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720B1 -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720B1
KR102254720B1 KR1020200112224A KR20200112224A KR102254720B1 KR 102254720 B1 KR102254720 B1 KR 102254720B1 KR 1020200112224 A KR1020200112224 A KR 1020200112224A KR 20200112224 A KR20200112224 A KR 20200112224A KR 102254720 B1 KR102254720 B1 KR 102254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frame
flange portion
cutting blades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신
Priority to KR102020011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2018/164Prevention of jamming and/or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는 문서 세단룸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복수의 제1절단칼날이 장착되는 제1세단부와, 상기 프레임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복수의 제2절단칼날이 제1절단칼날과 맞물리게 장착되는 제2세단부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청소모드일 때 상기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이 서로 맞물림을 유지한 상태로 간격을 넓히는 간격 조절유닛으로 구성되어,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의 청소모드시 절단칼날을 분리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쉽고 편리하다.

Description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CUTTER UNIT CONTROL SYSTEM FOR PAPER SHREDDER}
본 발명은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에 낀 종이 찌꺼기를 제거함으로써,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 세단기는 사무실이나 은행 등에서 보안을 요하는 문서나 거래 명세서 및 마이크로 필름 등을 잘게 절단하여 보안을 유지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문서 세단기는 다수개의 절단 칼날이 한 쌍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호 교차 회전되면서 문서 투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문서를 잘게 절단한다.
종래의 문서 세단기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9083(2004년 11월 22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된 문서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 상단에 절단장치가 구비되며, 절단장치의 하단부에 폐지함이 구비되고, 절단장치는 상하부가 개봉되고, 내부 중앙에는 칸막이가 형성되며, 문서 세단기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전방 측면이 직사각형으로 절단된 몸체 프레임과, 몸체 프레임의 칸막이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와, 칸막이의 전방에 절단 칼날이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된 절단 칼날부와, 몸체 프레임의 일측에 모터축과 절단 칼날축을 연결하는 치차부로 구성되는데, 절단 칼날부는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좌우측의 가이드 프레임과, 각각의 가이드 프레임을 관통하여 두 개의 절단 칼날축이 형성되고, 각각의 절단 칼날축에는 다수개의 절단 칼날이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절단 칼날축의 상단에는 각각의 절단 칼날 사이에 삽입된 칼날가이드가 설치되는 두 개의 칼날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각각의 절단 칼날축의 끝단은 치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서 세단기는 절단 칼날부에 의해 문서 세단시 종이 찌꺼기가 발생되고, 이러한 종이 찌꺼기가 쌓여서 절단 칼날부 사이에 낀 상태로 되어 절단 칼날부가 손상되거나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문서 세단기는 절단 칼날부 사이에 낀 종이 찌꺼기를 제거하 기 위해 절단 칼날부를 분해한 후 종이 찌꺼기를 제거하고, 절단 칼날부를 다시 조립해야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9083(2004년 11월 22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에 종이 찌꺼기가 쌓이면 제1절날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의 간격을 벌린 후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에 낀 종이 찌꺼기를 제거함으로써, 절단칼날의 손상을 방지하고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을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 두 절단칼날 사이의 간격을 벌린 후 청소를 수행하고 청소 후 원상태로 복귀하면 되므로 절단칼날의 청소작업이 쉽고 편리한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는 문서 세단룸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복수의 제1절단칼날이 장착되는 제1세단부와, 상기 프레임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복수의 제2절단칼날이 제1절단칼날과 맞물리게 장착되는 제2세단부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청소모드일 때 상기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이 서로 맞물림을 유지한 상태로 간격을 넓히는 간격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간격 조절유닛은 제1세단부가 장착되는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와 분리되고 제2세단부가 장착되는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되어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부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세단부가 장착되는 제1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2프레임부와 볼트 체결되는 제1상면 플랜지부와, 상기 제1측면부의 하면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세단룸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하면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부는 제1측면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2세단부가 장착되는 제2측면부와, 상기 제2측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되고 제1상면 플랜지부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어 볼트 체결되는 제2측면 플랜지부와, 상기 제2측면부의 하면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세단룸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하면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면 플랜지부와 제2상면 플랜지부는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고 제1상면 플랜지부에는 제1볼트 체결홀이 형성되고, 제2상면 플랜지부에는 제2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며, 두 볼트 체결홀은 서로 연통되고 제1볼트가 체결되고,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의 간격을 넓힐 경우 제1볼트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하면 플랜지부와 제2하면 플랜지부는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고 제1하면 플랜지부에는 제3볼트 체결홀이 형성되고, 제2하면 플랜지부에는 제4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며, 두 볼트 체결홀은 서로 연통되고 제2볼트가 체결되고,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의 간격을 넓힐 경우 제1볼트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제1측면부의 끝부분에 면적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걸림 돌기부와, 상기 제2측면부의 끝부분에 형성되고 걸림 돌기부가 삽입되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슬롯부와, 상기 슬롯부의 입구부에 형성되어 걸림 돌기부가 걸림되는 걸림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는 프레임에 간격 조절유닛이 구비되어,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에 종이 찌꺼기가 쌓이면 제1절날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의 간격을 벌린 후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에 낀 종이 찌꺼기를 제거함으로써, 절단칼날의 손상을 방지하고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을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 두 절단칼날 사이의 간격을 벌린 후 청소를 수행하고 청소 후 원상태로 복귀하면 되므로 절단칼날의 청소작업이 쉽고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세단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세단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세단유닛이 청소모드일 때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단유닛의 간격조절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단유닛의 제1상면 플랜지부와 제2상면 플랜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단유닛의 제1하면 플랜지부와 제2하면 플랜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단유닛의 간격 조절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세단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는 문서가 투입되어 세단되는 문서 세단롬 내부에 문서를 세단하는 세단유닛이 설치되고, 하부에 세단된 문서가 저장되는 저장통이 설치된다.
세단유닛은 문서 세단룸에 고정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복수의 제1절단칼날(22)이 장착되는 제1세단부(20)와, 프레임(1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복수의 제2절단칼날(32)이 제1절단칼날(22)과 맞물리게 장착되는 제2세단부(30)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0)와, 구동모터(40)와 제1세단부(20) 및 제2세단부(30)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을 제1세단부(20) 및 제2세단부(30)로 전달하는 기어부(50)를 포함한다.
제1세단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전축(24)과, 제1회전축(24)에 복수로 장착되는 제1절단칼날(22)과, 제1절단칼날들 사이를 분리하도록 제1절단칼날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 부재(26)와, 제1가이드 부재(26)가 삽입되고 그 양단이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로드(28)를 포함한다.
제2세단부(30)는 프레임(10)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회전축(34)과, 제2회전축(34)에 복수로 장착되고 제1절단칼날(22)과 맞물리고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절단칼날(32)과, 제2절단칼날들 사이를 분리하도록 제2절단칼날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 부재(36)와, 제2가이드 부재(36)가 삽입되고 그 양단이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 로드(38)를 포함한다.
이때,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 사이는 간격(D1)만큼 서로 맞물린 상태로 되어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 사이로 투입되는 문서를 세단한다.
기어부(50)는 구동모터(40)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제1기어(52)와, 제1회전축(24)에 고정되고 제1기어(52)와 맞물리는 제2기어(54)와, 제2회전축(34)에 고정되는 제3기어(56)와, 제1회전축(24)에 고정되고 제3기어(56)와 맞물리는 제4기어(5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어부(50)는 구동모터(40)가 구동되면 제1회전축(24)과 제2회전축(3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세단유닛은 사용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 사이에 낀 종이 찌꺼기의 양이 많아지면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이 손상되고, 제1회전축(24)과 제2회전축(34)에 휨이 발생되며, 구동모터(4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기존에는 작업자가 세단유닛을 문서 세단룸에서 분리하고 제1회전축(24)을 프레임(10)에서 분리하고 제2회전축(34)을 프레임(10)에서 분리한 후 제1회전축(24)에 장착된 제1절단칼날(22)과 제2회전축(34)에 장착된 제2절단칼날(32)의 청소를 진행하여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에 낀 종이 찌꺼기를 제거한 후 다시 프레임에 조립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하지만,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은 서로 교대로 맞물리게 배치되기 때문에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제1회전축(24)과 제2회전축(34)에서 분리한 후 다시 하나씩 교대로 맞물리게 조립해야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유닛(60)을 구비하여 제1회전축(24)과 제2회전축(34)을 프레임(10)에서 분리하기 않고 제1절단칼날(24)과 제2절단칼날(34) 사이의 맞물린 간격(D2)을 벌린 후 제1절단칼날(24)과 제2절단칼날(34) 사이에 낀 종이 찌꺼기를 제거작업을 수행하고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을 제1회전축(24) 및 제2회전축(34)에서 분리하기 않고 청소가 가능하여 작업 공정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이 쉽고 편리하며 숙력자가 아닌 초보자도 쉽게 작업이 가능하다.
간격 조절유닛(6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단부(20)가 장착되는 제1프레임부(12)와, 제1프레임부(12)와 분리되고 제2세단부(30)가 장착되는 제2프레임부(14)와, 제1프레임부(12)와 제2프레임부(14) 사이에 형성되어 제1프레임부(12)와 제2프레임부(1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부(12)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회전축(2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가이드 로드(28)가 고정되는 제1측면부(70)와, 제1측면부(70)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2프레임부(14)와 볼트 체결되는 제1상면 플랜지부(72)와, 제1측면부(70)의 하면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세단룸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하면 플랜지부(74)를 포함한다.
제2프레임부(14)는 제1측면부(70)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2회전축(3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가이드 로드(38)가 고정되는 제2측면부(80)와, 제2측면부(80)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되고 제1상면 플랜지부(72)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어 볼트 체결되는 제2측면 플랜지부(82)와, 제2측면부(80)의 하면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세단룸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하면 플랜지부(84)를 포함한다.
제1상면 플랜지부(72)와 제2상면 플랜지부(82)의 양쪽 끝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고 제1상면 플랜지부(72)에는 제1볼트 체결홀(92)이 형성되고, 제2상면 플랜지부(82)에는 제2볼트 체결홀(94)이 형성되며, 두 볼트 체결홀(92,94)은 서로 연통되고 제1볼트(96)가 체결되어 제1상면 플랜지부(72)와 제2상면 플랜지부(82) 사이를 고정한다.
제1하면 플랜지부(74)와 제2하면 플랜지부(84)의 양쪽 끝부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고 제1하면 플랜지부(74)에는 제3볼트 체결홀(96)이 형성되고, 제2하면 플랜지부(84)에는 제4볼트 체결홀(98)이 형성되며, 두 볼트 체결홀(96,98)은 서로 연통되고 제2볼트(102)가 체결되어 제1하면 플랜지부(74)와 제2하면 플랜지부(84) 사이를 고정함과 아울러 세단룸(120)에 고정된다.
간격 조절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면부(70)의 끝부분에 면적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걸림 돌기부(132)와, 제2측면부(80)의 끝부분에 형성되고 걸림 돌기부(132)가 삽입되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슬롯부(134)와, 슬롯부(134)의 입구부에 형성되어 걸림 돌기부(132)가 걸림되는 걸림목부(136)를 포함한다.
이때, 걸림 돌기부(132)가 슬롯부(134) 내부에서 이동되는 거리(L)는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이 맞물리는 간격(D1)보다 작게 형성되어, 걸림 돌기부(132)가 후퇴된 상태일 때 제1절단칼날(22)과 제2전단칼날(32)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간격(D2)만큼 맞물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사용 시간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절단칼날 사이에 낀 종이 찌꺼기를 제거하는 청소모드일 경우 작업자는 제1볼트(96)와 제2볼트(102)를 분리한다. 그러면 제1프레임부(12)와 제2프레임부(14)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2프레임부(14)를 당기면 제2프레임부(14)와 제1프레임부(1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즉, 절단칼날 사이에 낀 종이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 사이의 간격을 넓힐 때 제2프레임부(14)가 제1프레임부(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걸림 돌기부(132)는 슬롯부(134)의 최대로 후퇴된 위치에 위치되고,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 사이는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 사이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제1절단칼날(22)과 제2절단칼날(32) 사이에 낀 종이 찌꺼기를 제거한 후 제2프레임부를 원상태로 이동시키고 제1볼트(96)와 제2볼트(102)를 조이면 되므로 청소작없이 쉽고 편리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프레임 12: 제1프레임부
14: 제2프레임부 20: 제1세단부
22: 제1절단칼날 30: 제2세단부
32: 제2절단칼날 60: 간격조절유닛

Claims (7)

  1. 문서 세단룸에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복수의 제1절단칼날이 장착되는 제1세단부;
    상기 프레임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복수의 제2절단칼날이 제1절단칼날과 맞물리게 장착되는 제2세단부; 및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청소모드일 때 상기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이 서로 맞물림을 유지한 상태로 간격을 넓히는 간격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유닛은 제1세단부가 장착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와 분리되고 제2세단부가 장착되는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되어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부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세단부가 장착되는 제1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2프레임부와 볼트 체결되는 제1상면 플랜지부와, 상기 제1측면부의 하면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세단룸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하면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부는 제1측면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2세단부가 장착되는 제2측면부와, 상기 제2측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되고 제1상면 플랜지부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어 볼트 체결되는 제2측면 플랜지부와, 상기 제2측면부의 하면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세단룸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하면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 플랜지부와 제2상면 플랜지부는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고 제1상면 플랜지부에는 제1볼트 체결홀이 형성되고, 제2상면 플랜지부에는 제2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며, 두 볼트 체결홀은 서로 연통되고 제1볼트가 체결되고,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의 간격을 넓힐 경우 제1볼트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면 플랜지부와 제2하면 플랜지부는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고 제1하면 플랜지부에는 제3볼트 체결홀이 형성되고, 제2하면 플랜지부에는 제4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며, 두 볼트 체결홀은 서로 연통되고 제2볼트가 체결되고,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 사이의 간격을 넓힐 경우 제1볼트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제1측면부의 끝부분에 면적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걸림 돌기부;
    상기 제2측면부의 끝부분에 형성되고 걸림 돌기부가 삽입되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슬롯부; 및
    상기 슬롯부의 입구부에 형성되어 걸림 돌기부가 걸림되는 걸림목부를 포함하는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부가 슬롯부를 이동하는 거리(L)는 제1절단칼날과 제2절단칼날이 맞물리는 간격(D1)에 비해 짧게 형성되는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KR1020200112224A 2020-09-03 2020-09-03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KR102254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24A KR102254720B1 (ko) 2020-09-03 2020-09-03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24A KR102254720B1 (ko) 2020-09-03 2020-09-03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720B1 true KR102254720B1 (ko) 2021-05-21

Family

ID=7615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224A KR102254720B1 (ko) 2020-09-03 2020-09-03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7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83Y1 (ko) 2004-09-01 2004-12-04 (주)대진코스탈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JP2010036061A (ja) * 2008-07-31 2010-02-18 Kenzaburo Muramatsu 産業廃棄物用破砕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83Y1 (ko) 2004-09-01 2004-12-04 (주)대진코스탈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JP2010036061A (ja) * 2008-07-31 2010-02-18 Kenzaburo Muramatsu 産業廃棄物用破砕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6324A (en) Solid waste comminutor
JPS625015B2 (ko)
JP2002239405A (ja) シュレッダーの被細断物投入口
EP1166877A1 (en) Crushing device
EP0346661A2 (de) Häcksel- und Schnitzelmaschine
KR102254720B1 (ko) 문서 세단기용 커터 유니트 조절장치
KR101168024B1 (ko) 간격조절식 파쇄기
KR102011768B1 (ko) 집진 기능을 구비한 문서 세단기
DE3221431A1 (d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kunststoffteilen, insbesondere angussstuecken
EP1575708B1 (de) Zerkleinerungsmaschine für material beliebiger art, z. b. abfall oder holz
KR200369083Y1 (ko)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JPH07132243A (ja) 固形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2226030B1 (ko) 문서 세단기
KR100896348B1 (ko) 문서세단기 회전축의 휨 방지장치
KR20110089774A (ko) 폐 고무 분쇄기
JP3240268B2 (ja) 粉砕機
JP4676155B2 (ja) 破砕機及び破砕作業車
KR200385106Y1 (ko)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문서세단기
CN205288607U (zh) 葛根削片机
KR101749575B1 (ko) 문서 세단기
CN218902079U (zh) 粗碎机的可调节式刀片结构
DE3927376A1 (de) Aktenvernichter
KR102264731B1 (ko) 공정시간 단축이 가능한 목재 분쇄장치
CN109158187A (zh) 一种预切段塑料粉碎机
CN220476364U (zh) 一种颗粒机的进料打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