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561U - 벽 고정용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벽 고정용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561U
KR20170003561U KR2020160001855U KR20160001855U KR20170003561U KR 20170003561 U KR20170003561 U KR 20170003561U KR 2020160001855 U KR2020160001855 U KR 2020160001855U KR 20160001855 U KR20160001855 U KR 20160001855U KR 20170003561 U KR20170003561 U KR 201700035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bolt
tongue
nut
tongu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838Y1 (ko
Inventor
윤선중
Original Assignee
윤선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선중 filed Critical 윤선중
Priority to KR2020160001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3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5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이외의 내장재가 더 구비된 벽 속에 설치시,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고, 설치공내에서 고정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벽 고정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슬리브(10)와; 상기 슬리브(10)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나사산이 형성되는 무두(無頭)볼트(20)와; 상기 무두볼트(20)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무두볼트(20)의 회전에 의해 슬리브(10)안으로 삽입,고정되도록 경사면(31)을 가지는 쐐기부재(3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부이면서 상기 무두볼트(20)의 일측에 결합되는 부착물(60)이 고정되도록 무두볼트(20)와 나사 결합되고, 제 1,2너트(41)(42)로 이루어지는 더블너트(4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벽 고정용 앵커볼트{Anchor Bolt for Fixing Wall}
본 고안은 벽 고정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이외의 내장재가 더 구비된 벽 속에 설치시,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고, 설치공내에서 고정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볼트는 못이나 일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설치하기 어려운 콘크리트 벽, 벽돌 벽 등에 각종 부착물을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 현재 다양한 구조의 앵커볼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앵커볼트는, 설치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벽에 소정 깊이의 구멍을 형성(천공)하고, 상기 구멍안에 원추형의 쐐기부가 형성되는 볼트 및 확관가능한 슬리브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이며, 슬리브의 내부로 볼트의 쐐기부가 삽입되면서 확관되어서 구멍안에 결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앵커볼트는 삽입된 볼트가 콘크리트 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서 여러가지 부착물을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앵커볼트는 콘크리트 벽에 천공한 구멍속으로 설치할 때, 슬리브를 타격하여 삽입함으로써, 슬리브의 선단부에서 볼트와 일체로 형성된 쐐기부가 삽입되면서 확관이 이루어져서 구멍안에서 결착,고정되게 한 것으로서, 타격에 의해 슬리브를 구멍안에 삽입 및 고정시키더라도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콘크리트 벽속에 형성된 구멍안에서 슬리브의 선단부가 쐐기부에 의해 확개되면서 압착,고정되는 구조이지만, 슬리브의 선단부에서만 결합력이 이루어지므로, 구멍의 깊이보다 슬리브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부착된 부착물이 바람, 진동 등에 의해 지속적인 영향을 받으면, 슬리브가 구멍안에서 이동하면서 쐐기와의 결합력이 감소되어 삽입된 볼트가 구멍안에서 확실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요동하거나 심지어는 앵커볼트 자체가 구멍안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대부분의 앵커볼트에 있어서, 무두볼트가 아닌 소정의 규격을 가지면서 헤드가 형성되는 전형적인 형태의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만일 콘크리트 벽의 외면에 여러가지 내장재 즉, 목재, 인테리어 철판, 대리석(인조 대리석) 등이 설치된 경우에는, 설치하고자 하는 앵커볼트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는데, 종래에는 제작상 확실한 고정을 위해서 여러가지 내장재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벽(옹벽)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볼트를 마련하여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벽속까지 도달하지 못한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분리될 염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속에 삽입되는 슬리브가 구멍밖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노출된 부분을 절단하기 곤란하고, 구멍속으로 삽입하기 위해 타격하더라도 슬리브 길이의 수축이 용이하지 않아 제대로 압입되지 못하고 외부에서 찌그러져서 결국 미관상 좋지 않게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콘크리트벽이 아닌 벽돌로 이루어진 벽인 경우에는 강도가 콘크리트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천공하여 설치공을 형성한 다음, 종래의 앵커볼트를 삽입하고, 여러가지 부착물을 고정하는 경우, 바람 등에 의해 장시간 영향을 받게되면 설치공내에서 앵커볼트가 쉽게 빠질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20-0241619호(공고일 : 2001년 12월 01일)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콘크리트 및 여러가지 내장재가 마련된 벽 속의 긴 깊이의 구멍안에 고정하기 용이하면서도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고, 구멍 깊이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벽 고정용 앵커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해결 수단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나사산이 형성되는 무두(無頭)볼트와; 상기 무두볼트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무두볼트의 회전에 의해 슬리브안으로 삽입,고정되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쐐기부재와; 상기 슬리브의 외부이면서 상기 무두볼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부착물이 고정되도록 무두볼트와 나사 결합되고, 제 1,2너트로 이루어지는 더블너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톱니형으로 형성되는 절취부와, 상기 절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단부로부터 연통되게 형성되는 절개공과, 상기 절개공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배열라인이 형성되면서 원주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각기 다른 모양의 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절개공은 경사진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에 형성되는 절취부, 절개부, 절개공 및 복수의 홀은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되고, 이러한 단위체가 슬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착물과 더블너트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탄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나사산이 형성되는 무두(無頭)볼트와; 상기 무두볼트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무두볼트의 회전에 의해 슬리브안으로 삽입,고정되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쐐기부재와; 상기 슬리브의 외부이면서 상기 무두볼트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고, 제 1,2너트로 이루어지는 더블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두볼트의 외부면이면서 슬리브의 일측면에 쐐기부재와 슬리브를 하나의 셋트로 하여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이외의 여러가지 내장재가 구비된 벽속의 긴 깊이의 구멍안에 고정하기 용이하고, 구멍 깊이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간편하게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력(바람 등)이 작용하여 설치공의 내경이 확장되어 설치공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쐐기부재와 슬리브의 압착상태가 헐거워지는 경우에, 부착물의 전방으로 탄성부재를 마련하여 탄성부재의 반발력에 의해 더블너트가 항상 바깥방향으로 밀리려는 힘이 작용하고, 그러면 무두볼트도 동시에 바깥방향으로 밀리게 되면서 무두볼트와 나사결합된 쐐기부재도 잡아당겨지면서 슬리브의 안쪽으로 더욱 파고들어 슬리브가 확개됨으로써, 설치공내에서 헐거워지더라도 헐거워진 틈새를 제거할 수 있어 설치공으로부터 쉽게 이탈 또는 요동하지 않고 항상 고정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부착물의 외부로 탄성부재가 노출되어서 외력에 의해 앵커볼트가 헐거워지는 경우에, 탄성부재가 신장되어서 자동적으로 헐거워진 상태를 타이트하게 해주는데, 이때 탄성부재가 신장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바로 더블너트 또는 무두볼트를 조여서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 고정용 앵커볼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볼트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 4a는 설치하고자 하는 벽에 천공한 구멍안에 삽입한 상태이고. 도 4b는 무두볼트를 회전시켜서 쐐기부재가 슬리브안에 삽입되어 슬리브가 확장되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 고정용 앵커볼트의 분리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볼트(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슬리브(10)와, 상기 슬리브(10)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무두(無頭)볼트(20)와, 상기 무두볼트(20)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무두볼트(20)의 회전에 의해 슬리브(10)안으로 삽입,고정되는 쐐기부재(30)와, 상기 무두볼트(20)의 일측이면서 슬리브(10)의 외부에 나사 결합되는 더블너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10)는 하나 이상의 단위체(U)를 구성하는데, 상기 단위체(U)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톱니형으로 형성되는 절취부(11)와, 상기 절취부(11)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12)와, 상기 절개부(12)의 단부로부터 연통되면서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절개공(13)과, 상기 절개공(13)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각기 다른 모양의 홀(14)(15)(16)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한쪽 라인에 형성되는 홀(14)은 타원형(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간격을 두고 다른쪽 라인에 형성되는 홀(15)은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또 다른쪽 라인에 형성되는 홀(16)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0)는 단위체(U)를 구성하는 부분이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시공시 요구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무두볼트(20)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시공시 요구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쐐기부재(30)는 슬리브(10)의 안쪽으로 파고 들어가서 슬리브(10)가 확개될 수 있도록 외부에 경사면(3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쐐기부재(30)는 원주방향을 따라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절삭면(32)을 가공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진부분(33)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절삭면(32)을 형성갯수에 따라 4각, 6각, 8각 등 다양하게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진부분(33)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더블너트(40)는 서로 맞대어 무두볼트(20)에 나사 결합되는 제 1,2너트(4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의 설치후, 각종 부착물(60)을 걸고 더블너트(40)로 고정할때, 부착물(60) 다음 위치(도면상 부착물(60)의 우측면)에 와셔(44)를 끼울 수 있다.
상기 와셔(44)는 반드시 결합하지 않아도 되지만, 와셔(44)를 결합하고, 더블너트(40)를 무두볼트(20)에 결합하면, 더욱 확실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더욱이, 앵커볼트(1)의 설치시 더블너트(40)를 통해 무두볼트(20)를 회전시킬때, 와셔(44)로 인해 마찰력이 감소되어 더욱 원활한 회전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60)와 더블너트(40) 사이에 탄성부재(46)를 마련하여 탄지되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설치공(51)이 커져서 앵커볼트(1)의 고정상태가 느슨해지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46)의 반발력에 의해 더블너트(40)를 바깥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여 무두볼트(20)를 바깥방향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설치공(51)안에서 무두볼트(20)와 나사 결합된 쐐기부재(30)도 잡아당겨지면서 슬리브(10)의 안쪽으로 더욱 파고 들어가서 슬리브(10)를 확개시킴으로써, 설치공(51)의 내경이 커지더라도 항상 그 틈새를 메꿔주어서 긴밀한 압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6)는 단면상 납작한 사각형의 평평한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도 4c에서는 편의상 탄성부재(46)가 모두 떨어져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나선형으로 말려서 스프링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두볼트(20)의 외부면에 쐐기부재(30), 슬리브(10)를 하나의 셋트로 하여 2셋트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무두볼트(20)의 선단부측에 쐐기부재(30)와 소정 길이의 슬리브(10)를 마련한 다음, 이어서 다시 동일 구조의 쐐기부재(30)와 슬리브(10)를 마련한 다음 더블너트(40)를 결합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설치공(51)의 깊이에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슬리브(10)의 길이는 적절하게 조정하여 마련할 수 있다. 즉, 반드시 동일한 슬리브(10)의 길이로 복수 마련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51)내에 앵커볼트(1)를 압착 고정시키고, 각종 부착물(60)을 걸고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볼트(1)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벽(콘크리트벽 또는 벽돌벽 등)(50)의 전면에 목재(52), 철판(53), 금속 파이프(54) 및 대리석(55)(인조 대리석)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경우에, 각종 부착물(6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먼저 상기 벽(50)안까지 천공하여 설치공(51)을 형성한 다음, 앵커볼트(1)를 삽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볼트(1)는, 미리 상기 설치공(51)의 깊이에 맞는 길이로 슬리브(10)와 무두볼트(20)를 절단하고, 슬리브(10)안에 무두볼트(20)를 삽입하며, 무두볼트(20)의 선단부에 쐐기부재(30)를 나사 결합하고, 슬리브(10)의 반대쪽에는 더블너트(40)를 나사 결합하여 가(假)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설치공(51)안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더블너트(40)를 회전시켜서 무두볼트(20)를 동시에 회전시킴에 따라, 무두볼트(20)의 선단부에 나사 결합된 쐐기부재(30)가 직선 이동하여 슬리브(10)의 선단부 안쪽으로 파고들게 되고, 그에 따라 점점 쐐기부재(30)의 경사면(31)으로 인해 슬리브(10)의 선단부는 확개된다.
즉, 상기 더블너트(40)는 슬리브(10)의 단부측에 밀착되게 나사 결합한 다음, 제 1너트(41)를 슬리브(10)의 단부측으로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제 1너트(41)는 밀착된 제 2너트(42)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 하지만,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 1너트(41)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고정된 상태의 제 2너트(42) 및 무두볼트(20)가 동시에 회전하기 시작한다.
상기 무두볼트(20)는 설치공(51)안에서 설치공(51)의 가장 안쪽 단부까지 도달하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너트(41)의 회전에 따라 무두볼트(20)는 동시에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무두볼트(20)가 슬리브(10)의 내부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되면, 무두볼트(20)의 선단부에 나사 결합된 쐐기부재(30)가 직선 이동하여 슬리브(10)의 선단부 안쪽으로 파고 들어간다.
상기 쐐기부재(30)가 슬리브(10)의 안쪽으로 파고 들어가면, 쐐기부재(30)의 경사면(31)으로 인해 슬리브(10)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확개되면서 설치공(51)의 내부면에 압착되면서 고정된다.
그러면, 슬리브(10)의 선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절취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슬리브(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절개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쐐기부재(30)의 진입에 따라 슬리브(10)의 선단부가 용이하게 확개 가능하고, 더욱이 확개된 상태에서의 절취부(11)는 벽(50) 속의 설치공(51)의 내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더블너트(40)의 제 1너트(41)를 회전시켜서 무두볼트(20)를 동시에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쐐기부재(30)가 슬리브(10)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 확개되도록 하여 설치공(51)내에서 고정되도록 한 다음, 더블너트(40)의 제 1너트(41)를 반대방향(슬리브(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무두볼트(20)로부터 더블너트(40)를 분리하고, 필요한 부착물(60)을 무두볼트(20)에 건 다음, 다시 더블너트(40)를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의 설치시, 와셔(44)를 끼우고 더블너트(40)를 결합한 다음 회전시켜서, 무두볼트(20)의 회전으로 쐐기부재(30)를 슬리브(10)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게 해서 설치공(51)내에서 압착 고정되게 할 수 있는데, 와셔(44)와 더블너트(40)간의 접촉시 마찰력이 감소되어 보다 원활하게 더블너트(40)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에, 와셔(44)를 무두볼트(20)에 끼우지 않고 더블너트(4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더블너트(40)와 접촉하는 부분, 예를 들어 대리석(55) 부분 또는 벽 부분과의 마찰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와셔(44)를 끼움으로해서 보다 원활한 회전동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리브(10)가 설치공(51)의 깊이에 비해 길어서 대리석(54) 밖으로 노출된 경우에는 설치공(51)의 내부로 강제로 밀어 넣으면 되는데, 슬리브(10)의 노출된 단부 측면으로 더블너트(40)를 무두볼트(20)에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슬리브(10)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더블너트(40)를 구성하는 제 2너트(42)가 무두볼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리브(10)를 압박하여 설치공(51)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너트를 더 결합하고, 이러한 별도의 너트를 슬리브(10)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리브(10)를 가압하여 수축시킴으로써 설치공(51)안으로 쉽게 밀어 넣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이면서 다양한 형태의 홀(14)(15)(16)이 형성되어 있어, 슬리브(10)가 쉽게 찌그러지면서 길이가 축소되어서 설치공(51)안으로 삽입되고, 슬리브(10)가 찌그러진 만큼 설치공(51)의 내부에서 보다 확실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쐐기부재(30)가 슬리브(10)의 선단부안으로 파고들어가서 확개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공(51)내에서 1차로 압착 고정되고, 슬리브(10)의 길이가 수축됨으로써 2차 압착이 이루어져서 한번 설치되면 설치공(51)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될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홀(14)(15)(16)을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슬리브(10)를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찌그러지게 하여 설치공(51)의 내부 여러 군데에서 압착될 수 있어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슬리브(10)가 찌그러질 때, 홀(14)(15)(16) 부분에서 겹쳐지면서 슬리브(10)의 내부 및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슬리브(10)의 길이 수축 및 설치공(51)내에서의 여러 군데에서의 압착,고정이 가능해져서 더욱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슬리브(10)에 복수의 홀(14)(15)(16)을 형성한 것은, 설치공(51)의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공(51)이 내부로 밀어넣기 용이하게 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설치공(51)내에서의 보다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부러 설치공(51)보다 길게 형성하여 가압함으로써 슬리브(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찌그러지게 하여 복수의 압착 고정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더욱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일, 설치공(51)의 깊이가 깊어서 그에 비례하여 슬리브(10)의 길이도 길어지는 경우에는 그 만큼 전단력이 약화되어서 쐐기부재(30)에 의한 슬리브(10) 선단부에서의 확개에 따른 압착력만으로 부족할 수 있어, 슬리브(10)의 길이를 수축함으로써, 슬리브(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곳에서 압착 고정되도록 하여 확실한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무두볼트(20)도 설치공(51)의 외부로 불필요하게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을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앵커볼트(1)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무두볼트(20)를 분리하는데, 상기 더블너트(40)에 있어서, 안쪽에 위치하는 제 2너트(42)를 제 1너트(41)가 조여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너트(41)는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제 2너트(42)가 제 1너트(41) 방향으로 밀고 나가려고 하더라도 밀고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무두볼트(20)가 동시에 회전되고, 그에 따라 무두볼트(20)에 선단부에 나사 결합된 쐐기부재(30)는 슬리브(10)의 선단부 안으로 파고들어가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쐐기부재(30)로부터 무두볼트(20)가 회전하면서 직선 이동하여 설치공(51)의 외부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두볼트(20)를 설치공(51)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뚫린 설치공(51)안으로 실리콘 또는 마개 등을 통해 밀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앵커볼트(1)는 특히 콘크리트 벽에 여러가지 내장재가 구비되어 여러가지 내장재를 관통하여 콘크리트속까지 구멍을 천공하여 설치하고자 할때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앵커볼트(1)는 간판 등을 설치할때 유용한데, 간판은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 바람 등에 의해 항상 외력이 작용하고, 만일 낙하하는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설치 고정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해야 하며, 따라서 본 고안의 앵커볼트(1)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간판이 바람에 의해 분리되어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건물의 벽(콘크리트 또는 벽돌 등) 두께가 여러가지 내장재(목재, 철판, 대리석 등)이 덧대어 설치되어서 벽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 이에 비례해서 길어지는 설치공(51)에 맞게 슬리브(10) 및 무두볼트(20)를 절단하여 간편하게 앵커볼트(1)로서 사용할 수 있어, 설치공(51)의 깊이가 깊더라도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1)는 콘크리트만으로 이루어진 벽면에 설치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를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고, 짧은 길이를 가지는 앵커볼트를 시공하면 되지만, 콘크리트 및 기타 여러가지 내장재가 구비되어 내장재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벽속까지 천공하여 설치공의 깊이가 길어지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앵커볼트(1)로서의 중요한 기능은 설치공(51)내에서의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인데.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1)는 이러한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다.
즉, 쐐기부재(30)가 슬리브(10)의 안으로 파고 들어가서 슬리브(10)를 확개시킴으로써, 슬리브(10)가 설치공(51)내에서 압착되어서 고정되게 함은 물론, 슬리브(10)는 설치공(51)의 내부에서 무두볼트(20) 부분 전체에 걸쳐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등에 의해 슬리브(10)가 쐐기부재(30)로부터 이동하여 압착된 상태가 느슨해질 가능성을 배제함으로써, 한번 설치공(51)의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슬리브(10)의 선단부는 쐐기부재(30)와 결합되어 있고, 슬리브(10)의 후단부는 부착물(60)의 안쪽면과 밀착되어 있어, 설치공(51)의 내부에서 쐐기부재(30)가 슬리브(10)의 선단부 안쪽으로 파고 들어와서 확개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공(51)내에서 압착 고정되게 함은 물론, 슬리브(10)의 전,후단부가 밀착되어 요동없이 확실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설치공(51)안에서 요동 또는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부착물(60)의 관통공은 슬리브(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무두볼트(20)가 관통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슬리브(10)는 쐐기부재(30)에 의한 압착력과 더블너트(40)의 결합력에 의한 부착물(60)의 고정력에 의해 타이트하게 요동하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다.
설치공(51)의 외부로 슬리브(10)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경우에, 슬리브(10)를 강제로 더블너트(40)를 통해 밀어 넣음으로써, 쉽게 찌그러지도록 하여 설치공(51)내에서 보다 확실하게 압착,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슬리브(10)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홀(14)(15)(1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브(10)가 길이방향으로 쉽게 찌그러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설치공(51)의 내부에서 슬리브(10)가 압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쐐기부재(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삭면(32)을 형성하여 각진부분(33)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슬리브(10)의 안으로 파고 들어갈때, 쐐기부재(30)의 각진부분(33)이 슬리브(10)의 선단에 형성된 절취부(11)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쐐기부재(30)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여 압착,고정된 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반복적인 외력에 의해 설치공(51)의 내부가 커져서 앵커볼트(1)의 압착상태가 헐거워지는 경우에, 부착물(60) 또는 와셔(44)와 더블너트(40)의 사이에 탄성부재(46)를 탄지되도록 하여 무두볼트(20)를 바깥방향으로 항상 미는 힘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무두볼트(20)와 나사 결합된 쐐기부재(30)도 동시에 잡아당겨지면서 슬리브(10)의 안쪽으로 설치공(51)이 헐거워진 만큼 이동하여 확개되도록 하여 항상 압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벽속에 앵커볼트(1)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도중에,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앵커볼트(1)의 고정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경우, 앵커볼트(1)를 더 조여서 고정되도록 하는데, 종래에는 앵커볼트의 고정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예를 들어 부착물(60)로서 간판을 설치한 경우, 간판이 낙하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1)는 탄성부재(46)가 부착물(60)의 외부로 보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앵커볼트(1)의 고정상태가 느슨해지는 경우, 탄성부재(46)가 늘어나면서 헐거워지는 부분을 타이트하게 해주기 때문에, 육안으로 탄성부재(46)의 신장된 길이를 보고 앵커볼트(1)의 고정상태가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앵커볼트(1)의 더블너트(40)를 더 조여서 느슨해진 상태를 조여서 부착물(60)이 낙하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부재(30)와 슬리브(10)를 복수 마련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복수의 쐐기부재(30)에 의해 슬리브(10)의 확개가 이루어져서 설치공(51)내에 압착되므로, 더욱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고안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1 : 앵커볼트
10 : 슬리브(sleeve)
11 : 절취부
12 : 절개부
13 : 절개공
14,15,16 : 홀(hole)
20 : 무두볼트
30 : 쐐기부재
31 : 경사면
32 : 절삭면
33 : 각진부분
40 : 더블너트
41 : 제 1너트
42 : 제 2너트
44 : 와셔
46 : 탄성부재
50 : 벽
51 : 설치공
52 : 목재
53 : 철판
54 : 금속 파이프
55 : 대리석
60 : 부착물

Claims (6)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슬리브(10)와;
    상기 슬리브(10)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나사산이 형성되는 무두(無頭)볼트(20)와;
    상기 무두볼트(20)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무두볼트(20)의 회전에 의해 슬리브(10)안으로 삽입,고정되도록 경사면(31)을 가지는 쐐기부재(3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부이면서 상기 무두볼트(20)의 일측에 결합되는 부착물(60)이 고정되도록 무두볼트(20)와 나사 결합되고, 제 1,2너트(41)(42)로 이루어지는 더블너트(40);
    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이외의 내장재가 구비된 벽속에 설치가능하고,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용 앵커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톱니형으로 형성되는 절취부(11)와, 상기 절취부(11)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12)와, 상기 절개부(12)의 단부로부터 연통되게 형성되는 절개공(13)과, 상기 절개공(13)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배열라인이 형성되면서 원주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각기 다른 모양의 홀(14)(15)(1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벽 고정용 앵커볼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개공(13)은 경사진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용 앵커볼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에 형성되는 절취부(11), 절개부(12), 절개공(13) 및 복수의 홀(14)(15)(16)은 하나의 단위체(U)로 구성되고, 이러한 단위체(U)가 슬리브(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용 앵커볼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60)과 더블너트(40)의 사이에 탄지되는 탄성부재(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용 앵커볼트.
  6.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슬리브(10)와;
    상기 슬리브(10)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나사산이 형성되는 무두(無頭)볼트(20)와;
    상기 무두볼트(20)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무두볼트(20)의 회전에 의해 슬리브(10)안으로 삽입,고정되도록 경사면(31)을 가지는 쐐기부재(3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부이면서 상기 무두볼트(20)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고, 제 1,2너트(41)(42)로 이루어지는 더블너트(40);
    를 포함하고,
    상기 무두볼트(20)의 외부면이면서 슬리브(10)의 일측면에 쐐기부재(30)와 슬리브(10)를 하나의 셋트로 하여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용 앵커볼트.
KR2020160001855U 2016-04-06 2016-04-06 벽 고정용 앵커볼트 KR200485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55U KR200485838Y1 (ko) 2016-04-06 2016-04-06 벽 고정용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55U KR200485838Y1 (ko) 2016-04-06 2016-04-06 벽 고정용 앵커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561U true KR20170003561U (ko) 2017-10-16
KR200485838Y1 KR200485838Y1 (ko) 2018-04-13

Family

ID=6040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855U KR200485838Y1 (ko) 2016-04-06 2016-04-06 벽 고정용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3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709Y1 (ko) * 2001-06-08 2001-10-26 노선경 앵커볼트
KR200241619Y1 (ko) 1998-12-15 2001-12-01 신금재 앵커볼트
KR20020005251A (ko) * 2000-07-06 2002-01-17 이경욱 앵커볼트
KR200368168Y1 (ko) * 2004-08-12 2004-11-17 이진태 세트앙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619Y1 (ko) 1998-12-15 2001-12-01 신금재 앵커볼트
KR20020005251A (ko) * 2000-07-06 2002-01-17 이경욱 앵커볼트
KR200244709Y1 (ko) * 2001-06-08 2001-10-26 노선경 앵커볼트
KR200368168Y1 (ko) * 2004-08-12 2004-11-17 이진태 세트앙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838Y1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5161C (en) Self-drilling hollow wall anchor
US6062784A (en) Spreading anchor
CA1304242C (en) Straddling plug
JP2004132550A (ja) リベット
JP7418676B2 (ja) 拡開式アンカー
KR102307193B1 (ko) 세트 앵커볼트
CA2630089A1 (en) Self-drilling wall anchor device
US3217583A (en) Unitary expansion anchor for bolts
KR100948352B1 (ko) 세이프티 앵커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 시공방법
SK282936B6 (sk) Rozpínacia kotva
KR200485838Y1 (ko) 벽 고정용 앵커볼트
KR101575099B1 (ko) 이지 앵커 볼트
JP4596997B2 (ja) 壁パネル、そのアンカー及びその取付方法
KR20180074324A (ko) 풀림방지 앵커볼트너트 결합체
KR200426760Y1 (ko) 압착력과 밀착력을 높인 다기능 스트롱 앵커
US4909657A (en) Straddling dowel for anchoring in a bore having an undercut
JP2007239804A (ja) アンカーボルト
KR101691770B1 (ko) 건축용 앵커
KR100276988B1 (ko) 볼트고정장치
KR101839100B1 (ko)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GB2576956A (en) Dowel fasteners
JP7246119B2 (ja) あと施工アンカー及びその設置構造
WO2022163742A1 (ja) アンカーボルトとその施工方法
KR20180112357A (ko)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825799B1 (ja) あと施工アンカー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