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944B1 -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 Google Patents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944B1
KR102514944B1 KR1020200115662A KR20200115662A KR102514944B1 KR 102514944 B1 KR102514944 B1 KR 102514944B1 KR 1020200115662 A KR1020200115662 A KR 1020200115662A KR 20200115662 A KR20200115662 A KR 20200115662A KR 102514944 B1 KR102514944 B1 KR 10251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cutter
shaft
shredder
cut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3362A (ko
Inventor
조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피스 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피스 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피스 케이
Priority to KR1020200115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9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x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20Sickle-shap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으로, 문서 세단기에 마련되는 복수 쌍의 커터 사이에 설치되어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대측에 배치된 상대 스페이서와 마주보는 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대 스페이서와 반대측에 배치되는 외측부 하단에는 절단된 부스러기가 상기 커터와 스페이서의 외면을 따라 상기 커터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동 경로 상에 불연속 구간을 형성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커터에 의해 세단된 절단 부스러기가 세단부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절단 부스러기가 세단부에 잔류하면서 발생하는 구동 부하를 감소시켜 커터의 손상이나 파손, 구동모터의 고장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PAPER SHREDDER WITH SPACER}
본 발명은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서를 조각조각으로 잘라주는 문서 세단기에 마련된 복수의 커터 사이에 설치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 세단기는 보안문서 또는 기밀문서, 개인정보가 기입된 기업의 서류, 금융기관의 영수증 등을 조각조각으로 잘라주는 것으로, 국가기관이나 관공서 및 기업, 금융기관 등 여러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문서 세단기는 국가기관, 관공서 및 기업의 기밀문서 및 금융기관에서 현금인출기기를 통해 발행된 명세서 등에 적혀있는 개인 정보의 유출 방지와 보호를 위해 각 기관의 사무실, 은행 등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문서 세단기는 사람들이 간단하게 종이를 투입구에 넣는 것으로 문서가 세단되고, 세단된 문서는 내용을 알아볼 수 없게 한다.
이를 위해, 문서 세단기의 세단부는 모터와 문서 세단기용 커터를 포함하고,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문서 세단기용 커터가 회전하면서 투입된 문서를 잘게 세단한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문서 세단기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문서 세단기에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문서는 복수 쌍의 커터로 공급되고,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복수 쌍의 커터가 회전하면서 투입된 문서를 잘게 세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9-0127653호(2009년 12월 14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502747호(2015년 3월 10일 등록)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문서 세단기에서는 커터에 의해 세단된 절단 부스러기가 커터와 스페이서의 표면을 따라 다시 커터 측으로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기술에 따른 문서 세단기는 커터 사이에 끼이거나, 커터와 스페이서를 따라 다시 커터 측으로 이동하여 세단부 상에 잔류하는 절단 부스러기로 인해 구동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문서 세단기는 세단부 상에 잔류하는 절단 부스러기로 인한 커터의 손상 또는 파손, 구동모터의 고장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단된 부스러기가 다시 커터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 부스러기가 커터에 잔류하면서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와 연결되어 문서를 미리 설정된 가로 및 세로 길이로 커팅하는 세단부 및 상기 세단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세단된 세단물을 임시 수거하는 수거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단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에 서로 교차하도록 연속적으로 조립되는 복수 쌍의 커터 및 복수 쌍의 커터 사이에 설치되어 커터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대 스페이서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부 하단에는 절단된 부스러기가 상기 커터와 스페이서의 외면을 따라 상기 커터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동 경로 상의 불연속 구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에 의하면, 커터에 의해 세단된 절단 부스러기가 커터와 스페이서의 외면을 따라 이동해서 다시 세단부 상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불연속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절단 부스러기가 세단부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세단부 상으로 복귀하는 절단 부스러기가 세단부에 잔류하면서 발생하는 구동 부하를 감소시켜 커터의 손상이나 파손, 구동모터의 고장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서 세단기에 적용되는 세단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단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한 쌍의 커터와 스페이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 및 스페이서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서 세단기에 적용되는 세단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문서 세단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를 세단하는 세단부에 각각 한 쌍의 회전축(1)에 설치되는 복수 쌍의 커터(2)를 포함한다.
복수 쌍의 커터(2)는 각각 투입되는 문서를 세단할 수 있도록, 선단부가 서로 맞물리게 배치되고, 각 커터(2) 사이에는 커터(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3)가 설치된다.
스페이서(3)는 대략 사각 형상이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페이서(3)의 일측에는 회전축(1)에 결합되는 링(4)이 결합되는 링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3)의 타측에는 스페이서(3)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축(5)이 결합되는 한 쌍의 축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단부가 적용된 종래기술에 문서 세단기는 복수 쌍의 커터(2) 사이에 문서가 투입되면, 복수 쌍의 커터(2)가 서로 맞물리면서 문서를 미리 설정된 가로 및 세로 길이로 미세하게 절단한다.
이와 같이, 커터(2)와 커터(2)가 서로 맞물리면서 세단된 부스러기(이하 '절단 부스러기'라 함)는 스페이서(5)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해서 세단부 하부에 마련된 수거용기(도면 미도시)로 수거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문서 세단기는 커터(2)에 의해 세단된 절단 부스러기가 하방로 낙하하지 않고 커터(2) 사이에 끼이거나, 커터(2) 하부로 낙하한 절단 부스러기가 스페이서(3) 및 커터(2)의 외면을 따라 다시 세단부 상으로 복귀함에 따라, 세단부 상에 절단 부스러기가 잔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터(2) 사이에 끼이거나, 커터(2)와 스페이서(3)를 따라 다시 세단부 상으로 이동하여 절단 부스러기가 커터(2) 사이에 잔류하게 되면, 구동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커터(2)의 손상이나 파손, 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고장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단부에 적용되는 스페이서의 형상을 변경해서 절단 부스러기가 다시 세단부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세단부 상에 잔류하는 절단 부스러기로 인한 커터의 손상이나 파손 및 구동모터의 고장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단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한 쌍의 커터와 스페이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을 형성하고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21)가 마련되는 본체(20), 본체(20)의 내측에 설치되고 투입구(11)와 연결되어 문서를 미리 설정된 가로 및 세로 길이로 커팅하는 세단부(30) 및 세단부(30)의 하부에 마련되고 세단된 세단물을 임시 수거하는 수거용기(40)를 포함한다.
수거용기(40)는 세단부(30)에서 세단되어 낙하하는 절단부스러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단부(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회전축(51)과 제2 회전축(52), 제1 회전축(51)과 제2 회전축(52)에 서로 교차하도록 연속적으로 조립되는 복수 쌍의 커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회전축(51,52)은 각각 단면이 다각 형상, 예컨대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세단부(30)는 각 커터(5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각 커터(50)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60)와 각 스페이서(6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회전축(51,52)에 설치되는 링(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세단부(30)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31), 제1 회전축(51)의 일단에 설치되고 구동모터(31)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는 회전기어(32), 제1 회전축(51)의 타단에 설치되는 구동기어(33) 및 구동기어(33)와 맞물리도록 제2 회전축(52)의 일단에 설치되는 종동기어(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31)와 회전기어(32)는 벨트나 체인과 같은 연결수단으로 연결되거나 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구동모터(31)는 DC모터, 브러시리스 모터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31)의 회전 속도를 제어 가능하면 충분하고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회전축(51)과 제2 회전축(52)이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회전축(51)과 제2 회전축(52)에 각각 결합되는 커터(50)와 스페이서(60)의 구성은 동일하다.
커터(5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터(50)의 중앙에는 각 회전축(51,52)에 결합되는 결합공(5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53)은 각 회전축(51,52)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다각 형상, 예컨대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53)의 일측에는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의 키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홈은 각 회전축(51,52)에 결합된 키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각 회전축(51,52)과의 결합을 확실하게 하고, 각 회전축(51,52)의 회전운동 시 회전축의 회전력을 커터(50)에 정확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커터(50)의 외주면에는 문서를 절단할 수 있도록,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커팅부(5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커터(50)는 Fe, Cu, Ni, 그래파이트(Graphite) 및 Mn의 금속 분말을 혼합해서 대략 판 형상으로 제조한 후, 프레스를 이용한 절단 가공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커터(50)는 상기한 원료들을 혼합해서 금형에 충진한 후, 압력을 가해 압축 성형하고, 상기 금속분말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소결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6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이나 사다리꼴 형상과 같이 서로 마주보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페이서(6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대 스페이서(60)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방향을 '내측'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외측'이라 한다.
스페이서(60)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내측부에는 각 회전축(51,52)에 설치되는 링(61)이 결합되는 링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60)의 내측면은 상대측에 배치된 커터(5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수직면 또는 외측을 향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61)은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61)의 내부에는 각 회전축(51,52)의 단면 형상, 즉 육각 형상의 축 설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링(61)은 커터(5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스페이서(60)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마련되고, 커터(5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커터(50)의 두께보다 약간 얇은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스페이서(60)의 외측부 상단에는 스페이서(6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축(62)이 결합되는 축 결합공(6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스페이서(60)의 외측 상단부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스페이서(60)의 외측부 하단부는 제2 지지축(63)에 지지되는 축 지지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축 지지부(65)는 제1 지지축(62)이 결합되도록 대략 원 형상으로 타공되는 축 결합공(64)과 달리, 대략 호 형상이나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스페이서(60)의 하단부에 축 결합공(64)이 형성되어 링 형상을 갖는 상단부와 달리, 호 또는 반원 형상을 갖는 축 지지부(6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터(50)와 스페이서(60)의 외면에는 절단 부스러기가 다시 세단부(30)로 복귀하는 경로 상에 불연속 구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터에 의해 세단된 절단 부스러기가 다시 세단부 상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불연속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절단 부스러기가 세단부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세단부 상으로 복귀하는 절단 부스러기에 의한 구동 부하를 감소시켜 커터의 손상이나 파손, 구동모터의 고장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축(63)의 외면에는 절단 부스러기가 정전기 등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표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코팅제를 도포해서 코팅층(66)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지지축(64)의 외면에도 코팅층(66)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는 문서 세단기용 스페이서 및 그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의 작동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세단기(10)에 문서가 투입되면, 복수 쌍의 커터(50)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서 문서를 미리 설정된 가로 및 세로 길이로 미세하게 절단한다.
세단된 절단 부스러기는 커터(50)의 하부로 낙하해서 수거용기(40)에 수거된다.
여기서, 절단 부스러기 중에서 일부는 커터(50)와 스페이서(60)의 외면을 따라 세단부(30) 하부에서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스페이서(60)의 외측부 하단에는 제2 지지축(63)에 지지되는 축 지지부(65)가 형성된 상태이다.
즉, 축 지지부(65)는 제2 지지축(63)에 지지되도록, 대략 호 형상이나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터(50)와 스페이서(60)의 외면에 불연속 구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커터(50)에 의해 세단된 절단 부스러기가 다시 세단부(30) 상으로 복귀하는 이동 경로 상에 불연속 구간이 존재함에 따라, 절단 부스러기는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절단 부스러기가 커터와 스페이서의 외면을 따라 이동해서 다시 세단부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는 제2 지지축(63)의 외면에 표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코팅제를 도포해서 코팅층(66)이 형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절단 부스러기는 제2 지지축(63)의 외면에 부착되지 못하고 원활하게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절단 부스러기가 커터와 스페이서의 외면을 따라 이동해서 다시 세단부 상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불연속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절단 부스러기가 세단부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세단부 상으로 복귀하는 절단 부스러기에 의한 구동 부하를 감소시켜 커터의 손상이나 파손, 구동모터의 고장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절단 부스러기가 커터와 스페이서의 외면을 따라 이동해서 다시 세단부 상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불연속 구간을 형성해서 절단 부스러기가 세단부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기술에 적용된다.
10: 문서 세단기
20: 본체 21: 투입구
30: 세단부 31: 구동모터
32: 회전기어 33: 구동기어
34: 종동기어
40: 수거용기
50: 커터 51,52: 제1 및 제2 회전축
53: 결합공 54: 커팅부
60: 스페이서 61: 링
62,63: 제1, 제2 지지축 64: 축 결합공
65: 축 지지부 66: 코팅층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고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와 연결되어 문서를 미리 설정된 가로 및 세로 길이로 커팅하는 세단부 및
    상기 세단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세단된 세단물을 임시 수거하는 수거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단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에 서로 교차하도록 연속적으로 조립되는 복수 쌍의 커터 및
    복수 쌍의 커터 사이에 설치되어 커터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대 스페이서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부 상단은 축 결합공에 결합된 제1 지지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부 하단은 호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축 지지부를 이용해서 제2 지지축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부 하단에는 절단된 부스러기가 상기 커터와 스페이서의 외면을 따라 상기 커터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단된 부스러기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 상의 불연속 구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2 지지축의 외면에는 절단 부스러기가 상기 제2 지지축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팅제가 도포되어 제2 지지축 표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4. 삭제
  5. 삭제
KR1020200115662A 2020-09-09 2020-09-09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KR10251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662A KR102514944B1 (ko) 2020-09-09 2020-09-09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662A KR102514944B1 (ko) 2020-09-09 2020-09-09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62A KR20220033362A (ko) 2022-03-16
KR102514944B1 true KR102514944B1 (ko) 2023-03-29

Family

ID=8093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662A KR102514944B1 (ko) 2020-09-09 2020-09-09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752B1 (ko) * 2022-07-22 2022-12-27 제이어스테크 주식회사 문서 세단기
KR102529172B1 (ko) * 2022-12-14 2023-05-08 주식회사 오피스 케이 문서 세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83Y1 (ko) * 2004-09-01 2004-12-04 (주)대진코스탈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JP2012096335A (ja) * 2010-11-04 2012-05-24 Kariya Tekko:Kk ラベルカスの裁断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294780B1 (ko) * 2020-12-02 2021-08-26 나민수 유기성 폐기물 분쇄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011Y2 (ja) * 1991-12-25 1997-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裁断機
KR20080089102A (ko) * 2007-03-31 2008-10-06 (주)대진코스탈 클리닝기능이 포함된 문서세단기
KR100960678B1 (ko) 2008-06-09 2010-05-31 주식회사 이륜 세단기
KR101502747B1 (ko) 2014-05-14 2015-03-16 (주)이륜오피스 문서 세단기의 소음저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83Y1 (ko) * 2004-09-01 2004-12-04 (주)대진코스탈 절단칼날부 분리형 문서세단기
JP2012096335A (ja) * 2010-11-04 2012-05-24 Kariya Tekko:Kk ラベルカスの裁断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294780B1 (ko) * 2020-12-02 2021-08-26 나민수 유기성 폐기물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62A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4944B1 (ko) 스페이서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US4257565A (en) Desk-top shredder
US4046324A (en) Solid waste comminutor
US8297544B2 (en) Screenless disintegrators
KR102529172B1 (ko) 문서 세단기
CN104525330A (zh) 一种处理办公室机密资料的破碎机
KR100960678B1 (ko) 세단기
KR102226030B1 (ko) 문서 세단기
US4059236A (en) Shearing structure in materials reduction machinery
JP5314641B2 (ja) 粉砕機
JP3195524B2 (ja) 一軸破砕機
KR101245027B1 (ko) 파쇄기
KR20230016568A (ko) 문서 세단기용 커터 및 그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JP3287790B2 (ja) 1軸破砕機
KR101472272B1 (ko) 비대칭 고정나이프가 구비되는 복합 파쇄 장치
KR102480752B1 (ko) 문서 세단기
KR102226029B1 (ko) 문서 세단기용 커터 및 그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JP6382177B2 (ja) 剪断式破砕機の切断刃及びそれを具備する剪断式破砕機
KR100896348B1 (ko) 문서세단기 회전축의 휨 방지장치
JP3200545B2 (ja) 一軸破砕機
KR102180877B1 (ko) 문서세단기용 커터 제조방법
JP2001000877A (ja) ガラス粉砕機
KR200387173Y1 (ko) 문서세단기
CN109433361A (zh) 一种机密文件的粉碎机
KR960013467A (ko) 2축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