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371B1 -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371B1
KR100891371B1 KR1020070053525A KR20070053525A KR100891371B1 KR 100891371 B1 KR100891371 B1 KR 100891371B1 KR 1020070053525 A KR1020070053525 A KR 1020070053525A KR 20070053525 A KR20070053525 A KR 20070053525A KR 100891371 B1 KR100891371 B1 KR 100891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anchor bolt
coupling member
coupling groov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5665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070053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371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나 바닥 또는 외장재나 다른 구조물에 대하여 드릴 작업을 통해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서 그 외면은 상기 결합홈에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하면서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그 하측에는 일정높이를 갖는 상협하광 형태의 확관 걸림돌기를 형성한 상태에서 그 중심을 지나면서 일정 폭 절개하여 구획된 양측 걸림돌기가 상호 좁혀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재; 및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 고정하도록 하부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구조물을 결합한 상태에서 너트로 체결 고정하도록 상부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수나사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부재와 나사식 결합시 랜치나 팬치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가압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팁이 형성된 볼트부재; 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벽체나 외장재에 형성된 결합홈에 대하여 큰 압력이나 타격 없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앵커볼트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앵커볼트{ANCHER BOL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앵커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앵커볼트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앵커볼트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앵커볼트를 도시한 결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앵커볼트를 도시한 적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외장재 12: 결합홈
14: 걸림턱 20: 브래킷
100: 결합부재 120: 암나사
140: 걸림돌기
200: 볼트부재 220: 하부 수나사
240: 상부 수나사 260: 회전팁
300: 너트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나 바닥에 외장재나 다른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구성을 통해 상기 벽체나 외장재에 형성된 결합홈에 대하여 큰 압력이나 타격 없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볼트(Anchor Bolt)란 콘크리트 벽체나 바닥에 각종 외장재나 구조물을 설치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드릴을 사용하여 상기 벽체나 바닥 또는 외장재나 구조물 등에 결합홈을 형성한 후 그 결합홈에 박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즉, 상기 앵커볼트는 드릴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체나 바닥에 일정깊이의 결합홈을 형성한 후 그 내부에 박아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외장재나 다른 구조물을 설치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외장재나 다른 구조물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앵커볼트를 박아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서 벽체나 바닥에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앵커볼트는 상기 결합홈에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한편, 그 전단에는 충격에 의해 방사형태로 벌어지도록 슬리브(sleeve)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앵커볼트를 결합홈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그 후단을 때려 전단의 슬리브가 벌어지도록 하여 결합홈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의 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서 드릴 작업을 통해 결합홈의 전단에 더욱 넓게 벌어진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앵커볼트의 전단 이 상기 걸림턱 내부로 넓게 벌어져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앵커볼트의 전단을 넓게 벌리기 위해서 그 후단을 큰 압력으로 조이거나 강하게 때려야 하기 때문에 그로 인하여 외장재에 큰 충격이 전달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대리석(석판)과 같은 외장재는 그 충격에 의해 쉽게 부러지거나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상기 외장재가 얇게 형성된 경우에는 더욱 쉽게 부러지거나 깨지기 때문에 사실상 종래 앵커볼트의 적용이 불가능하다.
아울러, 종래 앵커볼트는 후단을 때려서 전단이 벌어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큰 하중이나 압력이 작용하면 벌어진 전단이 오므라들면서 결합홈으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는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더구나 종래 앵커볼트는 모든 구성이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금속재질은 강도가 크고 변형이 작기 때문에 결합홈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큰 충격이나 압력이 필요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불편한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구성을 통해 벽체나 외장재에 형성된 결합홈에 대하여 큰 압력이나 타격 없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앵커볼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외장재에 압력이나 하중이 작용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앵커볼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나 바닥 또는 외장재나 다른 구조물에 대하여 드릴 작업을 통해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에 있어서,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서 그 외면은 상기 결합홈에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하면서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그 하측에는 일정높이를 갖는 상협하광 형태의 확관 걸림돌기를 형성한 상태에서 그 중심을 지나면서 일정 폭 절개하여 구획된 양측 걸림돌기가 상호 좁혀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재; 및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 고정하도록 하부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구조물을 결합한 상태에서 너트로 체결 고정하도록 상부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수나사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부재와 나사식 결합시 랜치나 팬치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가압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팁이 형성된 볼트부재; 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는 상측의 어느 일지점의 높이로부터 확관 걸림돌기의 하단으로 내경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앵커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앵커볼트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앵커볼트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앵커볼트를 도시한 결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앵커볼트를 도시한 적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앵커볼트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드릴 작업을 통해 형성된 결합홈(12)에 끼워지는 강화 플라스틱재의 결합부재(100)와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부재(200) 및 상기 볼트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너트(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앵커볼트는 모든 콘크리트 벽체나 바닥 또는 외장재나 구조물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도록 하나 특히, 두께가 얇아서 큰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쉽게 부러지거나 깨질 수 있는 외장재에 더욱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외장재(10: 이하, 콘크리트 벽체나 바닥 또는 다른 구조물을 포함하여 통칭함)의 배면에는 드릴 작업을 통해 결합홈(12)을 형성하는데, 상기 결합홈(12)의 내면에는 나팔관처럼 벌어진 환형의 걸림턱(1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외장재에 결합된 앵커볼트를 다른 구조물에 결합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20)이 더 구비된다.
이어, 본 발명의 앵커볼트가 적용된 특징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결합부재(100)는 나이론 계의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100)를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이유는 강하고 질길 뿐만 아니라,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양측에 확관된 걸림돌기(140)가 좁혀졌다가 다시 복원되는 성질을 만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한 결합부재(100)는 그 외면이 외장재(10)의 결합홈(12)에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하면서 내면에는 암나사(120)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한편, 그 외면의 하측에는 일정높이를 갖는 상협하광 형태로 확관된 걸림돌기(14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140)에는 그 중심을 지나면서 일정 폭 절개한 절개부(142)를 형성하여 양측으로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이격된 양측 걸림돌기(140)가 상호 좁혀질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40)는 앞서 설명된 외장재(10)의 결합홈(12)에 형성된 걸림턱(14)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한다. 즉, 상기 양측의 걸림돌기(140)는 최초 결합홈(12)에 끼울 때 절개부(142)에 의해 상호 좁혀졌다가 결합홈(12)의 걸림턱(14)에 이르러 벌어지면서 걸림턱(14)과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00)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120)는 상측의 어느 일지점의 높이로부터 걸림돌기(140)의 하단으로 내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일정한 경사각(α°)을 갖는 형태로 형성한다. 즉, 결합부재(100)의 암나사(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볼트부재(200)의 하부 수나사(220)를 결합부재(100)의 암나사(120)에 체결시 결합부재(100)의 하부가 점점 더 벌어지면서 결국에는, 결합부재(100)의 외면은 물론이고 양측 걸림돌기(140)가 결합홈(12)과 걸림턱(14)에 긴밀하게 압착 또는 밀착되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걸리돌기(140)는 외측으로 일정한 경사각(β°) 이상이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볼트부재(200)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하부에 상기 결합부재(100)와 체결 고정하도록 하부 수나사(220)를 형성하고 상부에 구조물(20)을 결합한 상태에서 너트(300)로 체결 고정하도록 상부 수나사(240)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수나사(240)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부재(100)와 나사식 결합시 랜치나 팬치 등 의 도구를 사용하여 가압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팁(26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부 수나사(220)의 높이는 결합부재(10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볼트부재(200)의 상/하부 수나사(220, 240)를 따로 구분하는 이유는 강화 플라스틱재로 형성되는 결합부재(100)의 암나사(120)를 금속재의 상부 수나사와 대응하여 가늘고 촘촘히 형성할 경우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뭉개지거나 씹히면서 빠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높고 큰 나사산이 필요한 것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나사(220)의 피치(pitch)는 상부 수나사(240)의 피치(pitch)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피치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결합부재(100)의 암나사(120)에 하부 수나사(120)의 나사체결시 결합부재(100)의 암나사(120)가 뭉개지는 현상을 줄여 결과적으로는 앵커 볼트 전체의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앵커볼트에 의하면 먼저, 결합부재(100)의 양측 걸림돌기(140)를 오므린 상태에서 외장재(10)의 결합홈(12)에 밀어 끼운다. 이때, 결합홈(12)의 걸림턱(14)에 위치된 결합부재(100)의 걸림돌기(140)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빠지지 않는 구성을 이룬다.
이어, 상기 볼트부재(200)의 하부 수나사(220)를 결합부재(100)의 암나사(120)에 끼운 상태에서 볼트부재(200)의 회전팁(260)을 이용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수나사(220)가 결합부재(100)의 암나사(120)와 압입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100)의 외면과 걸림돌기(140)가 압입에 의해 벌어지면서 결합홈(12)과 걸림턱(14)에 대해 더욱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 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앵커볼트에 의하면 벽체나 외장재에 형성된 결합홈에 대하여 큰 압력이나 타격 없이 간편하게 결합 고정이 이루어짐 따라, 두께가 두꺼운 외장재는 물론이고 두께가 얇은 외장재에 대해서도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앵커볼트에 의하면 외장재에 압력이나 하중이 작용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라스틱 재질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2)

  1. 건물의 벽체나 바닥 또는 외장재나 다른 구조물에 드릴 작업을 통해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의 내측 끝에는 나팔관 형태로 지름이 확장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결합홈에 끼워진 결합부재의 내주에 볼트부재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끝단 일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게 되는 형태의 앵커볼트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그 외주면은 상기 결합홈에 긴밀하게 끼워지는 지름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하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점차 감소하게 되는 형태의 암나사가 형성되는 한편 그 하부의 일정 구간에는 상협하광 형태의 확관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에는 상기 결합홈에 장착시 걸림돌기를 오므려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암나사에 나사체결되기 위한 하부 수나사가 상기 결합부재의 길이로 하부의 일정구간에 형성되는 한편 구조물을 결합한 상태에서 너트로써 체결고정하기 위한 상부 수나사가 상부 일정구간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 수나사의 피치(pitch)는 상부 수나사의 피치(pitch)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피치(pitch)로 형성된 금속 재질의 볼트부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2. 삭제
KR1020070053525A 2007-05-31 2007-05-31 앵커볼트 KR100891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525A KR100891371B1 (ko) 2007-05-31 2007-05-31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525A KR100891371B1 (ko) 2007-05-31 2007-05-31 앵커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665A KR20080105665A (ko) 2008-12-04
KR100891371B1 true KR100891371B1 (ko) 2009-04-02

Family

ID=4036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525A KR100891371B1 (ko) 2007-05-31 2007-05-31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704A (ko) *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컴엘 강화 소재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고정앵커
KR20220135606A (ko) 2021-03-31 2022-10-07 김규혁 앵커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3305A1 (en) * 2022-05-17 2023-11-23 ACT – Advanced Cladding Technology Ltd Wall cladding kits, systems, methods and structures formed therewit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072A (ko) * 2001-02-23 2002-08-29 안창영 앵커 볼트 및 너트
JP2004076853A (ja) 2002-08-19 2004-03-11 Fastener Eng:Kk アンカー金具
JP2006266476A (ja) * 2005-03-25 2006-10-05 Akira Miyake タッピングボル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072A (ko) * 2001-02-23 2002-08-29 안창영 앵커 볼트 및 너트
JP2004076853A (ja) 2002-08-19 2004-03-11 Fastener Eng:Kk アンカー金具
JP2006266476A (ja) * 2005-03-25 2006-10-05 Akira Miyake タッピングボル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704A (ko) *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컴엘 강화 소재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고정앵커
KR102423417B1 (ko) * 2020-11-10 2022-07-21 정철웅 강화 소재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고정앵커
KR20220135606A (ko) 2021-03-31 2022-10-07 김규혁 앵커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665A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4212B2 (en) Self-drilling hollow wall anchor
AU605828B2 (en) Expanding wall plug
EP3683455B1 (en) Expansion connector
KR200456403Y1 (ko) 앵커볼트
AU2008334428A1 (en) A fixing device
KR100891371B1 (ko) 앵커볼트
KR100839228B1 (ko) 앵커 볼트
WO2006027714A1 (en) Expandable waterproofing anchor
KR100897721B1 (ko) 패널용 앵커볼트 및 그 설치방법
KR20200093381A (ko) 세트 앵커볼트
KR101575099B1 (ko) 이지 앵커 볼트
JP6481555B2 (ja) 鋼管杭継手の回転抑止構造
KR20110046071A (ko) 세트 앵커볼트
JP5485657B2 (ja) 土木建築用ボルト
KR100842414B1 (ko) 앵커볼트를 이용한 고정구조
KR20160008803A (ko) 앵커볼트 조립체
KR200297166Y1 (ko) 앵커볼트 구조
KR101252254B1 (ko) 앵커 볼트
JPH02225811A (ja) 拡張栓
KR20190002896U (ko) 천장용 세트앵커
KR102637867B1 (ko) 고정력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앵커볼트
WO2022163742A1 (ja) アンカーボルトとその施工方法
KR102127681B1 (ko) 확장형 앙카볼트
KR200372237Y1 (ko) 타격돌기를 가진 앙카볼트
KR200485838Y1 (ko) 벽 고정용 앵커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