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864Y1 - 세트앙카 - Google Patents

세트앙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864Y1
KR200459864Y1 KR2020100003268U KR20100003268U KR200459864Y1 KR 200459864 Y1 KR200459864 Y1 KR 200459864Y1 KR 2020100003268 U KR2020100003268 U KR 2020100003268U KR 20100003268 U KR20100003268 U KR 20100003268U KR 200459864 Y1 KR200459864 Y1 KR 200459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haft
installation
installation hole
set ancho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454U (ko
Inventor
김순찬
Original Assignee
김순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찬 filed Critical 김순찬
Priority to KR2020100003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86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4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4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8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4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 threaded element, e.g. screw or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트앙카의 설치작업시에 고정관을 매우 수월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작업능률 향상과 설치시공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간편한 시공 및 부품절감이 도모되도록 개선된 세트앙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구조물(1)의 설치공(2)으로 삽입되는 원추형의 테이퍼부(11)를 갖는 볼트축(10)과, 상기 볼트축(10)이 관통되는 중앙공(22)을 갖는 몸체(11) 하단부 외주연부에 형성된 수개의 통공(23) 하측으로 절개된 절결부(24) 사이에 확개단부(25)를 갖는 고정관(20)과, 상기 볼트축(10)에 체결되는 너트(30)로 이루어지는 세트앙카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20)의 몸체(21) 상단부에 설치공(2)의 입구 외주면부에 걸림 되는 플랜지(26)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몸체(21)에는 유동방지돌기부(212) 또는 유동방지엠보싱돌기(213)를 구비하여 설치공(2) 내부에서 고정관(20)이 유동 되지 않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세트앙카{Set Anchor}
본 고안은 콘크리트구조물과 같이 적당한 지지수단이 없는 장소에 피고정물을 고정 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세트앙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트앙카의 고정관이 설치공으로 빠지지 않게 하고 더 나아가 평와셔나 스프링와셔가 없이도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세트앙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트앙카(Set Anchor)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8168호의 등록실용신안공보의 도면1에 의해서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을 관통하는 길다란 볼트축과, 상기 볼트축에 체결되는 너트 및 평와셔와 스프링와셔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트앙카는 콘크리트구조물에 설치공을 뚫은 다음 고정관과 함께 볼트축을 설치공으로 삽입시킨 다음 설치공 외부에서 볼트축에 평와셔와 스프링와셔를 조립한 후에 너트에 의해서 조여지게 체결하는 작업을 하여 콘크리트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너트가 조여지면 볼트축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그 볼트축 하부에 있는 원추형 테이퍼부에 의해서 고정관의 하단부가 강제적으로 벌어지게 됨에 따라 고정관이 설치공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고정관이 설치공으로 삽입될 때 고정관 전체가 쏙 들어가도록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설치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관이 상단부가 설치공의 입구에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야 만이 볼트축이 피고정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견고력이 보다 강하게 작용 되기 때문이며, 만약 설치공 안쪽 깊숙이 고정관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면 볼트축이 외력에 견딜 수 있는 견고력이 그만큼 저하된다.
그러므로 세트앙카 설치작업시에 작업자들은 고정관이 설치공 안쪽으로 깊숙히 들어가지 않도록 세심하고 주의 깊게 작업을 해야 하거나 또는 부주의에 의해서 고정관이 설치공 안쪽으로 깊숙이 들어간 경우에는 다시 설치공으로부터 고정관을 인출한 다음 다시 삽입시켜야 함에 따라 설치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고정관이 설치공 깊숙이 들어간 경우 그 고정관을 인출하여 다시 설치작업을 하면 되는데 작업자들이 그러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작업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함으로써 볼트축이 외력에 견딜 수 있는 견고력이 그만큼 저하되어 시공 완료 후에 볼트축이 외력에 견디지 못하고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위험성이 초래되는 경우가 발생 되게 하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설치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우므로 설치 시공 시간이 오래 소요됨으로써 작업 능률 저하는 물론이거니와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그리고 세트앙카는 너트에 의해서 볼트축을 조이기 위한 평와셔 및 체결된 너트가 자동으로 풀림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와셔가 반드시 필요로 되기 때문에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문헌1) KR 20-0368168 Y1 2004.11.17, 2쪽, 26-32줄, 도면1 (문헌2) KR 20-0368181 Y1 2004.11.17 (문헌3) KR 10-0644231 B1 2006.11.10
본 고안은 세트앙카의 설치작업시에 고정관을 매우 수월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작업능률 향상과 설치시공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평와셔나 스프링와셔 없이도 설치작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간편한 시공 및 부품절감과 설치시공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구조물의 설치공으로 삽입되는 원추형의 테이퍼부를 갖는 볼트축과, 상기 볼트축이 관통되는 중앙공을 갖는 몸체 하단부 외주연부에 형성된 수개의 통공 하측으로 절개된 절결부 사이에 확개단부를 갖는 고정관과, 상기 볼트축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세트앙카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의 몸체 상단부에 설치공의 입구 외주면부에 걸림 되는 플랜지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가 너트가 체결되게 하는 받침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일자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는 너트 체결력에 대항하는 탄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설치공의 입구 외주면부에 지지되는 외단부와, 상기 외단부 상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갖도록 구성함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가 원형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상기 플랜지가 사방으로 다수의 돌륜부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관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갈라짐단부에 직각방향으로 절곡 된 유동방지돌기부를 더 갖도록 구성함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관의 몸체에 유동방지엠보싱돌기를 더 갖도록 구성함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세트앙카 설치 작업시에 설치공 내부 깊숙이 고정관이 삽입되지 않으므로 시공 불량이 전혀 발생 되지 않으므로 시공 완료후에 볼트축이 외력에 대해 견고성이 보장되게 시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고정관이 설치공의 제 위치에 설치되게 하고 고정관 설치 후에는 설치공 내에서 유동이 없게 되므로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 용이하고 작업 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는 물론이거니와 그로 인해 시공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시공비 절감이 도모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고정관의 플랜지가 너트가 체결되게 하는 받침 기능이나 또는 너트 체결력에 대항하는 탄력을 기능을 수행하므로 예전과 같이 평와셔 또는 스프링와셔를 사용하지 않고도 너트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고 너트 풀림이 미연에 방지되게 하므로 예전에 사용하던 평와셔 또는 스프링와셔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 절감 및 원가 절감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트앙카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1차 설치작업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2차 설치작업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Y-Y'선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고정관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보인 고정관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평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고정관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보인 고정관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평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관 플랜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세트앙카를 크게 구분하면 원추형의 테이퍼부(11)를 갖는 볼트축(10)과, 상기 볼트축(10)이 관통되는 중앙공(22)을 갖는 몸체(21)를 갖는 고정관(20)과, 상기 볼트축(10)에 체결되는 너트(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너트(30)를 체결하기 전에 볼트축(10)에 끼워지는 스프링와셔(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관(20)은 몸체(21) 하단부 외주연부에 수개의 통공(23)을 구비하고 그 통공(23) 하측으로 절개된 절결부(24) 사이에 확개단부(25)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관(20)의 몸체(21) 상단부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구조물(1)의 설치공(2)의 입구(2a) 외주면부(1a)에 걸림 되는 플랜지(26)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6)는 너트(30)가 체결되게 하는 받침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일자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콘크리트구조물(1)에 먼저 드릴에 의해서 설치공(2)을 뚫게 되는데, 이때 고정관(20)의 몸체(21) 직경보다는 약 1-1.5mm 정도 큰 직경으로 설치공(2)이 뚫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세트앙카 설치 작업시에 고정관(20)의 중앙공(22)으로 볼트축(10)이 관통되게 끼운 상태에서 이들을 설치공(2)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볼트축(10)은 설치공(2) 하부까지 삽입되어 걸리게 되지만 고정관(20)은 플랜지(26)가 설치공(2)의 입구(2a) 외주면부(1a)에 걸림 되는 상태가 되므로 더 이상 깊숙이 삽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축(10)에 스프링와셔(40)를 결합한 후 너트(30)를 조이게 된다.
너트(30)가 조임 되면 처음에 너트(30)는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아니하므로 설치공(2) 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다가 스프링와셔(40)에 닿는 순간부터는 플랜지(26)를 지지점으로 하여 받침되는 상태에서 강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이때 부터는 볼트축(10)이 너트(3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볼트축(10)의 테이퍼부(11)가 확개단부(25) 내측으로 강제적으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확개단부(25)가 외측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변형되게 벌어져서 설치공(2) 내주면에 밀착되게 됨에 따라 설치공(2) 내부에서 고정관(20)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설치작업시에 고정관(20)이 설치공(2) 내부로 깊숙히 들어가지 않게 되므로 고정관(20)의 세팅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되고 그로인해 설치 시공시간 단축이 되며 시공비 절감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관(20)이 설치공(2)의 입구(2a)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상태에서 고정되게 되므로 세트앙카의 설치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볼트축(20)이 견고하게 지지되는 견고력을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볼트축(20)에 설치되는 다른 부재의 하중에 대해서 우수한 지탱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세트앙카의 양호한 설치작업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너트(30)의 강제 회전시에 플랜지(26)가 지지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예전에 지지대 역할을 하였던 평와셔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부품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세트앙카의 부품절감 및 조립공정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 준다.
상기 다른 실시예는 고정관(20)의 플랜지(26)가 너트(30) 체결력에 대항하는 탄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설치공(2)의 입구(2a) 외주면부(1a)에 지지되는 외단부(261)와, 상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62)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너트(30)가 강제적으로 회전하는 체결력이 플랜지(26)의 볼록부(262)에 작용 되므로 이때는 도 5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볼록부(262)가 내려가면서 외단부(261)는 외측으로 밀려가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설치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플랜지(26)의 볼록부(262)가 상부쪽으로 원상 복귀하려는 탄력을 가지게 되는 대항력을 보유하게 됨으로써 그 대항력이 너트(30)를 항상 밀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플랜지(26)가 예전에 사용되었던 평와셔 및 스프링와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평와셔와 스프링와셔 없이도 세트앙카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작업공수 절감에 따른 비공비 절감 및 부품절감에 따른 세트앙카의 원가절감이 도모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도 6과 같이 고정관(20) 몸체(21)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갈라짐단부(211)에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유동방지돌기부(212)를 더 갖도록 구성되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동방지돌기부(212)가 설치공(2)의 내주면에 닿게 됨으로써 고정관(20)이 설치공(2) 내부에서 저절로 회동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세트앙카 설치작업시에 고정관(200이 설치공(2)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게 되므로 도 2 상태와 같이 볼트축(10)이 설치공(2) 깊숙이 들어간 것을 약간 다시 빼내고 너트(30)를 체결할 때 고정관(20)이 같이 빠져 나오지 않게 되고 너트(30) 체결시 플랜지(26)와 너트(30)가 접촉된 상태에서 너트(30)를 회전시킬 때 고정관(20)이 너트(30)와 같이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용이한 작업을 도모하게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도 8과 같이 고정관(20)의 몸체(21)에 유동방지엠보싱돌기(213)를 더 갖도록 구성되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도 9와 같이 유동방지엠보싱돌기(213)가 설치공(2)의 내주면에 닿게 됨으로써 고정관(20)이 설치공(2) 내부에서 저절로 회동 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세트앙카 설치작업시에 고정관(20)이 설치공(2)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게 되므로 도 2 상태와 같이 볼트축(10)이 설치공(2) 깊숙이 들어간 것을 약간 다시 빼내고 너트(30)를 체결할 때 고정관(20)이 같이 빠져 나오지 않게 되고 너트(30) 체결시 플랜지(26)와 너트(30)가 접촉된 상태에서 너트(30)를 회전시킬 때 고정관(20)이 너트(30)와 같이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용이한 작업을 도모하게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관(20)의 플랜지(26)에 대해 여러 형태로 구성되게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을 보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플랜지(26)는 도 10 및 도 11의 (a)와 같이 원형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의 (b) 내지 (c)와 같이 플랜지(26)가 사방으로 다수의 돌륜부(263)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실시예로 예시된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 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 : 콘크리트구조물 2 : 설치공
10 : 볼트축 11 : 테이퍼부
20 : 고정관 21 : 몸체
22 : 중앙공 23 : 통공
24 : 절결부 25 : 확개단부
26 : 플랜지 30 : 너트
40 : 스프링와셔 211 : 갈라짐단부
212 : 유동방지돌기부 213 : 유동방지엠보싱돌기
261 : 외단부 262 : 볼록부
263 : 돌륜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콘크리트구조물의 설치공으로 삽입되는 원추형의 테이퍼부를 갖는 볼트축과, 상기 볼트축이 관통되는 중앙공을 갖는 몸체 하단부 외주연부에 형성된 수개의 통공 하측으로 절개된 절결부 사이에 확개단부를 갖는 고정관과, 상기 볼트축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세트앙카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의 몸체 상단부에 설치공의 입구 외주면부에 걸림 되는 플랜지를 일체로 구비하되 상기 플랜지가 너트 체결력에 대항하는 탄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설치공의 입구 외주면부에 지지되는 외단부와, 상기 외단부 상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앙카.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갈라짐단부에 직각방향으로 절곡 된 유동방지돌기부를 더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앙카.
  7. 삭제
KR2020100003268U 2010-03-30 2010-03-30 세트앙카 KR200459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268U KR200459864Y1 (ko) 2010-03-30 2010-03-30 세트앙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268U KR200459864Y1 (ko) 2010-03-30 2010-03-30 세트앙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454U KR20110009454U (ko) 2011-10-06
KR200459864Y1 true KR200459864Y1 (ko) 2012-04-20

Family

ID=4559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268U KR200459864Y1 (ko) 2010-03-30 2010-03-30 세트앙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8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369B1 (ko) * 2019-01-16 2019-11-04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의 취급용 고정 장치의 설치 방법
KR102546222B1 (ko) 2022-05-13 2023-06-22 정종훈 슬리브 확장형 세트앵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250U (ko) * 1990-12-24 1992-07-25 이무일 콘크리트용 앵커
JPH0882014A (ja) * 1994-09-06 1996-03-26 Misawa Homes Co Ltd アンカーボルト
KR200318458Y1 (ko) * 2003-03-28 2003-06-27 이선미 앵커볼트
KR20040077602A (ko) * 2004-08-02 2004-09-04 하재용 앵커볼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250U (ko) * 1990-12-24 1992-07-25 이무일 콘크리트용 앵커
JPH0882014A (ja) * 1994-09-06 1996-03-26 Misawa Homes Co Ltd アンカーボルト
KR200318458Y1 (ko) * 2003-03-28 2003-06-27 이선미 앵커볼트
KR20040077602A (ko) * 2004-08-02 2004-09-04 하재용 앵커볼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454U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6811B2 (en) Drain locking device for floor drains
KR200459864Y1 (ko) 세트앙카
CN102442460A (zh) 将管紧固至支撑结构的紧固装置以及具有这种紧固装置的运输和存储容器
CN203613817U (zh) 钢结构安全防护护栏的底座装置
JP5132009B1 (ja) 斜面安定化工法に用いられる定着用ナッ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斜面安定化構造並びに斜面安定化工法
CN204754757U (zh) 一种弯钩朝向一致且丝扣外露一致的六角型防盗脚钉
KR200446452Y1 (ko) 배관 고정용 행거
KR101544516B1 (ko) 제거식 세트앙카볼트
KR200473296Y1 (ko) 세트 앙카
JP2016050606A (ja) 鋼管杭継手構造
KR20090006046A (ko) 가설물고정용 볼트
JP5500719B2 (ja) 座金付きナット
KR200464097Y1 (ko) 세트앙카
CN208397099U (zh) 一种安装牢固的安装螺栓
KR200482379Y1 (ko) 동바리
CN213541001U (zh) 一种膨胀螺丝
CN204475557U (zh) 专用于混凝土结构外剪力墙保温板安装的紧固钉
CN204458719U (zh) 一种能够有效避免松脱的膨胀螺栓
CN206811774U (zh) 大理石抛光磨头
CN113048134B (zh) 一种耐高温易安装紧固件
CN204024031U (zh) 脚手架旋转扣件、滑套和脚手架
KR200490187Y1 (ko) 앵커볼트
CN210265441U (zh) 一种锁紧螺母及水龙头安装锁紧组件
CN220263733U (zh) 一种塑料瓶
CN104160198A (zh) 管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