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676Y1 - 운전자 호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전자 호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676Y1
KR200368676Y1 KR20-2004-0026246U KR20040026246U KR200368676Y1 KR 200368676 Y1 KR200368676 Y1 KR 200368676Y1 KR 20040026246 U KR20040026246 U KR 20040026246U KR 200368676 Y1 KR200368676 Y1 KR 200368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gas
central control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김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일 filed Critical 김종일
Priority to KR20-2004-0026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6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 호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위험상황에 노출된 경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차량 내부에 장착된 작동스위치, 상기 작동스위치에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 및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차량에 침입한 자를 진압하기 위하여 챠량 내부의 지정 영역으로 진압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분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전자 호신시스템{DRIVER PROTECTING SYSTEM}
본 고안은 운전자 호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위험상황에 노출된 경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요즘에는 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 행위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차량이라는 밀폐된 좁은 공간 내에 운전자가 범죄자에게 노출되어 있어 범죄 행위를 하기가용이하기 때문이다. 특히 운전자는 운전대를 잡고 운전을 하고 있어, 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이므로 일방적으로 위험에 처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일부에서는 몽둥이, 가스총, 전기 충격기 등의 호신장비를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있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시야 및 손발이 자유롭지 않고 반면에 범죄자는 운전자의 일거수 일투족을 모두 살펴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호신장비를 사용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이에 운전자를 범죄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1은 종래의 공개실용신안 1998-051928에 개시된 운전자 보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운전자 보호장치는 실린더(240)에 의해 회동바(260)를 회동시켜 안전프레임(220)을 탑승자에게 씌워 탑승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운전자 보호장치는 경찰차량에서 범인 호송시 범인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목적의 운전자 보호장치로서, 일반적인 차량에는 설치할 수 없어 일반 운전자는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일반적인 차량에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2는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20-0288927에 개시된 운전자 보호칸막이의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운전자 보호 칸막이(300)는 뒷 좌석에 있는 사람이 앞으로 오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이며, 실질적으로 영유아들이 앞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그칠 뿐 그 이외의 범죄자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할 수는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가 위험상황에 노출된 경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 실내 내부 여러 장소에 장착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위험 상황에서만 노출이 되어, 범죄자가 운전자 호신시스템이 설치되었는지 예측하지 못하여 효율적으로 범죄자를 진압할 수 있는 운전자 호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실내 외부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탑승자가 운전자 호신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임을 인식하여 우발적으로 범죄를 행하는 것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운전자 호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순수 식물성 약제로 제조된 진압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위험 상황에서는 충분히 범죄자를 진압할 수 있지만, 신체에는 전혀 유해하지 않은 운전자 호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진압가스를 범죄자에게 분사시키고, 차량 작동이 자동적으로 모두 해제되어 운전자가 외부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는 운전자 호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협력 경호기관으로 도움을 청하는 메시지가 송출하여, 가까운 경찰서나 경호기관 등에서 출동하여 운전자를 보호하고 범죄자를 제압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자체 내에서 비상등, 전조등이 계속 점멸되고, 경음기를 울리고, 도움을 청하는 메시지를 계속 송출하여 근처의 외부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므로 어떠한 경우에서도 운전자를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운전자 보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의도적으로 운전자 보호시스템의 작동을 해제시켜야 시스템 작동이 해제되어, 위험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외부에 위험 상황이 알려지며, 특히 언덕 등에서 운전자 호신시스템을 작동시킨 경우에 상기 보호시스템의 작동이 임의로 해제되어 차량이 낮은 지역으로 이동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2차 사고의 위험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운전자 보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역으로 탑승자를 위해하는 경우도 막을 수 있는 운전자 보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흐름도.
도 2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전체회로도.
도 3은 메시지 송출수단의 회로도.
도 4a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가스분사수단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4b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가스분사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4c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가스분사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5a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분사노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5b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분사노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5c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분사노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6a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헤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6b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헤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7a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가스분사수단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평면도.
도 7b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가스분사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평면도.
도 7c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가스분사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평면도.
도 7d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가스분사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차량작동해제수단의 설명도.
도 10은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외부알림수단의 설명도.
도 11은 종래의 운전자 보호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운전자 보호칸막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작동스위치 20: 중앙제어수단
30: 가스분사수단 32: 가스통
34: 격발장치 35: 개시부
36: 솔레노이드 38: 분사노즐
38a: 본체 38b: 헤드
38c: 배출공 40: 차량작동해제수단
42: 엔진정지유닛 44: 도어락해제유닛
46: 안전벨트해제유닛 48: 브레이크시스템작동유닛
50: 메시지송출수단 60: 외부알림수단
62: 비상등점멸유닛 64: 전조등점멸유닛
66: 경음기울림유닛 68: 메시지전광유닛
70: 리셋수단 100: 운전석
110: 해드레스트 111: 시트
120: 보조석 130: 운전석 뒷좌석
140: 보조적 뒷좌석 150: 콘솔박스
200: 운전자보호프레임 220: 안전프레임
240: 실린더 260: 회동바
300: 칸막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은, 외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차량 내부에 장착된 작동스위치, 상기 작동스위치에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 및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차량에 침입한 자를 진압하기 위하여 챠량 내부의 지정 영역으로 진압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분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은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운전자가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차량의 작동을 해제시키는 차량작동해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작동해제수단은 차량 엔진을 정지하고,도어락을 해제하고, 안전벨트를 해제하고,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는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차량의 작동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은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외부 경호기관에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지정경호기관에 무선으로 긴급 메시지를 송출하는 메시지송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은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차량 주변에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외부알림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부알림수단은 비상등을 점멸하고, 전조등을 점멸하고, 경음기를 울리고, 메시지를 전광하는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외부에 비상상태를 알릴 수 있다.
상기 가스분사수단은 상기 진압가스가 수용되어 있는 가스통, 상기 가스통에 수용된 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스통이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가스통과 결합된 격발장치,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상기 격발장치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격발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격발장치로부터 분출되는 진압가스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에는 상기 진압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공은 지정 위치에 세 개가 형성되어 운전석를 제외한 나머지 세 좌석으로 분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수축 상태에서 가스 분출에 의해 연장 돌출 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은 수축 상태에서 가스 분출에 의해 연장 돌출 될 수 있도록 유연한 튜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진압가스는 인체에 무해한 순수 식물성 약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은 외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차량 내부에 장착된 작동스위치, 상기 작동스위치에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차량에 침입한 자를 진압하기 위하여 챠량 내부의 지정 영역으로 진압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분사수단,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운전자가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차량 엔진을 정지하고, 도어락을 해제하고, 안전벨트를 해제하고,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는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차량의 작동을 해제시키는 차량작동해제수단,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외부 경호기관에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지정경호기관에 무선으로 긴급 메시지를 송출시키는 메시지송출수단,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비상등을 점멸하고, 전조등을 점멸하고, 경음기를 울리고, 메시지를 전광하는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차량 주변에 위험 상황을 알리는 외부알림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단순한 설계상의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은작동스위치(10), 중앙제어수단(20), 가스분사수단(30), 차량작동해제수단(40), 메시지송출수단(50), 외부알림수단(60), 리셋수단(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스위치(10)은 운전자가 위험상황에 노출되었을 때, 운전자 보호시스템을 작동을 개시시키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작동스위치(10)은 범죄자의 눈에 띄지 않도록 운전자의 발이 닿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제어수단(20)은 상기 작동스위치(10)에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전체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제어수단(20)은 상기 작동스위치(10)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가스분사수단(30), 차량작동해제수단(40), 외부알림수단(60)의 관련 포트들에 작동 명령 신호를 출력하여, 운전자 보호시스템이 작동되도록 한다.
도 3은 메시지 송출수단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제어수단(20)에 의해 제어되는 수단 중 메시지송출수단(50)은 일정 음성을 녹음 및 재생하여 외부 경호기관에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가스분사수단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분사수단(30)은 상기 중앙제어수단(20)의 신호에 의해 차량에 침입한 자를 진압하기 위하여 챠량 내부의 지정 영역으로 진압가스를 배출시키는 수단으로서, 가스통(32), 격발장치(34), 솔레노이드(36), 분사노즐(38)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통(32)은 진압가스가 수용되어 있는 통으로서, 상기 격발장치(3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진압기스는 인체에 무해한 순수 식물성 약제를 사용하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지과 식물에서 추출한 하기의 식물성 성분(OC)을 사용하였다.
상기 식물성 성분(OC)은 화학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서 인체 기관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며 반응 개시 시점은 3 내지 15초이며, 인체에 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은 수 분 내지 수 십분 지속되며, 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상기 진압가스가 수용된 가스통(32)은 한 번 사용 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격발장치(3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격발장치(34)는 상기 가스통(32)에 수용된 진압가스를 분출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솔레노이드(36)에 의해 상기 격발장치(34)가 하방향으로 눌러지게 되면, 상기 격발장치(34)의 개시부(35)가 작동된다.
상기 솔레노이드(36)는 상기 중앙제어수단(20)의 신호에 의해 상기 격발장치(34)를 작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격발장치(34)와 연동되도록 그 일측이 상기 격발장치(3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38)은 상기 격발장치(34)에 연결되어 상기 격발장치(34)로부터 분출되는 진압가스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수단으로서, 본체(38a), 헤드(38b), 배출공(38c)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38a)는 크게 고정형과 돌출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상기 돌출형의 경우는 강성의 재질로 형성된 것과, 유연한 튜브로 형성된 것으로 나누어진다.
도 4a에 도시된 가스분사수단(30)에 의하면, 상기 분사노즐(38)은 수축 상태에서 가스 분출에 의해 연장 돌출 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38)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장되어 있다가 상기 격발장치(34)에 의해 가스가 분출될 때 그 압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4b에 도시된 가스분사수단(30)에 의하면, 상기 분사노즐(38)은 수축 상태에서 가스 분출에 의해 연장 돌출 될 수 있도록 자바라 형식으로 형성되었다.
도 4c에 도시된 가스분사수단(30)에 의하면, 상기 분사노즐(38)은 고정형으로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분사노즐의 실시예들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38)은 유연한 튜브로 형성되어 임의의 형태로 내장되어 있다가 사용시 외부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헤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38)의 헤드(38b)에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3개의 배출공(38c)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분사수단(30)이 가로 또는 세로로 장착되었을 때, 운전석(100)을 제외한 보조석(120), 운전석 뒷좌석(130), 보조석 뒷좌석(140)에 진압가스가 정확히 분사되도록 구성되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가스분사수단의 실시예들에 따른 설치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분사수단(30)을 챠량 내부 일정 위치에 설치하여 진압가스가 운전자를 제외한 범죄자들에게 효율적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석(100) 헤드레스트(110) 우측에 상기 가스분사수단(30)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레스트(110)로부터 상기 보조석(120)의 헤드레스트까지의 선을 기준선으로하여,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각각의 진압가스가 보조석(120)으로 45°, 운전석 뒷좌석(130)으로 120°, 보조석 뒷좌석(140)으로 45°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설치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석(100)의 시트(111) 우측 상단에 상기 가스분사수단(30)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진압가스가 보조석(120)으로 45°, 운전석 뒷좌석(130)으로 90°, 보조석 뒷좌석(140)으로 45°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설치하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석(100)과 콘솔박스(150)의 사이의 하단부에 상기 가스분사수단(30)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진압가스가 보조석(120)으로 45°, 운전석 뒷좌석(130)으로 120°, 보조석 뒷좌석(140)으로 45°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설치하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100) 헤드레스트(110) 우측에 상기 가스분사수단(30)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진압가스가 보조석(120)으로 45°, 운전석 뒷좌석(130)으로 90°, 보조석 뒷좌석(140)으로 90°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분사노즐(38)의 배출공(38c)의 각도에 따라 상기 가스분사수단(30)을 계산된 위치에 설치하여 계산된 위치로 정확하게 가스가 분출되도록 한다.
도 9는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차량작동해제수단(40)의 설명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작동해제수단(40)은 상기 중앙제어수단(20)의 신호에 의해 운전자가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차량의 작동을 해제시키는 수단으로서, 엔진정지유닛(42), 도어락해제유닛(44), 안전벨트해제유닛(46), 브레이크시스템작동유닛(48)으로 구성된다.
상기 엔진정지유닛(42)은 상기 중앙제어수단(2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차량의 구동을 차단하여 운전자가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차량의 엔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차량의 엔진이 자동적으로 정지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도어락해제유닛(44)은 상기 중앙제어수단(2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자동으로 문이 잠긴 것을 해제하여 운전자가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문이 잠긴 것을 해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안전벨트해제유닛(46)은 상기 중앙제어수단(2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안전벨트의 장착을 해제시키는 수단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밸트헤제유닛(46)이 완전히 해제 되도록 2초 간격으로 5회 반복하여 작동된다.
상기 브레이크시스템작동유닛(48)은 상기 중앙제어수단(2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엔진정지유닛(42)에 의해 엔진이 정지될 뿐만 아니라 이동 중인 차량이 완전히 정지되도록 브레이크시스템이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메시지송출수단(50)은 상기 중앙제어수단(20)의 신호에 의해 외부 경호기관에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지정경호기관에 무선으로 긴급 메시지를 송출하는 수단이다.
도 3의 메시지 송출수단의 회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지정경호기관에 송출할 메시지를 자체 녹음하고 재생함으로써 자체 스피커에 의해 스스로 청취해 볼 수 있으며, 녹음한 메시지는 상기 중앙제어수단(20)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시키게 된다.
도 10은 도 1의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외부알림수단의 설명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알림수단(60)은 비상등점멸유닛(62), 전조등점멸유닛(64), 경음기울림유닛(66), 메시지전광유닛(68)으로 구성된다.
상기 비상등점멸유닛(62)은 상기 중앙제어수단(2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차량 근처에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비상등이 점멸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주 전원공급수단(미도시)이 중단된 경우 보충 전원공급수단(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조등점멸유닛(64)도 상기 비상등점멸유닛(62)과 동등한 구성으로 형성되며, 차량 근처에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전조등이 일정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하며, 역시 보충 전원공급수단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경음기울림유닛(66)은 상기 중앙제어수단(2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차량 근처에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해 경음기가 작동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길게 장음이 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경음기의 수명을 고려하여 짧은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전광유닛(68)은 차량 외부에 "HELP ME" 또는 "도와주세요" 또는 "강도가 침입했어요" 등과 같은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차량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문자메시지 등이 점멸 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리셋수단(70)은 위험 상황이 종료되었을 때,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작동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리셋수단(70)을 작동시키면 상기 중앙제어수단(20)으로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차량작동해제수단(40), 상기 외부알림수단(60) 등의 작동이 완전히 해제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도 1, 도 2, 도 9, 도 10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단계(S100), 운전 중 탑승자가 운전자에게 위협을 가하는 경우 운전자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스위치(10)을 발 등을 이용하여 작동시킨다. 다만, 의도하지 않고 상기 작동스위치(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운전자 호신시스템이 작동되지 않도록 상기 작동스위치(10)에 일정 시간 이상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만 상기 중앙제어수단(20)으로 입력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제2단계(S200), 리셋수단(70)이 작동되었는지 확인하며, 리셋수단(70)이 작동 중이면 상기 작동스위치(1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상기 중앙제어수단(20)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제3단계(S300), 상기 작동스위치(10)에 의해 상기 중앙제어수단(20)에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중앙제어수단(20)에 의해 각 포트(1 내지 10)로 신호가 전달된다.
제4단계(S400), 상기 포트 중 가스분사수단(30) 관련 포트로 신호가 입력되면 가스분사수단(30)이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첫째, 상기 중앙제어수단(20)으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36)로 신호가 입력된다.
둘째, 상기 솔레노이드(36)가 작동하여 상기 격발장치(34)가 상기 가스통(32)이 위치된 하부 방향으로 눌리게 된다.
셋째, 상기 개시부(35)가 열리면서 상기 가스통(32) 내에 수용된 진압가스가 상기 격발장치(34)를 따라 분출된다.
넷째, 상기 격발장치(34)에서 분출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돌출형 분사노즐(38)이 다단 또는 일정 형상을 형성하면서 돌출된다.
다섯째, 상기 분사노즐(38) 헤드(38b)에 형성된 배출공(38c)으로 진압가스가 분사된다.
제5단계(S500), 상기 포트 중 차량작동해제수단(40) 관련 포트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작동해제수단(40)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첫째, 엔진정지유닛작동(S520)에 의해 구동 중이던 엔진이 정지한다.
둘째, 도어락해제유닛작동(S540)에 의해 잠겨있던 문이 열리게 된다.
셋째, 안전벨트해제유닛작동(S560)에 의해 장착된 안전벨트가 풀리게 된다.
넷째, 브레이크시스템작동유닛작동(S580)에 의해 브레이크 시스템이 작동하여 움직이던 차량을 완전히 정지시킨다.
제6단계(S600), 상기 포트 중 메시지송출수단(50) 관련 포트로 신호가 입력되면, 외부 경호업체에서 출동할 수 있도록 녹음 입력된 신호가 상기 메시지송출수단(50)으로부터 외부 경호업체로 송출된다.
제7단계(S700), 상기 포트 중 외부알림수단(60) 관련 포트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알림수단(6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첫째, 비상등점멸유닛작동(S720)에 의해 비상등이 일정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점멸한다.
둘째, 전조등점멸유닛작동(S740)에 의해 전조등이 일정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점멸한다.
셋째, 경음기울림유닛작동(S760)에 의해 경음기가 연음으로 또는 일정 간격으로 계속 울린다.
넷째, 메시지전광유닛작동(S780)에 의해 전광부(미도시)에 도와 달라는 메시지의 문자 등이 외부에 표출된다.
제8단계(S800), 위험 상황이 종료되면 리셋수단(70)을 작동하여 차량작동해제수단(40), 외부알림수단(60) 등의 작동을 해제하여 차량을 초기상태로 돌려놓는다.
한편, 상기 가스분사수단(30), 차량작동해제수단(40), 메시지송출수단(50), 외부알림수단(60)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수단 중 일부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작동해제수단(40)에서 엔진정지, 도어락해제, 안전벨트해제 및 브레이크시스템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알림수단(60)에서 비상등점멸, 전조등점멸, 경음기울림, 메시지전광도 또한 동시 또는 순차적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 중 일부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단순한 설계상의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자가 범죄 등 위험상황에 노출된 경우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게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에 의하면, 범죄자들이 예측하지 못하도록 상기 가스분사수단이 차량 내부 여러 장소에 장착 될 수 있으므로, 가스분사수단의 작동을 방해하지 못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스분사수단을 계산된 배출공의 각도로 계산된 차량 내부의 여러 장소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범죄자들의 얼굴로 진압가스를 분사시킬 수 있는 운전자 호신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분사수단은 평상시에는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위험 상황에서만 돌출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범죄자가 예측하지 못하므로, 효율적으로 범죄자를 진압할 수 있다.
한편, 반대로 상기 가스분사수단이 외부에 고정형으로 장착된 경우에는 탑승자가 운전자 호신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임을 인식하여 우발적으로 범죄를 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진압가스는 순수 식물성 약제를 사용함으로써, 위험 상황에서는 충분히 범죄자를 진압할 수 있지만, 신체에는 전혀 유해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자가 진압가스를 범죄자에게 분사시키고, 차량 작동이 자동적으로 모두 해제되어 운전자가 외부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운전자가 당황한 상태에서 차량을 정지시키고, 안전벨트를 풀고, 문이 잠겨있으면 문을 열고 외부로 탈출하기가 어려우므로, 이러한 차량작동을 모두 자동적으로 해제하여 운전자가 순간적으로 차량에서 탈출할 수있게 된다.
또한 메시지송출수단에 의해 외부 협력 경호기관으로 도움을 청하는 메시지가 송출되므로, 가까운 경찰서나 경호기관 등에서 출동하여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범죄자를 제압할 수 있게 된다.
차량 자체 내에서 비상등, 전조등이 계속 점멸되고, 경음기를 울리고, 도움을 청하는 메시지를 게속 송출하여 경호기관 등의 출동이 늦어지는 경우에도 근처의 외부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므로 어떠한 경우에서도 운전자를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운전자 보호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에 의하면, 리셋수단에 의해 의도적으로 운전자 보호시스템의 작동을 해제시켜야 하므로, 위험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외부에 위험 상황이 알려지며, 특히 언덕 등에서 운전자 호신시스템을 작동시킨 경우에 상기 보호시스템의 작동이 해제되어 차량이 낮은 지역으로 임의로 이동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2차 사고의 위험까지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호신시스템에 의하면, 탑승자에게 가스가 분사될 뿐만 아니라 경호기관 및 외부에도 위험 상태가 알려지게 되므로, 운전자가 역으로 탑승자에게 범법 행위를 하려는 것도 막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외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차량 내부에 장착된 작동스위치;
    상기 작동스위치에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차량에 침입한 자를 진압하기 위하여 챠량 내부의 지정 영역으로 진압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분사수단; 및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운전자가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차량의 작동을 해제시키는 차량작동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작동해제수단은 차량 엔진을 정지하고, 도어락을 해제하고, 안전벨트를 해제하고,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는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차량의 작동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외부 경호기관에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지정경호기관에 무선으로 긴급 메시지를 송출하는 메시지송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차량 주변에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외부알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알림수단은 비상등을 점멸하고, 전조등을 점멸하고, 경음기를 울리고, 메시지를 전광하는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외부에 비상상태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분사수단은 상기 진압가스가 수용되어 있는 가스통;
    상기 가스통에 수용된 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스통이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가스통과 결합된 격발장치;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상기 격발장치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격발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격발장치로부터 분출되는 진압가스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에는 상기 진압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공은 지정 위치에 세 개가 형성되어 운전석를 제외한 나머지 세 좌석으로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수축 상태에서 가스 분출에 의해 연장 돌출 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수축 상태에서 가스 분출에 의해 연장 돌출 될 수 있도록 유연한 튜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압가스는 인체에 무해한 순수 식물성 약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
  11. 외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차량 내부에 장착된 작동스위치;
    상기 작동스위치에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차량에 침입한 자를 진압하기 위하여 챠량 내부의 지정 영역으로 진압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분사수단;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운전자가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차량 엔진을 정지하고, 도어락을 해제하고, 안전벨트를 해제하고,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는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차량의 작동을 해제시키는 차량작동해제수단: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외부 경호기관에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지정경호기관에 무선으로 긴급 메시지를 송출시키는 메시지송출수단:
    상기 중앙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비상등을 점멸하고, 전조등을 점멸하고, 경음기를 울리고, 메시지를 전광하는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차량 주변에 위험 상황을 알리는 외부알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호신시스템.
KR20-2004-0026246U 2004-09-13 2004-09-13 운전자 호신시스템 KR200368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246U KR200368676Y1 (ko) 2004-09-13 2004-09-13 운전자 호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246U KR200368676Y1 (ko) 2004-09-13 2004-09-13 운전자 호신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7492A Division KR100576305B1 (ko) 2003-09-29 2003-09-29 운전자 호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676Y1 true KR200368676Y1 (ko) 2004-11-26

Family

ID=4944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246U KR200368676Y1 (ko) 2004-09-13 2004-09-13 운전자 호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6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9300B2 (ja) 消火ガス噴射器
US5420766A (en) Defensive light device
US8146192B2 (en) Emergency self evacuation system
US20020121967A1 (en) Trunk release and warning system
US5629679A (en) Personal security device
US5517180A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JP2009148585A (j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災害警報システム
WO2010105358A1 (en) Personal defense spray device
JP4897883B2 (ja) 消防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5073296B2 (ja) 消火ガス噴射器
US7173531B2 (en) Personal safety device
KR200368676Y1 (ko) 운전자 호신시스템
KR100576305B1 (ko) 운전자 호신시스템
JP6851654B2 (ja) 携帯用サイレン及び緊急通報装置、並びにその組み合わせ
JP2016050703A (ja) 護身ユニット及び護身ユニット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JP2007100991A (ja) 防護盾および防護システム
US20070205223A1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JP2003203278A (ja) 防犯システム
JP3097376U (ja) 緊急用具収納ケース
JP3207254U (ja) 多機能の護身装置
LU103120B1 (en) Portable fire extinguisher
KR102089871B1 (ko) 호신용 가스총
US20230249644A1 (en) Vehicle equipped with safety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o an unauthorized possession of a vehicle
JP3103743U (ja) 防犯用携帯電話及び防犯用通信機器
KR200195726Y1 (ko)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