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659Y1 - 용마루 모서리기와 - Google Patents

용마루 모서리기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659Y1
KR200367659Y1 KR20-2004-0022300U KR20040022300U KR200367659Y1 KR 200367659 Y1 KR200367659 Y1 KR 200367659Y1 KR 20040022300 U KR20040022300 U KR 20040022300U KR 200367659 Y1 KR200367659 Y1 KR 200367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ge
roof
corner
tile
rid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산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산기
Priority to KR20-2004-0022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6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4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intersections, e.g. valley tiles, ridge tiles
    • E04D2001/305Ridge or hip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마루 모서리기와에 관한 것으로, 금속제의 가공성형에 의한 한옥지붕을 형성함에 있어 용마루기와의 가공상 문제점과 그로인한 미려감의 저하 및 상기 용마루기와와 지붕기와 사이의 모서리부분을 통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용마루기와와 지붕기와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씌워지는 용마루 모서리기와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마루기와와 지붕기와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씌워지는 용마루 모서리기와를 구비하므로서 용마루기와와 지붕기와 사이로의 누수가 방지되고 용마루기와의 가공성형이 단순화되고 그 디자인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용마루 모서리기와{The ridge of a roof a corner-tile}
본 고안은 용마루 모서리기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마루기와와 지붕기와가 접하는 모서리부분에 덮여지는 용마루모서리기와를 구비하여서 용마루기와의 가공 및 한옥지붕의 시공성이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마루 모서리기와를 형성함에 있어 상측에 용마루가 일정높이기를 갖게 형성되도록 하는 용마루조적부를 형성하여서 시공된 용마루의 디자인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마루 모서리기와를 형성함에 있어 모서리기와부를 양측으로 형성하여서 시공과정에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옥지붕은 지붕의 경사면에 조적되는 지붕기와와, 상기 경사면의 상측 용마루부에 조적되는 용마루기와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한옥지붕은 기와를 제작과 시공을 할 수 있는 기술자가 거의 없어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한옥지붕을 소성기와가 아닌 금속제를 가공성형한 지붕판재 및 용마루기와를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제를 가공하여 형성한 지붕판재와 용마루기와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한옥지붕에 있어서 용마루기와의 성형이 용이하지 않으며,상기 용마루기와와 지붕기와가 접하는 모서리부분이 정확하게 덮여지지 않아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마루기와는 지붕기와로부터 일정높이를 갖게 형성하는 것이 미려하고 한옥지붕에 근접하나 이상과 같이 용마루조적부를 갖는 용마루기와의 가공성형이 용이않아 용마루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그 미려감이 저하되고 한옥지붕의 고유한 멋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제의 가공성형에 의한 한옥지붕을 형성함에 있어 용마루기와의 가공상 문제점과 그로인한 미려감의 저하 및 상기 용마루기와와 지붕기와 사이의 모서리부분을 통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용마루기와와 지붕기와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씌워지는 용마루 모서리기와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마루기와와 지붕기와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씌워지는 용마루 모서리기와를 구비하므로서 용마루기와와 지붕기와 사이로의 누수가 방지되고 용마루기와의 가공성형이 단순화되고 그 디자인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마루 모서리기와
110 : 모서리덮개부
111 : 지붕파형부 112 : 지붕결속판
120 : 기와안착부 130 : 용마루덮개부
140 : 용마루조적부 150 : 결속부
210 : 용마루기와 220 : 지붕기와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금속제에 의하여 한옥지붕을 형성함에 있어 누수를 방지하고 그가공이 용이하며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것으로, 한옥지붕의 용마루기와(210)와 지붕기와부(220)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씌워지는 용마루 모서리기와(100)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용마루 모서리기와(100)는 용마루기와(210)와 지붕기와부(220)의 모서리부분에 덮여지는 모서리덮개부(110)와, 상기 모서리덮개부(110)의 상측에 조적되는 용마루기와(210)가 안착되게 상측으로 절곡되어 모서리를 형성한 기와안착부(120)와, 상기 기와안착부(120)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용마루부에 덮여 씌워지는 용마루덮개부(130)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모서리덮개부(110)는 호형을 이루며 하단부측에 조적된 지붕기와부(220)의 골과 산 형상에 따른 지붕파형부(111)를 절개형하고, 상기 지붕파형부(111)에 등간격으로 지붕결속판(112)을 돌출구비하며, 상기 지붕결속판(112)에는 피스 결속을 위한 피스관통공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서리덮개부(110)와 기와안착부(120)를 용마루덮개부(130)의 양측으로 구비하여 실시하거나, 상기 용마루덮개부(130)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서 용마루의 반대측의 용마루 모서리기와(100)와 결속을 위한 결속부(150)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서리덮개부(110)와 기와안착부(120) 사이에는 조적되는 용마루기와(210)가 일정 높이를 갖도록 수직벽면을 이루게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며 조적무늬가 형성되는 용마루조적부(140)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용마루조적부(140)는 시공시 아아치형의 용마루를 형성할 수 있게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옥지붕의 용마루기와(210)와 지붕기와부(220)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씌워지는 용마루 모서리기와(100)를 구비하되, 상기 용마루 모서리기와(100)는 용마루기와(210)와 지붕기와부(220)의 모서리부분에 덮여지는 모서리덮개부(110)와, 상기 모서리덮개부(110)의 상측에 조적되는 용마루기와(210)가 안착되게 상측으로 절곡되어 모서리를 형성한 기와안착부(120)와, 상기 기와안착부(120)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용마루부에 덮여 씌워지는 용마루덮개부(130)로 구성한 본 고안은 지붕의 경사면에 지붕판재를 씌워 지붕기와부(220)를 형성하고, 그 상측 용마루부에 본 고안의 용마루 모서리기와(100)를 덮어준다.
그리고, 상기 용마루 모서리기와(100)의 모서리덮개부(110)에 돌출구비된 기와결속판()에 피스를 박아서 지붕기와부(220)에서 이탈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고정시킨 후에 용마루기와(210)를 조적 고정하므로서 용마루조적부(140)가 형성되어 있어 일정 높이를 가져 미려한 용마루부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마루기와와 지붕기와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씌워지는 용마루 모서리기와를 구비하므로서 용마루기와와 지붕기와 사이로의 누수가 방지되고 용마루기와의 가공성형이 단순화되고 그 디자인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5)

  1. 한옥지붕의 용마루기와(210)와 지붕기와부(220)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씌워지는 용마루 모서리기와(100)를 구비하되,
    상기 용마루 모서리기와(100)는 용마루기와(210)와 지붕기와부(220)의 모서리부분에 덮여지는 모서리덮개부(110)와, 상기 모서리덮개부(110)의 상측에 조적되는 용마루기와(210)가 안착되게 상측으로 절곡되어 모서리를 형성한 기와안착부(120)와, 상기 기와안착부(120)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용마루부에 덮여 씌워지는 용마루덮개부(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모서리기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덮개부(110)와 기와안착부(120)를 용마루덮개부(130)의 양측으로 구비하고,
    상기 모서리덮개부(110)와 기와안착부(120) 사이에는 조적되는 용마루기와(210)가 일정 높이를 갖도록 수직벽면을 이루게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며 조적무늬가 형성되는 용마루조적부(14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모서리기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덮개부(130)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서 용마루의 반대측의 용마루 모서리기와(100)와 결속을 위한 결속부(150)를 형성하고,
    상기 모서리덮개부(110)와 기와안착부(120) 사이에는 조적되는 용마루기와(210)가 일정 높이를 갖도록 수직벽면을 이루게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며 조적무늬가 형성되는 용마루조적부(14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모서리기와.
  4.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조적부(140)는 시공시 아아치형의 용마루를 형성할 수 있게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모서리기와.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덮개부(110)는 호형을 이루며 하단부측에 조적된 지붕기와부(220)의 골과 산 형상에 따른 지붕파형부(111)를 절개형하고, 상기 지붕파형부(111)에 등간격으로 지붕결속판(112)을 돌출구비하며, 상기 지붕결속판(112)에는 피스 결속을 위한 피스관통공이 천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모서리기와.
KR20-2004-0022300U 2004-08-04 2004-08-04 용마루 모서리기와 KR200367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300U KR200367659Y1 (ko) 2004-08-04 2004-08-04 용마루 모서리기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300U KR200367659Y1 (ko) 2004-08-04 2004-08-04 용마루 모서리기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659Y1 true KR200367659Y1 (ko) 2004-11-10

Family

ID=4935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300U KR200367659Y1 (ko) 2004-08-04 2004-08-04 용마루 모서리기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65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142B1 (ko) 2007-02-13 2008-01-22 양길섭 마루기와 측면 덮개용 착고
KR101586005B1 (ko) * 2014-09-12 2016-01-1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한식담장 및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KR101982294B1 (ko) * 2018-11-15 2019-08-28 대한한옥개발 주식회사 패각을 활용한 수지기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7031B1 (ko) * 2019-11-15 2021-04-07 유상옥 샌드위치패널지붕의 용마루 마감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142B1 (ko) 2007-02-13 2008-01-22 양길섭 마루기와 측면 덮개용 착고
KR101586005B1 (ko) * 2014-09-12 2016-01-1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한식담장 및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KR101982294B1 (ko) * 2018-11-15 2019-08-28 대한한옥개발 주식회사 패각을 활용한 수지기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7031B1 (ko) * 2019-11-15 2021-04-07 유상옥 샌드위치패널지붕의 용마루 마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84992S1 (en) Roof shingle
USD482141S1 (en) Roof shingle
WO2005086977A3 (en) Shingle with interlocking water diverter tabs
WO2007014116A3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continuous storage elements
WO2007052225A3 (en) Pillar based biosens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367659Y1 (ko) 용마루 모서리기와
JP2018066151A (ja) 板材の端面取付具、壁構造及び板材の施工方法
TW200710920A (en) Micro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D513808S1 (en) Facade for a building element
ATE474108T1 (de) Boden
ES2187290A1 (es) Viga para soporte de tableros de encofrado.
USD512165S1 (en) Baluster
JP2007154554A (ja) 平板瓦
JP2591852Y2 (ja) 鬼瓦の取付装置
JP2007120082A (ja) 土台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基礎の施工方法
JP3965178B2 (ja) 目地材
JP4008386B2 (ja) 棟端部用冠瓦及び冠瓦の配置構造
NO20021413D0 (no) Lamin¶r struktur
JP2003027666A (ja) 隅棟屋根の瓦敷設構造
EP1312722A3 (de) Bauelement für eine Deckenkonstruktion und Deckenkonstruktion in Gebäuden
USD506838S1 (en) Cover for rail attachment
JP2003221905A (ja) 太陽電池屋根パネル及び太陽電池屋根構造
JP3708477B2 (ja) 隅棟瓦
KR200242341Y1 (ko) 함석지붕의 용마루 마감재
JP2009281117A (ja) 建物用タイルとそれを使用した建物の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