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224B1 -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 Google Patents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224B1
KR100758224B1 KR1020060087759A KR20060087759A KR100758224B1 KR 100758224 B1 KR100758224 B1 KR 100758224B1 KR 1020060087759 A KR1020060087759 A KR 1020060087759A KR 20060087759 A KR20060087759 A KR 20060087759A KR 100758224 B1 KR100758224 B1 KR 100758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ver
cover
opening
hydraulic cylinder
hydraulic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주)명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명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060087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3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pivoting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13/035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characterised by having movable parts
    • E04D13/0351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characterised by having movable parts the parts pivoting about a fixed axis
    • E04D13/0355The parts being of vaulted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13/035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characterised by having movable parts
    • E04D13/0357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characterised by having movable parts the parts pivoting about an axis supported on a hinged frame or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가동덮개의 개방 시에도 비나 눈, 직사광선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은 작동 스트로크로도 넓은 개방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동 소음과 마모로 인한 부품 손상을 감소시켜 개폐 시의 소음 발생을 줄이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으로 인해 전원공급계통이 손상되어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화재 발생 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또한 자체 전원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여 비상 시의 작동 불량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심각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장소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를 덮는 지붕 형태로 고정 설치되며, 소정 구역에 걸쳐 그 상측과 하측의 공간이 연통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구비된 고정덮개와, 상기 개방부를 개폐시키도록 고정덮개 사이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덮개와, 일측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동덮개에 연결되어 그 신축에 따라 상기 가동덮개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과 외부전원으로부터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펌프에 대한 전력공급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케이드 구조물, 회동, 가동덮개, 유압실린더

Description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UP AND DOWN OPENING TYPE ARCAD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아케이드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아케이드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케이드 구조물의 유압계통 및 제어계통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케이드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대 101 : 수직받침대
102 : 종방향받침대 104 : 수직지지바
110 : 고정덮개 111 : 개방부
120 : 가동덮개 130 : 유압작동부
131 : 유압실린더 132 : 유압펌프
133 : 방향전환밸브 134 : 오일탱크
140 : 전원제어부 141 : 제어기
142 : 센서 143 : 축전기
본 발명은 상하 개폐되는 가동덮개를 구비한 아케이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덮개의 회동을 통해 우천 시에도 효과적인 환기가 가능하고 작은 작동 스트로크도 넓은 개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동구조가 간결하여 개폐 시의 작동소음 및 작동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회동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아케이드 구조물은 화재 발생 시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또한 외부전원이 차단되어도 자동으로 가동덮개의 개방이 이루어져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아케이드 구조물은 건물과 건물 사이의 통로, 또는 소정 목적을 위한 넓은 장소에 상부를 가려 비나 눈을 피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지붕 형태의 구조물로서, 시장이나 상가, 또는 행사장 등과 같은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아케이드 구조물은 소정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금속, 합성수지, 섬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판재나 시트 형태의 차단제를 씌우거나 덧대어 그 하부 공간을 상부 공간과 차단하는 덮개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간단하게는 전체가 고정된 설치구조로 이루어지기도 했으나, 이러한 경우,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환경이 쾌적하지 못하게 되고, 특히 화재 시에 유독가스 배기가 불량하여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조물의 일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의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동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의 경우 개폐 작업이 불편하고, 개폐에 시간도 많이 소요되며, 화재 시와 같이 긴급한 상황에서 개폐가 현실적으로 곤란하기 때문에, 동력을 이용한 자동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출원번호 10-2002-0074425)에는 이러한 자동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에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동 공보에 개시된 아케이드 구조물은 건물 사이의 통로 양측을 따라 받침대가 기둥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높이로 설치되고, 기둥의 상부에는 상부를 덮는 지붕 형태로 설치되어 통로를 형성하는 아치형 지붕덮개가 형성되며, 이 지붕턱개는 기둥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덮개와, 이 고정덮개에 나란히 설치되어 고정덮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동덮개로 구성된다.
동 공보에서는 이 가동덮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받침대 상부를 따라 레일이 설치되며, 가동덮개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동덮개의 양측에 롤러가 설치되고, 이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 및 기어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모터에 의해 롤러가 구동되면 상기 가동덮개가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지붕덮개가 개폐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아케이드 구조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덮개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동덮개가 개방 위치에 있게 되면 그 하부의 공간이 상향 개구된 상태가 되어 비나 눈, 또는 햇빛이 그대로 유입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특히 우천 시에는 환기가 어렵고, 해가 떠 있는 주간에도 환기가 제한되어 내부 환경의 쾌적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슬라이드식 개폐구조는 그 개방된 정도가 가동덮개의 이동 거리와 정비례하게 되기 때문에, 넓은 개방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동덮개의 작동 스트로크가 커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른 구조적 강도와 작동 안정성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같이 모터의 회전동력을 기어와 같은 기계적 동력전달 수단을 통해 전달하여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조를 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구조는 개폐동작 시 모터에 의한 작동 소음 뿐 아니라 맞물린 기어들 간의 마찰과 미세충돌, 구동되는 롤러와 레일 간의 마찰 등으로 인한 작동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고, 마모로 인한 부품 교체가 자주 요구되어 유지관리가 번거롭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은 전원으로부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계통에 이상이 생기면, 예를 들어 화재로 인해 스위칭 조작부, 또는 전원제어장치나 전력공급선이 손상되면, 외부전원과의 연결이 차단되어 모터가 작동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화재 시 구조물의 개방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지연되어 유독성 연소가스에 의한 심각한 인명 손실 발생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덮개의 개방 시에도 비나 눈, 직사광선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은 작동 스트로크로도 넓은 개방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동 소음과 마모로 인한 부품 손상을 감소시켜 개폐 시의 소음 발생을 줄이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으로 인해 전원공급계통이 손상되어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화재 발생 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또한 자체 전원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여 비상 시의 작동 불량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심각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장소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를 덮는 지붕 형태로 고정 설치되며, 소정 구역에 걸쳐 그 상측과 하측의 공간이 연통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구비된 고정덮개와, 상기 개방부를 개폐시키도록 고정덮개 사이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덮개와, 일측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동덮개에 연결되어 그 신축에 따라 상기 가동덮개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과 외부전원으로부터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펌프에 대한 전력공급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아케이드 구조물에서, 상기 가동덮개는 상기 고정덮개의 중간 부분에 그 내측이 힌지 결합되어 날개 형태로 회동되도록 쌍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고정덮개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케이블을 통해 상기 가동덮개에 연결되어 작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는 고정덮개의 외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설치 경로 상에 작동력이 적절한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지지롤러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부는 열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열 감지 센서와, 화재 발생 시에 상기 열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유압펌프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제어부는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외부전원 또는 상기 축전기로부터 선택적으로 유압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는 각각 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아케이드 구조물은, 시장이나 상가, 또는 행사장과 같은 설치 장소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지지대(100)와, 이 지지대(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아치형 지붕 형태의 고정덮개(110)와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덮개(110)의 일부 구역에 형성된 개방부(111)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고정덮개와 나란히 설치되어 상하 회동가능한 아치형 지붕 형태의 가동덮개(120)로 구성되는 지붕덮개와, 이 지붕덮개의 가동덮개(120)를 왕복 이동시키는 유압작동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00)는 상기 고정덮개(110)와 가동덮개(120)를 설치 장소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지지하여 그 하부로 사람이나 물건이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벽체, 트러스 등을 비롯하여 통상적으로 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지지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가 등의 통로를 따라 설치되는 아케이드 구조물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으로, 통로의 양측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받침대(101)와, 이 수직받침대(101)가 이루는 각 열을 따라 수직받침대(101)의 상부에 지지되어 수평 설치된 둘 이상의 종방향받침대(102)와, 양측 종방향받침대(102)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 설치된 다수의 횡방향받침대(10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덮개(110)는 상기 지지대(100)에 의해 소정 높이의 위치에 고정 설 치되어 설치 장소의 내부로 비나 눈이 떨어지거나 직사광선이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다양한 지붕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대(100)의 양측 종방향받침대(102)에 연결되어 아치 형태로 설치된 트러스 구조의 프레임(112) 및 이 프레임(112) 사이를 차단하도록 결합된 차단제(113)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며, 상기 차단제(113)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섬유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판재 또는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한 바와 유사 내지는 동일한 구조의 프레임의 외부 또는 내부를 따라 합성수지 필름이나 섬유시트로 이루어진 차단제가 씌워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프레임 없이 자체적으로 형태 유지가 가능한 판재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가동덮개(120)는 고정덮개(110)의 개방부(111)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회동을 통해 개폐동작 되는 것으로, 일체감을 주기 위해 상기 고정덮개(110)와 유사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선택적인 것으로 고정덮개(110)와 전혀 다른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덮개(110)와 유사하게 트러스 구조의 프레임(121)에 차단제(122)가 결합된 구조를 예시하였다.
또한, 상기 가동덮개(120)는 고정덮개(110)에 대해 상하 회동 가능한 임의의 위치에 다양한 개수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의 것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고, 개폐 면적도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가동덮개(120)가 구비되 고, 각 가동덮개(120)의 내측 단부가 고정덮개(110)에 힌지결합되어 날개 형태로 회동되는 구조를 예시하였다.
한편, 상기 고정덮개(110)와 가동덮개(120)의 형태는 도시된 아치 형태 뿐 아니라 삼각형 지붕 형태나 사각형 슬래브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압작동부(130)는 가동덮개(120)를 유압을 이용하여 회동시키는 것으로, 일측은 상기 가동덮개(120)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예시된 수직지지바(104)와 같이 고정된 구조물의 임의의 위치에 연결되어 그 신축에 따라 가동덮개(120)를 왕복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131) 및 이 유압실린더(131)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132)를 구비하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가동덮개(120)가 설치된 경우 각각의 가동덮개(120)의 작동을 위한 유압실린더(131)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하나의 유압실린더(131)에 의해 복수의 가동덮개(120)가 연동하여 가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유압펌프(132)를 포함하는 유압계통 및 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부(140)의 구성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압작동부(130)의 구성으로서 유압실린더(131)와 유압펌프(132)만을 도시하였으나, 특히 구조물의 크기가 소정 규모 이상으로 커질수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펌프(132)로부터 유압실린더(131)에 대한 작동유 공급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전환밸브(133) 및 작동유가 저장되는 오일탱크(13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향전환밸브(133)는 정확한 제어가 용이한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전동식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140)는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외부전원(10)으로부터 상기 유압펌프(13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간단한 수동식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 시 사람이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유압펌프(132)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열 감지 센서(142)를 구비하고, 이 열 감지 센서(142)를 통해 설치장소의 화재 발생이 판별되면 자동으로 유압펌프(132)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기(1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부(140)에는 외부전원(10)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저장하여 비상시 사용할 수 있는 축전수단으로서 축전기(143)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141)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또는 설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외부전원(10) 또는 축전기(143)로부터 선택적으로 유압펌프(132)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화재 발생 시에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축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축전수단은 구조물의 작동 부하에 따라 간단하고 저렴한 충전기 및 축전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아케이드 구조물은, 상기 제어기(141)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유압펌프(132)가 작동되면, 이 유압펌프(132)에 의한 작동유 공급방향, 또는 방향전환밸브(133)가 설치된 경우에는 이 방향전환밸브(133)를 통한 작동유 공급 방향에 따라 유압실린더(131)가 신축되어 상기 가동덮개(120)를 상하로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덮개(120)가 고정덮개(110) 사이의 개방부(111)를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개폐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가동덮개(120)가 상하 회동 방식으로 개폐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덮개(120)를 완전히 개방하여 가장 효과적인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닫힌 상태에서 가동덮개(120)를 상부로 약간만 상향 회동시켜도 개방부(111) 전체가 열리게 되므로, 작은 스트로크만큼만 가동덮개(120)가 작동되어도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식 구조물에 비해 훨씬 원활하게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덮개(120)를 약간만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수직방향에 대한 차단이 유지되므로, 비나 눈이 구조물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우천 시에도 효과적인 환기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풍향에 따른 눈/비의 낙하방향에 따라, 햇빛의 조사 방향에 따라 가동덮개(120)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또는 다른 위치에 복수의 가동덮개(120)가 설치된 경우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눈이나 비, 햇빛을 차단하면서도 원활한 환기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동덮개(120)가 회동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로크가 제한적인 유압실린더(131)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작동구조의 구현이 용이하게 되며, 유압실린더(131)에 의해 가동덮개(120)의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유압펌프(132)의 작동 소음 외에는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종래의 아케이드 구조물의 경우에 비해 개폐 시에 발생되는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또한, 동력전달계통의 마모 등으로 인한 작동부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지관리 비용 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구조물이 설치된 장소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센서(142)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기(141)에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기(141)에 의해 유압펌프(132), 경우에 따라 방향전환밸브(133)에도 함께 작동전원이 인가되어 사람이 조작하지 않아도 가동덮개(120)의 개방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화재발생으로 인해 혼란한 와중에서도, 또한 작동 스위치에 대한 접근이 어렵거나 스위칭 조작부와 유압펌프(132) 간의 연결이 손상된 경우에도 가동덮개(120)의 개방을 통해 유독 가스가 배출될 수 있게 되므로, 인명 손상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평상시 외부전원(10)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상기 축전기(143)에 저장되고, 화재 발생으로 인해 외부전원(10)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141)에 의해 축전기(143)에 저장된 전력이 유압펌프(132)에 공급되므로, 화재로 인해 외부의 전원공급계통에 이상이 생기거나 전원케이블이 손상되어도 가동덮개(120)의 개방이 이루어져 유독가스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유압작동부(130)가 구조물의 외부에도 설치될 수 있고, 유압실린더(131)가 전술한 바와 달리 수평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가동덮개(120) 사이의 고정면에 유압실린더(131)가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이 유압실린더(131)의 실린더로드가 케이블(151)을 통해 가동덮개(120)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151)을 통해 유압실린더(131)의 작동력이 적절한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롤러(152, 153)가 고정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유압실린더(131)를 비롯한 유압작동부(130)를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사람들이 왕래하는 구조물 하부로 유압작동부(130)가 노출되지 않아 구조물 내부 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유압작동부(130)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유로 인해 오일이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압펌프(132)의 외부 설치로 인해 작동 소음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131)를 수평 설치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구조물의 크기가 큰 경우에도 보다 안정적인 작동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덮개가 상하 회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가동덮개를 약간만 회동시켜도 상대적으로 넓은 개방면적이 형성되는 동시에 수직방향에 대한 차단 상태는 유지되어 눈이나 비, 햇빛을 적절히 차단하면서도 충분한 환기가 가능하게 되고,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개폐 구조 구현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에 의해 가동덮개가 개폐되도록 하여 기계적 마찰 및 저항 등으로 인한 작동소음 및 부품의 손상을 줄임으로써, 아케이드 구조물의 개폐동작 시 주변의 사람에 대한 불쾌감 유발을 방지하고, 그 내구성이 증진되어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제어기에 의해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가동덮개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으로 인해 개방 조작이 어렵거나 조작부 또는 그 연결케이블에 손상이 생기는 경우에도 자동적인 개방 동작을 통해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축전기를 통해 전력을 저장하여 외부전원이 차단되어도 가동덮개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으로 인해 외부전원 공급계통 및 배선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가동덮개의 작동이 가능하게 되어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 손실 우려를 더욱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설치장소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를 덮는 지붕 형태로 고정 설치되며, 소정 구역에 걸쳐 그 상측과 하측의 공간이 연통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구비된 고정덮개;
    상기 개방부를 개폐시키도록 고정덮개 사이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덮개;
    일측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동덮개에 연결되어 그 신축에 따라 상기 가동덮개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 및
    외부전원으로부터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펌프에 대한 전력공급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덮개는 상기 고정덮개의 중간 부분에 그 내측이 힌지 결합되어 날개 형태로 회동되도록 쌍을 이루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고정덮개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케이블을 통해 상기 가동덮개에 연결되어 작동력을 전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고정덮개의 외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설치 경로 상에 작동력이 적절한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지지롤러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열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열 감지 센서와, 화재 발생 시에 상기 열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유압펌프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외부전원 또는 상기 축전기로부터 선택적으로 유압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7. 삭제
KR1020060087759A 2006-09-12 2006-09-12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KR10075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759A KR100758224B1 (ko) 2006-09-12 2006-09-12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759A KR100758224B1 (ko) 2006-09-12 2006-09-12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450U Division KR200432434Y1 (ko) 2006-09-12 2006-09-12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224B1 true KR100758224B1 (ko) 2007-09-12

Family

ID=3873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759A KR100758224B1 (ko) 2006-09-12 2006-09-12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2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19Y1 (ko) 2008-01-22 2010-01-28 신수영 개방형 아케이드용 환기 장치
KR101303089B1 (ko) 2012-08-28 2013-09-06 (주)동신캐노피 다기능 전동개폐장치를 가지는 아케이드 구조물
KR101356011B1 (ko) * 2013-07-30 2014-01-29 주식회사 에이맥스 승강 개폐식 환기시스템이 적용된 아케이드 막 구조물
WO2021010668A1 (ko) * 2019-07-16 2021-01-21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KR20210009280A (ko) * 2019-07-16 2021-01-26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8124U (ko) * 1987-03-27 1988-10-27 강대근 환기창겸용벤츄레이터
KR19980066802U (ko) * 1997-05-20 1998-12-05 문제철 차광용 전동 브라인드가 부착된 자동개폐 돌출 창호
WO2002000571A1 (de) 2000-06-25 2002-01-03 Arato, Laszlo Kompostboxdach
KR20020077691A (ko) * 2001-04-02 2002-10-14 주식회사 일광 측면 접이식 윙 바디 컨테이너
KR20030048389A (ko) * 2003-04-17 2003-06-19 원찬희 터널형 지붕
KR200368260Y1 (ko) * 2004-09-01 2004-11-18 백정현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KR20050017128A (ko) * 2003-08-08 2005-02-22 주식회사 프리스페이스 슬라이딩 개폐 지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8124U (ko) * 1987-03-27 1988-10-27 강대근 환기창겸용벤츄레이터
KR19980066802U (ko) * 1997-05-20 1998-12-05 문제철 차광용 전동 브라인드가 부착된 자동개폐 돌출 창호
WO2002000571A1 (de) 2000-06-25 2002-01-03 Arato, Laszlo Kompostboxdach
KR20020077691A (ko) * 2001-04-02 2002-10-14 주식회사 일광 측면 접이식 윙 바디 컨테이너
KR20030048389A (ko) * 2003-04-17 2003-06-19 원찬희 터널형 지붕
KR20050017128A (ko) * 2003-08-08 2005-02-22 주식회사 프리스페이스 슬라이딩 개폐 지붕
KR200368260Y1 (ko) * 2004-09-01 2004-11-18 백정현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19Y1 (ko) 2008-01-22 2010-01-28 신수영 개방형 아케이드용 환기 장치
KR101303089B1 (ko) 2012-08-28 2013-09-06 (주)동신캐노피 다기능 전동개폐장치를 가지는 아케이드 구조물
KR101356011B1 (ko) * 2013-07-30 2014-01-29 주식회사 에이맥스 승강 개폐식 환기시스템이 적용된 아케이드 막 구조물
WO2021010668A1 (ko) * 2019-07-16 2021-01-21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KR20210009280A (ko) * 2019-07-16 2021-01-26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KR102230358B1 (ko) * 2019-07-16 2021-03-22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CN114096724A (zh) * 2019-07-16 2022-02-25 白珍钦 使用广告气球的遮阳棚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224B1 (ko)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US7520091B2 (en) Adaptable roof system
US6367199B2 (en) Vehicle liftgate power operating system
KR200432434Y1 (ko) 상하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EP3234273A1 (en) Pergola cover
KR200432435Y1 (ko) 슬라이딩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KR101280410B1 (ko) 슬라이드방식의 지붕 개폐장치
KR100541568B1 (ko) 크레인용 작업의자 안전덮개
KR200446587Y1 (ko) 상하좌우 자동 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KR100778826B1 (ko) 아케이드 구조물
KR20050017128A (ko) 슬라이딩 개폐 지붕
KR20200118695A (ko) 비닐하우스의 지붕형 환기장치
KR101218320B1 (ko)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RU112271U1 (ru) Затвор поворотный защитно-герметичный двухстворчатый
KR200420910Y1 (ko) 개방형 지붕
KR200407108Y1 (ko) 승·하강가능한 케노피 구조물
JP6735141B2 (ja) 扉装置における補強中柱の設置構造
KR100427798B1 (ko) 터널형 지붕
WO2003076751A1 (en) Airtight sectional door
KR100680274B1 (ko) 개방형 지붕
ITSA20060024U1 (it) Sistema mobile di copertura con apertura e chiusura automatica del telone.
KR200368260Y1 (ko)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통로의 지붕장치
CN207406109U (zh) 一种新型智能开合天幕
JP3684406B2 (ja) 屋根の開閉構造
JP5911385B2 (ja) 地下施設の換気口用止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