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146A -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146A
KR20200049146A KR1020180132069A KR20180132069A KR20200049146A KR 20200049146 A KR20200049146 A KR 20200049146A KR 1020180132069 A KR1020180132069 A KR 1020180132069A KR 20180132069 A KR20180132069 A KR 20180132069A KR 20200049146 A KR20200049146 A KR 20200049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overload
motor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신
Priority to KR102018013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9146A/ko
Publication of KR20200049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38Motor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는 모터의 과부하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와, 상기 과부하 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의 과부하를 경고하는 경고부와, 상기 제어유닛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문서 투입구로 투입되는 문서의 최대 매수를 단계적으로 표시하여 투입 매수를 조절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문서 매수 표시부로 구성되어,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Description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OVERLOAD DETECTION DEVICE FOR PAPER SHREDDER}
본 발명은 투입하는 문서의 매수를 조절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감지하고, 방지하는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 세단기는 사무실이나 은행 등에서 보안을 요하는 문서나 거래 명세서 및 마이크로 필름 등을 잘게 절단하여 보안을 유지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문서 세단기는 다수개의 절단 칼날이 한 쌍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호 교차 회전되면서 문서 투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문서를 잘게 절단한다.
종래의 문서 세단기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9083(2004년 11월 22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된 문서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 상단에 절단장치가 구비되며, 절단장치의 하단부에 폐지함이 구비되고, 절단장치는 상하부가 개봉되고, 내부 중앙에는 칸막이가 형성되며, 문서 세단기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전방 측면이 직사각형으로 절단된 몸체 프레임과, 몸체 프레임의 칸막이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와, 칸막이의 전방에 절단 칼날이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된 절단 칼날부와, 몸체 프레임의 일측에 모터축과 절단 칼날축을 연결하는 치차부로 구성되는데, 절단 칼날부는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좌우측의 가이드 프레임과, 각각의 가이드 프레임을 관통하여 두 개의 절단 칼날축이 형성되고, 각각의 절단 칼날축에는 다수개의 절단 칼날이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절단 칼날축의 상단에는 각각의 절단 칼날 사이에 삽입된 칼날가이드가 설치되는 두 개의 칼날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각각의 절단 칼날축의 끝단은 치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서 세단기는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절단 칼날부에 종이 찌꺼기나 분진이 끼거나 절단 칼날부의 칼날이 무뎌짐에 따라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고, 모터의 과부하로 인하여 모터가 손상되거나 화재가 발생될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9083(2004년 11월 22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부하를 측정하여 모터의 부하에 따라 투입하는 문서의 매수를 조절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감지하고 방지하는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면 이를 경고하여 모터 과부하 발생 조건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모터를 보호하고 모터가 과부하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는 모터의 과부하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와, 상기 과부하 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의 과부하를 경고하는 경고부와, 상기 제어유닛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문서 투입구로 투입되는 문서의 최대 매수를 단계적으로 표시하여 투입 매수를 조절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문서 매수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부하 감지부는 모터의 동작전압을 감지하는 엔코더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서 투입구로 투입되는 문서의 매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유닛으로 알려주는 문서 매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서 매수 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은 정상 매수 이상의 매수가 투입되면 상기 문서 매수 표시부에 정상 매수 이상인 것을 표시하고, 경고부를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정상 매수 이상 투입되는 것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과부하 감지부에서 인가되는 모터의 사용전압이 기준압을 초과하면, 문서 매수 표시부에 정상 매수보다 작은 제1매수를 표시하고, 제1매수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모터의 사용전압이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제1매수보다 작은 제2매수를 문서 매수 표시부에 표시하고, 제2매수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모터의 사용전압이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제2매수보다 작은 제3매수를 문서 매수 표시부에 표시하고, 경고부를 작동시켜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모터의 과부하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서 세단기는 모터의 부하를 감지하여 모터의 부하에 따라 적정 문서 투입량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문서 투입량에 맞게 문서를 투입하도록 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면 사용자에게 경고하여 모터의 과부하 발생조건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모터 과부하 감지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는 문서가 투입되어 세단되는 문서 세단룸(12)과, 문서 세단룸(12)의 하측에 설치되고 문서 세단룸(12)에서 파쇄된 문서가 저장되는 저장통(16)이 수납되는 저장통 수납룸(14)가 형성되는 세단기 본체(10)와, 세단기 본체(10)의 상면에 개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문서를 투입하는 문서 투입구(22)가 형성되는 커버(20)와, 세단기 본체(10)의 문서 세단룸(12)에 고정되는 프레임(30)과, 프레임(30)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문서를 파쇄하는 절단 칼날(42,44)과, 프레임(30)에 장착되어 절단 칼날(42,44)을 구동하는 모터(50)와, 모터(50)에 과부하가 발생되면 이를 경고하고 모터의 부하에 따라 문서 투입구로 투입되는 문서 매수를 표시하는 과부하 감지장치를 포함한다.
문서 투입구(22)는 세단기 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되는 커버(20)에 형성되고, 커버(20)의 내면에는 문서 투입구(22)로 투입된 문서를 절단 칼날(42,44)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가 형성된다.
절단 칼날(42,44)은 제1절단 칼날(42)과 제1절단 칼날(42)과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절단 칼날(44)을 포함하고, 제1절단 칼날(42)은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회전축(46)에 복수로 고정되고, 제2절단 칼날(44)은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회전축(48)에 복수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절단 칼날(42)과 제2절단 칼날(44)이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제1절단 칼날(42)과 제2절단 칼날(44) 사이로 문서가 투입되면 문서를 파쇄한다.
그리고, 프레임(30)의 일측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0)가 장착되고, 모터(50)의 구동력을 제1회전축(46) 및 제2회전축(48)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이 장착된다.
프레임(30)은 상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절단 칼날(42,44)이 장착되는 제1공간부(72)와, 구동모터(50)가 장착되는 제2공간부(74)가 격벽(76)에 의해 구획된다.
과부하 감지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0)의 과부하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92)와, 과부하 감지부(92)에서 인가되는 사용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유닛(90)과, 제어유닛(9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50)의 과부하를 경고하는 경고부(82)와, 제어유닛(9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문서 투입구(22)로 투입되는 문서 매수를 표시하는 문서 매수 표시부(80)를 포함한다.
과부하 감지부(92)는 모터(50)의 동작전압을 감지하는 모터 전압 감지부이고, 일 예로, 엔코더 센서가 사용되어, 인터럽트당 PWM 제어 신호의 듀티(Duty)비를 변경하여 모터의 동작전압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과부하 감지부(92)에서 모터(50)의 동작전압을 감지하여 제어유닛(90)으로 인가하면 제어유닛(90)은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과부하 감지부(92)에서 인가되는 모터(50)의 동작전압을 비교하여 동작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을 경우 모터(50)에 과부하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경고부(82)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도록 경고등이 점등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고, 경고부(82)는 문서 세단기를 관리하는 관리자(96)에게 경고신호를 보낼 수 있다.
즉, 경고부(82)의 신호가 관리자 서버로 인터넷이나 무선 등의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되면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문서 매수 표시부(80)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어, 모터(50)가 정상적으로 작동중일 때에는 문서의 매수는 최대 투입매수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최대 매수 이상으로 문서 투입구로 투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절단 칼날(42,44) 사이로 투입되는 문서의 매수가 설정 매수 이상 초과하게 되면 절단 칼날이 손상될 수 있고,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매수 이상 투입되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정상 투입 매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문서 투입구(22)와 연결되는 가이드부(24)에는 문서매수 감지부(84)가 설치되어 문서의 매수가 정상매수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유닛(90)으로 인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감지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모터(50)의 부하가 정상일 경우, 문서 매수 표시부(80)에는 문서 정상매수가 표시된다. 이때, 문서가 정상매수 이상 투입되면 문서 매수 감지부(84)에서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유닛(90)으로 인가하고, 제어유닛(90)은 문서 매수 표시부(80)에 정상 매수 이상으로 표시하고, 경고부(82)를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정상 매수 이상 투입되고 있는 것을 알려준다.
문서 세단기는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절단 칼날(42,44) 사이로 종이 찌꺼기나 분진이 끼게 되거나 절단 칼날이 무뎌질 경우 문서가 정상 매수로 투입되면, 문서 절단시 부하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모터(50)에 과부하 발생된다.
모터(50)에 과부하가 발생되면, 과부하 감지부(92)에서 모터(50)의 동작전압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유닛(90)으로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유닛(90)은 기준전압과 동작전압을 비교하여 동작전압이 기준전압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문서 매수 표시부(80)로 신호를 인가하고, 문서 매수 표시부(80)는 정상매수보다 적은 제1매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와 같이, 문서 투입구(24)로 투입되는 문서의 매수가 작아지면 절단 칼날의 부하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50)의 부하가 감소하여 모터(50)의 과부하가 해소된다.
그리고, 제1매수로 문서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다시 모터(50)에 과부하가 발생되면, 제어유닛(90)은 제1매수보다 작은 제2매수를 문서 매수 표시부(8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2매수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다시 모터(50)에 과부하가 발생되면 제2매수보다 작은 제3매수를 문서 매수 표시부(80)에 표시하고, 경고부(82)를 작동시켜 사용자 및 관리자(96)에게 모터(50)의 과부하를 알려준다.
그러면, 관리자(96)는 문서 세단기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유지 보수를 시행한다. 즉, 관리자는 문서 세단기 내부를 청소하여 분진 및 종이 찌꺼기 등을 제거하고 회전축의 휨 여부를 검사하여 문서 세단기가 정상 작동이 가능하도록 보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는 모터(50)에 과부하가 발생되면 단계별로 투입되는 문서의 매수를 조절하여 모터의 과부하가 발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최종적으로 모터의 과부하를 관리자에게 알려 문서 세단기를 보수할 수 있도록 하여,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터의 과부하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세단기 본체 12: 문서 세단룸
14: 저장통 수납룸 30: 프레임
42,44: 절단 칼날 50: 모터
80: 문서 매수 표시부 82: 경고부
84: 문서 매수 감지부 90: 제어유닛
92: 과부하 감지부

Claims (4)

  1. 모터의 과부하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
    상기 과부하 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유닛;
    상기 제어유닛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의 과부하를 경고하는 경고부; 및
    상기 제어유닛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문서 투입구로 투입되는 문서의 최대 매수를 단계적으로 표시하여 투입 매수를 조절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문서 매수 표시부를 포함하는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감지부는 모터의 동작전압을 감지하는 엔코더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투입구로 투입되는 문서의 매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유닛으로 알려주는 문서 매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서 매수 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은 정상 매수 이상의 매수가 투입되면 상기 문서 매수 표시부에 정상 매수 이상인 것을 표시하고, 경고부를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정상 매수 이상 투입되는 것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과부하 감지부에서 인가되는 모터의 사용전압이 기준압을 초과하면, 문서 매수 표시부에 정상 매수보다 작은 제1매수를 표시하고, 제1매수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모터의 사용전압이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제1매수보다 작은 제2매수를 문서 매수 표시부에 표시하고, 제2매수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모터의 사용전압이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제2매수보다 작은 제3매수를 문서 매수 표시부에 표시하고, 경고부를 작동시켜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모터의 과부하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KR1020180132069A 2018-10-31 2018-10-31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KR20200049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069A KR20200049146A (ko) 2018-10-31 2018-10-31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069A KR20200049146A (ko) 2018-10-31 2018-10-31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146A true KR20200049146A (ko) 2020-05-08

Family

ID=7067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069A KR20200049146A (ko) 2018-10-31 2018-10-31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91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635B1 (ko) 2021-03-22 2021-06-25 (주)대진코스탈 투입감지센서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문서세단기 및 그 작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83Y1 (ko) 2004-09-01 2004-12-04 (주)대진코스탈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83Y1 (ko) 2004-09-01 2004-12-04 (주)대진코스탈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635B1 (ko) 2021-03-22 2021-06-25 (주)대진코스탈 투입감지센서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문서세단기 및 그 작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4704B2 (en) Shredder thickness with anti-jitter feature
DE102010016861B4 (de) Papierausrichtungssensoranordnung
US9669410B2 (en) Shredding machine
EP2208535A1 (en) Overload fault condition detection system for article destruction device
US8444072B1 (en) Thickness detecting safety shredder
KR101502747B1 (ko) 문서 세단기의 소음저감 장치 및 방법
KR20200049146A (ko) 문서 세단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KR200369083Y1 (ko)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KR102266254B1 (ko) 문서 세단기의 문서 매수감지장치
JP4848636B2 (ja) 細断処理装置および紙詰まり除去方法
KR101733030B1 (ko) 문서 세단기
JP2017202434A (ja) 籾摺機
JP5082315B2 (ja) 細断処理装置
CN107837914B (zh) 碎纸机
JP3293329B2 (ja) シュレッダ
EP2399674A2 (en) Thickness detecting safety shredder
KR102567669B1 (ko) 문서 세단기
JP4701688B2 (ja) 細断処理装置、および細断処理方法
CN220328886U (zh) 一种维修门结构及破碎机
CN217140630U (zh) 具有硬物检测功能的撕碎机
JP4797367B2 (ja) 細断処理装置
JP2008136988A (ja) シュレッダー
JP3187320U (ja) 機械動作装置
EP1862221A1 (en) Mechanism for compact document shre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