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621Y1 - 콘크리트 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621Y1
KR200367621Y1 KR20-2004-0024910U KR20040024910U KR200367621Y1 KR 200367621 Y1 KR200367621 Y1 KR 200367621Y1 KR 20040024910 U KR20040024910 U KR 20040024910U KR 200367621 Y1 KR200367621 Y1 KR 200367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ormwork
finishing member
roo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용우
Original Assignee
양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용우 filed Critical 양용우
Priority to KR20-2004-0024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6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6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5Strips for covering joints between form sections, e.g. to avoid burring or spilling of lai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의 유출을 막기 위해 거푸집의 하단 근목 내면에 설치되는 마감부재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감부재 하부를 2단 절곡시켜 측면에서 볼 때 ""형으로 되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부를 2단 절곡시킨 구성임에 따라 거푸집의 하단 근목 내면에 설치시 못 등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매우 안정적으로 설치시공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2단 절곡된 부위의 강도가 높아 콘크리트 몰탈이 타설되는 과정에서도 변형이나 휨 등이 최소화될 수 있는 마감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The materials of closing a lower for concrete form panel}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감부재의 강도를 높여 시공의 안정성이 극대화되게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에 의한 마감부재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나 골조를 세우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할 때 거푸집의 하단 근목에는 콘크리트 하중이 크게 작용한다. 이로 인하여 바닥과 거푸집의 하단 틈새로 콘크리트의 하중에 따른 압력이 작용하게 되어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거푸집의 하단 또는 근목 내측에 못 등을 이용하여 합판을 부착시켜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였지만, 콘크리트 몰탈 타설 및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하게 되면 추가로 부착한 합판의 해체작업이 뒤따르게 되고 이에 따른 폐자재도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합판을 제거하면 콘크리트가 합판의 두께만큼 들어가게 되어 콘크리트의 두께가 합판의 두께만큼 얇아지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점도 발생하는 등의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마감부재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단 마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단 마감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 마감부재(1)는 철망을 'ㄴ' 형태로 절곡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처럼 근목(3)의 안쪽으로 절곡된 마감부재(1)를 붙이고 이 근목(3)을 거푸집(2)하부에 설치하여 마감부재(1)의 양면이 거푸집(2)과 콘크리트 몰탈(4)이 타설되는 바닥에 각각 닿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마감부재(1)는 근목(3) 내면에 밀착되도록 'ㄴ' 형태로 절곡시킨 것임에 따라, 거푸집(2)의 내부로 콘크리트(4) 타설 및 양생시 콘크리트의 고압력과 고하중으로 인하여 마감부재(1)가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못하여 변형(휘어짐)되거나, 이탈되는 등의 강도와 견고성에 있어서 큰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다시 말하면, 'ㄴ'자 형태로 구성된 마감부재(1)에 있어서 바닥면에 닿도록절곡시킨 부분의 본래 취지는 콘크리트의 하중과 압력이 작용할 때 마감부재(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형성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실 사용시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밀려 나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변형이 초래되는 등의 폐단도 따랐기에 강도, 견고성 등에 문제점이 따랐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마감부재의 하부를 2단 절곡시켜 수직밀착부와 안착부가 일체로 된 ""형의 구성으로 형성함으로서, 안착부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강도 및 경도를 높이고, 이에 따라 시공의 안정성과 시공후 외관이 단정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마감부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콘크리트 거푸집(2)의 하단 근목(3) 내면에 장착하여 벽체시공과정에서 콘크리트(4)의 유출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1)에 있어서,
철망을 절곡시켜 근목(3)의 내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수직밀착부(11)와 바닥에 안착되는 안착부(12)가 일체로 형성되게 2단 절곡시키되, 상기 안착부(12)는 중앙부를 상향 절곡시켜 보강부(13)를 형성함으로서 전체적으로 ""형으로 형성된 마감부재(1a)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거푸집(2)의 하단 근목(3)에 설치되는마감부재(1a)를 철망으로 구성하되, 수직밀착부(11)와 안착부(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12)에는 보강부(13)를 형성함으로서 콘크리트 벽체 시공시 몰탈의 하중이 보강부(13)에 작용하도록 함에 따라 몰탈의 압력이 수직밀착부(11)쪽으로 작용하더라도 보강부(13)가 몰탈의 하중에 의해 견고하게 지탱됨에 따라 변형없이 안정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은 안착부(12)에 보강부(13)를 상향돌출시켜 구성한 것이기에 콘크리트벽체 시공시 콘크리트(4)의 하중이 작용할 때 그 하중이 안착부(12)에 형성된 보강부(13)에 작용하게 되어 수직밀착부(11)의 하단부분이 외부방향으로 밀려나가려 하더라도 콘크리트 하중에 의해 안착부(12)가 견고하게 지탱되게 됨으로서 수직밀착부(11)의 하단부분이 밀려나갈 염려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벽체 시공시 본 고안의 마감부재(1a)에 의하여 벽체 하단이 외부로 밀려나오지 않게 되어 깔끔하게 시공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마감부재(1a)를 구성함에 있어서, 안착부에 형성되는 ""형의 보강부(13)는 돌출된 형상을 반원형, 사다리꼴 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안착부에 2개 또는 3개의 보강부(13)를 연속형성하면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더욱 더 안정적으로 가압고정 되게되며, 본 고안의 보강부(13)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당연히 속한다 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부를 2단 절곡시킨 구성임에 따라 거푸집(2)의 하단 근목(3) 내면에 설치시 못 등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매우 안정적으로 설치시공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2단 절곡된 부위의 강도가 높아 콘크리트 몰탈이 타설되는 과정에서도 변형이나 휨 등이 최소화될 수 있어 안정적인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콘크리트 거푸집(2)의 하단 근목(3) 내면에 장착하여 벽체시공과정에서 콘크리트(4)의 유출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1)에 있어서,
    마감부재(1a)를 철망을 절곡시켜 근목(3)의 내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수직밀착부(11)와, 바닥에 안착되는 안착부(12)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되, 상기 안착부(12)는 중앙부를 한번 더 상향절곡시켜 보강부(13)를 형성함으로서 전체적으로 ""형으로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
KR20-2004-0024910U 2004-08-31 2004-08-31 콘크리트 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 KR200367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910U KR200367621Y1 (ko) 2004-08-31 2004-08-31 콘크리트 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910U KR200367621Y1 (ko) 2004-08-31 2004-08-31 콘크리트 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621Y1 true KR200367621Y1 (ko) 2004-11-12

Family

ID=4935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910U KR200367621Y1 (ko) 2004-08-31 2004-08-31 콘크리트 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6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7715A (zh) * 2017-09-23 2018-01-16 二十二冶集团天津建设有限公司 铝合金模板根部处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7715A (zh) * 2017-09-23 2018-01-16 二十二冶集团天津建设有限公司 铝合金模板根部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407B1 (ko) 경량성형재조립체에 의한 중공슬래브의 시공구조
KR200367621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
KR102118881B1 (ko) 화장실 시공용 형틀체 및 이를 이용한 화장실 바닥층 시공방법
KR20000018097U (ko) 타일마감재
KR200454937Y1 (ko) 문틀
KR200306755Y1 (ko) 유로폼 패널 받침대
KR20200144766A (ko) 몰딩용 인코너 마감기구
KR200408507Y1 (ko) 거푸집 아웃코너용 면귀
KR100765384B1 (ko) 거푸집 인서트 조립체
KR100641409B1 (ko) 고정브라켓
KR200233422Y1 (ko) 타일마감재
JP7307595B2 (ja) 仕上げ材用のアンカー金物
KR20120109219A (ko) 탁자의 모서리 고정구
KR200347294Y1 (ko) 거푸집 세파타이용 캡너트
KR200321432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
KR0131916Y1 (ko) 조립식 천정모서리 마감대
KR20190055930A (ko) 유로폼
JP6304925B2 (ja) 巾止金具
KR200199003Y1 (ko) 건축의 외벽장식 공사용 요철캡
JP2018096092A (ja) 型枠浮かし支持具
JP2018044385A (ja) 開口部構造
JP6857072B2 (ja) ブラケット及び該ブラケットを備えた手摺又は取っ手
KR200354385Y1 (ko) 바닥 시공재 마감용 결합부재
JP2504643Y2 (ja) タイル目地構造
KR200193199Y1 (ko)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