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043Y1 -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 - Google Patents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043Y1
KR200385043Y1 KR20-2005-0005539U KR20050005539U KR200385043Y1 KR 200385043 Y1 KR200385043 Y1 KR 200385043Y1 KR 20050005539 U KR20050005539 U KR 20050005539U KR 200385043 Y1 KR200385043 Y1 KR 200385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document
cut
spiral blade
noo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공
Original Assignee
(주)대진코스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코스탈 filed Critical (주)대진코스탈
Priority to KR20-2005-0005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0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0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서세단기용 절단칼날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누들형태로 절단된 폐지를 다시 절단하는 스파이럴칼날의 끝단 외주연에 단턱을 형성시켜 폐지가 원활히 절단되도록 한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개의 누들칼날이 한쌍의 커터축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호교차회전되면서 문서투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폐문서를 잘게 절단하고, 상기 누들칼날의 하단에 누들칼날에 의해 절단된 폐문서를 고정칼날과 인접하여 회전하는 스파이럴칼날에 의해 다시 절단하도록 형성된 일반적인 문서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칼날은 5개~6개의 칼날이 축으로 부터 70도~80도를 이루면서 나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칼날의 끝단에는 경사면과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에 의하면 누들칼날에 의해 절단된 폐문서가 절단되지 않고 스파이럴칼날의 칼등을 타고 넘어가지 않아서 폐문서칩의 크기가 정확할 뿐만아나라 폐문서칩의 배출이 원활하여 구동모터의 부하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STRUCTURE OF CUTTER FOR PAPER SHREDDER}
본 고안은 문서세단기용 절단칼날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누들형태로 절단된 폐지를 다시 절단하는 스파이럴칼날의 끝단 외주연에 단턱을 형성시켜 폐지가 원활히 절단되도록 한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문서세단기는 사무실이나 은행 등에서 보안을 요하는 문서나 거래명세서 및 마이크로 필름 등을 잘게 절단하거나, 골판지 박스나 폐지 등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잘게 절단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문서세단기는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절단칼날이 한쌍의 커터축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호교차회전되면서 문서투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문서를 잘게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문서세단기는 한번에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칼날을 제작하여 1단계로 절단하는 방식이거나, 두껍거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절단칼날을 누들칼날과 스파이럴칼날 두단계로 제작하여 2단계로 절단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2단계로 절단하는 방식의 문서세단기는 문서투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문서를 상호교차회전되면서 일자형태로 폐문서를 절단하는 누들칼날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누들칼날에 의해서 일자로 절단된 폐지를 다시 절단하는 스파이럴칼날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파이럴칼날은 누들칼날에서 누들(noodle)형태로 절단된 폐문서가 다시 절단되는데, 이때 누들형태로 절단된 폐문서가 스파이럴 칼날의 칼등을 타고 넘어가거나 폐문서칩의 배출이 잘 되지 않아서 필요한 크기의 폐문서칩을 얻을 수 없고, 구동모터나 기타 장치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스파이럴칼날의 끝단외주연에 단턱을 형성하여 폐문서가 절단되지 않고 칼등을 타고 넘어가지 않도록 하고, 폐문서칩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문서세단기의 절단칼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다수개의 누들칼날이 한쌍의 커터축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호교차회전되면서 문서투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폐문서를 잘게 절단하고, 상기 누들칼날의 하단에 누들칼날에 의해 절단된 폐문서를 고정칼날과 인접하여 회전하는 스파이럴칼날에 의해 다시 절단하도록 형성된 일반적인 문서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칼날은 5개~6개의 칼날이 축으로 부터 70도~80도를 이루면서 나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칼날의 끝단에는 경사면과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개의 누들칼날(200)이 한쌍의 축(210)에 고정되어 구동모터(20)에 의해 상호교차회전되면서 문서투입구(30)를 통해 인입되는 폐문서(50)를 잘게 절단하고, 상기 누들칼날(200)의 하단에 누들칼날(200)에 의해 절단된 폐문서(50)를 고정칼날(180)과 인접하여 회전하는 스파이럴칼날(100)에 의해 다시 절단하도록 형성된 일반적인 문서세단기(10)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칼날(100)은 5개~6개의 칼날(120)이 축으로 부터 70도~80도를 이루면서 나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칼날(120)의 끝단에는 경사면(130)과 단턱(132)이 형성된다.
상기 누들칼날(200)은 일정한 폭을 가진 원판형태의 다수개의 칼날이 상호교차할 수 있도록 두개의 축(210)에 형성되어 구동모터(20)에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폐문서(50)를 길이방향으로 누들(noodle)형태로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누들칼날(200)에 의해 절단된 폐문서(50)는 하단에 형성된 스파이럴칼날(10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스파이럴칼날(100)은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폐문서를 짧게 절단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스파이럴칼날(100)은 외주연이 고정칼날(180)의 끝단과 맞닿아 형성되어 스파이럴칼날(100)과 고정칼날(180)사이에서 누들칼날(200)에 의해서 절단된 폐문서(50)가 짧게 절단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파이럴칼날(100)은 가운데에 연결축(101)이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다수개의 칼날(120)이 나선형(spiral type)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칼날(120)이 연결축(101)과 나선형으로 형성될 때 이루는 각도 즉 스파이럴각(125)은 70~80도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스파이럴각(125)이 70도 이하로 형성되면 폐문서칩(55)의 크기의 정확도를 맞출 수가 없고, 만약 80도 이상으로 형성되면 한꺼번에 많은 누들칼날(200)에 의해 절단된 폐문서(50)가 절단되기 때문에 구동모터(20)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75도가 적당하다.
상기 스파이럴칼날(100)의 칼날(120)은 폐문서칩(55)의 크기에 따라서 그 개수를 달리 할 수 있으나, 개수가 많아지면 구동모터(20)의 부하가 그만큼 커지게 되기 때문에 6개가 적당하다.
상기 스파이럴칼날(100)의 단면의 형상은 가운데에 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칼날(120)이 방사형으로 6개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칼날(120)의 끝단에는 경사면(130)과 단턱(132)이 형성되고, 각각의 칼날(120)이 만나는 가운데 부분에는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폐문서칩(55)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턱(132)은 칼날(120)의 끝단 일측에 일부가 돌출된 것인데, 상기 단턱(132)의 끝단은 원주의 형태와 동일하게 곡면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경사면(130)과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상기 경사면(130)은 단턱(132)의 하단과 연결되어 단턱의 외각접선과 일정한 경사각(135)을 이루는데, 상기 경사각(135)은 폐문서칩(55)의 배출에 영향을 미친다.
본 고안은 많은 시험을 거쳐서 상기 단턱(132)의 폭은 상기 1.5mm가 적당하고, 상기 경사각(135)이 20도 ~ 25도일 때 폐문서칩(55)의 배출이 가장 원할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에 의하면 누들칼날에 의해 절단된 폐문서가 절단되지 않고 스파이럴칼날의 칼등을 타고 넘어가지 않아서 폐문서칩의 크기가 정확할 뿐만아나라 폐문서칩의 배출이 원활하여 구동모터의 부하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A-A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설치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문서세단기 20 : 구동모터
30 : 문서투입구 100 : 스파이럴칼날
120 : 칼날 125 : 스파이럴각
130 : 경사면 132 : 단턱
135 : 경사각 180 : 고정칼날
200 : 누들칼날 210 : 축

Claims (3)

  1. 다수개의 누들칼날이 한쌍의 커터축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호교차회전되면서 문서투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폐문서를 잘게 절단하고, 상기 누들칼날의 하단에 누들칼날에 의해 절단된 폐문서를 고정칼날과 인접하여 회전하는 스파이럴칼날에 의해 다시 절단하도록 형성된 일반적인 문서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칼날은 적어도 5~6개의 칼날이 축으로 부터 70도~80도를 이루면서 나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칼날의 끝단에는 경사면과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칼날의 단턱은 끝단 일측에 일부가 돌출된 것인데, 상기 단턱의 끝단은 원주의 형태와 동일하게 곡면으로 형성되고, 폭이 1.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칼날의 경사면은 단턱의 외각접선과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각은 20~2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
KR20-2005-0005539U 2005-03-02 2005-03-02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 KR200385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539U KR200385043Y1 (ko) 2005-03-02 2005-03-02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539U KR200385043Y1 (ko) 2005-03-02 2005-03-02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043Y1 true KR200385043Y1 (ko) 2005-05-24

Family

ID=4368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539U KR200385043Y1 (ko) 2005-03-02 2005-03-02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0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795B1 (ko) 2012-05-24 2014-03-17 (주)정일기계 파쇄기의 파쇄로터
CN110339925A (zh) * 2019-07-10 2019-10-18 大连恒康电子有限公司 高保密碎纸机的机芯组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795B1 (ko) 2012-05-24 2014-03-17 (주)정일기계 파쇄기의 파쇄로터
CN110339925A (zh) * 2019-07-10 2019-10-18 大连恒康电子有限公司 高保密碎纸机的机芯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1747B2 (en) Blade pairs for a paper shredder
US20070063084A1 (en) Cutter blade for shredder
KR200385043Y1 (ko) 문서세단기용 스파이럴칼날의 구조
US11602101B2 (en) Crusher
GB2230489A (en) Cutter for shredder
JP2009287131A (ja) パルパー製造装置用のロータ及びそのようなロータを備えるパルパー装置
US6513740B2 (en) Blade of a paper shredder
US20070295845A1 (en) Round undulating blade, blade module, and rotary assembly for shredder
KR200369083Y1 (ko)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EP0291227B1 (en) Apparatus for crushing things
US7500629B2 (en) Shredder bla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3195524B2 (ja) 一軸破砕機
US7766265B2 (en) Swinging device for increasing capacity of trash bin
KR20150003945U (ko) 문서세단기용 절단칼날
JP3287790B2 (ja) 1軸破砕機
KR20150014239A (ko) 문서세단기용 절단칼날
JP6507494B2 (ja) カード細断装置
KR200428850Y1 (ko) 저장매체 절단장치가 구비된 문서세단기
KR200315510Y1 (ko) 문서 세단기용 커터
KR100660647B1 (ko) 이중세단방식 문서세단기
KR101144194B1 (ko) 여러 칼날을 이용한 수동 문서세단기
KR100942473B1 (ko) 여러 종류의 절단칼날이 형성된 문서세단기
US8382020B2 (en) Strengthened cutting device for a crosscut shredder
JP2005161297A (ja) 破砕機及び破砕作業車
JP3200545B2 (ja) 一軸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