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981B1 - 앙카볼트세트 - Google Patents

앙카볼트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981B1
KR102639981B1 KR1020230038055A KR20230038055A KR102639981B1 KR 102639981 B1 KR102639981 B1 KR 102639981B1 KR 1020230038055 A KR1020230038055 A KR 1020230038055A KR 20230038055 A KR20230038055 A KR 20230038055A KR 102639981 B1 KR102639981 B1 KR 102639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locking plate
expansion
anchor bolt
expansion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배
Original Assignee
김승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배 filed Critical 김승배
Priority to KR1020230038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1Elements with sockets with internal threads or non-adjustable captive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앙카볼트세트는, 걸림판, 상기 걸림판의 일측에 상기 걸림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과 정반대 측면에 내측으로 함입된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볼트헤드, 상기 걸림판의 타측에 상기 걸림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콘결합부가 형성된 볼트스틱을 포함하는 앙카볼트; 상기 앙카볼트가 시공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시공벽체 벽면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앙카볼트를 지지하기 위한 슬리브; 상기 개구에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의 확장편과 연접하고, 상기 앙카볼트가 상기 슬리브로 인입되어 상기 확장콘결합부와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구비된 확장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앙카볼트세트{ANCHOR BOLT SE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하여 물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앙카볼트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면에 부착하기 위한 물체의 고정을 위하여 시공작업 편의성이 향상되고 체결력을 강화한 앙카볼트세트에 대한 것이다.
천정에 무거운 물체를 고정해야 하는 경우, 앵커 볼트는 일반적인 고정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기존의 앵커 볼트를 천장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천장면에 개구(hole)를 형성하기 위해 드릴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매우 힘든 작업으로, 천장면이 높거나 작업자가 필요한 높이에 도달하기 어렵다면 작업이 더욱 어려워진다.
그리고 기존의 앵커 볼트는 확장콘과 함께 해당 개구에 슬리브를 밀어넣은 후 고정 대상체에 형성된 홀에 볼트를 통과시켜 볼트가 확장콘과 강하게 결합하도록 조이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 방식은 천장에 드릴링 작업이 필요하고, 확장콘과 슬리브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과정으로 인해 작업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한편, 한 번의 드릴 작업으로 벽체에 고정되도록 한 앙카 펀치는 콘크리트와 마찰면이 적어 빠지기 쉽다. 콘크리트 벽체의 천장과 고정 대상체 사이에 연질의 단열재가 존재하는 경우 앙카 펀치가 경질의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는 길이가 매우 짧다. 이러한 이유로 앵커 펀치를 사용하는 것은 일정 깊이 이상의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천정에 고정물체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 볼트 기술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세트는 천장과 같은 작업이 어려운 환경에서의 물체고정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재 등이 적용된 콘크리트벽체에 적용하기 용이하면서도 강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걸림판, 상기 걸림판의 일측에 상기 걸림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과 정반대 측면에 내측으로 함입된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볼트헤드, 상기 걸림판의 타측에 상기 걸림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콘결합부가 형성된 볼트스틱을 포함하는 앙카볼트; 상기 앙카볼트가 시공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시공벽체 벽면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앙카볼트를 지지하기 위한 슬리브; 상기 개구에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의 확장편과 연접하고, 상기 앙카볼트가 상기 슬리브로 인입되어 상기 확장콘결합부와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구비된 확장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헤드는 외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너트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바디, 상기 슬리브바디로부터 연속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확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편은 상기 확장콘이 회전하여 상기 확장콘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걸림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벽면에 형성된 개구면에 밀착하여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개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편은 상기 슬리브바디의 길이방향의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슬리브바디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축과 예각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콘은 외주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절개홈에 가이드되어 상기 걸림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확장콘이 상기 걸림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벽면에 형성된 개구면에 밀착하여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개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콘의 직경은 상기 슬리브의 직경과 같거나 큰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편은 4 내지 8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편은 상기 슬리브바디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슬리브바디, 상기 슬리브바디로부터 연속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확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편은 벽면에 형성된 개구면에 밀착하여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개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되고, 상기 확장편은 상기 슬리브바디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슬리브바디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축과 예각을 이루어 형성된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용 슬리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걸림판, 상기 걸림판의 일측에 상기 걸림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과 정반대 측면에 내측으로 함입된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볼트헤드, 상기 걸림판의 타측에 상기 걸림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미리 설정된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콘결합부가 형성된 볼트스틱을 포함하는 볼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세트는 천장과 같은 작업이 어려운 환경에서의 물체고정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재 등이 적용된 콘크리트벽체에 적용하기 용이하면서도 전산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헤드를 구비하여 용이한 작업과 강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고정용 구조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앙카볼트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앙카볼트의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앙카볼트세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슬리브의 개념도이다.
도 5는 확장콘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경사진 확장편과 돌기가 형성된 확장콘이 적용된 앙카볼트세트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세트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100)세트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100)세트는 걸림판(110), 상기 걸림판(110)의 일측에 상기 걸림판(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110)과 정반대 측면에 내측으로 함입된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볼트헤드(120), 상기 걸림판(110)의 타측에 상기 걸림판(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콘결합부(133)가 형성된 볼트스틱(131)을 포함하는 앙카볼트(100); 상기 앙카볼트(100)가 시공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시공벽체 벽면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앙카볼트(100)를 지지하기 위한 슬리브(300); 상기 개구에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300)의 확장편(330)과 연접하고, 상기 앙카볼트(100)가 상기 슬리브(300)로 인입되어 상기 확장콘결합부(133)와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구비된 확장콘(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앙카볼트(100)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앙카볼트(100)의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걸림판(110)은 일측에 걸림판(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정반대 측면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나사결합부가 형성된다. 타측에는 걸림판(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콘결합부(133)가 형성된 볼트헤드(120)가 위치한다.
또한, 볼트스틱(131)은 걸림판(110)의 타측에 위치하며, 걸림판(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콘결합부(133)가 있다.
앙카볼트(100)가 시공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공벽체 벽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에 슬리브(300)가 삽입된다. 슬리브(300)는 앙카볼트(100)를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슬리브(300)는 슬리브바디(310)와 이어지는 복수의 확장편(33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확장편(330)은 확장콘(200)이 회전하여 확장콘결합부(133)와 결합하고 걸림판(1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시공벽체 벽면에 형성된 개구면에 밀착하여 슬리브(300)가 개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상기 확장편(330)은 상기 슬리브바디(310)의 길이방향에 따라 형성된 절개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개홈은 확장콘(200)이 걸림판(1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확장콘(200)의 외주면에 밀려나면서 확장콘(200)과 개구의 삽입면 사이에 위치하여 슬리브(300)가 개구에 강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확장콘(200)은 개구에 삽입되고, 슬리브(300)의 확장편(330)과 연접된다. 앙카볼트(100)는 슬리브(300)로 인입되어 확장콘결합부(133)와 나사결합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앙카볼트(100)는 시공벽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강력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앙카볼트(100)세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앙카볼트(100)세트는 슬리브바디(310)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바디(310)는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된 절개 홈을 포함하는 확장편(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개 홈은 확장콘(200)이 걸림판(1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확장콘(200)의 외주면에 밀려나면서 확장콘(200)과 개구의 삽입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슬리브가 개구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슬리브(300)의 개념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절개 홈이 슬리브바디(310)의 길이 방향의 가상의 축과 예각을 이루어 형성된 슬리브(400, 500)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확장콘이 이동하면서 절개 홈에 의해 슬리브바디가 확장되고, 개구에 고정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확장콘에 의하여 밀려나가 펼쳐지게 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동일한 길이의 슬리브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확장편(330)을 가진 경우에 비하여 마찰력을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앙카볼트(100)세트는 절개 홈을 포함한 확장편(330)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개구에 대한 슬리브의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건설, 자동차, 항공우주 및 기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앙카 볼트(100)는 다양한 규격과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정한 환경 또는 용도에 따라 적합한 앙카 볼트(1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앙카 볼트(100)는 높은 확장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좁고 긴 구멍을 천장면에 형성하고 적용하는 한편 볼트헤드(120)에 형성된 나사결합부로 인해 전산볼트(100)를 직접 체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볼트헤드(120)는 걸림턱이 형성된 너트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앙카볼트(100)를 시공벽체에 고정할 때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앙카볼트(100)는 시공벽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강력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앙카 볼트(100)는 확장콘을 포함하며, 상기 확장콘은 외주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는 상기 절개홈에 가이드되어 상기 걸림판(11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는 확장콘이 걸림판(1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슬리브가 개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도움을 준다.
도 5는 확장콘을 예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경사진 확장편(530)과 돌기가 형성된 확장콘이 적용된 앙카볼트(100)세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확장콘이 상기 걸림판(1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벽면에 형성된 개구면에 밀착하여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개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 구조는 슬리브가 개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개구 내부에 밀착되어 있는 동안 확장콘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앙카 볼트(100)에 있어서 확장콘은 돌기가 절개 홈에 가이드되어 걸림판(11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개구에 대한 슬리브의 안정적인 고정과 이탈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물체의 운동의 측면을 보면, 확장콘의 걸림판(110) 방향으로의 이동은 슬리브와 개구 사이의 정지력을 증가시켜 슬리브를 개구에 강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움직임은 뉴턴의 운동 법칙에 따라 작용-반작용 원리를 활용하여 개구와 슬리브 사이에 안정적인 힘이 발생하게 한다.
또한, 마찰력의 관점에서 확장콘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는 개구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이 마찰력은 슬리브가 개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콘과 슬리브 사이에 발생하는 힘의 균형을 유지한다.
또한, 정지마찰력의 관점에서, 절개 홈의 형태와 각도는 확장콘과 슬리브 사이에 적절한 정지력을 발생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이 정지마찰력은 확장콘이 움직이지 않는 동안 슬리브를 개구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압력 분포의 관점에서, 확장콘의 직경이 슬리브의 직경과 같거나 큰 경우, 슬리브와 확장콘 사이의 압력 분포가 균형을 이룬다. 이 균형된 압력 분포는 슬리브가 개구에 대해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하며, 동시에 확장콘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앙카 볼트(100)는 개구에 대한 슬리브의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확장콘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앙카 볼트(100)는 확장편(330)이 4개 내지 8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물리학적 원리에 근거하여 슬리브와 확장콘 사이의 힘의 분포와 균형을 최적화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힘의 분포의 관점에서, 확장편(330, 430, 530)이 4개 내지 8개로 구성된 경우, 슬리브의 확장편(330, 430, 530)과 확장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각 확장편(330, 430, 530)의 부하를 최소화한다. 이는 앙카 볼트(100)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개구에 대한 슬리브의 고정력을 높인다.
또한, 힘의 균형측면에서, 확장편(330, 430, 530)의 수가 적절하게 조절되면, 슬리브와 확장콘 사이에 발생하는 힘의 균형이 유지된다. 이 균형된 힘은 슬리브가 개구에 대해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하며, 동시에 확장콘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한다. 8개를 초과하는 확장편(330, 430, 530)의 경우, 각 확장편(330, 430, 530)이 슬리브로부터 연장된 좁은 연결 구조에 대한 단점들이 존재한다. 주요 단점들은 다음과 같다:
감소된 강도의 관점에서, 확장편(330, 430, 530)이 많아질수록 각 확장편(330, 430, 530)이 슬리브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구조가 상대적으로 더 좁아진다. 이로 인해, 각 확장편(330, 430, 530)의 강도가 감소하고, 부분적으로 과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는 앙카 볼트(100)의 전반적인 내구성과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비효율적인 힘의 분포의 관점에서, 확장편(330, 430, 530)이 과도하게 많아지면, 슬리브와 확장콘 사이의 힘의 분포가 비효율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부 확장편(330, 430, 530)에 과도한 힘이 집중되어, 확장편(330, 430, 530)과 슬리브바디가 분리되거나 확장편(330, 430, 530)의 고정력이 저하되거나, 국부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조 및 설치의 복잡성 측면에서 확장편(330, 430, 530)이 많아질수록 제조 과정이 복잡해지고, 정밀도가 높은 설계가 요구된다. 또한 설치 과정에서 정확한 조립 및 정렬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
확장편(330)은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절개 홈은 슬리브바디의 길이 방향의 가상의 축과 예각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430, 530). 이를 통해 슬리브바디와 확장편(430, 530)이 연결된 폭은 유지하면서,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최적화된 힘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절개 홈이 슬리브바디의 길이 방향의 가상의 축과 예각을 이루어 형성되면, 확장콘에서 발생하는 힘이 슬리브바디로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확장편(430, 530)과 슬리브 사이의 힘의 분포가 최적화되어 고정력과 안정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향상된 마찰력 및 정지력 측면에서, 절개 홈의 예각 형성은 확장편(430, 530)과 확장콘 사이의 마찰력 및 정지력을 증가시킨다. 확장편(430, 530)의 단면은 곡면을 이루는데 이로 인해, 확장편(430, 530)과 확장콘이 서로 마찰하며 확장편(430, 530)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확장편(430, 530)과 개구 사이의 마찰력 증가는 물론 확장편(430, 530)과 확장콘 사이의 마찰력 역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내구성 및 안정성 향상 측면에서, 절개 홈이 예각을 이루어 형성됨으로써, 슬리브바디와 확장편(430, 530)이 연결된 부분의 내구성과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조 및 설치의 용이성 측면에서, 예각을 이루는 절개 홈의 형성은 제조 과정에서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설치 시 정확한 정렬과 조립이 가능하다. 확장편(430, 530)의 단면이 보다 긴 곡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인해 제조시 또는 보관시 구조적인 변형이 적게 되므로, 앙카 볼트(100)의 제조 및 설치 과정이 더욱 효율적이고 간편해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절개 홈이 슬리브바디의 길이 방향의 가상의 축과 예각을 이루어 형성되는 확장편(430, 530)은 물리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구조는 앙카 볼트(100)의 고정력,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브바디, 상기 슬리브바디로부터 연속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확장편(430, 530)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편(430, 530)은 벽면에 형성된 개구면에 밀착하여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개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되고, 상기 확장편(430, 530)은 상기 슬리브바디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슬리브바디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축과 예각을 이루어 형성된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100)용 슬리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판(110), 상기 걸림판(110)의 일측에 상기 걸림판(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110)과 정반대 측면에 내측으로 함입된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볼트헤드(120), 상기 걸림판(110)의 타측에 상기 걸림판(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미리 설정된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콘결합부(133)가 형성된 볼트스틱(131)을 포함하는 볼트(100)가 제공된다. 이때 나사산은 볼트스틱(131)의 전체면이 아닌 말단부로부터 볼트스틱(131)의 1/2 내지 1/5 길이에 형성될 수 있다. 불필요한 나사산 가공공정을 제거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나사산이 없는 볼트스틱(131) 부분은 외부 습기 등과 접촉하는 면적이 좁아 습기 등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볼트
120 볼트헤드
123 나사홈
110 걸림판
131 볼트스틱
133 확장콘결합부
200 확장콘
300 슬리브
310 슬리브바디
330 확장편
400 슬리브
410 슬리브바디
430 확장편
500 슬리브
510 슬리브바디
530 확장편

Claims (10)

  1. 걸림판, 상기 걸림판의 일측에 상기 걸림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과 정반대 측면에 내측으로 함입된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볼트헤드, 상기 걸림판의 타측에 상기 걸림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콘결합부가 형성된 볼트스틱을 포함하는 앙카볼트;
    상기 앙카볼트가 시공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시공벽체 벽면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앙카볼트를 지지하기 위한 슬리브;
    상기 개구에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의 확장편과 연접하고, 상기 앙카볼트가 상기 슬리브로 인입되어 상기 확장콘결합부와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구비된 확장콘;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바디, 상기 슬리브바디로부터 연속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확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편은 상기 확장콘이 회전하여 상기 확장콘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걸림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벽면에 형성된 개구면에 밀착하여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개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되고,
    상기 확장편은 상기 슬리브바디의 길이방향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은 상기 슬리브바디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축과 예각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확장편은 4 내지 8개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콘은 외주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확장편의 개수에 상응하는 4개 내지 8개의 상기 가상의 축과 직각을 이루는 장방형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헤드는 외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너트형상이고,
    상기 슬리브바디의 타단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확장편의 말단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확장콘의 직경은 상기 슬리브의 직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절개홈에 가이드되어 상기 걸림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확장콘이 상기 걸림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벽면에 형성된 개구면에 밀착하여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개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세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38055A 2023-03-23 2023-03-23 앙카볼트세트 KR102639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055A KR102639981B1 (ko) 2023-03-23 2023-03-23 앙카볼트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055A KR102639981B1 (ko) 2023-03-23 2023-03-23 앙카볼트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981B1 true KR102639981B1 (ko) 2024-02-22

Family

ID=9005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055A KR102639981B1 (ko) 2023-03-23 2023-03-23 앙카볼트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9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958U (ko) * 1995-04-06 1996-11-21 성대천 나선형 슬리브가 구비된 앵커볼트
WO2009127865A1 (en) * 2008-04-15 2009-10-22 Philip Russell Fixing
KR102183879B1 (ko) * 2020-05-07 2020-11-27 이순석 너트식 앙카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958U (ko) * 1995-04-06 1996-11-21 성대천 나선형 슬리브가 구비된 앵커볼트
WO2009127865A1 (en) * 2008-04-15 2009-10-22 Philip Russell Fixing
KR102183879B1 (ko) * 2020-05-07 2020-11-27 이순석 너트식 앙카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463B1 (ko) 스트래들링맞춤못
US6273655B1 (en) Anchoring device
JPS588811A (ja) 拡開だぼ
WO2015019629A1 (ja) アンカーボルト
KR102639981B1 (ko) 앙카볼트세트
KR101340955B1 (ko) 커플러
US6620011B2 (en) Strip-shaped screw magazine
JPH08232924A (ja) 拡開アンカー
US3136350A (en) Plastic screw anchor
US20040170484A1 (en) Striking plug
WO2006121301A1 (en) Anchor bolt assembly
GB2111581A (en) Clips for conduits
KR102189193B1 (ko) 철근 커플러
KR10027274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연결구
JP6584890B2 (ja) 逆転防止機構付きアンカーボルト
KR101890678B1 (ko) 철근이음장치
KR102064558B1 (ko) 철근 결합 구조를 개선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20080105665A (ko) 앵커볼트
KR101640150B1 (ko)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구
US1595728A (en) Telephone wire and cable support
KR102141439B1 (ko)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EP3333434B1 (en) Wall fixings
US3403592A (en) Staple structure
JP2000355980A (ja) 柱の補強金具及び補強方法
KR102637867B1 (ko) 고정력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앵커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