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168Y1 - 세트앙카 - Google Patents

세트앙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168Y1
KR200368168Y1 KR20-2004-0023076U KR20040023076U KR200368168Y1 KR 200368168 Y1 KR200368168 Y1 KR 200368168Y1 KR 20040023076 U KR20040023076 U KR 20040023076U KR 200368168 Y1 KR200368168 Y1 KR 200368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haft
set anchor
wedge
fixed
protruding out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태
Original Assignee
이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태 filed Critical 이진태
Priority to KR20-2004-0023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1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16B13/085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with an expansible sleeve or dowel body driven against a tapered or spherical expander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4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 threaded element, e.g. screw or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층의 바닥이나 벽면과 같이 적당한 지지수단이 없는 곳에 피고정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세트앙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구성은, 볼트축의 테이퍼부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단턱과 테이퍼부의 사이 외주연에 설치되고, 그 하부에 절결부에 의한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단턱과 접하는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된 쐐기와; 상기 쐐기의 상부와 접하며 볼트축의 외주연에 끼워 설치되고, 일정압력 이상의 하중을 받으면 불규칙적으로 절곡되며 구겨질 수 있도록 변형공에 의해 형성되는 변형부를 구비한 가압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세트앙카를 콘크리트층의 설치공에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유동되는 현상을 없애주어 피고정체를 고정하였을 때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세트앙카{The Set Anchor}
본 고안은 콘크리트층의 바닥이나 벽면과 같이 적당한 지지수단이 없는 곳에 피고정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세트앙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세트앙카의 고정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세트앙카와 콘크리트층의 설치공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세트앙카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세트앙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트앙카(Set Anchor)라 함은, 기초볼트(foundation bolt)라고도 불리며 아래쪽을 콘크리트 속에 묻고 위쪽은 위로 내어 그곳을 세트로 피고정체를 단단히 죄어 바닥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콘크리트에 묻힌 부분은 빠져나오지 않도록 만든 특수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트앙카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세트앙카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종래 세트앙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콘크리트층(1)에 형성되는 설치공(2)과, 상기 설치공(2)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원추형의 테이퍼부(11)가 하부에 구비된 볼트축(10)과, 상기 볼트축(10)과 설치공(2)의 사이에 끼워지고 하단부에 절결된 절결부(32)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부(31)가 구비된 쐐기(30)와, 상기 콘크리트층(1)의 상단면에 볼트축(10)을 관통하며 끼워지는 와셔(21)와, 상기 와셔(21)의 상단에 볼트축(10)의 나사부(12)와 나사체결하며 결합되는 너트(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세트앙카는 콘크리트층(1)에 세트앙카를 설치할 구멍인 설치공(2)을 형성한 후 원추형의 테이퍼부(11)가 구비된 볼트축(10)을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축(10)은 설치공(2)에 삽입시 타정공구를 이용하여 삽입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볼트축(10)의 상부에는 타정공구에 타정되는 타정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정부(13)에 타정공구가 타정하게 되므로 볼트축(10)의 나사부(12) 및 테이퍼부(11)는 타정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아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볼트축(10)과 설치공(2)의 사이로 원형관 형상인 쐐기(30)를 삽입시키게 되고, 상기 콘크리트층(1)의 상면에 볼트축(10)을 관통시키며 와셔(21)를 삽입한다.
또한, 상기 와셔(21)의 상부로 볼트축(10)의 나사부(12)와 나사체결하는 너트(20)를 체결하면 콘크리트층(1)에 피고정체(미도시)를 고정시킬 수 있는 세트앙카가 설치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너트(20)를 회전시켜 볼트축(10)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면과 같이 볼트축(10)이 상승하게 되고, 이와 함께 볼트축(10) 하부에 구비된 원추형의 테이퍼부(11)도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승하는 테이퍼부(11)는 쐐기(30)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쐐기(30)의 하부를 사방으로 벌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쐐기(30)의 하부에 일부 절결되어 형성된 절결부(32)에 의해 고정부(31)가 용이하게 사방으로 벌어지며 설치공(2)의 내벽을 압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쐐기(30)는 테이퍼부(11)에 의해 상승하는 힘이 작용되지만, 그 상면이 와셔(21)와 접해있으므로 상승하지 못하고 고정부(31)가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테이퍼부(11)의 상승으로 인해 고정부(31)가 사방으로 벌어지며 설치공(2)의 내벽을 압착시킴으로써, 너트(20)를 최대한 회전시켜 볼트축(10)을 상승시키면 테이퍼부(11)와 고정부(31)가 설치공(2)을 압착하여 세트앙카가 설치공(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축(10)은 더이상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볼트축(10)에 피고정체를 결합시키면 피고정체는 세트앙카에 의해 콘크리트층(1)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고정체를 콘크리트층(1)에 고정시키는 세트앙카는 설치공(2)을 압착하여 세트앙카가 상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이 고정부(31) 한 부분만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 고정력이 약할 뿐 아니라 볼트축(10)과 설치공(2) 사이의 공간(유격)으로 인해 세트앙카가 유동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세트앙카의 고정력이 약하고 유동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피고정체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을 뿐 아니라 하중이 비교적 큰 피고정체를 벽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피고정체가 떨어져 큰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콘크리트층의 설치공에 세트앙카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세트앙카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확실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세트앙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과 부수되는 많은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세트앙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세트앙카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세트앙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세트앙카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세트앙카가 완전히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크리트층 101 - 설치공
110 - 볼트축 111 - 테이퍼부
114 - 단턱 120 - 쐐기
123 - 걸림돌기 124 - 가압돌기
130 - 가압관 131 - 변형홈
132 - 변형부 140 - 너트
141 - 스프링와셔 142 - 와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층의 바닥이나 벽 또는 천정 등에 피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해 원추형의 테이퍼부가 형성된 볼트축과, 상기 볼트축의 테이퍼부에 의해 사방으로 벌어지는 고정부가 구비된 쐐기와, 상기 쐐기의 상면에 결합되는 와셔 및 너트로 이루어진 통상의 세트앙카에 있어서, 상기 볼트축의 테이퍼부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단턱과 테이퍼부의 사이 외주연에 설치되고, 그 하부에 절결부에 의한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단턱과 접하는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된 쐐기와; 상기 쐐기의 상부와 접하며 볼트축의 외주연에 끼워 설치되고, 일정압력 이상의 하중을 받으면 불규칙적으로 절곡되며 구겨질 수 있도록 변형공에 의해 형성되는 변형부를 구비한 가압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압관에 형성되는 변형공의 형상은 삼각형, 마름모, 다이아몬드 형상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관의 변형부가 불규칙적으로 절곡되며 구겨지기 시작되는 시점의 압력은 너트에 의해 볼트축이 상승하며 테이퍼부와 고정부의 걸림돌기 및 가압돌기가 설치공을 최대한 가압시킨 시점에서 그 이상으로 볼트축을 상승시키는 시점의 압력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 세트앙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세트앙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세트앙카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세트앙카가 완전히 설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콘크리트층(100)에 형성되는 설치공(101)과, 상기 설치공(101)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원추형의 테이퍼부(111)가 하부에 구비된 볼트축(110)과, 상기 볼트축(110)의 단턱(114)과 설치공(101)의 사이에 끼워지는 가압관(130)과, 상기 볼트축(110)의 단턱(114) 하부와 테이퍼부(111)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쐐기(120)와, 상기 가압관(130)의 상면과 콘크리트층(1)의 상면에 볼트축(110)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와셔(142) 및 스프링와셔(141)와, 상기 스프링와셔(141)의 상부에 볼트축(110)의 나사부(112)와 나사체결하며 결합되는 너트(1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쐐기(120)에는 절결부(121)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부(122)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122)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23)가 형성되며, 상기 쐐기(120)의 상면 다수개소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1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관(130)에는 삼각형, 마름모, 다이아몬드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변형공(131)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변형공(131)들의 인접하는 부분에 변형부(13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볼트축(110)의 상부에는 볼트축(110)을 설치공(101)에 삽입시 타정을 위해 타정부(1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세트앙카는 콘크리트층(100)에 세트앙카를 설치할 구멍인 설치공(101)을 형성한 후 원추형의 테이퍼부(111)가 구비된 볼트축(110)을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축(110)에는 고정부(122)가 구비된 쐐기(120)가 결합된 상태로 설치공(101)에 삽입하게 되며, 타정공구를 이용하여 타정부(113)를 타정하여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축(110)과 설치공(101)의 사이로 가압관(130)을 삽입한 후 그 상부에 와셔(142)와 스프링와셔(141) 및 너트(140)를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세트앙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너트(140)를 회전시켜 볼트축(110)을 상승시키게 되며, 상기 너트(140)에 의해 상승하는 테이퍼부(111)는 쐐기(120)의 고정부(122)를 외측으로 벌리며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으로 벌어지던 고정부(122)는 설치공(101)과 접하게 되고, 계속 너트(140)가 회전하며 볼트축(110)을 상승시켜 고정부(122)가 설치공(101)을 압착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122)에 형성된 걸림돌기(123)도 설치공(101)을 압착하므로 압착력이 증가된다.
한편, 상기 쐐기(120)는 그 상면이 볼트축(1100의 단턱(114) 및 가압관(130)과 접하고 있으므로, 쐐기(120)의 하부에서는 테이퍼부(111)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오려는 힘이 작용하고, 가압관(130)의 상부는 와셔(142)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쐐기(120)가 상측으로 올라오려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테이퍼부(111)의 상승되는 힘이 모두 고정부(122)를 외측으로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하여 고정부(122)와 걸림돌기(123)의 설치공(101) 압착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쐐기(120)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12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돌기(124)도 설치공(101)을 압착시켜 주어 압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122)와 걸림돌기(123) 및 가압돌기(124)가 설치공(101)을 최대한 압착시킨 상태에서 너트(140)를 더 회전시켜 볼트축(110)을 상승시키게 되면, 이때 도 5와 같이 가압관(130)이 불규칙적으로 구겨지며 세트앙카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가압관(130)은 고정부(122)와 걸림돌기(123) 및 가압돌기(124)가 설치공(101)을 최대한 압착한 상태에서 너트(140)가 더 회전되어 볼트축(110)이 상승하면 변형공(132)에 의해 변형부(132)가 불규칙적으로 구겨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최대한 가압된 상태에서 너트(140)를 더 회전시키면 가압관(130)의 변형부(132)가 구겨지면서 볼트축(110)과 설치공(101)의 사이를 매워주며 가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변형부(132)의 형상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으로 구겨질수도 있으나, 구겨지는 힘과 재질의 특성상 서로 접히면서 구겨지는 것이 마땅하다 하겠으며, 가압관(130)은 어느정도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금속재로 형성하여야 함을 여기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관(130)의 변형홈(131)이 삼각형, 마름모, 다이아몬드형상 등 다수개의 꼭지점으로 이루어지고 하중을 견디다가 일정한 하중 이상이 되면 쉽게 허물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므로, 변형홈(131)의 형상을 원형이나 타원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삼각형, 마름모, 다이아몬드형상 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23)의 형상을 뽀족한 돌기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가압돌기(124)를 원형 또는 타원형상과 같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세트앙카에 관하여,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각 부품들의 여러 가지 설계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세트앙카를 콘크리트층의 설치공에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유동되는 현상을 없애주어 피고정체를 고정하였을 때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콘크리트층(100)의 바닥이나 벽 또는 천정 등에 피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해 원추형의 테이퍼부(111)가 형성된 볼트축(110)과, 상기 볼트축(110)의 테이퍼부(111)에 의해 사방으로 벌어지는 고정부(122)가 구비된 쐐기(120)와, 상기 쐐기(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와셔(142) 및 너트(140)로 이루어진 통상의 세트앙카에 있어서,
    상기 볼트축(110)의 테이퍼부(111)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턱(114)과;
    상기 단턱(114)과 테이퍼부(111)의 사이 외주연에 설치되고, 그 하부에 절결부(121)에 의한 고정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22)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23)와 단턱(114)과 접하는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124)가 형성된 쐐기(120)와;
    상기 쐐기(120)의 상부와 접하며 볼트축(110)의 외주연에 끼워 설치되고, 일정압력 이상의 하중을 받으면 불규칙적으로 절곡되며 구겨질 수 있도록 변형공(131)에 의해 형성되는 변형부(132)를 구비한 가압관(1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앙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관(130)에 형성되는 변형공(131)의 형상은 삼각형, 마름모, 다이아몬드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앙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관(130)의 변형부(132)가 불규칙적으로 절곡되며 구겨지기 시작되는 시점의 압력은 너트(140)에 의해 볼트축(110)이 상승하며 테이퍼부(111)와 고정부(122)의 걸림돌기(123) 및 가압돌기(124)가 설치공(101)을 최대한 가압시킨 시점에서 그 이상으로 볼트축(110)을 상승시키는 시점의 압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앙카.
KR20-2004-0023076U 2004-08-12 2004-08-12 세트앙카 KR200368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076U KR200368168Y1 (ko) 2004-08-12 2004-08-12 세트앙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076U KR200368168Y1 (ko) 2004-08-12 2004-08-12 세트앙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168Y1 true KR200368168Y1 (ko) 2004-11-17

Family

ID=4935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076U KR200368168Y1 (ko) 2004-08-12 2004-08-12 세트앙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16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187U (ko) * 2015-05-29 2016-12-07 김홍일 지지력이 강한 스크류 앵커
KR20170003561U (ko) * 2016-04-06 2017-10-16 윤선중 벽 고정용 앵커볼트
KR20180003608U (ko) 2017-06-14 2018-12-24 이종엽 앵커볼트
KR102027369B1 (ko) * 2019-01-16 2019-11-04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의 취급용 고정 장치의 설치 방법
KR20200093381A (ko) * 2019-01-28 2020-08-05 세현산업 주식회사 세트 앵커볼트
US12009113B2 (en) 2019-01-16 2024-06-11 Kepco Nuclear Fuel Co., Ltd. Device for supplementing structural integrity of spent nuclear fuel assembly during handling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187U (ko) * 2015-05-29 2016-12-07 김홍일 지지력이 강한 스크류 앵커
KR200483340Y1 (ko) 2015-05-29 2017-05-02 김홍일 지지력이 강한 스크류 앵커
KR20170003561U (ko) * 2016-04-06 2017-10-16 윤선중 벽 고정용 앵커볼트
KR200485838Y1 (ko) * 2016-04-06 2018-04-13 윤선중 벽 고정용 앵커볼트
KR20180003608U (ko) 2017-06-14 2018-12-24 이종엽 앵커볼트
KR102027369B1 (ko) * 2019-01-16 2019-11-04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의 취급용 고정 장치의 설치 방법
WO2020149444A1 (ko) * 2019-01-16 2020-07-23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의 취급용 고정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US12009113B2 (en) 2019-01-16 2024-06-11 Kepco Nuclear Fuel Co., Ltd. Device for supplementing structural integrity of spent nuclear fuel assembly during handling
KR20200093381A (ko) * 2019-01-28 2020-08-05 세현산업 주식회사 세트 앵커볼트
KR102307193B1 (ko) * 2019-01-28 2021-09-30 세현산업 주식회사 세트 앵커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887B1 (ko) 중력식 석션 앵커
US20120199215A1 (en) Drain locking device for floor drains
KR200368168Y1 (ko) 세트앙카
KR102183879B1 (ko) 너트식 앙카볼트
KR200427895Y1 (ko)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KR101866530B1 (ko) 가구용 받침다리
KR200234904Y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지지구조
KR100384232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지지구조
JPS6217237A (ja) 拡開アンカ−
KR20150000658U (ko) 셋트 앵커 볼트
KR102058520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체
KR20160134063A (ko) 지반가압부가 구비된 말뚝부재
CN112483524B (zh) 膨胀型锚栓
KR200490187Y1 (ko) 앵커볼트
KR200459864Y1 (ko) 세트앙카
JP5500719B2 (ja) 座金付きナット
KR101677448B1 (ko) 추가파일 시공방법
KR100415170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 고정구
CN220416654U (zh) 地脚调节结构、设备框架
KR20050090854A (ko) 고 하중용 앵커볼트
KR101791001B1 (ko) 싱크대 다리
CN2256037Y (zh) 小直径弹性圆楔式可回收锚杆
AU733349B2 (en) Bearer plate
CN109322890B (zh) 一种快速安装型膨胀螺栓
KR200495338Y1 (ko) 가압볼트 제거 후 슬리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앵커볼트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