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083Y1 -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 Google Patents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083Y1
KR200369083Y1 KR20-2004-0025106U KR20040025106U KR200369083Y1 KR 200369083 Y1 KR200369083 Y1 KR 200369083Y1 KR 20040025106 U KR20040025106 U KR 20040025106U KR 200369083 Y1 KR200369083 Y1 KR 200369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blade
document shredder
cutting devic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공
Original Assignee
(주)대진코스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코스탈 filed Critical (주)대진코스탈
Priority to KR20-2004-0025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0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46Shape or construction of frames, housings o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절단칼날이 일체로 형성된 절단칼날부를 절단장치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시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개구된 문서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상단에 절단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절단장치의 하단부에 폐지함이 형성된 일반적인 문서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에서 가이드프레임에의해 절단칼날이 일체로 형성된 절단칼날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에 의하면 문서세단기의 절단장치에 형성된 절단칼날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고장시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CUTTER SEPERATABLE PAPER SHREDDER}
본 고안은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절단칼날이 일체로 형성된 절단칼날부를 절단장치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시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문서세단기는 사무실이나 은행 등에서 보안을 요하는 문서나 거래명세서 및 마이크로 필름 등을 잘게 절단하거나, 골판지 박스나 폐지 등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잘게 절단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문서세단기는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절단칼날이 한쌍의 커터축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호교차회전되면서 문서투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문서를 잘게 절단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문서세단기의 내부에 형성된 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상기 절단장치는 상호 교차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쌍의 축에 다수개의 절단칼날이 형성된 절단칼날부(200)와 모터(400)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400)에서부터 절단칼날부와 연결된 한쌍의 축을 연결하는 치차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문서세단기의 절단장치가 오랜사용이나, 과부하로 인하여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 절단장치의 무게가 무거워서 사후관리 즉 A/S(After Service)를 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절단장치가 형성된 문서세단기에 있어서, 절단장치의 절단칼날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시 수리가 용이한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문서세단기의 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의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의 절단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폐문서
30 : 문서투입구 50 : 폐지함
100 : 절단장치 130 : 칸막이
200 : 절단칼날부 210 : 비틀림방지턱
220 : 절단칼날 230 : 가이드프레임
300 : 몸체프레임 310 : 플랜지
400 : 모터 500 : 치차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고안은 상부에 개구된 문서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상단에 절단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절단장치의 하단부에 폐지함이 형성된 일반적인 문서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는 상하부가 개봉되고, 내부 중앙에는 칸막이가 형성되며, 문서세단기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전방 측면이 직사각형으로 절단된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칸막이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칸막이의 전방에 절단칼날이 상호교차하도록 형성된 절단칼날부와;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측에 모터축과 절단칼날축을 연결하는 치차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절단칼날부는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좌우측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프레임을 관통하여 두개의 절단칼날축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절단칼날축에는 다수개의 절단칼날이 상호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단칼날축의 상단에는 각각의 절단칼날 사이에 삽입된 칼날가이드가 설치되는 두개의 칼날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절단칼날축의 끝단은 상기 치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에 개구된 문서투입구(30)가 형성되고, 내부상단에 절단장치(100)가 구비되며, 상기 절단장치(100)의 하단부에 폐지함(50)이 형성된 일반적인 문서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100)는 상하부가 개봉되고, 내부 중앙에는 칸막이(130)가 형성되며, 문서세단기의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하단에 플랜지(310)가 형성되고, 전방측면이 직사각형으로 절단된 몸체프레임(300)과; 상기 몸체프레임(300)의 칸막이(130)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400)와; 상기 몸체프레임(300)의 전방측면에 절단된 공간에 삽입되어 상단 플랜지(310)에 고정되는 절단칼날부(200)와; 상기 몸체프레임(300)의 일측에 모터(400)의 축과 절단칼날부(200)의 절단칼날축을 연결하는 치차부(50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절단칼날부(200)는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좌우측의 가이드프레임(230)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프레임(230)을 관통하여 두개의 절단칼날축(501)이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절단칼날축(501)에는 다수개의 절단칼날(220)이 상호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단칼날축(501)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30)의 일측에 치차부(500)와 연결되고, 두개의 칼날가이드축(261)이 형성되어 각각의 절단칼날(220)과 절단칼날(220) 사이에 칼날가이드(26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30)은 상단이 ㄱ자 형상으로 꺽여진 패널로 측면에 일부분이 돌출된 비틀림방지턱(210)이 형성되고, 꺽여진 상단에는 다수개의 고정홀(240)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프레임(300)의 플랜지(31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치차부(500)는 모터(400)와 결합되어 몸체프레임(300)의 측면으로 튀어나온 모터축(502)에 치차(500b)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30)의 외부에는 상기 치차(500b)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하나의 절단칼날축(501)의 끝단에 동일한 크기의 치차(500a)가 형성되고, 동일 절단칼날축(501)에 크기가 작은 또다른 치차(500c)가 형성되며, 또다른 절단칼날축(501)에는 상기 치차(500c)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동일한 크기의 치차(500d)가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의 작동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와 같이 폐문서(20)를 상기 문서투입구(30)로 인입하면 모터(400)가 회전하면서 치차부(500)를 회전시켜 절단칼날부(200)에 형성된 절단칼날(220)이 상호회전하면서 폐문서(20)가 절단되어 폐지함(50)에 쌓이게 된다.
상기 문서세단기가 고장이 나게 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절단칼날부(200)와 몸체프레임(300)이 연결고정된 고정홀(240,320)에 결합된 볼트(510)를 제거하고 절단칼날부(200)를 분리하여 손쉽게 수리할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에 의하면, 문서세단기의 절단장치에 형성된 절단칼날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고장시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에 개구된 문서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상단에 절단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절단장치의 하단부에 폐지함이 형성된 일반적인 문서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는 상하부가 개봉되고, 내부 중앙에는 칸막이가 형성되며, 문서세단기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전방 측면이 직사각형으로 절단된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칸막이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칸막이의 전방에 절단칼날이 상호교차하도록 형성된 절단칼날부와;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측에 모터축과 절단칼날축을 연결하는 치차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절단칼날부는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좌우측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프레임을 관통하여 두개의 절단칼날축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절단칼날축에는 다수개의 절단칼날이 상호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단칼날축의 상단에는 각각의 절단칼날 사이에 삽입된 칼날가이드가 설치되는 두개의 칼날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절단칼날축의 끝단은 상기 치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단이 ㄱ자 형상으로 꺽여진 패널로 측면에 일부분이 돌출된 비틀림방지턱이 형성되고, 꺽여진 상단에는 다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프레임의 플랜지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KR20-2004-0025106U 2004-09-01 2004-09-01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KR200369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106U KR200369083Y1 (ko) 2004-09-01 2004-09-01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106U KR200369083Y1 (ko) 2004-09-01 2004-09-01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083Y1 true KR200369083Y1 (ko) 2004-12-04

Family

ID=4944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106U KR200369083Y1 (ko) 2004-09-01 2004-09-01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083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63B1 (ko) 2009-02-07 2009-10-22 (주)대진코스탈 커터날의 위치교정구가 형성된 문서세단기용 절단장치의 동력전달구
KR100960678B1 (ko) * 2008-06-09 2010-05-31 주식회사 이륜 세단기
KR102011768B1 (ko) 2018-10-31 2019-08-19 주식회사 정신 집진 기능을 구비한 문서 세단기
KR20200049146A (ko)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정신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KR102124969B1 (ko) * 2019-12-11 2020-06-22 (주)대진코스탈 문서세단기용 균일절단방식 절단장치
KR102240929B1 (ko) * 2019-12-11 2021-04-16 (주)대진코스탈 커터축휨방지 절단칼날가이드가 채용된 문서세단기
KR102254720B1 (ko) 2020-09-03 2021-05-21 주식회사 정신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KR102266254B1 (ko) 2020-12-15 2021-06-17 주식회사 정신 문서 세단기의 문서 매수감지장치
KR20210097889A (ko) 2020-01-31 2021-08-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종이먼지를 정화해주는 세단기
KR20220033362A (ko) * 2020-09-09 2022-03-16 (주)프린스시스템 문서 세단기용 스페이서 및 그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KR102426379B1 (ko) 2022-02-16 2022-07-29 (주)대진코스탈 커팅블록 분리형 문서세단기
KR102605433B1 (ko) * 2023-07-06 2023-11-24 주식회사 정신 문서 세단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678B1 (ko) * 2008-06-09 2010-05-31 주식회사 이륜 세단기
KR100923063B1 (ko) 2009-02-07 2009-10-22 (주)대진코스탈 커터날의 위치교정구가 형성된 문서세단기용 절단장치의 동력전달구
KR102011768B1 (ko) 2018-10-31 2019-08-19 주식회사 정신 집진 기능을 구비한 문서 세단기
KR20200049146A (ko)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정신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KR102124969B1 (ko) * 2019-12-11 2020-06-22 (주)대진코스탈 문서세단기용 균일절단방식 절단장치
KR102240929B1 (ko) * 2019-12-11 2021-04-16 (주)대진코스탈 커터축휨방지 절단칼날가이드가 채용된 문서세단기
KR20210097889A (ko) 2020-01-31 2021-08-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종이먼지를 정화해주는 세단기
KR102254720B1 (ko) 2020-09-03 2021-05-21 주식회사 정신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KR20220033362A (ko) * 2020-09-09 2022-03-16 (주)프린스시스템 문서 세단기용 스페이서 및 그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KR102514944B1 (ko) * 2020-09-09 2023-03-29 주식회사 오피스 케이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KR102266254B1 (ko) 2020-12-15 2021-06-17 주식회사 정신 문서 세단기의 문서 매수감지장치
KR102426379B1 (ko) 2022-02-16 2022-07-29 (주)대진코스탈 커팅블록 분리형 문서세단기
KR102605433B1 (ko) * 2023-07-06 2023-11-24 주식회사 정신 문서 세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9083Y1 (ko)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US6065696A (en) Dual function paper shredder
US9610585B2 (en) Shredder support frame
CN110142108B (zh) 一种自动碎纸机
KR100876959B1 (ko) 커터축 개별구동방식 문서세단기
KR101839516B1 (ko) 폐타이어 분쇄 장치
KR200385106Y1 (ko)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문서세단기
JP5225719B2 (ja) 粉砕機
CN210357412U (zh) 一种自动碎纸机
KR100660647B1 (ko) 이중세단방식 문서세단기
KR100942473B1 (ko) 여러 종류의 절단칼날이 형성된 문서세단기
KR102226030B1 (ko) 문서 세단기
KR101749575B1 (ko) 문서 세단기
KR200405521Y1 (ko) 칩분산장치가 형성된 문서세단기
KR200384232Y1 (ko) 문서세단기용 칩분산장치
KR200414952Y1 (ko) 문서세단기
KR100896348B1 (ko) 문서세단기 회전축의 휨 방지장치
KR20080089102A (ko) 클리닝기능이 포함된 문서세단기
KR200455269Y1 (ko) 삼중세단방식 문서세단기
KR101733030B1 (ko) 문서 세단기
KR100696581B1 (ko) 문서세단기 커터의 변형방지장치
KR200385043Y1 (ko)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
KR100824295B1 (ko) 롤형 폐지봉투가 형성된 문서세단기
KR200370537Y1 (ko) 이중세단방식 문서세단기
KR102240929B1 (ko) 커터축휨방지 절단칼날가이드가 채용된 문서세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