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895Y1 -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895Y1
KR200427895Y1 KR2020060018878U KR20060018878U KR200427895Y1 KR 200427895 Y1 KR200427895 Y1 KR 200427895Y1 KR 2020060018878 U KR2020060018878 U KR 2020060018878U KR 20060018878 U KR20060018878 U KR 20060018878U KR 200427895 Y1 KR200427895 Y1 KR 200427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rocker
hole
bracket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순
Original Assignee
(주)진흥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흥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진흥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18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8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6Inter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7Mounting means therefor for mounting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레일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벽면의 홀에 삽입되는 일단부에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테이퍼가 형성되고, 테이퍼의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나선부가 형성된 앵커볼트 및 앵커볼트의 나선부가 삽입되어 통과하고 테이퍼의 통과가 차단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돌기에 맞는 슬릿이 단부에 형성되며, 슬릿이 형성된 부분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형성된 로커를 포함함으로써, 벽면의 홀에 삽입된 앵커볼트의 고정이 보다 강인해지는 이점을 제공한다.
레일, 브라켓, 앵커볼트, 로커, 돌기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ELEVATOR RAIL BRACKET ANCHOR BOL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서 요철부에 환형홈이 포함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 의해 브라켓이 고정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서 요철부에 엠보싱이 포함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 의해 브라켓이 고정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서 요철부에 굴곡된 형태의 요철이 포함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 의해 브라켓이 고정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레일 105: 브라켓
110: 벽면 112: 홀
121: 테이퍼 125: 돌기
126: 나선부 128: 앵커볼트
131: 통로 132: 슬릿
135: 슬릿 부분 138: 요철부
138a: 환형홈 138b: 엠보싱
138c: 요철 140: 로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의 홀에서 앵커볼트의 이탈과 유동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볼트는 지면이나 벽면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나선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너트가 나선부에 결합됨으로써, 구조물이나 구조물을 결합시키기 위한 브라켓을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이다.
실용신안공고 제20-018412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앵커볼트는 건물 시공 후 콘크리트 외부벽면에 광고판을 부착하거나, 또는 옹벽 면에 가이드레일 등의 소정의 부착물을 고정하는 경우, 콘크리트 외부벽면에 천공되는 매설공에 함몰되어 매설되는 앵커볼트의 일단부에 이를 체결 시 겉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환형의 확장부가 형성되며, 앵커볼트의 타단부에 소정의 부착물를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된다.
이때, 앵커볼트가 매설공에 매설되는 경우, 전술한 확장부의 삽입으로 인해 외측방향으로 확장되어 매설공 내주면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매설공으로부터 앵커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커가 앵커볼트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또한, 로커에는 원주방향으로 절취형성되고, 앵커볼트의 고정 시 확장부가 삽입됨으로써 로커를 매설공 내주연에 밀착시키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앵커볼트의 확장부가 매설공에 삽입되고, 나사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부착물이 체결되는 경우, 로커에 의해 매설공으로부터 앵커볼트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앵커볼트는 앵커볼트의 확장부 외주연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나사부에 체결부재를 체결 시 앵커볼트가 매설공 내부의 로커 내측에서 계속적으로 겉돌게 됨으로써, 부착물을 고정하는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앵커볼트가 로커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 후에도 회전되면서 유동되거나 로커의 내부에서 흔들리게 됨에 따라 부착물이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된 후 유동하게 됨으로써, 부착물의 고정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앵커볼트는 자체의 일단부에 확장부가 형성되어 건물의 외부벽면에 천공되는 매설공에 삽입되며, 체결 시 외측으로 결합되는 로커가 원주방향으로 확장되어 매설공 내주연에 밀착 지지되어 상기 매설공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앵커볼트로서, 앵커볼트를 체결 시 로커에 원주방향으로 절취형성된 절개부에 삽입됨으로써, 로커에 대해 앵커볼트 의 겉도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확장부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앵커볼트의 확장부 외주연에 형성된 스토퍼가 로커의 절취부에 삽입됨으로써, 로커의 내부에서 앵커볼트의 회전과 유동은 일정수준 방지되나, 앵커볼트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비교적 매끈한 외면을 가진 로커는 그 삽입된 홀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으므로 앵커볼트도 함께 용이하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앵커볼트가 고정되는 홀에서 로커의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만드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홀에서 앵커볼트의 이탈을 방지함이 목적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의 구성은 벽면의 홀에 삽입되는 일단부에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테이퍼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의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나선부가 형성된 앵커볼트 및 상기 앵커볼트의 나선부가 삽입되어 통과하고 상기 테이퍼의 통과가 차단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 맞는 슬릿이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릿이 형성된 부분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 로 커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서 요철부에 환형홈이 포함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 의해 브라켓이 고정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서 요철부에 엠보싱이 포함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 의해 브라켓이 고정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서 요철부에 굴곡된 형태의 요철이 포함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앵커볼트 어셈블리에 의해 브라켓이 고정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는 건물의 수직터널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사람이 탑승하는 카의 양측부에 미끄럼 결합되어 카의 수직승강을 안내하는 레일(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100)이 고정되는 브라켓(105)을 수직터널의 벽면(110)에 고정시키는 브라켓(105)과 벽면(110)의 체결수단이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는 벽면(110)의 홀(112)에 삽입되는 일단부에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테이퍼(121)가 형성되고, 테이퍼(121)의 외면에는 돌기(125)가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나선부(126)가 형성된 앵커볼트(128) 및 앵커볼트(128)의 나선부(126)가 삽입되어 통과하고 테이퍼(121)의 통과가 차단되는 통로(131)가 형성되고, 돌기(125)에 맞는 슬릿(132)이 단부에 형성되며, 슬릿(132)이 형성된 부분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138)가 형성된 로커(14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앵커볼트(128)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승강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직터널의 벽면(110)에 레일(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105)을 체결하는 것으로서, 수직터널의 벽면(110)에는 앵커볼트(128)의 일 부분이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홀(112)이 형성되며, 앵커볼트(128)는 로커(140)의 통로(131)에 끼워져서 로커(140)와 함께 벽면(110)의 홀(112)에 삽입된다.
이때, 앵커볼트(128)의 돌기(125)는 앵커볼트(128)의 나선부(126)가 형성되지 않은 테이퍼(121) 부분에 형성되며, 로커(140)의 슬릿(132)에 끼워지게 형성되고, 앵커볼트(128)는 돌기(125)가 슬릿(132)에 맞게 끼워지므로 로커(140)의 내부 에서 회전이 방지된다.
여기서, 앵커볼트(128)의 돌기(125)는 한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는데, 그러한 경우 돌기(125)는 앵커볼트(128)의 외주면에 60도 ~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커(140)는 앵커볼트(128)와 함께 벽면(110)에 홀(112)에 끼워지고, 테이퍼(121) 부분의 가압에 의해 슬릿(132)이 형성된 부분의 직경이 확장되어 벽면(110)의 홀(112)에 밀착됨으로써, 앵커볼트(128)를 벽면(110)의 홀(112)에 구속시키는 고정수단이다.
즉, 앵커볼트(128)가 로커(140)에 끼워져 벽면(110)의 홀(112)에 삽입된 후, 외부로 노출된 로커(140)의 단부를 가압하는 경우, 로커(140)는 벽면(110)의 홀(112)로 보다 전진하는데, 앵커볼트(128)의 테이퍼(121)에 접촉되는 슬릿(132)이 형성된 부분의 내경은 테이퍼(121)의 외경보다 작으므로, 단부로 점차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121)에 의해 내주면이 가압되고, 슬릿(132)이 형성된 부분은 홀(112)의 내주면까지 확장되어 접촉되며, 슬릿(132)이 형성된 부분의 외주면은 홀(112)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이때, 로커(140)의 슬릿 부분(135)에 형성된 요철부(138)는 홀(112)의 내주면에 접촉됨으로써 마찰력을 증가시키게 되며, 로커(140)는 홀(112)의 외부로 이탈되기가 어렵게 되는데, 앵커볼트(128)의 나선부(126)에 체결부재인 너트(127)가 결합됨으로써 브라켓(105)은 벽면(110)에 고정된다.
그리고, 레일(100)이 브라켓(105)에 설치된 후에, 레일(100)을 따라 카가 승 강하게 되더라도, 카의 승강에 의한 레일(100)의 진동과 충격에 의해서 브라켓(105)은 앵커볼트(128)의 체결력에 의해 수직터널의 벽면(110)에 고정을 유지한다.
여기서, 요철부(138)는 로커(140)에 보다 많은 마찰력을 제공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콘크리트로 형성된 벽면(110)의 홀(112)에 로커(140)가 가압되어 삽입된 후, 콘크리트의 부스러기가 끼이는 환형홈(138a)이나 사선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환형홈(138a)은 테이퍼(121)의 가압에 의해 확장되는 로커(140)의 슬릿 부분(135)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슬릿 부분(135)이 벽면(110)의 홀(112)에 접촉되어 홀(112)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경우, 벽면(110)의 홀(112)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에서 이탈되는 콘크리트 부스러기가 끼일 수 있다.
즉, 콘크리트 부스러기가 벽면(110)에 끼이고 미세한 수분에 의해 콘크리트 부스러기가 다시 경화되는 경우, 환형홈(138a)이 형성된 부분은 콘트리트 부스러기에 의해 벽면(110)의 홀(112)에 지지되며, 로커(140)는 벽면(110)의 홀(112)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홀(112)에서 유동되거나 이탈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138)는 홀(112)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엠보싱(138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엠보싱(138b)은 로커(140)의 슬릿 부분(135)을 요철(138c)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으로 가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엠보싱(138b)은 로커(140)가 가압되어 슬릿 부분(135)이 테이 퍼(121)에 의해 확장되는 경우, 벽면(110)의 홀(112)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밀착되는데, 엠보싱(138b)이 홀(112)의 내주면에 박히게 됨으로써, 로커(140)는 외력에 의해 홀(112)의 내부에서 유동되거나, 이탈되기 더욱 어렵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138)는 상기 슬릿(132)이 형성된 단부가 굴곡되어 형성된 요철(138c)을 포함으로써, 벽면(110)에 형성된 홀(112)의 내주면에 보다 예리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때, 굴곡형태로 형성된 요철(138c)은 로커(140)의 슬릿 부분(135)을 돌출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슬릿 부분(135)의 단부가 굴곡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앵커볼트(128)의 테이퍼(121)에 의해 가압되어 벽면(110)에 형성된 홀(112)의 내주면에 접촉됨으로써 로커(14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요철부(138) 형태인 환형홈(138a)과, 엠보싱(138b)과, 굴곡형태의 요철(138c)은 로커(140)의 슬릿 부분(135) 절삭가공이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슬릿(132)부분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즉, 로커(140)의 슬릿 부분(135)에 대한 선반가공에 의해 환형홈(138a)이 형성되고, 슬릿(132)부분에 대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엠보싱(138b)과 굴곡형태의 요철(138c)이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로커(140)의 슬릿 부분(135)에 환형홈(138a)과 엠보싱(138b) 및 굴곡형태의 요철(138c)이 모두 포함된 요철부(138)는 수공시간에 대한 부담이 있기는 하지만, 가공작업을 자동화로 한다면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로커(140)의 슬 릿 부분(135)에 보다 많은 마찰력과 구속력을 제공하는 형상이 형성됨으로써, 벽면(110)의 홀(112)에서 이탈이나 유동이 어려운 로커(140)를 얻을 수 있으며, 로커(140)에 의해 앵커볼트(128)의 벽면(110)의 홀(112)에 대한 구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는 앵커볼트가 고정되는 홀에서 로커의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만드는 요철부를 로커의 슬릿 부분에 제공함으로써, 로커가 테이퍼에 의해 가압되고 로커의 슬릿 부분이 홀의 내주면에 지지되므로 홀에서 앵커볼트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벽면의 홀에 삽입되는 일단부에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테이퍼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의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나선부가 형성된 앵커볼트; 및
    상기 앵커볼트의 나선부가 삽입되어 통과하고 상기 테이퍼의 통과가 차단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 맞는 슬릿이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릿이 형성된 부분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 로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환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엠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굴곡되어 형성된 요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KR2020060018878U 2006-07-12 2006-07-12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KR200427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878U KR200427895Y1 (ko) 2006-07-12 2006-07-12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878U KR200427895Y1 (ko) 2006-07-12 2006-07-12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895Y1 true KR200427895Y1 (ko) 2006-10-02

Family

ID=4177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878U KR200427895Y1 (ko) 2006-07-12 2006-07-12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89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98B1 (ko) 2007-07-06 2008-02-28 윤성준 공작기계의 인출공구
CN101913521A (zh) * 2010-08-04 2010-12-15 郭自刚 一种电梯导轨固定座
WO2014065610A1 (ko) * 2012-10-26 2014-05-01 Kim Tae Soo 세트 앵커볼트
KR101502600B1 (ko) 2013-08-19 2015-03-17 김성식 스트롱 앵커
KR20160054940A (ko) * 2014-11-07 2016-05-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 도로용 슬래브 모듈 내에 삽입된 높이조절장치와 체결되는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양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98B1 (ko) 2007-07-06 2008-02-28 윤성준 공작기계의 인출공구
CN101913521A (zh) * 2010-08-04 2010-12-15 郭自刚 一种电梯导轨固定座
WO2014065610A1 (ko) * 2012-10-26 2014-05-01 Kim Tae Soo 세트 앵커볼트
KR101502600B1 (ko) 2013-08-19 2015-03-17 김성식 스트롱 앵커
KR20160054940A (ko) * 2014-11-07 2016-05-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 도로용 슬래브 모듈 내에 삽입된 높이조절장치와 체결되는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양 방법
KR101644312B1 (ko) * 2014-11-07 2016-08-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 도로용 슬래브 모듈 내에 삽입된 높이조절장치와 체결되는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6596B2 (en) Concrete anchor coupling assembly and anchor rod holder
KR200427895Y1 (ko)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EP2496848B1 (en) Removable and reusable quick nut
US5634311A (en) Drainage conduit
KR101110519B1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US9512593B2 (en) Anti-torsion anchor bolt
WO2020018430A1 (en) Specialized connection devices and method of use
KR100741995B1 (ko)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0625534B1 (ko) 앵커볼트 조립체
KR101340773B1 (ko)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KR200291531Y1 (ko) 파이프 서포트용 고정핀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EP3757315A1 (de) Schalungseinlage
JP2012035524A (ja) 孔形成用型枠および孔形成方法
KR200420086Y1 (ko) 셋트 앵커볼트
KR200368168Y1 (ko) 세트앙카
KR200403874Y1 (ko) 맨홀용 사다리
JP5639365B2 (ja) 残存型枠パネル用の挿入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型枠
JP5106087B2 (ja) アンカーのコンクリート埋込み用具
KR20140147186A (ko) 회전을 이용한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용 장치
KR200405336Y1 (ko) 스트롱 앙카
KR200490187Y1 (ko) 앵커볼트
KR200461980Y1 (ko) 관통 슬리브
KR200390708Y1 (ko) 맨홀 구조물
KR200390923Y1 (ko) 맨홀용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