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214Y1 - 붙임머리용 클립 - Google Patents

붙임머리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214Y1
KR200369214Y1 KR20-2004-0025507U KR20040025507U KR200369214Y1 KR 200369214 Y1 KR200369214 Y1 KR 200369214Y1 KR 20040025507 U KR20040025507 U KR 20040025507U KR 200369214 Y1 KR200369214 Y1 KR 200369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lates
clip
plate
h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옥
Original Assignee
강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옥 filed Critical 강현옥
Priority to KR20-2004-0025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2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2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73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buttons, com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모를 생모에 부착하기 위한 붙임머리용 클립에 관한 것이며, 간단한 조작으로 가모를 생모에 부착할 수 있고, 또한 부착된 가모를 생모에서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붙임머리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호 연결되어 겹쳐지거나 또는 벌어지는 두 플레이트(110a, 110b)와, 두 플레이트(110a, 110b)가 겹쳐진 상태에서 벌어지지 않게 잠금하는 잠금부(111, 112)와, 두 플레이트(110a, 110b) 중에서 어느 한 플레이트(110b)의 내측면에 접착된 가모(2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붙임머리용 클립은 가모를 생모에 장착함에 있어서, 생모를 두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후에 두 플레이트를 상호 겹치도록 가압하면 가모의 장착이 완료되고, 반대로 해체할 경우에는 두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물을 삽입하여 해체한다. 여기에서 언급하는 삽입물은 피시술자의 손톱 정도로서, 가모를 생모에 간편하게 장착 및 해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붙임머리용 클립{Clip for Hair Extension}
본 고안은 가모를 생모에 부착하기 위한 붙임머리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조작으로 가모를 생모에 부착할 수 있고, 또한 부착된 가모를 생모에서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붙임머리(Hair Extension)란, 미국에서 유입된 헤어 어레인지 스타일(Hair Arrange Style)이며, 머리카락이 길어 보이도록 생모에 부착하는 가모를 일컫는다. 붙임머리에 사용되는 가모는 인모 또는 합성섬유를 주로 사용하며, 염색되거나 곱슬하게 파마 처리된 형태를 갖고 있어 생모와 다른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와 같은 붙임머리를 생모에 부착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붙임머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런히 배열된 가모(20)의 일단은 접착제(30)에 의해 부착된다. 여기에서 접착제(30)는 열가소성 수지재로서, 다시 열을 가하면 연화되어 재부착 가능한 수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붙임머리(10)는 가모(20)의 일단이 접착제(30)에 의해 상호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흩어지지 않으며, 응고된 접착제(30)를 변형시키면 접착제(30)의 모양대로 가모(20)들의 배열모양이 변형된다.
즉, 도 1에 보이듯이, 접착제(30)를 'U'의 형태로 변형하게 되면, 접착제에의해 상호 부착된 가모(20)의 배열 또한 접착제(30)의 벤딩된 형태와 같이 'U'의 형태로 변형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붙임머리를 생모에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붙임머리(10)를 부착하고자 하는 생모(40)의 몇 가닥을 추스른 후에, 추스른 생모(40)를 붙임머리(10)의 접착제(30)가 감싸도록 접착제(30)를 벤딩한다. 그리고 생모(40)를 감싸는 붙임머리(10)의 접착제(30)를 가열기(50)로 가압하여 생모(40)를 감싸는 접착제(30)가 연화되어 접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접착제(30)가 연화되어 접합됨으로써, 가모(20)가 접착제(30)에 의해 생모(40)에 부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가모를 생모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함에 있어서, 접착제에 열을 가함에 따라, 생모가 손상되거나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가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접착제가 생모에서 떨어지도록 제거제(Remover)를 생모에 뿌려 접착제의 접착성을 약화시킨 후에 가모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붙임머리를 생모에 장착하거나 제거하기 위해서 화학약품인 접착제 및 제거제를 사용함으로써, 피시술자 및 시술자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가모를 생모에 부착함에 있어 화학적인 방식이 아닌 물리적인 방식으로 가모를 부착함으로써, 붙임머리의 장착 및 해체가 편리하며 인체에 무해하도록 구성한 붙임머리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붙임머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가 부착된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립을 이용하여 붙임머리를 생모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클립을 생모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가모 40 : 생모
100 : 클립 110a, 110b : 플레이트
111 : 래치홀 112 : 래치
115 : 사각 홈 116 : 테두리 벽
117 : 격벽 118a, 118b : 슬롯
119a, 119b : 홈 130 : 접착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호 연결되어 겹쳐지거나 또는 벌어지는 두 플레이트와, 상기 두 플레이트가 겹쳐진 상태에서 벌어지지 않게 잠금하는 잠금부 및, 상기 두 플레이트 중에서 어느 한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접착된 가모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잠금부는, 상기 두 플레이트 중에서 한 쪽 플레이트에 형성된 래치와, 다른 한 쪽 플레이트에 상기 래치와 대응하여 형성된 래치홈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두 플레이트 중에서 어느 한 쪽 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 연장된 2개의 슬롯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어느 한 슬롯은 다른 한 슬롯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두 플레이트 중에서 다른 한 쪽 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 벽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벽 안쪽에는 상기 가모들의 단부가 안쪽에 위치하도록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과 상기 테두리 벽에는 상기 슬롯과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플레이트의 바깥면에는 장식구가 부착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용 클립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가 부착된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립을 이용하여 붙임머리를 생모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B'선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클립을 생모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런히 배열된 가모(20)의 일단에 클립(100)이 부착된다. 클립(100)은 상호 겹치거나 벌어지도록 연결된 두 플레이트(110a, 110b)와, 상기 두 플레이트(110a, 110b)가 겹쳐진 상태로 잠금하는 잠금부인 래치(112)와 래치홈(111)을 포함하며, 두 플레이트(110a, 110b)의 마주하는 내측면 중에서 어느 한 플레이트(110b)의 내측면에 가모(20)가 접착제(130)에 의해 접착되어 부착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붙임머리용 클립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보이듯이, 연결부(120)가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의 일측부를 연결한다. 따라서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는 연결부(120)에 연결된 상태로, 상호 마주하여 포개지거나 또는 벌어진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110a)에는 래치홀(111)이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110b)에는 래치(112)가 형성되며,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가 상호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래치(112)가 래치홀(111)을 관통해 체결된다. 이와 같이 래치(112)가 래치홀(111)을 관통해 체결된 상태에서,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의 사이로 삽입물을 밀어 넣게 되면, 래치(112)가 래치홈(111)에서 해체되어 분리되면서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는 벌어진다. 여기에서 래치(112)는 제2 플레이트(110b)의 내측면에 있어서, 연결부(120)가 연결된 일측부의 반대쪽인 타측부의 상하에 각각 형성되며, 래치홈(111) 또한 래치(112)와 대칭되게 제1 플레이트(110a)에 형성된다.
한편, 제1 플레이트(110a)의 마주하는 내측면 중간부에는 사각 홈(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각 홈(115)에서 제1 플레이트(110a)의 가장자리로 슬롯(118a, 118b)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롯(118a, 118b)은 연결부(120)가 연결된 제1 플레이트(110a)의 일측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데, 연결부(120)가 연결된 제1 플레이트(110a)의 일측부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한 제1 플레이트(110a)의 양 두 측부를 향해서, 사각 홈(115)에서 양 측부로 뻗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110b)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플레이트(110b)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 벽(116)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벽(116)의 안쪽에는 두 격벽(117)이 제1 플레이트(110a)의 사각 홈(115)과 대응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테두리 벽(116)과 격벽(117)에는 홈(119a, 119b)이 상기 제1 플레이트(110a)의 슬롯(118a, 118b)과 대응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립(100)에 있어서, 가지런히 배열된 가모(20)의 일단은 제2 플레이트(110b)의 두 격벽(117)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접착제(130)에 의해 부착 고정된다. 이런 상태에서 가모(20)는 격벽(117) 및 테두리 벽(116)에 형성된 홈(119a)에 위치하여 제2 플레이트(110b)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한편, 제1 플레이트(110a)에 형성된 슬롯(118a, 118b) 및 제2 플레이트(110b)에 형성된 홈(119a, 119b)의 직경에 있어서, 가모(20)가 위치하는 슬롯(118a) 및 홈(119a)의 직경이 반대쪽 슬롯(118b) 및 홈(119b)의 직경 보다 크다. 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모(40)에 클립(100)을 장착하였을 때에, 가모(20)가 위치한 슬롯(118a) 및 홈(119a)에는 생모(40)와 가모(20)가 함께 위치하지만, 반대쪽 슬롯(118b) 및 홈(119b)에는 생모(40)만 위치하기 때문에, 홈(119a, 119b)과 슬롯(118a, 118b) 끼리의 직경에는 차이가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붙임머리용 클립의 장착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모(20)를 연장하고자 하는 생모(40)의 몇 가닥을 추슬러 다른 머리카락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클립(100)의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를 벌린 상태에서, 추스른 머리카락이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보이듯이, 래치(112)가 래치홈(111)에 삽입되도록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를 겹쳐서 클립(100)을 생모(40)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가 겹쳐 장착되면서,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의 사이에 생모(40)가 위치한다. 생모(40)는 제2 플레이트(110b)의 테두리 벽(116)과 제1 플레이트(110a)의 마주하는 면 사이에 위치하여 가압되고, 클립(100)은 가압력에 의해 생모(40)에 고정되며, 가모(20)는 생모(40)에 연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장착된 가모(20)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삽입물을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의 사이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래치(112)가 래치홈(111)에서 분리되어 해체됨으로써,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는 벌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삽입물로서, 피시술자 또는 시술자의 손톱이 적당한다. 이와 같이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가 벌어지게 되면서 가모(20)는 생모(40)에서 분리되어 제거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0)을 생모(40)에 장착함에 있어서, 심한 움직임이나 운동 시에 클립(100)이 생모(40)에서 빠질 수 있다고 판단되면, 제1, 제2 플레이트(110a, 110b)를 벌린 상태에서 생모(40)가 연결부(120)를 한 번 감싼 후에 클립(100)을 장착함으로써, 클립(100)이 생모(4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플레이트(110a)와 제2 플레이트(110b)의 바깥면에 큐빅이나 액세서리와 같은 장식구를 부착함으로써, 클립(100)을 생모(40)에 장착하였을 때에, 머리카락 사이로 장식구가 나오게 구성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붙임머리용 클립은 가모를 생모에 장착함에 있어서, 생모를 두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후에 두 플레이트를 상호 겹치도록 가압하면 가모의 장착이 완료되고, 반대로 해체할 경우에는 두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물을 삽입하여 해체한다. 여기에서 언급하는 삽입물은 피시술자의 손톱 정도로서, 가모를 생모에 간편하게 장착 및 해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붙임머리용 클립은 화학적인 방법이 아닌 물리적인 방법으로 가모를 생모에 장착 및 해체함으로서, 생모의 손상을 방지하며, 또한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는 화학물질을 다루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붙임머리용 클립은 두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장식물을 부착하여 가모를 생모에 장착함과 동시에, 장식물을 머리에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붙임머리용 클립을 가발에 장착하여 실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 헤어 커팅용 가발은 한 번 실습하고 나면, 가모가 짧아져 재사용할 수 없었으나, 본 고안의 붙임머리용 클립을 가발의 가모에 장착함으로써, 가발의 가모를 연장시켜 재실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붙임머리용 클립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상호 연결되어 겹쳐지거나 또는 벌어지는 두 플레이트와,
    상기 두 플레이트가 겹쳐진 상태에서 벌어지지 않게 잠금하는 잠금부 및,
    상기 두 플레이트 중에서 어느 한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접착된 가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용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두 플레이트 중에서 한 쪽 플레이트에 형성된 래치와, 다른 한 쪽 플레이트에 상기 래치와 대응하여 형성된 래치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용 클립.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플레이트 중에서 어느 한 쪽 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 연장된 2개의 슬롯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어느 한 슬롯은 다른 한 슬롯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용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 플레이트 중에서 다른 한 쪽 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 벽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벽 안쪽에는 상기 가모들의 단부가 안쪽에 위치하도록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과 상기 테두리 벽에는 상기 슬롯과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용 클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바깥면에는 장식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용 클립.
KR20-2004-0025507U 2004-09-06 2004-09-06 붙임머리용 클립 KR200369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507U KR200369214Y1 (ko) 2004-09-06 2004-09-06 붙임머리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507U KR200369214Y1 (ko) 2004-09-06 2004-09-06 붙임머리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214Y1 true KR200369214Y1 (ko) 2004-12-03

Family

ID=4935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507U KR200369214Y1 (ko) 2004-09-06 2004-09-06 붙임머리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2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7061A1 (en) * 2007-04-17 2008-10-23 Ferra Art Co, Ltd. Apparatus for fixing wig and wig
KR101857196B1 (ko) * 2016-02-26 2018-05-11 김주용 붙임머리 시술기구 및 붙임머리 시술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7061A1 (en) * 2007-04-17 2008-10-23 Ferra Art Co, Ltd. Apparatus for fixing wig and wig
KR101857196B1 (ko) * 2016-02-26 2018-05-11 김주용 붙임머리 시술기구 및 붙임머리 시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559B2 (en) Hair extension system
EP1651070B1 (en) Extension hair having guide loop
US9027571B2 (en) Tool for separating a hair bundle
JP2012508834A (ja) ヘアーエクステンション
ITRM20010317A1 (it) Metodo per infoltire una capigliatura e assieme di ciocche adatto ad essere impiegato in detto metodo.
JP2007196016A (ja) 髪束を分離させるための用具
KR200369214Y1 (ko) 붙임머리용 클립
KR101146751B1 (ko) 다단 붙임머리
KR100533867B1 (ko) 인조손톱세트의 제조방법
JP4576634B2 (ja) 毛髪用止着具、この止着具を用いたかつら及びその装着方法
KR100787697B1 (ko) 붙임머리
KR101905132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US7213602B2 (en) Multiple band hair fastener
JP2007262646A (ja) 自毛束・毛髪用繊維束結合構造及び自毛束・毛髪用繊維束結合方法
JP3711133B2 (ja) 付け毛用毛束ユニット及びその毛束固着方法
KR200369180Y1 (ko) 가발
KR20100043588A (ko) 장식 부착형 머리끈
JP2004308088A (ja) 毛髪の編付け法
US9987837B2 (en) Adhesive film remover
KR200181062Y1 (ko) 장식용 헤어클립
JP2004156157A (ja) エクステンションの取付方法
JP6979243B1 (ja) 紐係止具
JPH1053910A (ja) 人工毛結着方法及び増毛具
KR100498160B1 (ko) 가발의 부착방법 및 그 가발
JP2005213713A (ja) 毛髪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