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260Y1 -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260Y1
KR200368260Y1 KR20-2004-0025033U KR20040025033U KR200368260Y1 KR 200368260 Y1 KR200368260 Y1 KR 200368260Y1 KR 20040025033 U KR20040025033 U KR 20040025033U KR 200368260 Y1 KR200368260 Y1 KR 200368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ing material
floating
roof
fixed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현
Original Assignee
백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현 filed Critical 백정현
Priority to KR20-2004-0025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2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13/035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characterised by having movable parts
    • E04D13/0358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characterised by having movable parts the parts moving, in their own plane, e.g. rolling or sliding, or moving in parallel planes with or without an additional movement, e.g. both pivoting and rolling or sl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도 커버용 지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이 양방향 계폐가 가능하게 하여 유사시 지붕을 파손하는 일이 없이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며, 지붕재의 하중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고 개폐가 용이한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양쪽에 고정된 고정지붕재 위에 한쌍의 유동지붕재를 설치하고 고정지붕재와 유동지붕재가 연결된 베어링부재를 지주에 의해 균형적으로 지지되게 설치하여 양방향 개폐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동지붕재의 자체 하중에 의한 처짐현상과, 유동지붕재의 이동시 하중의 집중에 의하여 베어링부재가 손상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유닛을 유동지붕재에 연결하여 유동지붕재를 자동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과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지주 상부에 지지되는 고정지붕재와, 상기 고정지붕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좌/우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유동지붕재로 구성된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유동지붕재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개구된 부분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지붕재와 상기 유동지붕재에 연결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지주 상부의 양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Roof device capable of both direction open and shut}
본 고안은 보도 커버용 지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이 양방향 계폐가 가능하게 하여 유사시 지붕을 파손하는 일이 없이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한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과 건물사이의 보도에 설치되어 보행자들로 하여금 비 또는 눈, 햇볕등으로부터 피할 수 있도록 한 보도 커버용 지붕은 지붕재와 상기 지붕재를 지지하는 지주로 구성된다.
그러나 한번 설치한 보도 커버용 지붕은 위치변경이 곤란하여 화재시와 같은 매우 위급한 상황인 경우에 차량이 보도를 넘어 통행해야 할 경우에는 지붕을 제거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나중에 또 다시 설치해야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11806호(공개일:1999.03.25)의 "개폐가 가능한 보도커버용 지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폐가 가능한 보도커버용 지붕은 지붕재 설치시 차량이 지날 수 있는 폭만큼 이격시켜 설치하고 고정된 지붕재 위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레일과 로울러를 구비한 유동지붕재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개폐가 가능한 보도커버용 지붕은 한방향에서 고정된 지붕재의 이격부분을 커버하기 때문에 유동지붕재를 이동할 때에 자체중량에 의한 처짐으로 타 고정된 지붕재의 레일에 유동지붕재의 로울러를 안착하기가 힘들 뿐더러 상기 유동지붕재가 고정된 지붕재의 이격부분보다 상당히 길어야 하므로 비경제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0215061호(등록일:2000.12.15)의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를 출원한 바 있으며,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1)위에 지지되며 고정설치된 고정지붕재(110)와, 상기 고정지붕재(110) 위에 구비되어 좌우 유동하는 유동지붕재(120)와, 상기 고정지붕재(110)의 양끝단 외측에 구비되는 원통형볼베어링(130)과, 상기 유동지붕재(12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원통형볼베어링(130) 내부를 관통하여 왕복운동하는 안내봉(140)과, 상기 유동지붕재(120)들을 결합하기 위해 유동지붕재의 양끝단에 구비되는 체결구와, 상기 유동지붕재(120)들이 틈새없이 결합되도록 유동지붕재의 접합부가 고무패킹이 구비된 요철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유동지붕재(120)는 상기 원통형볼베어링(130)과 상기 안내봉(140)에 의해 상기 고정지붕재(110)와 연결되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유동지붕재(120)의 이동시 자체 하중(Q)에 의해 처짐현상이 발생되거나, 상기 원통형볼베어링(130)에 상기 하중(Q)이 집중되어 손상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유동지붕재(120)의 결합시 접합부가 고무패킹으로 구비된 요철로 이루어져 있으나, 소량의 빗물이 고무패킹을 타고 흘러내릴 수 있는 우려가 있으므로, 빗물을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될 필요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양쪽에 고정된 고정지붕재 위에 한쌍의 유동지붕재를 설치하고 고정지붕재와 유동지붕재가 연결된 베어링부재를 지주에 의해 균형적으로 지지되게 설치하여 양방향 개폐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동지붕재의 자체 하중에 의한 처짐현상과, 유동지붕재의 이동시 하중의 집중에 의하여 베어링부재가 손상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유닛을 유동지붕재에 연결하여 유동지붕재를 자동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과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지주 상부에 지지되는 고정지붕재와, 상기 고정지붕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좌/우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유동지붕재로 구성된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유동지붕재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개구된 부분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지붕재와 상기 유동지붕재에 연결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지주 상부의 양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부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B방향에서 본 부분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C부의 확대도,
도 7은 도 5의 D-D'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종래의 지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주 10 : 고정지붕재
20 : 유동지붕재 30 : 베어링부재
31 : 베어링 31a : 베어링하우징
32 : 가이드홈 33 : 가이드레일
40 : 체결구 51 : 제1결합부
52 : 제2결합부 53 : 고무패킹
55,56 : 빗물차단턱 60 : 실린더유닛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B방향에서 본 부분 상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부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의 D-D'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는, 지주(1) 상부의 일측에 지지되는 고정지붕재(10)와, 상기 고정지붕재(10)의 외측에 구비되고 베어링부재(30)를 매개로 좌/우로 이동되며 양단에 체결구(45)가 구비된 복수개의 유동지붕재(4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지붕재(10)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보도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유동지붕재(40)는 상기 고정지붕재(10)의 사이에 한쌍으로 구비되어 차량 등이 통과할 경우 상기 베어링부재(30)를 매개로 좌/우로 이동시켜 개폐함으로써 통로를 확보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부재(30)는, 상기 유동지붕재(20)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된 베어링(31)과, 상기 베어링(31)의 개구된 부분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지주(1)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31)은 저부가 개구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3)이 삽입되도록 가이드홈(32)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3)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또한 우천시에 상기 베어링(31)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상기 베어링(31)의 외측에 베어링하우징(31a)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지붕재(10)와 상기 유동지붕재(20)에 연결된 상기 베어링부재(30)는 하중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주(1) 상부의 양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주(1)는 "I"자 빔(beam) 형태로 구비되며, 그 상부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지붕재(10)와 상기 베어링부재(30)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 바, 상기 고정지붕재(10)의 하중(P1)과 상기 베어링부재(30)의 하중(P2)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베어링부재(30)와 연결된 상기 유동지붕재(20)의 하중과 유동시 발생되는 진동 및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동지붕재(20)의 양끝단에는 상기 체결구(40)가 구비되어 있어 평상시에 한쌍의 상기 유동지붕재(20)를 상호 고정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양방향 개폐 지붕장치는 상기 유동지붕재(20)가 틈새 없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유동지붕재(20)의 양측에 고무패킹(53)이 부착된 요철(凹凸)형상의 제1/2결합부(51,52)가 구비되되, 상기 유동지붕재(20)의 결합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2결합부(51,52)에 복수개의 빗물차단턱(55,56)이 더 형성된다.
상기 고무패킹(53)은 상기 유동지붕재(20)의 결합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또한 빗물이 상기 제1/2결합부(51,52)의 틈새로 유입되지 않게 밀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차단턱(55,56) 중 일측의 빗물차단턱(55)은 상기 제1결합부(51)의 상부에 수직하게 돌출되고, 타측의 빗물차단턱(56)은 상기 제1결합부(51)의 차단턱(56)을 감싸도록 "ㄱ"자 형상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빗물차단턱(55,56)으로 인하여 다양한 각도로 낙하되는 빗물과 상기 유동지붕재(20)를 따라 흐르는 빗물이 상기 제1/2결합부(51,52)에 유입되지 않도록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동지붕재(20)를 자동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유동지붕재 이동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유동지붕재 이동수단은 상기 유동지붕재(20)의 후단과 상기 고정지붕재(1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동지붕재(20)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실린더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유닛(60)은 외부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상기 실린더유닛(60)을 구동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상기 유동지붕재(20)를 자동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의 일실시예일 뿐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양방향의 유동지붕재(20)가 요철(凹凸)형상의 제1/2결합부(51,52)와 고무패킹(53)에 의해 틈새 없이 밀착 결합되며, 체결구(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비가 오더라도 상기 유동지붕재(20)가 상기 제1/2결합부(51,52)와 구비된 상기 고무패킹(53)에 의해 결합되고, 그 상부에 형성된 빗물차단턱(55,56)에 의해 상기 제1/2결합부(51,51) 사이로 빗물이 새지 않으며, 상기 체결구(40)에 의해 상기 유동지붕재(20)가 상호 결합되어 있어 고정지붕재와 같은 역할을 충분히할 수가 있다.
한편,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의 체결구(40)를 풀고 상기 유동지붕재(20)들을 각각 양측으로 후퇴시켜 차량이 다닐 수 있도록 길을 낼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유동지부재(20)의 이동은 지주(1) 상부에 고정된 가이드레일(33)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베어링(31)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지붕재(20)의 이동에 따른 미세한 충격과 하중은 상기 지주(1)에 의해 원활하게 지지된다.
즉, 상기 지주(1)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지붕재(10)와 상기 유동지붕재(20)가 연결된 베어링부재(30)가 상호 대응되게 고정된 바, 상기 지주(1)를 통해 상기 고정지붕재(10)에 의한 하중(P1)과 상기 베어링부재(30)의 하중(P2), 특히 상기 유동지붕재(20)의 유동에 따른 상기 베어링부재(30)의 하중(P2) 변화와 미세한 진동이 상기 지주(1)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유동지붕재(20)가 하중에 의해 처짐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유동지붕재의 하부가 지지되지 못하고 단순히 베어링을 매개로 고정지붕재에 연결되어 유동지붕재의 이동시 유동지붕재의 자체 중량과 이동에 의한 진동에 의하여 처짐 현상이 발생되고, 베어링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되어 베어링이 손상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31)의 가이드홈(32)과 상기 가이드레일(33)의 접촉면적이 넓고, 한쌍의 상기 유동지붕재(20)가 양방향에서 이동되므로, 일반적인 보도커버용 지붕보다 1/2정도만 이동하여도 개폐가 가능하여 손쉽게 상기 유동지붕재(20)를 자유자재로 유동시킬 수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유동지붕재(20)에 실린더유닛(60)을 연결하고, 외부의 전원을 상기 실린더유닛(60)에 선택적으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유동지붕재(20)를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양방향 개폐 지붕장치는, 상기 고정지붕재(10) 및 상기 유동지붕재(20)와 연결된 상기 베어링부재(30)를 상기 지주(1)에 의해 균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유동지붕재(20)의 유동시 자체 하중과 진동에 의해 처짐현상이 발생되는 것과, 상기 베어링부재(30)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유동지붕재 이동수단으로 상기 실린더유닛(6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동지붕재(20)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지붕장치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방향으로만 개폐하던 보도커버용 지붕을 고정지붕재와 유동지붕재로 분리하고, 유동지붕재를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양방향으로 흔들림이 없이 부드럽게 개폐 개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지붕재 및 유동지붕재와 연결된 베어링부재를 지주에 의해 균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유동지붕재의 유동시 자체 하중과 진동에 의해 유동지붕재에 처짐현상이 발생되는 것과, 베어링부재에 하중이 집중되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동지붕재 이동수단으로 실린더유닛을 유동지붕재에 연결하여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지주 상부에 지지되는 고정지붕재와, 상기 고정지붕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좌/우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유동지붕재로 구성된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유동지붕재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개구된 부분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지붕재와 상기 유동지붕재에 연결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지주 상부의 양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지붕재가 틈새 없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유동지붕재의 양측에 고무패킹이 부착된 요철형상의 제1/2결합부가 구비되되, 상기 유동지붕재의 결합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2결합부에 복수개의 빗물차단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지붕재의 후단과 상기 고정지붕재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동지붕재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실린더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KR20-2004-0025033U 2004-09-01 2004-09-01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KR200368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033U KR200368260Y1 (ko) 2004-09-01 2004-09-01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033U KR200368260Y1 (ko) 2004-09-01 2004-09-01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260Y1 true KR200368260Y1 (ko) 2004-11-18

Family

ID=4944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033U KR200368260Y1 (ko) 2004-09-01 2004-09-01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2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24B1 (ko) * 2006-09-12 2007-09-12 (주)명성이엔지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KR101275889B1 (ko) * 2011-10-04 2013-06-17 김권하 영상물 촬영스튜디오의 지붕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24B1 (ko) * 2006-09-12 2007-09-12 (주)명성이엔지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KR101275889B1 (ko) * 2011-10-04 2013-06-17 김권하 영상물 촬영스튜디오의 지붕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00126B2 (en) Actuating system and folding panel assembly
US8931216B2 (en) Automatic sliding door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KR101280410B1 (ko) 슬라이드방식의 지붕 개폐장치
KR200368260Y1 (ko)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KR100758224B1 (ko)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JP2008095301A (ja) 橋桁止水手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8896943U (zh) 一种带有拓展箱体的可移动车
KR200432434Y1 (ko)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JP2015090016A (ja) 止水装置
KR200215061Y1 (ko)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CN101827991B (zh) 窗户、用于安装窗户的方法,和一套零件
RU2384422C2 (ru) Остекление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CN105019590A (zh) 一种可滑动开启的屋面
CN103696521A (zh) 喷砂房的屋面结构
ITMI970981A1 (it) Alloggiamento della capote per vetture decappottabili a ridotto ingombro di montaggio
CN203669181U (zh) 一种喷砂房的屋面结构
KR200451461Y1 (ko) 비배수용 신축이음장치
KR20100045087A (ko) 이동이 용이한 쉘터
RU112271U1 (ru) Затвор поворотный защитно-герметичный двухстворчатый
JP2006069755A (ja) 石炭受入れ用ホッパーの雨水防止用屋根装置
JPH06257355A (ja) 建築用ルーバー装置
JP4783922B2 (ja)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KR100427798B1 (ko) 터널형 지붕
KR200281945Y1 (ko) 개선된 윙바디를 갖는 소형 화물 차량
JP3777247B2 (ja) 開閉式膜屋根における雨仕舞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