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903Y1 - 판넬 자동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판넬 자동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903Y1
KR200368903Y1 KR20-2004-0025845U KR20040025845U KR200368903Y1 KR 200368903 Y1 KR200368903 Y1 KR 200368903Y1 KR 20040025845 U KR20040025845 U KR 20040025845U KR 200368903 Y1 KR200368903 Y1 KR 200368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guide
bar
fix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요
Original Assignee
배정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요 filed Critical 배정요
Priority to KR20-2004-0025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9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9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열장이나 책장, 서가 또는 각종 싱크대나 작업대 등을 제작하기 위한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판넬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좌,우측의 판넬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판넬삽입부 및 제 2판넬삽입부와, 상기 제 1판넬삽입부 및 제 2판넬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좌측 및 우측의 판넬 모서리부분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천공된 구멍에 나사체결하여 상,하,좌,우측 판넬이 하나로 결합된 반제품이 제작되도록 하는 제 1나사체결부 및 제 2나사체결부와, 상기 제 1판넬삽입부 및 제 1나사체결부가 전면부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판넬삽입부의 제 1상부삽입부 및 제 2판넬삽입부의 제 2상부삽입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제 2판넬삽입부 및 제 2나사체결부를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길이조절되도록 하는 폭조절수단이 구비된 베이스몸체부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크기의 상,하,좌,우측 판넬을 자동으로 조립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넬 자동조립장치{The automatical assembly apparatus of panel}
본 고안은 진열장이나 책장, 서가 또는 각종 싱크대나 작업대 등을 제작하기 위한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판넬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좌,우측의 판넬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판넬삽입부 및 제 2판넬삽입부와, 상기 제 1판넬삽입부 및 제 2판넬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좌측 및 우측의 판넬 모서리부분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천공된 구멍에 나사체결하여 상,하,좌,우측 판넬이 하나로 결합된 반제품이 제작되도록 하는 제 1나사체결부 및 제 2나사체결부와, 상기 제 1판넬삽입부 및 제 1나사체결부가 전면부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판넬삽입부의 제 1상부삽입부 및 제 2판넬삽입부의 제 2상부삽입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제 2판넬삽입부 및 제 2나사체결부를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길이조절되도록 하는 폭조절수단이 구비된 베이스몸체부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크기의 상,하,좌,우측 판넬을 자동으로 조립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열장이나 책장, 서가 또는 각종 싱크대나 작업대 등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판넬들을 상,하,좌,우측에 끼워 맞추고판넬들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부분에 나사못 또는 피스못 등을 체결하여 상,하,좌,우측의 판넬들이 하나로 고정 결합된 반제품을 제조한 다음 후면판을 고정 부착시키고 각각의 용도에 따라 내측에 칸막이 등을 설치함으로써 완제품을 생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진열장 등의 제작과정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된 각 판넬이 손상되지 않도록 나사못이나 피스못 등을 판넬과 판넬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정확히 체결하기 위하여는 숙련된 작업자들의 수작업을 통해 먼저 판넬들이 서로 결합되는 상기 모서리부분에 드릴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예비적으로 구멍을 천공한 후 이 구멍에 나사못이나 피스못 등을 체결하여 판넬들을 서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어서, 상기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과 나사못이나 피스못을 체결하는 과정 등이 전부 작업자들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기가 어렵고 구멍의 위치가 조금만 어긋나도 판넬이 손상되어 못쓰게 됨으로써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고 생산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인건비 등의 증가로 생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열장 등의 제작시 사용되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판넬들을 수작업이 아닌 기계를 이용한 자동조립공정을 통하여 판넬의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고 나사못 등을 체결함으로써 상,하,좌,우측 판넬이 하나로 조립체결된 반제품이 빠른 시간내에 생산되며, 불량제품이 적고 단시간에 많은 판넬들이 조립체결되어 생산 효율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좌,우측의 판넬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판넬삽입부 및 제 2판넬삽입부와, 상기 제 1판넬삽입부 및 제 2판넬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좌측 및 우측의 판넬 모서리부분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천공된 구멍에 나사체결하여 상,하,좌,우측 판넬이 하나로 결합된 반제품이 제작되도록 하는 제 1나사체결부 및 제 2나사체결부와, 상기 제 1판넬삽입부 및 제 1나사체결부가 전면부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판넬삽입부의 제 1상부삽입부 및 제 2판넬삽입부의 제 2상부삽입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제 2판넬삽입부 및 제 2나사체결부를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길이조절되도록 하는 폭조절수단이 구비된 베이스몸체부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크기의 상,하,좌,우측 판넬을 자동으로 조립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상,하,좌,우측판넬이 삽입된 상태의 확대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의 베이스몸체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의 제 1판넬삽입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의 제 2판넬삽입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의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의 높이조절수단이 작동되어 제 1판넬삽입부의 제 1상부삽입부와 제 2판넬삽입부의 제 2상부삽입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에 상,하,좌,우측의 판넬들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의 상부에 바(bar)형판넬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의 상부에 바(bar)형판넬이 삽입된 상태에서 바형판넬고정수단이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4는 도 13의 "B"부분의 확대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에 의해 상,하,좌,우측판넬이 자동 조립된 반제품의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에 의해 상부에 바(bar)형판넬이 자동 조립된 반제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판넬 자동조립장치 2. 제 1판넬삽입부
3. 제 2판넬삽입부 4. 제 1나사체결부
5. 제 2나사체결부 6. 베이스몸체부
7. 상부판넬 8. 하부판넬
9. 좌측판넬 10. 우측판넬
11. 제 1높이조절몸체부 12. 제 1상부삽입부
13. 제 1하부삽입부 14a, 14b. 몸체판
15a, 15b. 높이조절나사봉 16a, 16b. 상부지지판
17a, 17b. 웜휠 18a, 18b, 18c, 18d. 높이조절가이드레일
19a, 19b. 높이조절가이드봉 20a, 20b. 가이드대부착판
21a, 21b, 21c, 21d. 암나사편 22a, 22b, 22c, 22d. 높이조절가이드블럭
23a, 23b, 23c. 스토퍼 24.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
25. 좌측판넬상부고정대 26.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
27. 상부판넬좌측고정대 28. 좌측판넬상부걸림턱
29a, 29b. 좌측판넬고정실린더 30a, 30b, 30c, 30d, 30e, 30f. 롤러
31a, 31b. 상부판넬걸림턱 32. 바형판넬
33a, 33b. 바형판넬걸림단 34a, 34b. 상부판넬고정실린더
35a, 35b. 바형판넬고정수단 36a, 36b. 힌지축
37a, 37b. 바형판넬고정판 38a, 38b. 연결대
39a, 39b. 바형판넬고정실린더 40a, 40b. 고무부재
41.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 42. 좌측판넬하부고정대
43. 하부판넬좌측고정대 44.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
45. 좌측판넬하부걸림턱 46a, 46b. 하부판넬걸림턱
47a, 47b. 하부판넬고정실린더 48. 제 2높이조절몸체부
49. 제 2상부삽입부 50. 제 2하부삽입부
51.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 52. 우측판넬상부고정대
53.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 54. 상부판넬우측고정대
55. 우측판넬상부걸림턱 56a, 56b. 가이드부시
57. 푸쉬바작동실린더 58. 푸쉬바
59.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 60. 우측판넬하부고정대
61. 하부판넬우측고정대 62.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
63. 우측판넬하부걸림턱 64. 푸쉬롤러부작동실린더
65. 푸쉬롤러부 66. 제 1수직이동축
67. 제 1수평이동축 68. 제 1천공체결수단
69a, 69b. 수직이동레일 70a, 70b. 수평이동레일
71a, 71b. 수평이동판 72a, 72b. 드릴
73a, 73b. 너트러너 74a, 74b. 드릴비트
75a, 75b. 너트러너작동실린더 76a, 76b. 너트러너가이드봉
77. 제 2수직이동축 78. 제 2수평이동축
79. 제 2천공체결수단 80. 전면부
81. 높이조절수단 82. 폭조절수단설치홈
83. 폭조절수단 84a, 84b, 84c, 84d. 측면브라켓
85a, 85b, 85c, 85d. 사각축관통공 86. 사각축
87a, 87b, 87c, 87d. 연장부 88a, 88b. 웜
89. 높이조절수단구동모터 90. 가동판
91a, 91b, 91c. 폭조절가이드레일 92. 폭조절나사봉
93a, 93b. 폭조절암나사편 94a, 94b. 풀리
95. 폭조절수단구동모터 96. 벨트
97. 폭조절가이드봉 98a, 98b, 98c. 폭조절가이드블럭
H, H' : 반제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판넬 자동조립장치(1)는 도 1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장이나 책장, 서가 또는 각종 싱크대나 작업대 등을 제작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하,좌,우측 판넬(7)(8)(9)(10)들을 자동으로 조립체결하여 반제품(H)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좌,우측 판넬(7)(8)(9)(10)이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제 1판넬삽입부(2) 및 제 2판넬삽입부(3)와, 상기 제 1판넬삽입부(2) 및 제 2판넬삽입부(3)에 삽입 고정된 좌측판넬(9) 및 우측판넬(10)의 상하부의 모서리부분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천공된 구멍에 나사체결하여 상,하,좌,우측 판넬(7)(8)(9)(10)이 하나로 결합된 반제품(H)이 제작되도록 하는 제 1나사체결부(4) 및 제 2나사체결부(5)와, 상기 제 1판넬삽입부(2) 및 제 1나사체결부(4)가 전면부(80)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판넬삽입부(2)의 제 1상부삽입부(12) 및 제 2판넬삽입부(3)의 제 2상부삽입부(49)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높이조절수단(81)과 상기 제 2판넬삽입부(3) 및 제 2나사체결부(5)를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길이조절되도록 하는 폭조절수단(83)이 구비된 베이스몸체부(6)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크기의 상,하,좌,우측 판넬(7)(8)(9)(10)을 자동으로 조립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판넬삽입부(2)는 도 1 내지 5, 7, 10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판넬(9)과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의 좌측 끝단이 삽입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몸체부(6)의 전면부(80) 일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제 1높이조절몸체부(11)와 제 1상부삽입부(12)와 제 1하부삽입부(13)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높이조절몸체부(11)는 베이스몸체부(6)의 전면부(80) 일측에 고정 부착되고 세로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되어 있는 몸체판(14a)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판(14a)의 전면 하부에는 제 1하부삽입부(13)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전면 상부에는 제 1상부삽입부(1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몸체판(14a)의 전면 가운데 부분에는 세로방향으로 긴 높이조절나사봉(15a)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나사봉(15a)은 제 1상부삽입부(12)의 가이드대부착판(20a) 후면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편(21a)(21b)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어 있으며 상부는 몸체판(14a)의 상단면에 고정 부착된 상부지지판(16a)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웜휠(17a)이 고정 부착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몸체부(6)의 높이조절수단(81)에 구비된 웜(88a)에 의해 웜휠(17a)이 회전되면서 높이조절나사봉(15a)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상부삽입부(12)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나사봉(15a)의 양측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높이조절가이드레일(18a)(18b)이 고정 부착되어 있어 제 1상부삽입부(12)의 가이드대부착판(20a) 후면에 고정 부착된 높이조절가이드블럭(22a)(22b)과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대부착판(20a)이 상하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레일(18a)의 외측면에는 높이조절가이드봉(19a)이 세로방향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어 가이드대부착판(20a)의 스토퍼(23a)가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봉(19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1상부삽입부(12)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상부삽입부(12)는 도 1내지 5, 7, 10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몸체부(6)의 높이조절수단(81)에 의해 구동되는 높이조절나사봉(15a)을 따라 그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상부판넬(7)의 좌측 끝단과 좌측판넬(9)의 상부가 삽입 고정되는 부분으로, 가이드대부착판(20a)과 상기 가이드대부착판(20a)의 전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각각 고정 부착된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와 좌측판넬상부고정대(25)와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와 상부판넬좌측고정대(27)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대부착판(20a)은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판(14a)과 마주보도록 위치해 있고 후면 상단 및 하단 가운데 부분에는 암나사편(21a)(21b)이 일체로 고정 부착되어 있고 이 암나사편(21a)(21b)에 상기 높이조절나사봉(15a)이 관통되어 나사체결되어 있어 높이조절나사봉(15a)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대부착판(20a)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고, 후면 양측면에는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레일(18a)(18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높이조절가이드블럭(22a)(22b)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높이조절몸체부(11)에 형성된 높이조절가이드봉(19a)을 따라 이동되고 나사에 의해 조임 고정되는 스토퍼(23a)가 고정 부착되어 있어 가이드대부착판(20a)이 높이조절된 후 스토퍼(23a)를 높이조절가이드봉(19a)에 고정시킴으로써 가이드대부착판(20a)이 더이상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가이드대부착판(20a)의 전면 하부에는 가이드대부착판(20a)과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와 좌측판넬상부고정대(25)가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히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좌측판넬상부고정대(25)가 고정 부착된 상부에는 상부판넬좌측고정대(27)와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위아래로 나란히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삽입되는 좌측판넬(9)의 상부를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긴 막대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종단부 내측에는좌측판넬상부걸림턱(28)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좌측판넬(9)이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되고 더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측판넬상부고정대(25)는 좌측판넬(9)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를 부착하는 긴 대로서, 상기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를 마주보는 위치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개의 좌측판넬고정실린더(29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판넬고정실린더(29a) 또한 상기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어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와 좌측판넬상부고정대(25)사이로 삽입된 좌측판넬(9)을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쪽으로 밀어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는 수평방향으로 놓여져 삽입되는 상부판넬(7)의 좌측 끝단을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좌우로 놓여진 두개의 평행한 긴 막대형상의 대 사이를 따라 다수개의 롤러(30a)가 일렬로 구비되어 있어 상부판넬(7)의 좌측 끝단이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에 구비된 다수개의 롤러(30a)의 상면을 따라 구름접촉하면서 안쪽까지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의 종단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상부판넬걸림턱(31a)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상부판넬(7)이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되고 더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걸리도록 되어 있고, 또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의 선단부 끝단에는 얇고 긴 바(bar)형상의 바형판넬(32)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의 선단부 끝단에 놓일 수 있도록 바형판넬걸림단(3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판넬좌측고정대(27)는 상측판넬(7)의 좌측을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를 부착하는 긴 대로서, 상기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의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개의 상부판넬고정실린더(34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판넬고정실린더(34a)는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와 상부판넬좌측고정대(27) 사이에 삽입된 상부판넬(7)의 좌측끝단을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쪽으로 위에서 밀어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판넬좌측고정대(27)의 선단부에는 바형판넬고정수단(35a)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의 바형판넬걸림단(33a)에 위치되는 바형판넬(32)의 좌측 끝단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바형판넬고정수단(35a)은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36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형판넬(32)을 고정 지지하는 부분으로 판형부재인 바형판넬고정판(37a)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바형판넬고정판(37a)은 상기 바형판넬걸림단(33a)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해 있고 상부 일측에는 연결대(38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바형판넬고정실린더(39a)와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 모서리부분은 상기 상부판넬좌측고정대(27)의 선단부 끝단과 힌지축(36a)으로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된 고무부재(40a)가 고정 부착되어 있어 상기 바형판넬고정실린더(39a)가 작동하여 연결대(38a)를 밀어주면 바형판넬고정판(37a)이 힌지축(36a)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고무부재(40a)가 바형판넬(32)을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하부삽입부(13)는 도 1내지 5, 7, 11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넬(8)의 좌측 끝단 및 좌측판넬(9)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는 부분으로, 제 1높이조절몸체부(11)의 몸체판(14a) 하부에 상기 몸체판(14a)과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와 좌측판넬하부고정대(42)가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히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좌측판넬하부고정대(42)가 고정 부착된 하부에는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와 하부판넬좌측고정대(43)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위아래로 나란히 고정부착되어 있다.
상기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삽입되는 좌측판넬(9)의 하부를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제 1상부삽입부(12)의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와 동일선상의 아래쪽에 나란히 위치해 있어 좌측판넬(9)이 수직방향으로 바르게 세워진 상태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하로 놓여진 두개의 평행한 긴 막대형상의 대 사이를 따라 다수개의 롤러(30b)가 일렬로 구비되어 있어 좌측판넬(9)이 다수개의 롤러(30b)을 따라 구름접촉되면서 안쪽까지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종단부 내측에는 좌측판넬하부걸림턱(45)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좌측판넬(9)이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되고 더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측판넬하부고정대(42)는 좌측판넬(9)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를 부착하는 긴 대로서, 상기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와 마주보는 위치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개의 좌측판넬고정실린더(29b)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판넬고정실린더(29b)는 상기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어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와 좌측판넬하부고정대(42)사이로 삽입된 좌측판넬(9)을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쪽으로 밀어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는 수직으로 세워져 삽입되는 좌측판넬(9)의 하단면과 수평으로 눕혀져 삽입되는 하부판넬(8)의 좌측 끝단을 동시에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상기 좌측판넬하부고정대(42) 하부에 위치되어 있고 좌우로 놓여진 두개의 평행한 긴 막대형상의 대 사이를 따라 다수개의 롤러(30c)가 일렬로 구비되어 있어 좌측판넬(9) 및 하부판넬(8)이 다수개의 롤러(30c)을 따라 구름접촉되면서 안쪽까지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데, 좌측판넬(9)이 먼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의 롤러(30c)를 따라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좌측판넬(9)의 하부 내측면과 맞닿은 상태로 하부판넬(8)의 좌측 끝단이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의 롤러(30c)를 따라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의 종단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하부판넬걸림턱(46a)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하부판넬(8)이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되고 더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판넬좌측고정대(43)는 하측판넬(8)의 좌측을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를 부착하는 긴 대로서, 상기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의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개의 하부판넬고정실린더(47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넬고정실린더(47a)는 상기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어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와하부판넬좌측고정대(43) 사이에 삽입된 하부판넬(8)을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쪽으로 위에서 밀어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판넬삽입부(3)는 도 1 내지 5, 8, 10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판넬(10)과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의 우측 끝단이 삽입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몸체부(6)의 폭조절수단(83)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판(90)의 전면에 고정 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삽입되는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의 길이에 따라 상기 가동판(9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폭조절되도록 되어 있고, 제 2높이조절몸체부(48)와 제 2상부삽입부(49)와 제 2하부삽입부(50)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높이조절몸체부(48)는 베이스몸체부(6)의 가동판(90) 전면에 고정 부착되고 세로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되어 있는 몸체판(14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판(14b)의 전면 하부에는 제 2하부삽입부(50)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전면 상부에는 제 2상부삽입부(49)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몸체판(14b)의 전면 가운데 부분에는 세로방향으로 긴 높이조절나사봉(15b)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이 높이조절나사봉(15b)은 제 2상부삽입부(49)의 가이드대부착판(20b) 후면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편(21c)(21d)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어 있으며 상부는 몸체판(14b)의 상단면에 고정 부착된 상부지지판(16b)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웜휠(17b)이 고정 부착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몸체부(6)의 높이조절수단(81)에 구비된 웜(88b)에 의해 웜휠(17b)이 회전되면서높이조절나사봉(15b)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상부삽입부(12)와 함께 제 2상부삽입부(49)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나사봉(15b)의 양측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높이조절가이드레일(18c)(18d)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제 2상부삽입부(49)의 가이드대부착판(20b) 후면에 고정 부착된 높이조절가이드블럭(22c)(22d)과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대부착판(20b)이 상하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레일(18c)의 외측면에는 높이조절가이드봉(19b)이 세로방향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어 가이드대부착판(20b)의 스토퍼(23b)가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봉(19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2상부삽입부(49)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상부삽입부(49)는 도 1내지 5, 8, 10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몸체부(6)의 높이조절수단(81)에 의해 구동되는 높이조절나사봉(15b)을 따라 그 높낮이가 상기 제 1상부삽입부(12)와 함께 조절되면서 상부판넬(7)의 우측 끝단과 우측판넬(10)의 상부가 삽입 고정되는 부분으로, 가이드대부착판(20b)과 상기 가이드대부착판(20b)의 전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각각 고정 부착된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와 상부판넬우측고정대(54)와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와 우측판넬상부고정대(52)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대부착판(20b)은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판(14b)과 마주보도록 위치해 있고 후면 상단 및 하단 가운데 부분에는 암나사편(21c)(21d)이 일체로 고정 부착되어 있고 이 암나사편(21c)(21d)에 상기 높이조절나사봉(15b)이 관통되어 나사체결되어 있어 높이조절나사봉(15b)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대부착판(20b)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고, 후면 양측면에는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레일(18c)(18d)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높이조절가이드블럭(22c)(22d)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 2높이조절몸체부(48)에 형성된 높이조절가이드봉(19b)을 따라 이동되고 나사에 의해 조임 고정되는 스토퍼(23b)가 고정 부착되어 있어 가이드대부착판(20b)이 높이조절된 후 스토퍼(23b)를 높이조절가이드봉(19b)에 고정시킴으로써 가이드대부착판(20b)이 더이상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가이드대부착판(20b)의 전면 하부에는 가이드대부착판(20b)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와 우측판넬상부고정대(52)가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히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우측판넬상부고정대(52)가 고정 부착된 상부에는 상부판넬우측고정대(54)와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위아래로 나란히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는 수평방향으로 놓여져 삽입되는 상부판넬(7)의 우측 끝단을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 1상부삽입부(12)의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와 수평선상에 나란히 위치해 있고 좌우로 놓여진 두개의 평행한 긴 막대형상의 대 사이를 따라 다수개의 롤러(30d)가 일렬로 구비되어 있어 상부판넬(7)이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에 구비된 다수개의 롤러(30d)의 상면을 따라 구름접촉되면서 안쪽까지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의 종단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상부판넬걸림턱(31b)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상부판넬(7)이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되고 더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걸리도록 되어 있고, 또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의 선단부 끝단에는 얇고 긴 바(bar)형상의 바형판넬(32)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의 선단부 끝단에 놓일 수 있도록 바형판넬걸림단(3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판넬우측고정대(54)는 상부판넬(7)의 우측을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를 부착하는 긴 대로서, 상기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의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개의 상부판넬고정실린더(34b)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판넬고정실린더(34b)는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와 상부판넬우측고정대(54)사이에 삽입된 상부판넬(7)의 우측끝단을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쪽으로 위에서 밀어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판넬우측고정대(54)의 선단부에는 바형판넬고정수단(35b)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의 바형판넬걸림단(33b)에 위치되는 바형판넬(32)의 우측 끝단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바형판넬고정수단(35b)은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36b)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형판넬(32)을 고정 지지하는 부분으로 판형부재인 바형판넬고정판(37b)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바형판넬고정판(37b)은 상기 바형판넬걸림단(33b)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해 있고 상부 일측에는 연결대(3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바형판넬고정실린더(39b)와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 모서리부분은 상기 상부판넬우측고정대(54)의 선단부 끝단과 힌지축(36b)으로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된 고무부재(40b)가 고정 부착되어 있어 상기 바형판넬고정실린더(39b)가 작동하여 연결대(38b)를 밀어주면 바형판넬고정판(37b)이 힌지축(36b)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고무부재(40b)가 바형판넬(32)을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삽입되는 우측판넬(10)의 상부를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긴 막대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종단부 내측에는 우측판넬상부걸림턱(55)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우측판넬(10)이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되고 더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우측판넬상부고정대(52)는 우측판넬(10)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를 부착하는 긴 대로서, 상기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를 마주보는 위치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이 내장된 다수개의 가이드부시(56a)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푸쉬바작동실린더(57)가 우측판넬상부고정대(5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부시(56a)와 푸쉬바작동실린더(57)는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고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쪽의 끝단에는 긴 바(bar)형상의 푸쉬바(58)가 연결 장착되어 있어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와 우측판넬상부고정대(52) 사이로 삽입된 우측판넬(10)을 상기 푸쉬바(58)가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쪽으로 밀어 우측판넬(10)의 상부와 상부판넬(7)의 우측 끝단이 완전히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하부삽입부(50)는 도 1내지 5, 8, 11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하부판넬(8)의 우측 끝단 및 우측판넬(10)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는 부분으로, 제 2높이조절몸체부(48)의 몸체판(14b) 하부에 상기 몸체판(14b)과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와 우측판넬하부고정대(60)가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히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우측판넬하부고정대(60)가 고정 부착된 하부에는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와 하부판넬우측고정대(61)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위아래로 나란히 고정부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는 수직으로 세워져 삽입되는 우측판넬(10)의 하단면과 수평으로 눕혀져 삽입되는 하부판넬(8)의 우측 끝단을 동시에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 1하부삽입부(13)의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와 수평선상에 나란히 위치해 있고 좌우로 놓여진 두개의 평행한 긴 막대형상의 대 사이를 따라 다수개의 롤러(30f)가 일렬로 구비되어 있어 우측판넬(10) 및 하부판넬(8)이 다수개의 롤러(30f)을 따라 구름접촉되면서 안쪽까지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데, 하부판넬(8)의 우측 끝단이 먼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의 롤러(30f)를 따라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하부판넬(8)의 우측끝단과 맞닿은 상태로 우측판넬(10)의 하단면이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의 롤러(30f)를 따라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의 종단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하부판넬걸림턱(46b)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하부판넬(8)이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되고 더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판넬우측고정대(61)는 하부판넬(8)의 우측을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를 부착하는 긴 대로서, 상기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의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된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개의 하부판넬고정실린더(47b)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넬고정실린더(47b)는 상기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어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와 하부판넬우측고정대(61) 사이에 삽입된 하부판넬(8)을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쪽으로 위에서 밀어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삽입되는 우측판넬(10)의 하부를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제 2상부삽입부(49)의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와 동일선상의 아래쪽에 나란히 위치해 있어 우측판넬(10)이 수직방향으로 바르게 세워진 상태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종단부 내측에는 우측판넬하부걸림턱(63)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우측판넬(10)이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되고 더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우측판넬하부고정대(60)는 우측판넬(10)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를 부착하는 긴 대로서, 상기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와 마주보는 위치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이 내장된 다수개의 가이드부시(56b)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푸쉬롤러부작동실린더(64)가 우측판넬하부고정대(6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부시(56b)와 푸쉬롤러부작동실린더(64)는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고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쪽의 끝단에는 다수개의 롤러(30e)가 일렬로 장착된 긴 바(bar)형상의 푸쉬롤러부(65)가 연결 장착되어 있어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와 우측판넬하부고정대(60) 사이로 푸쉬롤러부(65)의 롤러(30e)를 따라 구름접촉되면서 자연스럽게 삽입된 우측판넬(10)을 푸쉬롤러부(65)가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쪽으로 밀어 우측판넬(10)의 상부와 하부판넬(8)의 우측 끝단이 완전히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측판넬고정실린더(29a)(29b)와 상부판넬고정실린더(34a)(34b)와 하부판넬고정실린더(47a)(47b)와 푸쉬바작동실린더(57) 및 푸쉬롤러부작동실린더(64)의 작동을 각각 설명하면 좌측판넬(9)이 삽입된 다음 좌측판넬고정실린더(29a)(29b)가 작동되도록 하고 하부판넬(8) 및 상부판넬(7)이 삽입된 후 상부판넬고정실린더(34a)(34b)와 하부판넬고정실린더(47a)(47b)가 각각 작동되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우측판넬(10)이 삽입된 후 푸쉬바작동실린더(57) 및 푸쉬롤러부작동실린더(64)가 작동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하,좌,우측 판넬(7)(8)(9)(10)가 삽입된 다음 좌측판넬고정실린더(29a)(29b)와 상부판넬고정실린더(34a)(34b)와 하부판넬고정실린더(47a)(47b)와 푸쉬바작동실린더(57) 및 푸쉬롤러부작동실린더(64)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나사체결부(4)는 도 1내지 3, 5, 11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판넬삽입부(2)에 삽입 고정된 좌측판넬(9)의 상부 및 하부의 모서리부분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천공된 구멍에 나사체결하여 좌측판넬(9)과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제 1수직이동축(66)과 제 1수평이동축(67)과 제 1천공체결수단(68)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수직이동축(66)은 긴 막대형상으로 상기 베이스몸체부(6)의 전면부(80) 일측에 고정 부착된 제 1판넬삽입부(2)의 옆쪽에 나란히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몸체부(6)의 전면부(80)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수직이동레일(69a)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제 1수평이동축(67)의 일측 끝단과 연설된 통상의 모터 및 기어박스(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어 상기 수직이동레일(69a)을 따라 제 1수평이동축(67)이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수평이동축(67)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 1수직이동축(66)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수평으로 놓여져 있으며 일측끝단이 제 1수직이동축(66)에 내장된 통상의 모터 및 기어박스(도시하지 않음)와 연결 구동되도록 되어 있어 제 1수평이동축(67) 자체가 상기 제 1수직이동축(66)의 수직이동레일(69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제 1수평이동축(67)의 상면부에는 수평이동레일(70a)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통상의 모터 및 기어박스(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어 상기 수평이동레일(70a)을 따라 제 1천공체결수단(68)이 수평방향으로 전후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천공체결수단(68)은 제 1수평이동축(67)의 수평이동레일(70a)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전후 왕복이동하면서 좌측판넬(9)의 상부 및 하부의 모서리부분에 구멍을 천공하고 나사를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있는 부분으로, 상기 제 1수평이동축(67)에 내장된 통상의 모터 및 기어박스(도시하지 않음)와 연설되어 수평이동레일(70a)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수평이동판(71a)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이동판(71a)의 상면부에는 소정의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72a)과 상기 드릴(72a)에 의해 천공된 구멍에 나사못 등을 체결하는 너트러너(73a)가 장착되어있는데, 상기 드릴(72a)은 좌측판넬(9)과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드릴(72a)의 선단부에 구비된 드릴비트(74a)가 입출되면서 좌측판넬(9)에 소정의 깊이로 구멍을 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러너(73a)는 드릴(72a)과 인접된 옆쪽에 좌측판넬(9)과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통상의 파트피더(도시하지 않음)와 연설되어 있어 상기 파트피터(도시하지 않음)로 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의 나사못 등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고 너트러너작동실린더(75a)의 작동에 의해 너트러너가이드봉(76a)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수평이동판(71a)위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어 너트러너작동실린더(75a)가 작동하여 너트러너(73a)를 구멍이 천공된 위치에 밀착되도록 이동시키면 이와 동시에 너트러너(73a)가 회전 작동하여 파트피더(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받은 나사못 등을 천공된 구멍에 정확히 나사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1천공체결수단(68)은 판넬의 재질이 단단하지 않은 소프트(soft)한 재질일 경우 좌측판넬(9)의 상부 및 하부의 모서리부분에 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곧 바로 나사를 체결하도록 상기 수평이동판(71a)의 상면부에 나사못 등을 체결하는 너트러너(73a)만이 장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너트러너(73a)는 너트러너작동실린더(75a)가 작동하여 너트러너(73a)를 좌측판넬(9)에 밀착되도록 이동시키면 이와 동시에 너트러너(73a)가 회전 작동하여 파트피더(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받은 나사못 등을 좌측판넬(9)에 정확히 나사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나사체결부(5)는 도 1내지 3, 5, 11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 2판넬삽입부(3)에 삽입 고정된 우측판넬(10)의 상부 및 하부의 모서리부분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천공된 구멍에 나사체결하여 우측판넬(10)과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 1나사체결부(4)와 동일하게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 2수직이동축(77)과 제 2수평이동축(78)과 제 2천공체결수단(79)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수직이동축(77)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 2판넬삽입부(3)의 외측 옆쪽에 나란히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몸체부(6)의 가동판(90)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수직이동레일(69b)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제 2수평이동축(78)의 일측 끝단과 연설된 통상의 모터 및 기어박스(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어 상기 수직이동레일(69b)을 따라 제 2수평이동축(78)이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수평이동축(78)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 2수직이동축(77)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수평으로 놓여져 있으며 일측끝단이 제 2수직이동축(77)에 내장된 통상의 모터 및 기어박스(도시하지 않음)와 연결 구동되도록 되어 있어 제 2수평이동축(78) 자체가 상기 제 2수직이동축(77)의 수직이동레일(69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제 2수평이동축(78)의 상면부에는 수평이동레일(70b)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통상의 모터 및 기어박스(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어 상기 수평이동레일(70b)을 따라 제 2천공체결수단(79)이 수평방향으로 전후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천공체결수단(79)은 제 2수평이동축(78)의 수평이동레일(70b)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전후 왕복이동하면서 우측판넬(10)의 상부 및 하부의 모서리부분에 구멍을 천공하고 나사를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있는 부분으로, 상기 제 2수평이동축(78)에 내장된 통상의 모터 및 기어박스(도시하지 않음)와 연설되어 수평이동레일(70b)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수평이동판(71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이동판(71b)의 상면부에는 소정의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72b)과 상기 드릴(72b)에 의해 천공된 구멍에 나사못 등을 체결하는 너트러너(73b)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드릴(72b)은 우측판넬(10)과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드릴(72b)의 선단부에 구비된 드릴비트(74b)가 입출되면서 우측판넬(10)에 소정의 깊이로 구멍을 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러너(73b)는 드릴(72b)과 인접된 옆쪽에 우측판넬(10)과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통상의 파트피더(도시하지 않음)와 연설되어 있어 상기 파트피터(도시하지 않음)로 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의 나사못 등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고 너트러너작동실린더(75b)의 작동에 의해 너트러너가이드봉(76b)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수평이동판(71b)위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어 너트러너작동실린더(75b)가 작동하여 너트러너(73b)를 구멍이 천공된 위치에 밀착되도록 이동시키면 이와 동시에 너트러너(73b)가 회전 작동하여 파트피더(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받은 나사못 등을 천공된 구멍에 정확히 나사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2천공체결수단(79)은 판넬의 재질이 단단하지 않은 소프트(soft)한 재질일 경우 우측판넬(10)의 상부 및 하부의 모서리부분에 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곧 바로 나사를 체결하도록 상기 수평이동판(71b)의 상면부에나사못 등을 체결하는 너트러너(73b)만이 장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너트러너(73b)는 너트러너작동실린더(75b)가 작동하여 너트러너(73b)를 우측판넬(10)에 밀착되도록 이동시키면 이와 동시에 너트러너(73b)가 회전 작동하여 파트피더(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받은 나사못 등을 우측판넬(10)에 정확히 나사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몸체부(6)는 도 1 내지 3, 5, 6, 9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판넬삽입부(2) 및 제 2판넬삽입부(3)와 제 1나사체결부(4) 및 제 2나사체결부(5)가 설치되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의 몸체로서, 상기 제 1판넬삽입부(2) 및 제 1나사체결부(4)가 전면부(80)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나란히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면부(80)의 상부에는 상기 제 1판넬삽입부(2)의 제 1상부삽입부(12) 및 제 2판넬삽입부(3)의 제 2상부삽입부(49)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높이조절수단(8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부(80)의 일측에 형성된 폭조절수단설치홈(82) 내측에는 상기 제 2판넬삽입부(3) 및 제 2나사체결부(5)가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길이조절되도록 하는 폭조절수단(8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81)은 도 6,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판넬삽입부(2)의 제 1상부삽입부(12) 및 제 2판넬삽입부(3)의 제 2상부삽입부(49)의 높낮이를 동시에 조절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 1높이조절몸체부(11)의 상부지지판(16a) 양측면에 고정 부착된 측면브라켓(84a)(84b)에 형성된 원형의 사각축관통공(85a)(85b)과 상기 제 2높이조절몸체부(48)의 상부지지판(16b) 양측면에 고정 부착된 측면브라켓(84c)(84d)에 형성된 원형의 사각축관통공(85c)(85d)을 모두 관통하는 긴 사각축(8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축(86)은 양측면에 연장부(87a)(87b)(87c)(87d)가 형성된 두개의 웜(88a)(88b)이 사각축(86)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되, 상기 두개의 웜(88a)(88b)은 사각축(86)의 형상과 동일한 사각형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사각축(86)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각각 상기 제 1높이조절몸체부(11)의 측면브라켓(84a)(84b) 사이 및 제 2높이조절몸체부(48)의 측면브라켓(84c)(84d) 사이에 위치해 있어 상기 폭조절수단(83)의 가동판(90)에 고정부착된 제 2높이조절몸체부(48)가 폭조절수단(83)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측면브라켓(84c)(84d) 사이에 위치한 웜(88b)도 사각축(86)을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 상기 사각축(86)의 일측끝단에는 높이조절수단구동모터(89)가 연결되어 있어 사각축(86)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축(86)의 회전에 따라 웜(88a)(88b)도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웜(88a)(88b)과 맞물려 있는 제 1높이조절몸체부(11)의 웜휠(17a) 및 제 2높이조절몸체부(48)의 웜휠(17b)이 함께 기어구동하여 높이조절나사봉(15a)(15b)이 회전함으로써 제 1상부삽입부(12) 및 제 2상부삽입부(49)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측면브라켓(84a)(84b)(84c)(84d)에 각각 천공되어 있는 사각축관통공(85a)(85b)(85c)(85d)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사각축(86)의 회전시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고, 또한 웜(88a)(88b)의 양측에 형성된 연장부(87a)(87b)(87c)(87d)의 직경이 상기 사각축관통공(85a)(85b)(85c)(85d)보다 커서사각축관통공(85a)(85b)(85c)(85d) 외측으로 웜(88a)(88b)이 빠져 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폭조절수단(83)은 도 1 내지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판넬삽입부(3) 및 제 2나사체결부(5)가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길이조절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전면부(80)의 일측에 형성된 폭조절수단설치홈(82)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횡방향으로 좌우이동되는 가동판(9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폭조절수단설치홈(82)의 내측 벽면에는 다수개의 폭조절가이드레일(91a)(91b)(91c)이 횡방향으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가운데 부분에는 횡방향으로 길게 폭조절나사봉(92)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폭조절나사봉(92)은 가동판(90)의 양측면 가운데부분에 각각 형성된 폭조절암나사편(93a)(93b)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어 있으며 베이스몸체부(6)의 외측쪽의 끝단에는 풀리(94a)가 고정 부착되어 있어 폭조절수단구동모터(95)에 장착된 풀리(94b)와 벨트(96)로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폭조절나사봉(92)의 위쪽에는 횡방향으로 길게 폭조절가이드봉(97)이 고정 부착되어 있어 가동판(90) 일측면에 고정부착된 스토퍼(23c)가 상기 폭조절가이드봉(97)에 끼워져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폭조절수단(83)의 가동판(90)은 장방형의 판상부재로 전면에는 제 2판넬삽입부(3)와 제 2나사체결부(5)가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복수개의 폭조절가이드블럭(98a)(98b)(98c)이 고정 부착되어 있어 상기 폭조절가이드레일(91a)(91b)(91c)을 따라 횡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폭조절암나사편(93a)(9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폭조절암나사편(93a)(93b)에 폭조절나사봉(92)이 관통하여 나사체결되어 있어 폭조절나사봉(92)의 회전에 의해 가동판(90)이 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가동판(90)의 일측면에는 상기 폭조절가이드봉(97)을 따라 이동되고 나사에 의해 조임 고정되는 스토퍼(23c)가 고정 부착되어 있어 가동판(90)이 폭조절된 후 스토퍼(23c)를 폭조절가이드봉(97)에 고정시킴으로써 가동판(90)이 더이상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삽입되는 좌측판넬(9) 및 우측판넬(10)의 높이에 따라 베이스몸체부(6)의 높이조절수단(81)을 작동시켜 제 1판넬삽입부(2)의 제 1상부삽입부(12)와 제 2판넬삽입부(3)의 제 2상부삽입부(49)의 높낮이를 맞추게 되는데, 상기 높이조절수단(81)의 높이조절수단구동모터(89)를 구동하여 사각축(86)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사각축(86)에 구비된 두개의 웜(88a)(88b)이 제 1높이조절몸체부(11) 및 제 2높이조절몸체부(48)의 높이조절나사봉(15a)(15b) 상단부에 고정부착된 웜휠(17a)(17b)과 각각 맞물려 기어구동되고 상기 높이조절나사봉(15a)(15b)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 1상부삽입부(12) 및 제 2상부삽입부(49)의 가이드대부착판(20a)(20b) 상하단에 형성된 암나사편(21a)(21b)(21c)(21d)과 나사체결로 구동되어 가이드대부착판(20a)(20b)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 1상부삽입부(12) 및 제 2상부삽입부(49)의 높낮이가 조절되며, 높낮이가 조절된 제 1상부삽입부(12) 및 제 2상부삽입부(49)는 상기 가이드대부착판(20a)(20b)에 형성된 스토퍼(23a)(23b)를 높이조절가이드봉(19a)(19b)에고정하여 더이상 상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삽입되는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의 폭에 따라 베이스몸체부(6)의 폭조절수단(83)을 작동시켜 제 1판넬삽입부(2)와 제 2판넬삽입부(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폭방향의 길이를 맞추게 되는데, 상기 폭조절수단(83)의 폭조절수단구동모터(95)을 구동하여 벨트(96)와 풀리(94a)(94b)로 연결된 폭조절나사봉(9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폭조절수단(83)의 가동판(90) 양측면에 형성된 폭조절암나사편(93a)(93b)과 나사체결로 구동되어 가동판(90)이 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가동판(90)의 전면에 고정부착된 제 2판넬삽입부(3)와 베이스몸체부(6)의 전면부(80)에 고정부착된 제 1판넬삽입부(2)사이의 폭이 조절되며, 폭이 조절된 가동판(90)은 일측면에 형성된 스토퍼(23c)를 폭조절가이드봉(97)에 고정하여 더이상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하,좌,우측 판넬의 크기에 따라 높이 및 폭을 조절한 다음에는 각 판넬을 삽입하게 되는데, 처음에는 좌측판넬(9)을 수직방향으로 세워 제 1판넬삽입부(2)의 제 1상부삽입부(12) 및 제 1하부삽입부(13) 사이에 삽입하게 되며, 상기 좌측판넬(9)의 상부는 제 1상부삽입부(12)의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를 따라 삽입하고 좌측판넬(9)의 하부는 제 1하부삽입부(13)의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 및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를 따라 삽입하되, 이 때 상기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 및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롤러(30b)(30c)에의해 좌측판넬(9)의 하단면과 측면이 구름접촉되면서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삽입되고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 및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의 내측 종단부에 돌출 형성된 좌측판넬상부걸림턱(28)과 좌측판넬하부걸림턱(45)에 걸려 더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게 되며, 삽입된 좌측판넬(9)은 좌측판넬상부고정대(25)와 좌측판넬하부고정대(42)에 구비된 복수개의 좌측판넬고정실린더(29a)(29b)에 의해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 및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쪽으로 밀어 밀착 고정되도록 하고,
두번째로 하부판넬(8)을 수평으로 눕혀 제 1판넬삽입부(2)의 제 1하부삽입부(13)와 제 2판넬삽입부(3)의 제 2하부삽입부(50)사이에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하부판넬(8)은 삽입 고정되어 있는 상기 좌측판넬(9)의 하부 내측면과 맞닿은 상태로 좌측 끝단이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의 롤러(30c)를 따라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우측 끝단은 제 2하부삽입부(50)의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의 롤러(30f)를 따라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며, 이 때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와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의 내측 종단부에 돌출 형성된 하부판넬걸림턱(46a)(46b)에 하부판넬(8)이 걸려 더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게 되고, 삽입된 하부판넬(8)은 하부판넬좌측고정대(43)와 하부판넬우측고정대(61)에 구비된 복수개의 하부판넬고정실린더(47a)(47b)에 의해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와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쪽으로 위에서 밀어 밀착 고정되도록 하며,
세번째로 상부판넬(7)을 수평으로 눕혀 제 1판넬삽입부(2)의 제 1상부삽입부(12)와 제 2판넬삽입부(3)의 제 2상부삽입부(49)사이에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판넬(7)은 삽입 고정되어 있는 상기 좌측판넬(9)의 상부 내측면과 맞닿은 상태로좌측 끝단이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의 롤러(30a)를 따라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우측 끝단은 제 2상부삽입부(49)의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의 롤러(30b)를 따라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며, 이 때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와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의 내측 종단부에 돌출 형성된 상부판넬걸림턱(31a)(31b)에 상부판넬(7)이 걸려 더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게 되고, 삽입된 상부판넬(7)은 상부판넬좌측고정대(27)와 상부판넬우측고정대(54)에 구비된 복수개의 상부판넬고정실린더(34a)(34b)에 의해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와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쪽으로 위에서 밀어 밀착 고정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우측판넬(10)을 수직으로 세워 제 2판넬삽입부(3)의 제 2상부삽입부(49) 및 제 2하부삽입부(50) 사이에 삽입하게 되며, 상기 우측판넬(10)의 상부는 제 2상부삽입부(49)의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를 따라 삽입하고 우측판넬(10)의 하부는 제 2하부삽입부(50)의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 및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를 따라 삽입하되, 이때 우측판넬(10)이 상기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 및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의 내측 종단부에 돌출 형성된 우측판넬상부걸림턱(55)과 우측판넬하부걸림턱(63)에 걸려 더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게 되며, 삽입된 우측판넬(10)은 우측판넬상부고정대(52)에 구비되어 있고 푸쉬바작동실린더(57) 및 가이드부시(56a)에 의해 작동하는 푸쉬바(58)가 상기 우측판넬(10)의 상부를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쪽으로 강하게 밀고 이와 동시에 우측판넬하부고정대(60)에 구비되어 있고 푸쉬롤러부작동실린더(64) 및 가이드부시(56b)에 의해 작동하는 푸쉬롤러부(65)가 우측판넬(10)의 하부를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쪽으로 강하게 밀어우측판넬(10)과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이 완전히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형판넬(32)이 조립된 반제품(H')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판넬(7) 대신 제 1상부삽입부(12)와 제 2상부삽입부(49)에 바형판넬(32)을 삽입하게 되는데, 바(bar)형상의 얇고 긴 바형판넬(32)의 양측 끝단을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와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의 바형판넬걸림단(33a)(33b)에 위치시키고, 상부판넬좌측고정대(27) 및 상부판넬우측고정대(54) 선단부에 각각 구비된 바형판넬고정수단(35a)(35b)을 이용하여 바형판넬(32)의 양측 끝단을 고정시키되, 상기 바형판넬고정수단(35a)(35b)의 바형판넬고정실린더(39a)(39b)가 작동하여 바형판넬고정판(37a)(37b) 상부일측에 연설된 연결대(38a)(38b)를 밀어주면 바형판넬고정판(37a)(37b)이 힌지축(36a)(36b)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바형판넬고정판(37a)(37b) 하단부에 고정부착된 고무부재(40a)(40b)가 바형판넬(32)을 밀착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판넬들이 제 1판넬삽입부(2) 및 제 2판넬삽입부(3)에 삽입 고정된 다음에는 제 1나사체결부(4) 및 제 2나사체결부(5)를 작동시켜 나사못 등으로 각 판넬들을 결합 부착시켜 도 15에 도시된 상,하,좌,우측 판넬(7)(8)(9)(10)이 하나로 결합된 반제품(H)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형판넬(32)이 결합된 반제품(H')을 완성하게 되는데, 상기 제 1나사체결부(4)의 제 1수평이동축(67)이 제 1수직이동축(66)의 수직이동레일(69a)을 따라 상하 높이조절되면서 좌측판넬(9)과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이 밀착되어 있는 상,하부의 모서리부분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수평이동축(67)의 상부에 구비된 제 1천공체결수단(68)이 제 1수평이동축(67)의 수평이동레일(70a)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먼저 제 1천공체결수단(68)의 드릴(72a)로 소정의 깊이로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구멍이 천공된 위치로 너트러너(73a)가 자동적으로 이동되어 통상의 파트피더(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정렬되어 하나씩 공급받은 나사못 등을 상기 구멍에 체결하고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제 1천공체결수단(68)이 이동되면서 좌측판넬(9)과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이 밀착된 상하부의 모서리부분을 따라 나사못 등을 다수개 체결하여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 1수평이동축(67) 및 상기 제 1천공체결수단(68)의 이동은 통상의 메인컨트롤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정확한 위치가 제어되어 자동으로 작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나사체결부(4)의 작동과 동시에 제 2나사체결부(5)도 동일하게 작동하여 우측판넬(10)과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이 밀착된 상하부의 모서리부분을 따라 제 2나사체결부(5)가 이동되면서 제 2천공체결수단(79)의 드릴(72b) 및 너트러너(73b)로 나사못 등을 다수개 체결하여 상,하,좌,우측 판넬(7)(8)(9)(10)이 하나로 결합된 반제품(H)이 완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나사체결과정에서 판넬의 재질이 소프트(soft)한 재질일 경우에는 제 1천공체결수단(68) 및 제 2천공체결수단(79)의 드릴(72a)(72b)을 사용하여 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너트러너(73a)(73b)만을 사용하여 직접 나사못 등을 체결하여 판넬들을 하나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진열장이나 책장, 서가 또는 각종 싱크대나 작업대 등을 제작시 사용되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판넬들을 수작업이 아닌 기계를 이용한 자동조립공정을 통하여 판넬의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고 나사못 등을 체결함으로써 상,하,좌,우측 판넬이 하나로 조립체결된 반제품이 빠른 시간내에 생산되며, 정확히 제어된 판넬자동조립장치의 작동에 의해 불량제품이 적고 단시간내에 많은 판넬들이 조립 체결되어 생산 효율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판넬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장치에 있어서, 좌측판넬(9)과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의 좌측 끝단이 삽입고정되도록 제 1높이조절몸체부(11)와 제 1상부삽입부(12)와 제 1하부삽입부(13)로 되어 있는 제 1판넬삽입부(2)와, 우측판넬(10)과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의 우측 끝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제 2높이조절몸체부(48)와 제 2상부삽입부(49)와 제 2하부삽입부(50)로 되어 있는 제 2판넬삽입부(3)와, 상기 제 1판넬삽입부(2)에 삽입 고정된 좌측판넬(9)의 상부 및 하부의 모서리부분에 나사체결하여 좌측판넬(9)과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이 결합되도록 제 1수직이동축(66)과 제 1수평이동축(67)과 제 1천공체결수단(68)으로 되어 있는 제 1나사체결부(4)와, 상기 제 2판넬삽입부(3)에 삽입 고정된 우측판넬(10)의 상부 및 하부의 모서리부분에 나사체결하여 우측판넬(10)과 상부판넬(7) 및 하부판넬(8)이 결합되도록 제 2수직이동축(77)과 제 2수평이동축(78)과 제 2천공체결수단(79)으로 되어 있는 제 2나사체결부(5)와, 상기 제 1판넬삽입부(2) 및 제 1나사체결부(4)가 전면부(80)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상부삽입부(12) 및 제 2상부삽입부(49)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높이조절수단(81)과 상기 제 2판넬삽입부(3) 및 제 2나사체결부(5)를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길이조절되도록 하는 폭조절수단(83)이 구비된 베이스몸체부(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판넬삽입부(2)의 제 1높이조절몸체부(11)는 베이스몸체부(6)의 전면부(80) 일측에 고정 부착된 몸체판(14a)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판(14a)의 전면 하부에는 제 1하부삽입부(13)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전면 상부에는 제 1상부삽입부(1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몸체판(14a)의 전면 가운데 부분에는 세로방향으로 긴 높이조절나사봉(15a)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나사봉(15a)은 제 1상부삽입부(12)의 가이드대부착판(20a) 후면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편(21a)(21b)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어 있으며 상부는 몸체판(14a)의 상단면에 고정 부착된 상부지지판(16a)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웜휠(17a)이 고정 부착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몸체부(6)의 높이조절수단(81)에 구비된 웜(88a)에 의해 웜휠(17a)이 회전되면서 높이조절나사봉(15a)도 회전하여 제 1상부삽입부(12)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나사봉(15a)의 양측면에는 높이조절가이드블럭(22a)(22b)과 결합되는 높이조절가이드레일(18a)(18b)이 세로방향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레일(18a)의 외측면에는 스토퍼(23a)가 이동되는 높이조절가이드봉(19a)이 세로방향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부삽입부(12)는 가이드대부착판(20a)과 상기 가이드대부착판(20a)의 전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 부착된 긴 막대형상의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와 좌측판넬상부고정대(25)와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와 상부판넬좌측고정대(27)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대부착판(20a)은 몸체판(14a)과 마주보도록 위치해 있고 후면 상단 및 하단 가운데 부분에는 암나사편(21a)(21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 양측면에는 높이조절가이드블럭(22a)(22b)이 고정 부착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나사에 의해 조임 고정되는 스토퍼(23a)가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는 종단부 내측에는 좌측판넬상부걸림턱(28)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판넬상부고정대(25)는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를 마주보는 위치에 일정간격 이격설치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좌측판넬(9)의 상부를 밀어 밀착고정하는 복수개의 좌측판넬고정실린더(29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는 좌우로 놓여진 두개의 평행한 대 사이를 따라 다수개의 롤러(30a)가 일렬로 구비되어 있어 상부판넬(7)의 좌측끝단이 롤러(30a)의 상면을 따라 구름접촉하면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종단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상부판넬걸림턱(31a)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판넬좌측고정대(27)는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의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상부판넬(7)을 위에서 밀어 밀착 고정하는 복수개의 상부판넬고정실린더(34a)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는 선단부 끝단에 바형판넬(32)의 좌측끝단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놓이도록 바형판넬걸림단(3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판넬좌측고정대(27)의 선단부에는 바형판넬고정수단(35a)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바형판넬걸림단(33a)에 위치되는 바형판넬(32)의 좌측 끝단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바형판넬고정수단(35a)은 판형부재인 바형판넬고정판(37a)이 구비되어 있고 이 바형판넬고정판(37a)은 상부 일측에 연결대(38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바형판넬고정실린더(39a)와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 모서리부분은 상기 상부판넬좌측고정대(27)의 선단부 끝단과 힌지축(36a)으로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고무부재(40a)가 고정 부착되어 있어 상기 바형판넬고정실린더(39a)가 작동하여 연결대(38a)를 밀어주면 바형판넬고정판(37a)이 힌지축(36a)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고무부재(40a)가 바형판넬(32)을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부삽입부(13)는 제 1높이조절몸체부(11)의 몸체판(14a) 하부 전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부착된 긴 막대형상의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와 좌측판넬하부고정대(42)와 하부판넬좌측고정대(43)와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로 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는 제 1상부삽입부(12)의 좌측판넬상부가이드대(24)와 동일선상의 아래쪽에 나란히 위치해 있고 상하로 놓여진 두개의 평행한 대 사이를 따라 다수개의 롤러(30b)가 일렬로 구비되어 있어 좌측판넬(9)이 구름접촉되면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종단부 내측에는 좌측판넬하부걸림턱(45)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판넬하부고정대(42)는 좌측판넬하부가이드대(41)와 마주보는 위치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좌측판넬(9)의 하부를 밀어 밀착 고정하는 복수개의 좌측판넬고정실린더(29b)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는 좌측판넬하부고정대(42) 하부에 위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져 삽입되는 좌측판넬(9)의 하단면과 수평으로 눕혀져 삽입되는 하부판넬(8)의 좌측 끝단을 동시에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고 좌우로 놓여진 두개의 평행한 대 사이를 따라 다수개의 롤러(30c)가 일렬로 구비되어 있어 좌측판넬(9)의 하단면 및 하부판넬(8)의 좌측 끝단이 다수개의 롤러(30c)을 따라 구름접촉되면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종단부에는 하부판넬걸림턱(46a)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판넬좌측고정대(43)는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의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하부판넬(8)을 위에서 밀어 밀착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하부판넬고정실린더(47a)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판넬삽입부(3)의 제 2높이조절몸체부(48)는 베이스몸체부(6)의 가동판(90) 전면에 고정 부착된 몸체판(14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판(14b)의 전면 상부에는 제 2상부삽입부(49)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전면 하부에는 제 2하부삽입부(50)가 고정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몸체판(14b)의 전면 가운데 부분에는 세로방향으로 긴 높이조절나사봉(15b)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나사봉(15b)은 제 2상부삽입부(49)의 가이드대부착판(20b) 후면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편(21c)(21d)을 관통하여나사체결되어 있으며 상부는 몸체판(14b)의 상단면에 고정 부착된 상부지지판(16b)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웜휠(17b)이 고정 부착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몸체부(6)의 높이조절수단(81)에 구비된 웜(88b)에 의해 웜휠(17b)이 회전되면서 높이조절나사봉(15b)도 회전하여 제 1상부삽입부(12)와 함께 제 2상부삽입부(49)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나사봉(15b)의 양측면에는 높이조절가이드블럭(22c)(22d)과 결합되는 높이조절가이드레일(18c)(18d)이 세로방향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레일(18c)의 외측면에는 스토퍼(23b)가 이동되는 높이조절가이드봉(19b)이 세로방향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상부삽입부(49)는 가이드대부착판(20b)과 상기 가이드대부착판(20b)의 전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 부착된 긴 막대형상의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와 상부판넬우측고정대(54)와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와 우측판넬상부고정대(52)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대부착판(20b)은 몸체판(14b)과 마주보도록 위치해 있고 후면 상단 및 하단 가운데 부분에는 암나사편(21c)(21d)이 일체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후면 양측면에는 높이조절가이드블럭(22c)(22d)이 고정 부착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나사에 의해 조임고정되는 스토퍼(23b)가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는 상부판넬좌측가이드대(26)와 수평선상에 나란히 위치해 있고 좌우로 놓여진 두개의 평행한 대사이를 따라 다수개의 롤러(30d)가 일렬로 구비되어 있어 상부판넬(7)의 우측끝단이 롤러(30d)의 상면을 따라 구름접촉되면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종단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상부판넬걸림턱(31b)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판넬우측고정대(54)는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의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설치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상부판넬(7)을 위에서 밀어 밀착 고정하는 복수개의 상부판넬고정실린더(34b)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는 종단부 내측에는 우측판넬상부걸림턱(55)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판넬상부고정대(52)는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를 마주보는 위치에 일정간격 이격설치되어 있고 스프링이 내장된 다수개의 가이드부시(56a)와 푸쉬바작동실린더(57)가 우측판넬상부고정대(52)를 관통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부시(56a)와 푸쉬바작동실린더(57)는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안쪽의 끝단에는 긴 바형상의 푸쉬바(58)가 연결 장착되어 있어 우측판넬(10)의 상부와 상부판넬(7)의 우측 끝단을 밀어 완전히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넬우측가이드대(53)는 선단부 끝단에 바형판넬(32)의 우측끝단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놓이도록 바형판넬걸림단(3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판넬우측고정대(54)의 선단부에는 바형판넬고정수단(35b)이 구비되어 있어 바형판넬걸림단(33b)에 위치되는 바형판넬(32)의 우측 끝단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바형판넬고정수단(35b)은 판형부재인 바형판넬고정판(37b)이구비되어 있고 이 바형판넬고정판(37b)은 상부 일측에 연결대(3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바형판넬고정실린더(39b)와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 모서리부분은 상기 상부판넬우측고정대(54)의 선단부 끝단과 힌지축(36b)으로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고무부재(40b)가 고정 부착되어 있어 상기 바형판넬고정실린더(39b)가 작동하여 연결대(38b)를 밀어주면 바형판넬고정판(37b)이 힌지축(36b)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고무부재(40b)가 바형판넬(32)을 밀착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9.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부삽입부(50)는 제 2높이조절몸체부(48)의 몸체판(14b) 하부 전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각각 고정부착된 긴 막대형상의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와 하부판넬우측고정대(61)와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와 우측판넬하부고정대(60)로 되어 있고, 상기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는 제 1하부삽입부(13)의 하부판넬좌측가이드대(44)와 수평선상에 나란히 위치해 있고 수직으로 세워져 삽입되는 우측판넬(10)의 하단면과 수평으로 눕혀져 삽입되는 하부판넬(8)의 우측 끝단을 동시에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으며 좌우로 놓여진 두개의 평행한 대 사이를 따라 다수개의 롤러(30f)가 일렬로 구비되어 있어 우측판넬(10) 및 하부판넬(8)이 구름접촉되면서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종단부에는 하부판넬걸림턱(46b)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판넬우측고정대(61)는 하부판넬우측가이드대(62)의 위쪽에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하부판넬(8)을위에서 밀어 밀착고정하는 복수개의 하부판넬고정실린더(47b)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는 우측판넬상부가이드대(51)와 동일선상의 아래쪽에 나란히 위치해 있으며 종단부 내측에는 우측판넬하부걸림턱(63)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판넬하부고정대(60)는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와 마주보는 위치에 일정간격 이격설치되어 있고 스프링이 내장된 다수개의 가이드부시(56b)와 푸쉬롤러부작동실린더(64)가 우측판넬하부고정대(60)를 관통설치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부시(56b)와 푸쉬롤러부작동실린더(64)는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고 우측판넬하부가이드대(59)쪽의 끝단에는 다수개의 롤러(30e)가 일렬로 장착된 긴 바형상의 푸쉬롤러부(65)가 연결 장착되어 있어 우측판넬(10)이 구름접촉되면서 삽입되고 삽입된 우측판넬(10)을 밀어 우측판넬(10)의 상부와 하부판넬(8)의 우측 끝단이 완전히 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나사체결부(4)의 제 1수직이동축(66)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 1판넬삽입부(2)의 옆쪽에 나란히 세로방향으로 세워져 있으며 전면에는 수직이동레일(69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이동레일(69a)을 따라 제 1수평이동축(67)이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수평이동축(67)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 1수직이동축(66)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수평으로 놓여져 있고 상면부에는 수평이동레일(7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이동레일(70a)을따라 제 1천공체결수단(68)이 수평방향으로 전후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1천공체결수단(68)은 수평이동레일(70a)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수평이동판(71a)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이동판(71a)의 상면부에는 좌측판넬(9)과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도록 되어 있는 드릴(72a)과 상기 드릴(72a)과 인접설치되어 통상의 파트피더로부터 공급받은 나사못을 천공된 구멍에 나사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너트러너(73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나사체결부(4)의 제 2수직이동축(77)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 2판넬삽입부(3)의 외측 옆쪽에 나란히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몸체부(6)의 가동판(90)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수직이동레일(69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이동레일(69b)을 따라 제 2수평이동축(78)이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수평이동축(78)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 2수직이동축(77)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수평으로 놓여져 있고 상면부에는 수평이동레일(7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이동레일(70b)을 따라 제 2천공체결수단(79)이 수평방향으로 전후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2천공체결수단(79)은 수평이동레일(70b)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수평이동판(71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이동판(71b)의 상면부에는 우측판넬(10)과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도록 되어 있는 드릴(72b)과 상기 드릴(72b)과인접설치되어 통상의 파트피더로부터 공급받은 나사못을 천공된 구멍에 나사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너트러너(73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제 1천공체결수단(68) 또는 제 2천공체결수단(79)은 수평이동레일(70a)(70b)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수평이동판(71a)(71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이동판(71a)(71b)의 상면부에는 좌측판넬(9) 또는 우측판넬(10)과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고 통상의 파트피더로부터 공급받은 나사못을 나사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너트러너(73a)(73b)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81)은 제 1높이조절몸체부(11)의 상부지지판(16a) 양측면에 고정부착된 측면브라켓(84a)(84b)에 형성된 원형의 사각축관통공(85a)(85b)과 제 2높이조절몸체부(48)의 상부지지판(16b) 양측면에 고정부착된 측면브라켓(84c)(84d)에 형성된 원형의 사각축관통공(85c)(85d)을 모두 관통하여 긴 사각축(8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축(86)은 양측면에 연장부(87a)(87b)(87c)(87d)가 형성된 두개의 웜(88a)(88b)이 사각축(86)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되, 상기 두개의 웜(88a)(88b)은 각각 상기 제 1높이조절몸체부(11)의 측면브라켓(84a)(84b) 사이 및 제 2높이조절몸체부(48)의 측면브라켓(84c)(84d) 사이에 위치해 있고, 상기 사각축(86)의 일측끝단에는 높이조절수단구동모터(89)가 연결되어 있어 사각축(86)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웜(88a)(88b)과 맞물려 있는 제 1높이조절몸체부(11)의 웜휠(17a) 및 제 2높이조절몸체부(48)의 웜휠(17b)이 함께 기어구동하여 제 1상부삽입부(12) 및 제 2상부삽입부(49)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수단(83)은 베이스몸체부(6)의 전면부(80) 일측에 형성된 폭조절수단설치홈(82) 내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판상부재로 전면에는 제 2판넬삽입부(3)와 제 2나사체결부(5)가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폭조절수단설치홈(82)의 내측벽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가동판(9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폭조절수단설치홈(82)의 내측 벽면에는 가동판(90)의 폭조절가이드블럭(98a)(98b)(98c)이 결합되는 다수개의 폭조절가이드레일(91a)(91b)(91c)이 횡방향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가운데 부분에는 횡방향으로 길게 폭조절나사봉(92)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폭조절나사봉(92)은 가동판(90)의 양측면 가운데부분에 각각 형성된 폭조절암나사편(93a)(93b)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어 있으며 베이스몸체부(6)의 외측쪽의 끝단에는 풀리(94a)가 고정 부착되어 있어 폭조절수단구동모터(95)에 장착된 풀리(94b)와 벨트(96)로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도록되어 있고, 상기 폭조절나사봉(92)의 위쪽에는 가동판(90) 일측면에 고정부착된 스토퍼(23c)가 끼워져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폭조절가이드봉(97)이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조립장치.
KR20-2004-0025845U 2004-09-08 2004-09-08 판넬 자동조립장치 KR200368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45U KR200368903Y1 (ko) 2004-09-08 2004-09-08 판넬 자동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45U KR200368903Y1 (ko) 2004-09-08 2004-09-08 판넬 자동조립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856A Division KR100633745B1 (ko) 2004-09-08 2004-09-08 판넬 자동조립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903Y1 true KR200368903Y1 (ko) 2004-12-03

Family

ID=4944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845U KR200368903Y1 (ko) 2004-09-08 2004-09-08 판넬 자동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9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3015A (zh) * 2018-05-24 2018-10-19 南京埃斯顿智能系统工程有限公司 高压开关设备壳体装配点焊工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3015A (zh) * 2018-05-24 2018-10-19 南京埃斯顿智能系统工程有限公司 高压开关设备壳体装配点焊工装
CN108673015B (zh) * 2018-05-24 2023-10-20 南京埃斯顿智能系统工程有限公司 高压开关设备壳体装配点焊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9212A (en) Multi-head drilling machine for drilling shutter components
KR100976555B1 (ko) 접목로봇
CN109570346B (zh) 自动冲压折弯设备
US20100170374A1 (en) Window covering modification apparatus
US20120248675A1 (en) Automatic Stop Gauge for Positioning a Workpiece Relative to the Working Member of a Tool
KR100633745B1 (ko) 판넬 자동조립장치 및 방법
KR200368903Y1 (ko) 판넬 자동조립장치
US4611957A (en) Drilling and boring fixture for furniture hardware parts
CN210336321U (zh) 一种榫接柜门组装机
US9403285B2 (en) Pocket-cutting/screw-insertion system with improved screw delivery
CN210616790U (zh) 一种木材加工用打孔装置
CN207859003U (zh) 一种半榫打孔机
US6990881B2 (en) Workpiece holding-down structure for blind cutting machine
US4606686A (en) Tool indexing device
US56052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fasteners to picture frames
CN201572934U (zh) 辅助支撑装置及应用该辅助支撑装置的钻床
CN111168775B (zh) 椅子加工用的木板联动开孔装置
JP2006263898A (ja) 長尺ワーク自動送り穴あけ機
EP0172555B1 (de) Schraubstock
KR20060057852A (ko) 생선회 및 생육 경사 절단기
KR20230119359A (ko) 자동 피스체결을 위한 커튼월의 멀리언 연결구 자동 가이드 시스템
CN220196045U (zh) 一种快速定位的冲压机构
EP1990153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s Befestigungselements in eine Bohrung in einem Werkstück
CN215615222U (zh) 一种同步双控双钻头台钻
CN220297372U (zh) 一种板条压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