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879B1 - 너트식 앙카볼트 - Google Patents

너트식 앙카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879B1
KR102183879B1 KR1020200054583A KR20200054583A KR102183879B1 KR 102183879 B1 KR102183879 B1 KR 102183879B1 KR 1020200054583 A KR1020200054583 A KR 1020200054583A KR 20200054583 A KR20200054583 A KR 20200054583A KR 102183879 B1 KR102183879 B1 KR 10218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preading
fastening
expansion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석
Original Assignee
이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석 filed Critical 이순석
Priority to KR102020005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879B1/ko
Priority to PCT/KR2021/003685 priority patent/WO20212252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57Longitudinally-externally threaded elements extending from the concrete or masonry, e.g. anchoring bolt with embedded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는, 봉 형상으로 일단에 나선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벌림부재가 형성되는 조임부; 상기 조임부의 나선부에 나선 체결되도록 내부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 일체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의 회전시 상기 벌림부재에 의해 벌어지면서 고정 구조물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확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 구조의 조임부를 회전시켜 조임부와 나선 체결되면서 고정 구조물의 홀 내에 위치된 너트 구조의 체결부(벌림부)에 의해 확장부가 확장되면서 고정 구조물의 홀 내면을 파고들어 홀 내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너트식 앙카볼트 {NUT TYPE ANCHOR BOLT}
본 발명은 너트식 앙카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이나 콘크리트 천장 등에 형성된 홀(hole)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너트식 앙카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앙카볼트(Anchor Bolt)는 콘크리트로 된 건축물의 벽이나 바닥 또는 천장 등에 기계류와 프레임 및 철골 등의 중량을 가진 장비와 구조물 등을 설치할 때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앙카볼트의 작동원리는 볼트부재에 끼워진 확장 슬리브가 선단에 형성된 확대부에 의해 벌어지면서 콘크리트 기초의 홀에 밀착되어 볼트부재를 고정시키게 되며, 확장 슬리브를 벌어지도록 하는 방법에 따라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강타하여 벌리는 타입과, 볼트부재의 나사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조여줄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슬리브가 벌어지도록 하는 타입 등이 있다.
이러한 앙카볼트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607815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볼트의 당김시 슬리브가 단순하게 벌어지는 구조에 의해서 홀에 고정되므로 건축물에 천공된 홀과의 체결력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607815호(2016.03.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볼트 구조의 조임부를 회전시켜 조임부와 나선 체결되어 고정 구조물의 홀 내에 위치된 너트 구조의 체결부(벌림부)에 의해 확장부가 확장되면서 고정 구조물의 홀 내면을 파고들어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너트식 앙카볼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는, 봉 형상으로 일단에 나선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벌림부재가 형성되는 조임부; 상기 조임부의 나선부에 나선 체결되도록 내부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 일체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의 회전시 상기 벌림부재에 의해 벌어지면서 고정 구조물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는, 봉 형상으로 일단에 나선부가 형성되는 조임부; 상기 조임부의 나선부에 나선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벌림부재가 형성되는 벌림부; 및 상기 조임부와 상기 벌림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임부의 회전시 상기 벌림부의 벌림부재에 의해 벌어지면서 고정 구조물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림부재는 벌림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벌림경사면이 방사상으로 일부 형성되거나 전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와 상기 확장부의 경계 지점을 따라 변형유도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는 외주면에 방사상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는 머리 하단에 상기 고정 구조물의 홀 내경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는 봉 형상으로 일단에 나선부(114)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벌림부재(116)가 형성되는 조임부(110); 상기 조임부(110)의 나선부(114)에 나선 체결되도록 내부에 체결공(122)이 형성되는 체결부(120); 및 상기 체결부(120)의 단부에 일체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110)의 회전시 상기 벌림부재(116)에 의해 벌어지면서 고정 구조물에 형성된 홀(H)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확장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벌림부재(116)에는 상기 고정구조물의 홀(H) 입구방향에서 홀(H) 입구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로 홀의 직경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벌림가압 경사면(116a)이 구비되고, 상기 확장부(130)에는 고정구조물의 홀(H) 입구방향에서 홀(H) 입구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로 홀의 직경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벌림경사면(132)이 구비되며, 상기 벌림경사면(132)은 상기 벌림가압 경사면(116a)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상기 확장부(130)를 홀(H)의 벽면부 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확장부(130) 외주면에는 산 형상으로 요철을 이루는 다수의 가압돌기(138)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120)와 확장부(130)의 경계에는 상기 벌림부재(116)의 가압에 따라 상기 확장부(130)가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변형 유도홈(136)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돌기(138)에는 가압돌기(138)의 홈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단면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서리가 홀(H)의 벽면부에 접촉될 수 있는 다수의 가압보조구(139)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가압보조구(139)는 확장부(130)의 외주면 중에서 가장 많이 변형되는 외주면 부분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가압 보조구(139)의 단면적이 가장 작고, 확장부(130)의 외주면 중에서 가장 적게 변형되는 외주면 부분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가압 보조구(139)의 단면적이 가장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 구조의 조임부를 회전시켜 조임부와 나선 체결되면서 고정 구조물의 홀 내에 위치된 너트 구조의 체결부(벌림부)에 의해 확장부가 확장되면서 고정 구조물의 홀 내면을 파고들어 홀 내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에서 확장부에 가압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에서 확장부에 형성된 가압돌기에 가압보조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에서 확장부에 가압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에서 확장부에 가압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에서 확장부에 형성된 가압돌기에 가압보조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에서 확장부에 가압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100)는 조임부(110), 체결부(120) 및 확장부(130)를 포함하며, 콘크리트 벽이나 천장 등과 같은 고정구조물의 홀(H)에 고정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조임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육각면체로 형성된 머리(112)와, 머리(112)의 저면에서 연장되는 봉체의 하단에 형성된 나선부(114), 및 머리(112)와 나선부(114) 사이의 봉체 외주면에 구비된 벌림부재(116)를 포함한다.
이때, 머리(112)에 체결홀(112a)이 형성되어, 체결홀(112a)에 나선봉의 일단을 체결시킨 상태에서 나선봉의 타단에 고정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도면에 미도시)을 너트(도면에 미도시)로 고정 가능하다. 그리고 머리(112)의 하단 둘레에 고정구조물의 홀(H)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날개(112b)가 구비된다.
한편, 날개(112b)는 원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형 등으로도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벌림부재(116)는 머리(112)의 하부인 봉체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벌림경사면(132)에 밀착된 상태에서 점차 외측 방향으로 확장부(130)를 벌리는 기능을 하며, 확장부(130)와 맞닿는 하단에 벌림가압 경사면(116a)이 형성된다.
벌림가압 경사면(116a)은 확장부(130)의 벌림경사면(132)에 닿은 상태에서 나선부(114)에 체결부(120)가 체결되면 체결부(120)가 점차 상승하면서 벌림경사면(132)을 벌리게 된다.
한편, 벌림부재(116)는 머리(112)의 하부인 봉체의 외주면에 편(panel) 형상을 갖으면서 방사상으로 일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봉체의 외주면을 따라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체결부(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확장부(130)의 하부에 일체 형성되며, 조임부(110)의 나선부(114)에 나선 체결되도록 내부에 체결공(122)이 형성된다.
한편, 체결부(120)는 고정구조물의 홀(H)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거나, 외주면에 방사상의 걸림돌기(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어 고정구조물의 홀(H)에 삽입시 회전되지 않게 결합 가능하다.
확장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체결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되, 조임부(110)의 회전시 벌림부재(116)에 의해 벌어지는 과정에서 고정 구조물에 형성된 홀(H)의 내주면을 가압하면서 파고들어 고정구조물의 홀(H)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확장부(130)는 상단 내주면에 벌림경사면(132)이 형성되고, 상단에 방사상의 절개홈(134)이 형성되며, 확장부(130)와의 경계 지점을 따라 변형유도홈(136)이 형성된다.
벌림경사면(132)은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되어 조임부(110)의 벌림가압 경사면(116a)에 의해 쉽게 벌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절개홈(134)은 벌림가압 경사면(116a)에 의해 쉽게 벌어지도록 변형유도홈(136)까지 형성되며, 형성 개수는 4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증감이 가능하다.
변형유도홈(136)은 체결부(120)의 상단이 벌림가압 경사면(116a)에 의해 벌어질 때 쉽게 체결부(120)가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변형유도홈(136)은 단면 형상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꼭짓점 위치를 기점으로 체결부(120)의 상단이 변형된다.
더욱이, 확장부(130)는 외주면에 산형 형상이 연속된 가압돌기(138)가 구비되어 고정구조물의 홀(H) 내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 가능하다(도 4 참조).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돌기(138)에 단면 형상이 마름모 형태로 구비된 가압 보조구(139)가 설정 간격마다 구비 가능하다.
가압 보조구(139)는 환형 형상이면서 일부가 절개 형성되어, 절개된 부분을 벌려 설정간격마다 가압돌기(138)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가압돌기(138)가 고정구조물의 홀(H)의 내면으로 파고들 때 마찰력이 더욱 극대화되어 고정력이 향상되게 한다.
이때, 가압 보조구(139)는 확장부(130)의 외주면 중 가장 많이 변형되는 일단(도 5 기준 상단)의 면적이 가장 작고, 가장 적게 변형되는 타단(도 5 기준 하단)의 면적이 가장 크도록 구비된다.
이는 가장 많이 변형되는 확장부(130)의 외주면 일단에서 고정구조물의 홀(H) 내면을 가압하는 정도와, 가장 적게 변형되는 확장부(130)의 외주면 타단에서 고정구조물의 홀(H) 내면을 가압하는 정도가 비슷하도록 하여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하게 한다.
더욱이, 가압 보조구(139)는 상단, 중간단 및 하단 이렇게 3지점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100)를 고정구조물의 홀(H)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벽이나 콘크리트 천장 등과 같은 고정구조물의 외벽면에 드릴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홀(H)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홀(H) 내에 너트식 앙카볼트(100)를 삽입하여 최 선단에 위치된 체결부(120)가 홀 바닥에 위치시키고, 조임부(110)의 머리(112)는 고정구조물의 외벽면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조임부(110)의 나선부(114)에 체결부(120)의 체결공(122)이 일부 나선 체결되어, 벌림부재(116)의 벌림가압 경사면(116a)과 벌림경사면(132)이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조임부(110)의 머리(112)를 공구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부(114)와 고정구조물의 홀(H) 내부에 위치된 체결부(120)의 체결공(122)이 나선 체결된 상태이므로 일체 형성된 체결부(120) 및 확장부(130)가 조임부(110) 방향으로 딸려온다.
즉, 조임부(110)의 체결시 체결부(120)가 설정 경계선까지 딸려오게 되지만 벌림부재(116)의 벌림가압 경사면(116a)이 벌림경사면(132)을 가압하면서 조임부(110)의 외면이 홀(H)에 밀착된 후부터는 조임부(110)가 체결부(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조임부(110)가 체결부(12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머리(112)의 날개(112b)가 고정구조물의 홀(H) 입구 주위를 가압하게 되므로 조임부(110)의 머리(112)가 홀(H) 내부로 파고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 가능하면서 강력한 조임을 기대 가능하다.
다음으로, 체결부(120) 및 확장부(130)가 조임부(110) 방향으로 딸려오기 시작하면 벌림경사면(132)이 변형유도홈(136)을 기점으로 벌림부재(116)의 벌림가압 경사면(116a)에 의해 벌어지면서 확장부(130)의 외주면이 고정 구조물에 형성된 홀(H)의 내주면을 가압하면서 파고들게 된다.
다음으로, 조임부(112)의 머리(112)에 형성된 체결홈(112a)에 나선봉의 일단을 체결시킨 상태에서 나선봉의 타단에 고정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도면에 미도시)을 너트(도면에 미도시)로 고정시킨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200)는 조임부(210), 벌림부(220) 및 확장부(230)를 포함하며, 콘크리트 벽이나 천장 등과 같은 고정구조물의 홀(H)에 고정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조임부(21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육각면체로 형성된 상면에 체결홀(212a)이 형성된 머리(212)와, 머리(212)의 저면에서 연장되는 봉체의 하단에 형성된 나선부(214)를 포함하며, 머리(212) 및 나선부(214)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벌림부(22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내부에 조임부(210)의 나선부(214)에 나선 체결되도록 내부에 체결공(22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벌림부재(224)가 형성된다.
그리고 머리(212)의 하단 둘레에 고정구조물의 홀(H)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날개(212b)가 구비된다.
한편, 벌림부(220)는 벌림부재(224)에 의해 고정구조물의 홀(H)에 삽입시 회전되지 않게 하면서, 확장부(230)를 벌리는 기능을 한다.
즉, 벌림부재(224)는 벌림부(220)의 외주면에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에 형성된 확장경사면(132)에 밀착된 상태에서 점차 외측 방향으로 확장부(230)의 내주면을 벌리는 기능을 한다.
한편, 벌림부재(224)는 벌림부(220)의 외주면에 편 형상을 갖으면서 방사상으로 일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벌림부(220)의 외주면을 따라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확장부(23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조임부(110)의 회전시 벌림부재(224)의 벌림경사면(224a)에 의해 벌어지는 과정에서 고정 구조물에 형성된 홀(H)의 내주면을 가압하면서 파고들어 고정구조물의 홀(H)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확장부(230)는 하단에 방사상의 절개홈(232)이 형성된다.
이때, 절개홈(232)은 벌림부재(224)의 벌림경사면(224a)에 의해 쉽게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형성 개수는 4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증감이 가능하다.
더욱이, 확장부(230)는 외주면 중 절개홈(232)이 형성된 높이까지 산형 형상이 연속된 가압돌기(234)가 구비되어 고정구조물의 홀(H) 내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 가능하다(도 9 참조).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앞선 실시예와 같이 가압돌기(234)에 단면 형상이 마름모 형태로 구비된 가압 보조구가 설정 간격마다 구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너트식 앙카볼트(200)를 고정구조물의 홀(H)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벽이나 콘크리트 천장 등과 같은 고정구조물의 외벽면에 드릴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홀(H)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홀(H) 내에 너트식 앙카볼트(200)를 삽입하여 최 선단에 위치된 벌림부(220)가 홀 바닥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키고, 조임부(210)의 머리(212)는 홀(H)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조임부(210)의 나선부(214)에 벌림부(220)의 체결공(222)이 일부 나선 체결되어, 확장부(230)의 하단과 벌림경사면(224a)이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조임부(210)의 머리(212)를 공구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부(214)와 고정구조물의 홀(H) 내부에 위치된 벌림부(220)의 체결공(222)이 나선 체결된 상태이므로 일체 형성된 벌림부(220)가 조임부(210) 방향으로 딸려온다.
즉, 조임부(210)의 체결시 체결부(220)가 설정 경계선까지 딸려오게 되지만 벌림부재(224)의 벌림경사면(224a)이 확장부(230)의 내주면을 가압하면서 조임부(210)의 외면이 홀(H)에 밀착된 후부터는 조임부(210)가 체결부(2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조임부(210)가 체결부(22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머리(212)의 날개(212b)가 고정구조물의 홀(H) 입구 주위를 가압하게 되므로 조임부(210)의 머리(212)가 홀(H) 내부로 파고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 가능하면서 강력한 조임을 기대 가능하다.
다음으로, 벌림부(220)가 조임부(210) 방향으로 딸려오기 시작하면 확장부(230)의 하단이 벌림경사면(224a)에 의해 벌어지고 고정 구조물에 형성된 홀(H)의 내주면을 가압하면서 파고들게 된다.
다음으로, 조임부(212)의 머리(212)에 형성된 체결홈(212a)에 나선봉의 일단을 체결시킨 상태에서 나선봉의 타단에 고정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도면에 미도시)을 너트(도면에 미도시)로 고정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너트식 앙카볼트 110, 210: 조임부 120: 체결부
130, 230: 확장부 220: 벌림부 224: 벌림부재

Claims (5)

  1. 봉 형상으로 일단에 나선부(114)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벌림부재(116)가 형성되는 조임부(110);
    상기 조임부(110)의 나선부(114)에 나선 체결되도록 내부에 체결공(122)이 형성되는 체결부(120); 및
    상기 체결부(120)의 단부에 일체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110)의 회전시 상기 벌림부재(116)에 의해 벌어지면서 고정 구조물에 형성된 홀(H)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확장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벌림부재(116)에는 상기 고정구조물의 홀(H) 입구방향에서 홀(H) 입구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로 홀의 직경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벌림가압 경사면(116a)이 구비되고,
    상기 확장부(130)에는 고정구조물의 홀(H) 입구방향에서 홀(H) 입구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로 홀의 직경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벌림경사면(132)이 구비되며,
    상기 벌림경사면(132)은 상기 벌림가압 경사면(116a)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상기 확장부(130)를 홀(H)의 벽면부 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확장부(130) 외주면에는 산 형상으로 요철을 이루는 다수의 가압돌기(138)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120)와 확장부(130)의 경계에는 상기 벌림부재(116)의 가압에 따라 상기 확장부(130)가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변형 유도홈(136)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돌기(138)에는 가압돌기(138)의 홈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단면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서리가 홀(H)의 벽면부에 접촉될 수 있는 다수의 가압보조구(139)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가압보조구(139)는 확장부(130)의 외주면 중에서 가장 많이 변형되는 외주면 부분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가압 보조구(139)의 단면적이 가장 작고, 확장부(130)의 외주면 중에서 가장 적게 변형되는 외주면 부분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가압 보조구(139)의 단면적이 가장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식 앙카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외주면에 방사상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는 머리 하단에 상기 고정 구조물의 홀 내경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식 앙카볼트.
KR1020200054583A 2020-05-07 2020-05-07 너트식 앙카볼트 KR10218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83A KR102183879B1 (ko) 2020-05-07 2020-05-07 너트식 앙카볼트
PCT/KR2021/003685 WO2021225277A1 (ko) 2020-05-07 2021-03-25 너트식 앙카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83A KR102183879B1 (ko) 2020-05-07 2020-05-07 너트식 앙카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879B1 true KR102183879B1 (ko) 2020-11-27

Family

ID=7364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583A KR102183879B1 (ko) 2020-05-07 2020-05-07 너트식 앙카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3879B1 (ko)
WO (1) WO202122527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277A1 (ko) * 2020-05-07 2021-11-11 Lee Soon Suak 너트식 앙카볼트
EP4047265A1 (de) * 2021-02-22 2022-08-24 Johannes Jungel-Schmid Abhängevorrichtung zum abhängen von gegenständen
KR102499791B1 (ko) * 2022-07-19 2023-02-14 류현미 장식판재가 장착된 장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39981B1 (ko) * 2023-03-23 2024-02-22 김승배 앙카볼트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938A (ko) * 2012-07-02 2014-01-10 한생수 앵커 볼트
KR20150080987A (ko) * 2014-01-03 2015-07-13 최병현 세트 앵커 볼트
KR101607815B1 (ko) 2015-09-15 2016-03-30 기세진 단열재 내장 건축물용 파이프형 앵글지지대 셋트 앙카볼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7645B2 (ja) * 2014-07-16 2019-08-28 エスアール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アンカーボルト装置
KR101575099B1 (ko) * 2014-08-07 2015-12-07 김이태 이지 앵커 볼트
KR20180097038A (ko) * 2017-02-22 2018-08-30 이재업 건축외장재 설치구
KR102183879B1 (ko) * 2020-05-07 2020-11-27 이순석 너트식 앙카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938A (ko) * 2012-07-02 2014-01-10 한생수 앵커 볼트
KR20150080987A (ko) * 2014-01-03 2015-07-13 최병현 세트 앵커 볼트
KR101607815B1 (ko) 2015-09-15 2016-03-30 기세진 단열재 내장 건축물용 파이프형 앵글지지대 셋트 앙카볼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277A1 (ko) * 2020-05-07 2021-11-11 Lee Soon Suak 너트식 앙카볼트
EP4047265A1 (de) * 2021-02-22 2022-08-24 Johannes Jungel-Schmid Abhängevorrichtung zum abhängen von gegenständen
WO2022175922A1 (de) * 2021-02-22 2022-08-25 Jungel Schmid Johannes Abhängevorrichtung zum abhängen von gegenständen sowie raumdecke
KR102499791B1 (ko) * 2022-07-19 2023-02-14 류현미 장식판재가 장착된 장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39981B1 (ko) * 2023-03-23 2024-02-22 김승배 앙카볼트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5277A1 (ko)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879B1 (ko) 너트식 앙카볼트
CA1304242C (en) Straddling plug
EP0834658B1 (en) Bolt anchoring device
US3874264A (en) Anchor bolt assembly
JPH0643710B2 (ja) 固定装置およびその固定装置を設置する工具
KR100625534B1 (ko) 앵커볼트 조립체
KR20110053682A (ko) 길이 압축에 의한 부피 팽창형 칼브럭
EP0416183A1 (en) Anchor-fixing
JPS6115301Y2 (ko)
KR100891371B1 (ko) 앵커볼트
KR102378511B1 (ko) 전개형 슬리브, 앵커 볼트, 및 세트 앵커
US4685847A (en) Postive-locking dowel for concrete
KR100696583B1 (ko) 탄성링이 장착된 확경 지압형 앙카체 및 그 정착방법
US20220341452A1 (en) Expansion Anchor
CN1198514A (zh) 一种膨胀塞
KR20180112357A (ko)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65328B1 (ko) 선단확장 세트 앵커
KR101932156B1 (ko) 앙카
KR100276988B1 (ko) 볼트고정장치
CN206592387U (zh) 一种膨胀螺栓
JPH02225811A (ja) 拡張栓
KR20100007291U (ko) 앙카
JPH045844B2 (ko)
JPH0125765Y2 (ko)
KR102121427B1 (ko) 스터드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