 하나와 연결된다. 욕실등연결부(260)는 스위치입력부(210)의 입력에 따라 전원연결부(240)와 통전되어 욕실등(500)에 전원을 인가한다. 욕실등(5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욕실등(500)이 동작하여 욕실 내부를 조명한다.
스위치통신부(270)는 욕실관리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통신부(270)는 욕실관리기(100)와 WLAN(Wireless LAN, Wi-Fi), 3G 또는 4G LTE 등과 같은 무선통신,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통하여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통신부(270)는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에서 감지된 욕실 외부의 인체 감지 여부, 또는 욕실관리기(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욕실관리기(100)에 송신하고, 욕실관리기(100)에서 측정된 욕실 내부의 온도 및 상대습도, 욕실 내부의 인체 감지 여부, 또는 환기유닛(400) 및 욕실등(5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욕실관리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스위치제어부(290)는 욕실 내부 상태에 따라 욕실 내부를 관리하기 위하여 환기유닛(400), 욕실등(500) 또는 욕실관리기(100)를 제어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욕실관리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욕실관리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욕실관리기에 대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4a)와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14b)가 형성된 케이스(112, 114)와, 흡입구(114a)로 흡입된 공기를 탈취하는 탈취필터(160)와, 욕실 내부의 온도 및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욕실온습도센서(131)와, 욕실 내부의 가스를 측정하는 욕실가스센서(133)와, 욕실 내부의 인체를 감지하는 욕실인체감지센서(137)와,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버튼(114c)과,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팬(140)과, 송풍팬(140)을 회전하는 송풍팬모터(145)와, 케이스(112, 114)의 흡입구(114a)를 개폐하는 흡입베인(122)과, 케이스(112, 114)의 토출구(114b)를 개폐하는 토출베인(124)과, 흡입베인(122) 및 토출베인(124)을 개폐하는 구동부(129)와, 토출구(114b)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50)와, 살균을 위하여 이온을 발생하는 이오나이저(170)와, 탈취필터(160)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115)와, 스위치(200)와 통신을 하기 위한 욕실관리통신부(135)를 포함한다.
케이스(112, 114)는 욕실관리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12, 114)는, 측면 및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12)와,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14)를 포함한다. 이너 케이스(114)의 상부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4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14b)가 형성된다. 아우터 케이스(112)의 하면에는 수건(1) 등을 걸 수 있는 걸이부(180)가 결합된다. 아우터 케이스(112)의 하면에는 걸이부(180)에 걸린 수건(1) 등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보조토출홀(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12)와 이너 케이스(114) 사이에는 흡입구(114a)로 흡입된 공기를 토출구(114b) 및 보조토출홀(112a)로 안내하는 덕트(116)가 구비된다.
흡입베인(122)은 이너 케이스(114)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흡입베인(122)은 회동하여 흡입구(114a)를 개폐한다. 토출베인(124)은 이너 케이스(114)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토출베인(124)은 회동하여 토출구(114b)를 개폐한다. 흡입베인(122) 및 토출베인(124)은 구동부(129)에 의하여 회동한다. 구동부(129)는 하나 또는 두개의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되어 흡입베인(122) 및 토출베인(124)을 회동한다.
송풍팬(140)은 흡입구(114a)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114b)로 공기를 토출한다. 송풍팬(140)은 덕트(116) 상부에 배치된다. 송풍팬(140)은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횡류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모터(145)는 회전력을 발생하여 송풍팬(140)을 회전한다.
탈취필터(160)는 이너 케이스(114)에 배치되어 흡입구(114a)로 흡입되는 공기를 탈취한다. 탈취필터(160)는 공기 중 가스상 유해물질을 흡착하도록 활성탄과 같은 다공성 물질인 흡착기재로 구성된다. 탈취필터(160)는 흡착기재에 광촉매제가 도포된다. 광촉매제는 흡착기재에 흡착된 유해물질을 광촉매에 의하여 분해한다. 욕실등(500) 및/또는 조명부(115)가 탈취필터(160)에 빛을 조사하면 탈취필터(160)의 광촉매제는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탈취필터(160)가 재생된다.
히터(150)는 덕트(116)에 배치되어 송풍팬(140)에 의하여 흡입구(114a)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한다. 히터(15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토출구(114b)를 통하여 토출된다.
이오나이저(170)는 이온을 발생하여 토출구(114b)로 토출되는 공기와 함께 방출한다. 이오나이저(170)에서 발생되어 토출구(114b)로 배출된 이온은 욕실 내 미생물 및 세균을 피사하고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하는 살균 작용을 한다.
조명부(115)는 탈취필터(160)에 빛을 조사하여 탈취필터(160)를 재생한다. 조명부(115)가 탈취필터(160)에 빛을 조사하면 탈취필터(160)의 광촉매제는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탈취필터(160)가 재생된다.
조명부(115)는 욕실 내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조명부(115)는 욕실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욕실 내부를 조명할 수 있다. 조명부(115)는 욕실 내부를 조명하여 욕실등(500)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욕실 내부에 밝은 환경을 조성하는 간접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조명부(115)는 탈취필터(160)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욕실관리기(10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부(115)는 이너 케이스(114)의 흡입구(114a) 상단에 배치된다. 조명부(115)는, 렌즈커버와, 렌즈커버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베인(122)이 흡입구(114a)를 개방된 상태일 때, 조명부(115)는 이너 케이스(114)와 흡입베인(122) 사이의 상측 공간을 통해 빛을 조사하여 욕실 내부를 조명할 수 있다.
흡입베인(122)의 배면에는 조명부(115)가 조사한 빛을 탈취필터(160)로 반사하는 리플렉터(123)가 배치된다. 리플렉터(123)는 흡입베인(122)이 흡입구(114a)를 개방한 상태에서 조명부(115)가 조사한 빛을 탈취필터(160)로 반사하여 탈취필터(160)를 재생한다.
조명부(115)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며, 조명부(115)의 위치에 따라 흡입베인(122)의 배면에 리플렉터(123)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욕실온습도센서(131)는 욕실 내부의 온도 및 상대습도를 측정한다. 욕실온습도센서(131)가 측정한 욕실 내부의 온도인 욕실내부온도값과 욕실 내부의 상대습도인 욕실내부습도값은 욕실관리제어부(190)에 전달된다.
욕실가스센서(133)는 욕실 내부의 가스 정도를 측정한다. 욕실가스센서(133)는 다양한 종류의 가스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락스와 같은 강력한 환원성 가스에도 반응하는 반도체식 가스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욕실가스센서(133)가 측정한 욕실 내부의 가스인 욕실가스값은 욕실관리제어부(190)에 전달된다.
욕실인체감지센서(137)는 욕실 내부의 인체를 감지한다. 욕실인체감지센서(137)는 센서 전방의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욕실인체감지센서(137)는 욕실관리기(100)의 앞을 지나가는 인체를 감지하여 인체 감지시 인체 감지 여부를 욕실관리제어부(190)에 전달한다.
입력버튼(114c)은 사용자로부터 욕실관리기(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받아들인다. 입력버튼(114c)으로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은 욕실관리제어부(190)로 전달된다.
욕실관리통신부(135)는 스위치(200)의 스위치통신부(27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욕실관리통신부(135)는 스위치통신부(270)와 WLAN(Wireless LAN, Wi-Fi), 3G 또는 4G LTE 등과 같은 무선통신,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통하여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욕실관리통신부(135)는 욕실온습도센서(131)에서 측정된 욕실내부온도값 및 욕실내부습도값, 욕실인체감지센서(137)에서 감지된 욕실 내부의 인체 감지 여부, 또는 환기유닛(400) 및 욕실등(5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스위치통신부(270)에 송신하고, 스위치(200)에서 감지된 욕실 외부의 인체 감지 여부, 환기유닛(400) 및 욕실등(500)에 대한 동작 상태, 또는 욕실관리기(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스위치통신부(2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 내외부의 인체 감지 여부, 온도, 상대습도 또는 가스에 따라 욕실 내부를 관리하기 위하여 욕실관리기(100), 환기유닛(400), 또는 욕실등(500)를 제어한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상술한 스위치제어부(290)와 함께 욕실 내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한 후 욕실 내부의 인체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S11). 스위치(200)의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가 욕실 외부의 스위치(200) 앞에서 인체를 감지하면 욕실 외부의 인체 감지를 스위치제어부(290)에 전달하고, 스위치제어부(290)는 스위치통신부(270)를 및 욕실관리통신부(135)를 통하여 욕실 외부의 인체 감지를 욕실관리제어부(190)에 전달한다. 욕실인체감지센서(137)가 욕실 내부의 욕실관리기(100) 앞에서 인체를 감지하면 욕실 내부의 인체 감지를 욕실관리제어부(190)에 전달한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에서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한 후 설정시간 내에 욕실인체감지센서(137)에서 욕실 내부의 인체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한다. 설정시간은 사용자가 스위치(200) 앞에서 욕실 내부로 이동가능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한 후 욕실 내부의 인체를 감지가 한 경우 욕실등(500)을 점등한다(S12).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가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한 후 욕실인체감지센서(137)가 욕실 내부의 인체를 감지한 경우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욕실 외부의 스위치(200)를 지나 욕실 내부로 입실하였다고 판단한다. 사용자가 욕실 내로 입실한 것으로 판단하면,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관리통신부(135) 및 스위치통신부(270)를 통하여 스위치제어부(290)에 욕실등(500)의 점등 명령을 전달하고, 스위치제어부(290)는 욕실등(500)을 점등한다.
사용자가 욕실 입실시 스위치(200)의 스위치입력부(210)를 통하여 욕실등(500)을 점등한 경우 스위치제어부(290)는 욕실등(500)의 점등 상태를 유지한다.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하고 욕실 내부의 인체를 미감지하는지 판단한다(S13). 스위치(200)의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가 욕실 외부의 스위치(200) 앞에서 인체를 감지하면 욕실 외부의 인체 감지를 스위치제어부(290)에 전달하고, 스위치제어부(290)는 스위치통신부(270)를 및 욕실관리통신부(135)를 통하여 욕실 외부의 인체 감지를 욕실관리제어부(190)에 전달한다.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에 의하여 욕실 외부의 인체가 감지된 상태에서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인체감지센서(137)를 통하여 욕실 내부에서 인체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가 욕실 외부의 인체 감지한 경우 사용자가 욕실에서 퇴실한 경우일 수 있으므로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 내부에 인체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가 욕실 외부에서 인체를 감지하더라도 다른 사용자가 스위치(200) 앞을 지나가는 경우일 수 있으므로 욕실인체감지센서(137)가 욕실 내부에서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욕실 외부의 인체를 미감지하거나 욕실 내부의 인체를 감지하는 경우 욕실가스센서(133)가 측정한 욕실가스값이 제1설정값보다 작거나 욕실가스값이 제2설정값보다 크거나 욕실온습도센서(131)가 측정한 욕실내부습도값이 설정습도값보다 큰 지 판단한다(S14). 사용자의 욕실 퇴실시에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가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욕실인체감지센서(137)가 욕실 내부의 인체를 잘못 감지할 수 있으므로 욕실 내부 환경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욕실 사용 여부를 확인한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가스센서(133)가 측정한 욕실가스값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제1설정값 및 제2설정값과 비교한다. 욕실가스센서(133)가 욕실청소를 위하여 사용되는 락스와 반응하는 경우 욕실가스센서(133)에서 측정되는 욕실가스값이 매우 낮게 측정되며, 제1설정값은 락스가 욕실 내에서 사용된 경우 측정되는 욕실가스값의 최대값이다. 또한, 욕실 내부에서 사용자의 배변이 있는 경우 욕실가스센서(133)에서 측정되는 욕실가스값이 높게 측정되며, 제2설정값은 사용자의 배변이 있는 경우 측정되는 욕실가스값의 최소값이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가스값이 제1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가 락스를 사용하여 욕실을 청소하는 중이라고 판단한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가스값이 제2설정값보다 큰 경우 사용자가 배변을 하는 중이라고 판단한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온습도센서(131)가 측정한 욕실내부습도값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설정습도값과 비교한다. 사용자가 욕실 내에서 물을 사용하여 샤워 또는 세안 등을 하는 경우 욕실 내부의 상대습도가 높아지게 되며, 설정습도값은 사용자가 욕실 내에서 물을 사용하여 샤워 또는 세안 등을 하는 경우 측정되는 욕실내부습도값의 최소값이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내부습도값이 설정습도값보다 큰 경우 사용자가 욕실 내부에서 물을 사용하여 샤워 또는 세안 등을 하는 중이라고 판단한다.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하고 욕실 내부의 인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욕실등(500)을 소등한다(S15).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에 의하여 욕실 외부의 인체가 감지된 상태에서 욕실인체감지센서(137)에서 욕실 내부의 인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욕실을 퇴실한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가 욕실 외부로 퇴실한 것으로 판단하면,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관리통신부(135) 및 스위치통신부(270)를 통하여 스위치제어부(290)에 욕실등(500)의 소등 명령을 전달하고, 스위치제어부(290)는 욕실등(500)을 소등한다.
욕실가스값이 제1설정값과 제2설정값 사이이고 욕실내부습도값이 설정습도값보다 작은 경우 욕실등(500)을 소등한다(S15). 욕실가스센서(133)에 의하여 측정된 욕실가스값이 제1설정값과 제2설정값 사이이고 욕실온습도센서(131)에 의하여 측정된 욕실내부습도값이 설정습도값보다 작은 경우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 내에서 사용자의 활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욕실 내부에 없다고 판단한다. 사용자가 욕실 내부에 없다고 판단한 경우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관리통신부(135) 및 스위치통신부(270)를 통하여 스위치제어부(290)에 욕실등(500)의 소등 명령을 전달하고, 스위치제어부(290)는 욕실등(500)을 소등한다.
욕실가스값이 제1설정값보다 작거나 욕실가스값이 제2설정값보다 크거나 욕실내부습도값이 설정습도값보다 큰 경우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욕실 내에서 청소 또는 배변이나 물을 사용한 샤워 또는 세안 중이라고 판단하고 계속하여 욕실등(500)이 점등된 것을 유지하며 욕실 외부의 인체 감지 여부 및 욕실 내부의 인체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관리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욕실관리기(100)는 탈취필터(160)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재생하며, 본 실시예의 욕실관리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은 탈취필터(160)의 재생 주기가 도달한 경우 수행된다.
욕실 외부의 인체를 미감지하고 욕실 내부의 인체를 미감지하는지 판단한다(S21). 탈취필터(160)의 재생 주기가 도달하면, 스위치제어부(290)는 스위치인체감지센서(230)가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고 욕실인체감지센서(137)가 욕실 내부의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는지 판단한다. 탈취필터(160)의 재생은 욕실 내부에 사용자가 없을 경우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욕실 내외부에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지 판단한다.
욕실 외부의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고 욕실 내부의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욕실등(500)을 점등하고, 조명부(115)를 점등한다(S22).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 내외부에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욕실 내에 없다고 판단하여, 탈취필터(160)의 재생을 수행한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관리통신부(135) 및 스위치통신부(270)를 통하여 스위치제어부(290)에 욕실등(500)의 점등 명령을 전달하고, 스위치제어부(290)는 욕실등(500)을 점등한다. 또한,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조명부(115)를 점등한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구동부(129)를 동작하여 흡입베인(122)이 흡입구(114a)를 개방한 상태로 흡입베인(122)을 회동한다. 흡입베인(122)이 흡입구(114a)를 개방한 상태에서 흡입베인(122)의 배변에 구비된 리플렉터가 조명부(115)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하여 탈취필터(160)로 향하도록 한다.
점등된 욕실등(500)에서 조사된 빛과 점등된 조명부(115)에서 조사된 빛은 탈취필터(160)의 광촉매제와 반응하고, 광촉매제는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탈취필터(160)가 재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욕실등(500)과 조명부(115)를 모두 점등하여 탈취필터(160)를 재생하나, 실시예에 따라 욕실등(500) 또는 조명부(115) 중 하나를 점등하여 탈취필터(160)를 재생할 수 있다. 탈취필터(160)를 재생하기 위하여 조명부(115)는 반드시 점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명부(115)가 점등될 때 욕실등(500)이 함께 점등될 수 있다.
욕실등(500) 및 조명부(115)가 점등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한다(S23). 설정되는 시간은 욕실등(500) 및/또는 조명부(115)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하여 탈취필터(160) 충분히 재생되기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이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설정된 시간동안 욕실등(500) 및 조명부(115)가 점등되었는 지 판단한다.
설정된 시간동안 욕실등(500) 및 조명부(115)가 점등된 경우 욕실등(500)을 소등하고 조명부(115)를 소등한다(S24). 욕실등(500) 및 조명부(115)가 점등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욕실관리제어부(190)는 탈취필터(160)의 재생이 충분히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욕실관리통신부(135) 및 스위치통신부(270)를 통하여 스위치제어부(290)에 욕실등(500)의 소등 명령을 전달하고, 스위치제어부(290)는 욕실등(500)을 소등한다. 또한, 욕실관리제어부(190)는 조명부(115)를 소등한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구동부(129)를 동작하여 흡입베인(122)이 흡입구(114a)를 폐쇄한 상태로 흡입베인(122)을 회동한다.
욕실관리제어부(190)는 탈취필터(160)의 재생이 이루어졌음을 저장하고 스위치표시부(220)를 통하여 탈취필터(160)의 재생이 수행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욕실관리기 114c: 입력버튼
115: 조명부 122: 조명부
129: 구동부 131: 욕실온습도센서
133: 욕실가스센서 135: 욕실관리통신부
137: 욕실인체감지센서 140: 송풍팬
150: 히터 160: 탈취필터
190: 욕실관리제어부 200: 스위치
210: 스위치입력부 220: 스위치표시부
230: 스위치인체감지센서 240: 전원연결부
250: 환기유닛연결부 260: 욕실등연결부
270: 스위치통신부 290: 스위치제어부
300: 분전반 400: 환기유닛
500: 욕실등 600: 콘센트

Claims (8)

  1. 빛을 조사하여 욕실 내부를 조명하는 욕실등;
    상기 욕실 내부에 배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며 상기 욕실 내부를 가열, 살균 또는 탈취하는 욕실관리기; 및
    상기 욕실 외부에 배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며 상기 욕실등을 제어하고 상기 욕실관리기와 통신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욕실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등은 상기 스위치의 인체 감지 여부 및 상기 욕실관리기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욕실관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등은 상기 스위치가 인체를 감지한 후 상기 욕실관리기가 인체를 감지한 경우 점등되는 욕실관리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등은 상기 스위치가 인체를 감지하고 상기 욕실관리기가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소등되는 욕실관리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관리기는 상기 욕실 내부의 가스 정도인 욕실가스값을 측정하고,
    상기 욕실등은 상기 욕실가스값에 따라 소등되는 욕실관리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관리기는 상기 욕실 내부의 상대습도인 욕실내부습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욕실등은 상기 욕실내부습도값에 따라 소등되는 욕실관리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관리기는, 공기를 탈취하는 탈취필터와, 상기 탈취필터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스위치가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욕실감지기가 인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점등되는 욕실관리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등은 상기 조명부가 점등될 때 함께 점등되는 욕실관리시스템.
KR1020160169275A 2016-12-13 2016-12-13 욕실관리시스템 KR20180067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275A KR20180067877A (ko) 2016-12-13 2016-12-13 욕실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275A KR20180067877A (ko) 2016-12-13 2016-12-13 욕실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877A true KR20180067877A (ko) 2018-06-21

Family

ID=6280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275A KR20180067877A (ko) 2016-12-13 2016-12-13 욕실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78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0033A (zh) * 2020-03-30 2020-06-26 袁家良 一种基于照明技术的消毒杀菌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0033A (zh) * 2020-03-30 2020-06-26 袁家良 一种基于照明技术的消毒杀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27512B (zh) 浴室管理系统
KR101823889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6495642B2 (ja) イオン発生機
JP2007232323A (ja) 天井扇
US10470620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101125750B1 (ko) 욕실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76404B2 (en) Air blower apparatus
KR102022314B1 (ko)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US11382310B2 (en) Pet car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129452A (ko) 살균탈취 기능이 구비된 옷걸이
KR101565953B1 (ko) 자외선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의류 소독장치
KR102488773B1 (ko) 욕실관리기
CN211268110U (zh) 宠物护理器
KR200434403Y1 (ko) 전기 식기 소독고
KR102283005B1 (ko) 공기 순환 기능을 구비한 자외선 살균 장치
KR20180067877A (ko) 욕실관리시스템
KR200344715Y1 (ko) 수건 살균 및 건조장치
JP4175820B2 (ja) 随意に選ばれた構成メンバーをもつ機器システム
JP5012008B2 (ja) ミストシステム
KR101857182B1 (ko) 싱크대 살균기
KR20140005500U (ko) 젖병 소독건조기
KR20180027672A (ko) 욕실관리기 및 욕실관리기의 제어방법
KR100584024B1 (ko) 옷장환경관리기
KR20230076209A (ko) 내부 살균기능을 갖는 핸드 드라이어
JP3234853U (ja) 自動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