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199Y1 -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199Y1
KR200193199Y1 KR2020000007868U KR20000007868U KR200193199Y1 KR 200193199 Y1 KR200193199 Y1 KR 200193199Y1 KR 2020000007868 U KR2020000007868 U KR 2020000007868U KR 20000007868 U KR20000007868 U KR 20000007868U KR 200193199 Y1 KR200193199 Y1 KR 200193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upport
bar
fram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준
Original Assignee
남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준 filed Critical 남기준
Priority to KR2020000007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1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1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8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window or door s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란다 또는 문지방 등의 단턱을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경우 반죽상태의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단턱 형상의 형틀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직부 상단이 수평부에 의해 연이어 형성된 지지바와;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직부 하단이 수평부에 의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저면이 지지바의 수평부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바와; 상기 지지바의 수직부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구비된 고정돌조의 저면에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FRAME FOR FORMIG CONCRETE RAISED BOTTOM}
본 고안은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베란다 또는 문지방 등의 단턱을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경우 반죽상태의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단턱 형상의 형틀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란다의 단턱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성형된 베란다의 바닥면(10)에 모르타르(22)를 이용하여 벽돌(21)을 일정높이로 적층하여 쌓은 후 상기 적층된 벽돌(21)의 외면에 모르타르(22)를 발라 양생시킴으로써 베란다의 단턱(20)을 성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베란다 단턱(20)은 상기 바닥면(10)이 이미 양생되어진 상태에서 물과 모래와 시멘트가 반축된 모르타르(22)를 이용하여 벽돌(21)을 일정높이로 쌓아 단턱(20)을 형성하게 됨으로, 상기 바닥면(10)과 벽돌(21)이 견고히 접합되지 않아 상기 베란다의 단턱(20)에 약간의 충격만 가해지더라도 바닥면(10)에서 벽돌(21)이 쉽게 떨어지게되어 베란다의 단턱(20)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베단다의 단턱이 베란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성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직부 상단이 수평부에 의해 연이어 형성된 지지바와;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직부 하단이 수평부에 의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저면이 지지바의 수평부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바와; 상기 지지바의 수직부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구비된 고정돌조의 저면에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가 제공된다.
도 1은 건물 베란다의 단턱을 형성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와 도 3b와 도 3c와 도3d는 본 고안인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를 이용하여 건물 베란다의 단턱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와 도 4b와 도 4c와 도 4d는 본 고안인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를 이용하여 건물 베란다의 단턱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면 20 : 단턱
20' : 콘크리트 21 : 벽돌
22 : 모르타르 30 : 거프집
40 : 지지판 50 : 못
100 :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
110 : 지지바 111 : 수직부
112 : 수평부 120 : 결합바
121 : 수직부 121a : 결합공
122 : 수평부 130 : 고정프레임
131a : 끼움공 131 : 고정돌조
132 : 받침부 132a : 결합공
133 : 보조리브 134 : 보강플레이트부
134a : 결합공
이하 본 고안인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100)는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직부(111) 상단이 수평부(112)에 의해 연이어 형성되어 대략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바(110)와,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직부(121) 하단이 수평부(122)에 의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121)에는 결합공(121a)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22)의 저면이 지지바(110)의 수평부(112) 상면에 결합되는 대략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바(120)와, 상기 지지바(110)의 수직부(111) 하단이 끼워지는 끼움공(131a)이 구비된 고정돌조(131)의 저면에 받침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32)의 주연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132a)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110)와 결합바(120)는 금속재로 된 바가 절곡되어 성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바(110)의 수평부(112)와 결합바(120)의 수평부(122)는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지바(110)와 결합바(120)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110)의 수직부(111) 높이는 베란다의 바닥면(10) 두께와 같거나 또는 그 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고정돌조(131) 외면에는 경우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보조리브(133)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받침부(132) 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플레이트부(134)가 수평으로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부(134) 주연부에는 결합공(134a)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110)를 더욱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 에서는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고정돌조(131)의 형상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진 것으로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상기 고정돌조(131)의 형상을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고정돌조(131)의 형상이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기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강플레이트부(134) 역시 경우에 따라서는 그 형상이 반원이나 반 타원형 기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에서는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100)가 베란다의 단턱(20)을 성형하는 경우 이용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상기 베란다의 단턱(20)을 성형하는 경우에만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문지방과 같이 건축물의 단턱(20)이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든지 적용되어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1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단턱을 성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30)의 끼움공(131a)에 지지바(110)의 수직부(111) 하단을 삽입하여 상기 지지바(110)와 고정프레임(130)을 일체로 결합한다.
이후 도 3a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란다의 바닥면(10) 형틀인 거프집(30)에 상기 지지바(110)가 결합된 고정프레임(130)을 세워 안착시킨 다음 상기 결합프레임의 결합공(132a)에 못(50)을 삽입한 후 망치로 타격하여 상기 거프집(30)에 지지바(110)가 결합된 고정프레임(130)을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에 결합된 결합바(120)의 수직부(121)에 도 3b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란다의 단턱(20) 형틀인 나무로 된 지지판(40)을 댄 다음 상기 수직부(121)의 결합공(121a)에 못(50)을 삽입한 후 망치로 타격하여 상기 결합바(120)의 수직바에 지지판(40)을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베란다의 바닥면(10) 및 단턱(20)의 형틀인 거프집(30)과 지지판(40) 사이에 도 3c 및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죽상태의 콘크리트(20')를 주입하되, 상기 고정프레임(130)과 지지바(110)과 결합바(120)가 반죽상태의 콘크리트(20')에 매입되도록 주입한다.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 콘크리트(20')가 완전히 양생된 후에는 상기 결합바(120) 결합된 지지판(40) 및 거프집(30)을 떼어내면 도 3d 및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란다의 바닥면(10) 및 단턱(20)이 일공정에 의해 동시에 성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란다의 바닥면에 매입되는 일정높이를 갖는 지지바와, 베란다의 단턱 형틀인 지지판이 결합되는 결합바와, 상기 지지바를 바닥의 형틀인 거프집에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본 고안인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는 베단다의 단턱이 베란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바닥면과 연이어 성형될 수 있도록 하게 됨으로, 상기 베란다의 바닥면과 단턱의 부착력이 증가되어 보다 견고한 베란다의 단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에 의해 베란다의 바닥면과 단턱이 일공정에 의해 동시에 성형됨으로 종래에 베란다의 바닥면을 성형한 후 단턱을 별도로 성형하던 과정보다 그 공정 및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그로 인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직부(111) 상단이 수평부(112)에 의해 연이어 형성된 지지바(110)와;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직부(121) 하단이 수평부(122)에 의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121)에는 결합공(121a)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22)의 저면이 지지바(110)의 수평부(112)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바(120)와; 상기 지지바(110)의 수직부(111)가 끼워지는 끼움공(131a)이 구비된 고정돌조(131)의 저면에 받침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3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132a)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고정돌조(131) 외면에는 적어도 둘이상의 보조리브(133)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받침부(13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플레이트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부(134)에는 결합공(134a)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
KR2020000007868U 2000-03-20 2000-03-20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 KR200193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868U KR200193199Y1 (ko) 2000-03-20 2000-03-20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868U KR200193199Y1 (ko) 2000-03-20 2000-03-20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199Y1 true KR200193199Y1 (ko) 2000-08-16

Family

ID=1964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868U KR200193199Y1 (ko) 2000-03-20 2000-03-20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1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68A (ko) * 2001-06-22 2003-01-06 동영금속 주식회사 콘크리트 방수턱용 조립식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68A (ko) * 2001-06-22 2003-01-06 동영금속 주식회사 콘크리트 방수턱용 조립식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0065166A1 (en) Steel-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by using the same
KR200384386Y1 (ko) 거푸집용 다용도 유로폼
KR200193199Y1 (ko) 콘크리트 단턱 성형용 골격재
JPH0419137Y2 (ko)
KR2009008366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9990051530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단 시공방법
JP6100818B2 (ja) 擁壁
KR100550458B1 (ko) 건축공사의 프리캐스트 계단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7077616A (ja) 建築物の無型枠基礎構造体
KR100666610B1 (ko) 중공부재가 내장되어 있는 하프 슬래브 및 그 제작방법
KR101361116B1 (ko) 담장 삽입형 지지장치
KR20110101746A (ko) 건축용 벽돌
KR20060094227A (ko) 거푸집용 다용도 유로폼
JP3643343B2 (ja) 建物用基礎の施工方法
JPH11181916A (ja) ブロック組立式構造物用ユニットブロックとその乾式構築法
KR20020030438A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구조
KR200426149Y1 (ko) 거푸집용 라인 빔
KR200199003Y1 (ko) 건축의 외벽장식 공사용 요철캡
KR200216917Y1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구조
KR100403239B1 (ko) 건축용 바닥 슬라브 거푸집 패널
KR100445254B1 (ko) 현장 제작용 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KR100475651B1 (ko) 건축물의 마감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87016Y1 (ko) 2힌지 패널에 의한 구조물 연결용 구조체
KR20060122000A (ko)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JP3903286B2 (ja) 打込部分付き再使用形セパレ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