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622Y1 - 냉장고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622Y1
KR200369622Y1 KR20-2004-0024264U KR20040024264U KR200369622Y1 KR 200369622 Y1 KR200369622 Y1 KR 200369622Y1 KR 20040024264 U KR20040024264 U KR 20040024264U KR 200369622 Y1 KR200369622 Y1 KR 200369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lift
shaped
coupled
lo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용
Original Assignee
김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용 filed Critical 김상용
Priority to KR20-2004-0024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6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6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driven by screw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with wheels for moving around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41Single levers, e.g. parallel li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의 중량물을 비교적 손쉽게 들어서 지근 거리로 이동이 편리하게 한 냉장고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바디의 전방에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로더를 가지고 후방에는 상기 로더에 의해 승강되는 리프트를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는 체널형으로 열린 후방을 가지고, 전방 양측대의 안쪽으로 체널형 가이드를 형성하고, 막힌 전방대의 앞쪽에 커버대를 두어 각각의 중앙 일축선상에 구멍을 형성해서 된다. 그리고 상기 로더는 상기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전방대와 커버대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형성한 탭봉과, 상기 탭봉의 선단에 결합된 T 바와, 상기 바의 양측에 결합고정된 슬라이드편 각각이 상기 체널형 가이드에 안내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는 바디의 개구 후단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롤러와 상기 슬라이드편 사이에 힌지결합되는 이동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롤러 사이에는 H 자형 고정링크와 H 자형 이동링크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이 각각의 H 자형 고정링크와 H 자형 이동링크의 타단부는 그 사이에 상판을 개재하여 축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리프트.{lift for a refrigerator.}
본 고안은 소형의 중량물을 비교적 손쉽게 들어서 지근 거리로 이동이 편리하게 한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에서 이사나 냉장고의 위치 변경하거나 냉장고를 배달 설치 및 애프터 서비스하는 서비스맨이 사용하기에 적당한 냉장고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소형의 중량물로써 최근 이 냉장고가 용량이 큰 것이 소비 추세에 있는데, 이를 운반 이동하는 용역자가 힘든 상황에 있다.
그리고 이를 정 위치에 설치하기 전에 바닥에서 위치 이동을 함에 있어서 매우 힘든 직업이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의 저면에 캐스터(Caster)가 부착되어 냉장고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냉장고의 이동시 이동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캐스터를 통해 냉장고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지만 이사를 가야하는 경우 혹은 냉장고를 먼 곳으로 운반해야 하는 경우에는 냉장고를 캐스터로 이동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냉장고를 들어서 운반하기도 한다.
그러나, 냉장고를 설치할 경우에는 냉장고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를 들거나 캐스터를 통해 이동시킨 뒤 미세하게 재조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냉장고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를 들거나 캐스터를 통해 이동시킬 수 있으나 대개 냉장고는 냉장고의 측면중 어느 일면이 벽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는 경우가많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는 냉장고를 직접 벽체에 밀착되게 설치하기가 어렵다. 이는 냉장고를 설치할 때, 냉장고의측면과 벽체사이로 신체 즉, 팔이 끼게 됨으로 팔이 벽체와 냉장고의 벽면사이에 끼이지 않을 정도로 냉장고의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 근방에 대략적으로 놓은 후 냉장고를 미세하게 움직여 벽체에 근접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냉장고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때, 냉장고를 음직이기 위한 공간이 협소하여 그 취급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일 냉장고를 소망하는 설치위치로 배치시키기 위해 냉장고를 끌거나 밀어야하기 때문에 장판지 등이 심하게 패이거나 씹히는 문제가 있고 심한 경우 파손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장고의 근거리 이동시 냉장고를 들지 않더라도 이동시킬 수 있는 냉장고 위치 조절용 리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이동물품과 바닥이 약 4 cm 정도면 해결되며, 손 바닥정도의 크기에 1kg 정도의 설계 기준으로 제작 될 수 있는 소형의 힘쎈 리프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바디의 전방에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로더를 가지고 후방에는 상기 로더에 의해 승강되는 리프트를 구비해서 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바디는 체널형으로 열린 후방을 가지고, 전방 양측대의 안쪽으로 체널형 가이드를 형성하고, 막힌 전방대의 앞쪽에 커버대를 두어 각각의 중앙 일축선상에 구멍을 형성해서 된 것으로 달성된다.
상기 로더는 상기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전방대와 커버대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형성한 탭봉과, 상기 탭봉의 선단에 결합된 T 바와, 상기 바의 양측에 결합고정된 슬라이드편 각각이 상기 체널형 가이드에 안내 결합된 것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리프트는 바디의 개구 후단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롤러와 상기 슬라이드편 사이에 힌지결합되는 이동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롤러 사이에는 H 자형 고정링크와 H 자형 이동링크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이 각각의 H 자형 고정링크와 H 자형 이동링크의 타단부는 그 사이에 상판을 개재하여 축으로 결합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작동전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작동후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분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디 11A,11B: 측대
11a, 11b: 체널형 가이드 12: 전방대
13: 커버대 12h, 13h: 구멍
20: 로더 21: 너트
22: 탭봉 22A: 나사부
23: T 바 24A, 24B: 슬라이드편
30: 리프트 31A: 고정롤러
31B: 이동롤러 32A: H 자형 고정링크
32B: H 자형 이동링크 33: 상판
S: 축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리프터로서, 작동 시키기 전의 사시도 및 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의 리프터로서, 작동 후의 사시도 및 그 단면도가 도시된 것이다.
참고로,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는 냉장고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것을 가정하지만 만일 냉장고의 바닥판이 냉장고의 하중에 견디지 못하는 소재인 경우 강성을 갖는 보강판을 부설할 수 있다.
에컨데 추후 설명되겠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10은 바디로써, 양쪽으로 측대(11A,11B)와 전방대(12)로 구성된 ㄷ자 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단면구조상 전방 일부 구간에는 안쪽으로 체널형 가이드(11a, 11b)를형성한다.
그리고 참조번호 13은 커버대로써 이는 리딩 스크류 작용을 하게하기 위한 너트(21)를 전방대(12)에와의 사이에 고정 협지하는 기능을 하게 한것으로 이 커버대(13)는 바디의 전반적인 강성 증대의 보강대 기능도 한다.
참조 번호 20은 로더로서, 탭봉(22)으로사 선단 T 바(23)의 양측단에 슬라이드편(24A, 24B)을 고정하고 있고, 이 슬라이드편은 양측대의 가이드(11a, 11b)결합 안내된다.
한편 참조 번호 30은 리프트는 이동링크(32B) 사이에 개재된 이동롤러(31B)가 상기 슬라이드편 선단에 고정되어 롤링된다.
그리고 고정링크(32A) 사이에 개재된 고정롤러(31A)는 바디의 후방 양측대 개구 사이에 곤정 개재된다. 그리고 고정링크와 이동리브가 만나서 축결합되는 상부로는 상판(33)을 구비하여서 구성된다.
상기한 본 고안이 구성 보다 상세히하면 다음과 같다.
바디(10)의 전방에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로더(20)를 가지고 후방에는 상기 로더에 의해 승강되는 리프트(30)를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10)는 체널형으로 열린 후방을 가지고, 전방 양측대(11A, 11B)의 안쪽으로 체널형 가이드(11a, 11b)를 형성하고, 막힌 전방대(12)의 앞쪽에 커버대(13)를 두어 각각의 중앙 일축선상에 구멍(12h, 13h)을 형성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더(20)는 상기 구멍(12h, 13h)을 관통하고, 상기 전방대(12)와 커버대(13)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된 너트(21)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2A)를 형성한 탭봉(22)과, 상기 탭봉의 선단에 결합된 T 바(23)와, 상기 바의 양측에 결합고정된 슬라이드편(24A, 24B) 각각이 상기 체널형 가이드(11a, 11b)에 안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30)는 바디(10)의 개구 후단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롤러(31A)와 상기 슬라이드편(24A, 24B) 사이에 힌지결합되는 이동롤러(31B)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롤러 사이에는 H 자형 고정링크(32A)와 H 자형 이동링크(32B)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이 각각의 H 자형 고정링크(32A)와 H 자형 이동링크(32B)의 타단부는 그 사이에 상판(33)을 개재하여 축(S)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각 링크는 H자형에 한정되는 것 만은 아니다. 기구 특성상 양측 링크를 연결고정하는 과정상 팔연적으로 된 형상모양에 불과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리프터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고안은 거의 손바닥 크기의 비교적 컴팩트한 구성으로 보관 휴대가 간편한 것으로 사용전에 낸잔고 하부의 킥 플레이트의 체결부재를 해제하여 제거하고 도 1a 및 도1b의 상태에서 바디(10)의 후방부 즉 상판(33)이 있는 부위 까지만 진입시킨다. 그 다음 탭봉(22)을 손으로 돌려서 제품 바닥과 상판(33)이 닿게 하고 그 다음 스패너(40) 등을 이용하여서 탭봉(22)을 돌린다.
그러면 이 탭봉(22)의 나사부(22A)가 고정된 너트(21)에서 회전하며 전방으로 피치 이동을 하면서, T바(23)가 슬라이드편(24A, 24B)을 전방으로 전진 시킨다. 따라서 이 슬리이드편 선단에 고정된 이동링크 및 이동롤러(32B, 21B))가 전진되면서 고정 링크(32A)를 절첩 상승시키는 관절 운동을 하고 따라서 이들 결합 중앙에 설치된 상판(33)이 상승되면서 제품을 들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도 2a 및 도 2b 참조)
이후 손으로 냉장고를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밀면은 롤러(31A, 31B)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정 위치 이동후의 작동은 상기의 역순으로 올릴때 보다 힘이 덜 들게되며 이루어지는 것으로 글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리프터는 오직 예시적인 목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당해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를 기초로 다양한 변형예와 응용예를 실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나, 이는 본 고안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기술적 사상과 범주 및 이하에서 규정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밝혀 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냉장고의 근거리 이동시 냉장고를 들지 않더라도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물품과 바닥이 약 4 cm 정도면 해결되며, 손 바닥정도의 크기에 1kg 정도의 설계 기준으로 제작 될 수 있는 컴팩트한 휴대 용이한 소형의 힘쎈 리프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바디(10)의 전방에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로더(20)를 가지고 후방에는 상기 로더에 의해 승강되는 리프트(30)를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고용 리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는 체널형으로 열린 후방을 가지고, 전방 양측대(11A, 11B)의 안쪽으로 체널형 가이드(11a, 11b)를 형성하고, 막힌 전방대(12)의 앞쪽에 커버대(13)를 두어 각각의 중앙 일축선상에 구멍(12h, 13h)을 형성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고용 리프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20)는 상기 구멍(12h, 13h)을 관통하고, 상기 전방대(12)와 커버대(13)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된 너트(21)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2A)를 형성한 탭봉(22)과, 상기 탭봉의 선단에 결합된 T 바(23)와, 상기 바의 양측에 결합고정된 슬라이드편(24A, 24B) 각각이 상기 체널형 가이드(11a, 11b)에 안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고용 리프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30)는 바디(10)의 개구 후단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롤러(31A)와 상기 슬라이드편(24A, 24B) 사이에 힌지결합되는 이동롤러(31B)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롤러 사이에는 H 자형 고정링크(32A)와 H 자형 이동링크(32B)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이 각각의 H 자형 고정링크(32A)와 H 자형 이동링크(32B)의 타단부는 그 사이에 상판(33)을 개재하여 축(S)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고용 리프트.
KR20-2004-0024264U 2004-08-25 2004-08-25 냉장고용 리프트. KR200369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264U KR200369622Y1 (ko) 2004-08-25 2004-08-25 냉장고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264U KR200369622Y1 (ko) 2004-08-25 2004-08-25 냉장고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622Y1 true KR200369622Y1 (ko) 2004-12-09

Family

ID=4935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264U KR200369622Y1 (ko) 2004-08-25 2004-08-25 냉장고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62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96B1 (ko) * 2006-09-13 2012-04-0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이동용 승강장치
WO2013044055A2 (en) * 2011-09-23 2013-03-28 Quantum Engineered Products, Inc. Low profile jack
CN111232874A (zh) * 2020-02-18 2020-06-05 福建泉州赛富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齿轮差与螺纹组合式重物升降装置
KR20200074764A (ko) 2018-12-17 2020-06-25 남희정 가정 중량체용 리프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96B1 (ko) * 2006-09-13 2012-04-0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이동용 승강장치
WO2013044055A2 (en) * 2011-09-23 2013-03-28 Quantum Engineered Products, Inc. Low profile jack
WO2013044055A3 (en) * 2011-09-23 2013-05-16 Quantum Engineered Products, Inc. Low profile jack
KR20200074764A (ko) 2018-12-17 2020-06-25 남희정 가정 중량체용 리프트
CN111232874A (zh) * 2020-02-18 2020-06-05 福建泉州赛富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齿轮差与螺纹组合式重物升降装置
CN111232874B (zh) * 2020-02-18 2021-06-11 浙江顺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齿轮差与螺纹组合式重物升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2376B2 (en) Automatic 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including automatic original cover closer
JP5191504B2 (ja) 昇降搬送装置
US10724282B2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bodies
CN106481153B (zh) 可调式泄压闩锁
KR20190119705A (ko) 테이블 가변형 콘솔장치
KR200369622Y1 (ko) 냉장고용 리프트.
JP6059582B2 (ja) リンク式昇降機構
WO2008102634A1 (ja) 秤量装置用風防
JP4958208B2 (ja) 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の表示モニタ開閉装置
JP3664267B2 (ja) ヒンジ部材
CN101143690B (zh) 手调式装卸平台
US11591189B2 (en) Coupling device between an elevator car door and a landing door and elevator system
JP2005145571A (ja) 昇降装置
JP2009148364A (ja) 折り畳み式ベッド
JP4839089B2 (ja) コンテナ荷役車両
EP3581435B1 (en) Vehicle carrier box
JP3495670B2 (ja) ハンドル装置
JP3910511B2 (ja) 床下収納庫用開閉蓋の取付構造
JP2018021368A (ja) 水門装置
US7275908B2 (en) Swivel ram roller
JP4503050B2 (ja) 単位床部材の取外支援機構
JP6877235B2 (ja) 開閉扉に適用される開閉機構、加熱調理機
KR20070014847A (ko) 개방 프레임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
CN210828802U (zh) 柜门防下垂装置及柜子
KR100330896B1 (ko)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