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896B1 -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896B1
KR100330896B1 KR1019990056076A KR19990056076A KR100330896B1 KR 100330896 B1 KR100330896 B1 KR 100330896B1 KR 1019990056076 A KR1019990056076 A KR 1019990056076A KR 19990056076 A KR19990056076 A KR 19990056076A KR 100330896 B1 KR100330896 B1 KR 100330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oor panel
backward
spr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015A (ko
Inventor
이재후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896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or side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판넬(11)은 일측면에 볼트 고정되는 연결부재(12)와, 상기 도어판넬(11)의 열고 닫힘는 방향으로 연동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12)의 힌지에 상부가 연결되어 회동하는 이동바(20)와, 상기 이동바(20)의 하단에 연결되는 회전링크(21)와, 상기 회전링크(21)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체(31)와, 상기 회전링크(21)의 중앙부위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원호 형성되는 원호링크(22)와, 상기 원호링크(22)의 타측에 일측이 되며 하단부에는 고정체(3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형으로 형성된 삼각링크(23)와, 상기 삼각링크(23)의 타측에 연결되어 전후진하여 이동하는 이동축(33)과, 상기 이동축(33)의 타측부의 외주면에 둘러 싸여 이동방향에 연동하여 전후진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스프링안내파이프(32)와, 상기 스프링안내파이프(32)내측 타측부에 이동축(33)을 중앙에 관통하여 연결시키고 일측 상부와 하부에 전후진이 용이하게 코일스프링(34)을 연결하고 타측에는 너트(36)로 조여 상기 코일스프링(3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시트(35)를 구성하여 도어판넬 일측에 링크 연결하여 전후진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중량을 갖는 도어판넬을 작업자 한사람이 열고 닫더라도 한번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loading deck of door open and close for truck}
본 발명은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도어판넬 일측에 링크 연결하여 전후진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중량을 갖는 도어판넬을 작업자 한사람이 열고 닫더라도 한번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 차량의 적재함은 무거운 물품을 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적재함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트럭 차량의 적재함 구조는 차량 후방에 무거운 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일정 넓이로 형성된 적재함 바닥판넬(1)과, 상기 바닥판넬(1)의 후단에 연결되어 실어진 짐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도어판넬(2)과, 상기 도어판넬(2)을 바닥판넬의 일측에 연결되어 개페가 용이하도록지지 고정시키는 힌지(3)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종래 트럭 차량의 적재함 구조는 적재함에 잠금상태에 있는 도어판넬(2)을 잠금해제한 후 도어판넬(2)을 내려 적재함의 바닥판넬(1)이 외부로 들어 내 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바닥판넬(1)에 운반하고자 하는 짐을 실어 놓고 도어판넬(2)을 올려 짐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트럭 차량의 적재함 구조는 적재함 크기가 큰 차량인 경우 도어판넬 자체에 일정한 중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사람이 도어판넬을 열고 닫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중량을 갖는 도어판넬을 열고 닫을 때 무게 하중에 의해 적재함에 큰 충격을 가해지게 되므로 도어판넬에 의해 적재함 파손이 우려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판넬 일측에 링크 연결하여 전후진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중량을 갖는 도어판넬을 작업자 한사람이 열고 닫더라도 한번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잇다.
도 1은 종래의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구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구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바닥판넬 2,11;도어판넬
3,13;힌지 12;연결부재
20;이동바 21;회전링크
22;원호링크 23;삼각링크
31;고정체 32;스프링안내파이프
33;이동축 34;코일스프링
35;스프링시트 36;너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판넬을 작업자 한사람이라도 쉽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 후방에 적재하고자 하는 짐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일정넓이를 갖는 바다판넬(10)과, 상기 바닥판넬(10)의 일측에 연결되어 내부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도어판넬(11)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상기 도어판넬(11)은 일측면에 볼트 고정되는 연결부재(12)와, 하단부에 연결되어 도어판넬(11)이 열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힌지(13)가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판넬(11)의 열고 닫힘는 방향으로 연동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12)의 힌지에 상부가 연결되어 회동하는 이동바(20)와, 상기 이동바(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부가 상하로 반원 회전하도록연결되는 회전링크(21)와, 상기 회전링크(21)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부 일측이 바닥판넬(10)에 볼트고정되는 고정체(31)와, 상기 회전링크(21)의 중앙부위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원호 형성되는 원호링크(22)와, 상기 원호링크(22)의 타측에 일측이 되며 하단부에는 고정체(3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형으로 형성된 삼각링크(23)와, 상기 삼각링크(23)의 타측에 연결되어 전후진하여 이동하는 이동축(33)과 상기 이동축(33)의 타측부의 외주면에 둘러 싸여 이동방향에 연동하여 전후진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스프링안내파이프(32)와, 상기 스프링안내파이프(32)내측 타측부에 이동축(33)을 중앙에 관통하여 연결시키고 일측 상부와 하부에 전후진이 용이하게 코일스프링(34)을 연결하고 타측에는 너트(36)로 조여 상기 코일스프링(3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시트(35)가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판넬을 작업자 한사람이라도 쉽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적재함의 바닥판넬(10)에 적재하고자 하는 짐을 실어 놓거나 내리고자 할 경우 도어판넬(11)을 아래 방향으로 내리게 되면 도어패널 아래에 연결된 힌지와 회전하면서 도어판넬(11)이 아래 회전하면서 열려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어판넬(11)이 회전하게 될 경우 도어판넬(11) 타측에 상부가 연결부재(12)의 힌지에 연결되는 이동바(20)가 아래에 결합된 회전링크(21)를 아래로 끌어 내리면서 아래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링크(21)는 중앙에 결합된 원호링크(21)를 아래로 끌어내리도록 유도하고, 원호링크(21)는 아래로 끌려 내려 오면서 상부에 결합된 삼각링크(23)를 회전시켜 삼각링크(23)에 의해 이동축(33)이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삼각링크(23)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저면에 고정체(31)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시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정체(31)는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좌측을 바닥판넬(10) 저면에 볼트 연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체(31)는 타측에 원통형의 스프링안내파이프(32)를 고정연결하여 스프링안내파이프(32)의 중앙에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축(33)이 지지되어 이동이 원할하도록 하고 이동축(33)의 이동이 원할하도록 스프링시트(35)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34)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도어판넬(11)의 중량을 상쇄시켜 도어판넬(11)이 서서히 열리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도어판넬(11)을 닫게 되면, 이동바(20)가 상승함과 동시에 회전링크(21)가 원회전하게 되고 이때 삼각링크(23)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삼각링크(23)에 의해 이동축(33)이 우측으로 밀려 코일스프링(34)의 압축력이 풀려 도어판넬(11)의 닫힘 상태가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도어판넬 일측에 링크 연결하여 전후진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중량을 갖는 도어판넬을 작업자 한사람이 열고 닫더라도 한번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차량 후방에 적재하고자 하는 짐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일정넓이를 갖는 바다판넬(10)과, 상기 바닥판넬(10)의 일측에 연결되어 내부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도어판넬(11)가 연결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넬(11)은 일측면에 볼트 고정되는 연결부재(12)와, 하단부에 연결되어 도어판넬(11)이 열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힌지(13)와, 상기 도어판넬(11)의 열고 닫힘는 방향으로 연동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12)의 힌지에 상부가 연결되어 회동하는 이동바(20)와, 상기 이동바(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부가 상하로 반원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회전링크(21)와, 상기 회전링크(21)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부 일측이 바닥판넬(10)에 볼트 고정되는 고정체(31)와, 상기 회전링크(21)의 중앙부위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원호 형성되는 원호링크(22)와, 상기 원호링크(22)의 타측에 일측이 되며 하단부에는 고정체(3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형으로 형성된 삼각링크(23)와, 상기 삼각링크(23)의 타측에 연결되어 전후진하여 이동하는 이동축(33)과, 상기 이동축(33)의 타측부의 외주면에 둘러 싸여 이동방향에 연동하여 전후진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스프링안내파이프(32)와, 상기 스프링안내파이프(32)내측 타측부에 이동축(33)을 중앙에 관통하여 연결시키고 일측 상부와 하부에 전후진이 용이하게 코일스프링(34)을 연결하고 타측에는 너트(36)로 조여 상기 코일스프링(3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시트(35)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KR1019990056076A 1999-12-09 1999-12-09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KR100330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076A KR100330896B1 (ko) 1999-12-09 1999-12-09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076A KR100330896B1 (ko) 1999-12-09 1999-12-09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015A KR20010055015A (ko) 2001-07-02
KR100330896B1 true KR100330896B1 (ko) 2002-04-03

Family

ID=1962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076A KR100330896B1 (ko) 1999-12-09 1999-12-09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1838A (zh) * 2022-02-28 2022-09-27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111859A (zh) * 2022-02-28 2022-09-27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111860A (zh) * 2022-02-28 2022-09-27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015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7541A (en) Tail-gate operating and locking mechanism
US6055775A (en) Liftgate self-closing device
US6217097B1 (en) Power operated tailgate
CA2446230A1 (en) Combination pickup truck liftgate/tailgate
US20030165376A1 (en) Extravehicular apparatus for loading and securing cargo
US11725433B2 (en) Electronic actuated tonneau cover striker assembly
US4576541A (en) Safety latch for a cargo platform
KR100330896B1 (ko) 트럭 차량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US6842930B2 (en) Run-off guard for a dock leveler
CN111456559A (zh) 集装箱的箱门自动开关机构
US4762345A (en) Air operated positive lock for refuse trailer and the like
FR2891203A1 (fr) Vehicule equipe d'un toit escamotable a actionnement manuel
JP2004527415A (ja) 貨物船のハッチカバー開閉装置の固定機構
KR200264863Y1 (ko) 화물차 적재함용 2단 접이 덮개의 자동개폐장치
KR20010000020A (ko)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JPS5937252B2 (ja) ダンプトラツクの荷台後部扉跳上げ装置
KR20220001352U (ko) 차량의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KR20220098857A (ko) 트레일러 컨테이너용 도어 장치
KR0136860Y1 (ko) 트럭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JP3490263B2 (ja) あおり扉の開閉機構
KR0164493B1 (ko) 차량 적재함의 테일 게이트 개폐장치
KR19980043689U (ko) 화물차용 사이드 게이트 개폐 보조장치
KR20090114584A (ko) 개폐장치 및 차량의 적재함 개폐장치
JPS62986Y2 (ko)
KR200284186Y1 (ko) 덤프차량의 적재함 뒷문 열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