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409B1 - 고정브라켓 - Google Patents

고정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409B1
KR100641409B1 KR1020050033392A KR20050033392A KR100641409B1 KR 100641409 B1 KR100641409 B1 KR 100641409B1 KR 1020050033392 A KR1020050033392 A KR 1020050033392A KR 20050033392 A KR20050033392 A KR 20050033392A KR 100641409 B1 KR100641409 B1 KR 100641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fixing
shaft
coupl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911A (ko
Inventor
장창근
Original Assignee
장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창근 filed Critical 장창근
Priority to KR1020050033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4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742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샤프트와 샤프트바디부가 결합되어지는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로 하우징이나 기타 벽체형성을 시공하기 위하여 고정샤프트의 고정봉 양측에 형성된 고정편이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 사이에 체결고정되어 내,외부 거푸집사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내,외부 거푸집간의 균등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내,외부 거푸집사이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에 따른 벽체시공시에는 상기 고정샤프트의 고정편이 컷팅되어 고정봉이 벽체에 심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봉이 골조역할을 제공하여 벽체의 강도가 긴밀하게 유지가능한 것이며 작업의 단순화와 철거의 신속화등에 따른 공사시간의 단축과 공사비용의 절감효과가 제공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고정브라켓, 고정샤프트, 샤프트바디부, 컷팅홀더

Description

고정브라켓{FIXING BRACKET}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a-a선 단면도
도 3a은 본 발명의 결합되기 이전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3b는 고정샤프트가 샤프트바디부에 결합되어지는 상태의 사시도
도 3c는 고정샤프트의 록킹홈이 록킹부에 결합되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3d는 고정샤프트가 결합된 록킹부에 컷팅홀더가 결합되어진 사시도
도 3e는 상기 컷팅홀더가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f는 상기 컷팅홀더에 의하여 고정편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내,외부 거푸집이 분리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고정브라켓 B-고정샤프트
C-샤프트바디부 D-컷팅홀더
20-고정봉 21,21'-고정편
30-몸체부 31-회전체
32-록킹부 40-헤드부
201-컷팅홈 211,211'-록킹홈
212-통공 212'-V자형 컷팅홈
301-걸림환홈 311-걸림환턱
312-안내공 321-록킹돌기
322-걸림턱 323-공간부
324-스프링 401-결합홈부기
402-가이드돌기
본 발명은 고정샤프트와 샤프트바디부가 결합되어지는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로 하우징이나 기타 벽체형성을 시공하기 위하여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작업시 상기 내,외부 거푸집사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내,외부 거푸집간의 균등한 간격을 형성하고자 고정브라켓을 발명해 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명된 고정브라켓의 고정편을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에 각각 고정한 후 상기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컷팅홈을 절단함으로서 상기 절단되지 않은 고정봉은 콘크리트타설에 따른 벽체형성시 철근과 같은 골조역할을 제공하게 되어 벽체의 강도를 보강하게 되며 긴밀성과 결합성이 우수한 벽체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승강로 하우징 내지 기타 벽체형성 시공시는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공간부의 폭이 균등하기 위하여 내,외부 거푸집간의 간격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내,외부 거푸집간의 간격을 균등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 사이에는 봉체를 결합하고 상기 봉체의 양단부가 거푸집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된 양단부에 나비너트와 같은 조임수단을 이용하여 조여줌으로서 상기 내,외부 거푸집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내,외부 거푸집간의 간격을 수작업으로 진행함으로서 내,외부 거푸집간의 간격이 균등하지 못하여 실질적인 벽체의 폭이 상이하게 제공되어 균열등의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며 또한 공사비용부담과 시간의 비효율성의 문제점 및 특히 각층별로 시공되어지는 승강로 하우징 내지 기타 벽체형성 시공상에는 많은 문제점등이 제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샤프트의 고정봉 양측에 형성된 고정편이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사이에 체결고정되어 상기 거푸집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보강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편에 형성된 록킹홈이 록킹부의 록킹돌기에 탄성결합되고 상기 록킹홈일측의 통공이 상기 컷팅홀더의 가이드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컷팅홀더를 이용하여 컷팅홈이 용이하게 컷팅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샤프트(B)와 샤프트바디부(C)가 결합되어지는 고정브라켓(A)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A)은 원형의 고정봉(20) 양측으로 고정편(21),(21')이 형성된 고정샤프트(B)와 몸체부(30) 중앙에 형성된 걸림환홈(301)에 회전체(31)의 걸림환턱(311)이 회전결합되어진 샤프트바디부(C)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회전체(31)의 일측에는 록킹부(32)가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안내공(31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샤프트(B)의 고정편(21)에 형성된 록킹홈(211)이 회전체(31)의 안내공(312)을 관통하여 록킹부(32)의 록킹돌기(321)와 결합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록킹부(32)는 일측으로 록킹돌기(321)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돌기(321)의 배면부는 록킹부(32)와 탄성결합되어지도록 상,하부에 걸림턱(32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22)과 록킹부(32)의 공간부(323)에는 스프링(324)이 체결되어진 것이며 상기 고정샤프트(B)는 고정봉(20)의 일측에 외주연을 따라 컷팅홈(201)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샤프트(B)의 일측 고정편(21)에는 록킹홈(211)의 일측으로 통공(212)이 형성되고 타측 고정편(21')에는 양측으로 V자형 컷팅홈(212')이 형성되어진 것이며 상기 고정샤프트(B)가 록킹결합된 록킹부(32)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32)가 결합되어지는 결합홈부(401)가 헤드부(4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40)의 일측에는 가이드돌기(402)가 돌설되어 고정편(21)의 통공 (212)과 끼움결합되어지는 컷팅홀더(D)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승강로가 형성되어지는 내부거푸집(100)은 양측 코너부에 코너패널이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코너패널의 내측으로 승강패널이 설치되어 상기 코너패널을 상측으로 승강시 승강패널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코너패널이 승강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패널의 중앙에는 샤프트바디부(C)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바디부(C)에 고정샤프트(B)가 결합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상기 단면도와 같이 내부거푸집(100)의 후면에는 도 1에서 미도시된 외부거푸집(110)과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추가적으로 도시한 것인바 상기 상측의 확대도와 같이 내부거푸집(100)에는 샤프트바디부(C)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바디부(C)에 고정샤프트(B)가 결합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샤프트(B)의 록킹홈(211)은 샤프트바디부(C)의 회전체(31)와 용접 및 기타방법에 의하여 결합된 록킹부(32)의 록킹돌기(321)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록킹돌기(321)의 배면부는 걸림턱(32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22)의 배면에는 탄성스프링(324)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편(21)이 안내공(312)을 관통하여 결합시 상기 록킹돌기(321)는 스프링(324)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편(21)의 록킹홈(211)이 록킹돌기(321)와 동일선상에 위치시는 상기 록킹돌기(321)가 스프링(324)의 탄성을 이용하여 록킹홈(211)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샤프트바디부(C)는 내측으로 걸림환홈(301)이 형성된 몸체부(30) 에 걸림환턱(311)이 형성된 회전체(31)가 결합되어진 것으로서 상기 회전체(31)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서 실질적으로 후술되는 컷팅홀더(D)가 고정샤프트(B)의 고정편(21)을 좌,우로 회전하며 컷팅작업을 원할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3a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샤프트바디부(C)에 고정샤프트(B)가 결합되어 컷팅홀더(D)에 의하여 상기 고정샤프트(B)의 고정편(21)이 컷팅되는 것을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3a는본 발명의 결합되기 이전상태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측에는 고정샤프트(B)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컷팅홀더(D)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샤프트바디부(C)가 형성되는 것을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고정샤프트(B)가 샤프트바디부(C)에 결합되어지는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샤프트(B)의 일측 고정편(21)이 샤프트바디부(C)의 안내공(312)을 관통하면서 상기 안내공(312)의 일측에 위치한 록킹부(32)의 록킹돌기(321)가 록킹부(32)의 내측으로 밀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c는 고정샤프트(B)의 록킹홈(211)이 록킹부(32)에 결합되어진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샤프트(B)가 완전히 끼움결합되어 상기 록킹돌기(321)가 내부 스프링(324)의 복원력에 의하여 고정편(21)의 록킹홈(211)에 탄성결합되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거푸집(100)과 외부거푸집(110)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고정샤프트(B)가 더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타설에 의하여 샤프트바디부(C)에 결합된 고정샤프트 (B)가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도 3d는 고정샤프트(B)가 결합된 록킹부(32)에 컷팅홀더(D)가 결합되어진 사시도로서 상기 컷팅홀더(D)의 헤드부(40)에 형성된 결합홈부(401)가 록킹부(32)와 끼움결합되고 상기 컷팅홀더(D)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402)는 고정편(21)의 통공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e는 상기 컷팅홀더(D)가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와 같이 컷팅홀더(D)를 좌,우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콘크리트에 고정된 고정샤프트(B)의 고정편(21)이 지지력을 상실하여 절단가능한 것이며 도 3f는 상기 컷팅홀더(D)에 의하여 고정편(21)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상기 컷팅홀더(D) 일측의 손잡이(41)를 잡은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어줌으로서 고정편(21)이 절단됨과 동시에 외부거푸집(110)에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록킹홈(311')이 결합된 타측 고정편(21')은 상기 V자형 컷팅홈(212')을 중심으로 절단하여 외측면 역시 별도의 돌출부가 더 이상 마련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내,외부 거푸집(100),(110)이 분리되는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샤프트(B)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샤프트(B)의 고정편(21),(21')을 각각 컷팅하여 내부거푸집(100)과 외부거푸집(110)을 벽체(120)와 분리가능하게 형성한 후 도 4b와 같이 크레인등과 같은 승강수단을 상기 코너패널을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코너패널이 승강패널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하여 골조역할을 제공하는 고정봉(20)이 심지된 벽체(120)만 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간을 연결하는 고정샤프트에 의하여 내,외부 거푸집간의 간격을 균등하게 조절가능하며 상기 컷팅홀더등에 의하여 고정샤프트의 고정편을 분리제거함으로서 내,외부 거푸집이 벽체와 분리됨은 물론 상기 벽체의 내측으로 고정봉이 심지되어 골조역할을 제공함으로서 보다 강도가 우수한 벽체가 완성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샤프트의 록킹홈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서 작업의 단순화와 철거의 신속화등은 물론 공사비용의 절감등의 효과등이 기대되는 것으로서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실로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고정샤프트와 샤프트바디부가 결합되어지는 고정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A)은 원형의 고정봉(20) 양측으로 고정편(21),(21')이 형성된 고정샤프트(B)와 몸체부(30) 중앙에 형성된 걸림환홈(301)에 회전체(31)의 걸림환턱(311)이 회전결합되어진 샤프트바디부(C)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회전체(31)의 일측에는 록킹부(32)가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안내공(31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샤프트(B)의 고정편(21)에 형성된 록킹홈(211)이 회전체(31)의 안내공(312)을 관통하여 록킹부(32)의 록킹돌기(321)와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32)는 일측으로 록킹돌기(321)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돌기(321)의 배면부는 록킹부(32)와 탄성결합되어지도록 상,하부에 걸림턱(32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22)과 록킹부(32)의 공간부(323)에는 스프링(324)이 체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브라켓.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샤프트(B)는 고정봉(20)의 일측에 외주연을 따라 컷팅홈(201)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브라켓.
  4.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샤프트(B)의 일측 고정편(21)에는 록킹홈(211)의 일측으로 통공(212)이 형성되고 타측 고정편(21')에는 양측으로 V자형 컷팅홈(212')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브라켓.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샤프트(B)가 록킹결합된 록킹부(32)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32)가 결합되어지는 결합홈부(401)가 헤드부(4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40)의 일측에는 가이드돌기(402)가 돌설되어 고정편(21)의 통공(212)과 끼움결합되어지는 컷팅홀더(D)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브라켓.
KR1020050033392A 2005-04-22 2005-04-22 고정브라켓 KR100641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392A KR100641409B1 (ko) 2005-04-22 2005-04-22 고정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392A KR100641409B1 (ko) 2005-04-22 2005-04-22 고정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911A KR20050079911A (ko) 2005-08-11
KR100641409B1 true KR100641409B1 (ko) 2006-10-31

Family

ID=3726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392A KR100641409B1 (ko) 2005-04-22 2005-04-22 고정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412B1 (ko) * 2005-04-22 2006-10-31 장창근 엘리베이터 하우징 내부거푸집 시공구조
KR100800536B1 (ko) * 2006-04-06 2008-02-04 깨뱉시스템주식회사 탈형이 용이한 대형거푸집,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과벽체철근의 긴결구조 및 벽체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911A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409B1 (ko) 고정브라켓
KR100826556B1 (ko) 슬라브용 패널구조체
KR101050493B1 (ko) 수직 거푸집 지지용 거푸집지지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매립 콘 장치, 이를 이용한 거푸집지지 조립체의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방법
KR100641412B1 (ko) 엘리베이터 하우징 내부거푸집 시공구조
CN205329728U (zh) 一种线井井盖
JP6421397B2 (ja) コンクリート覆工型枠の天井フォーム用の吊り上げ金具、コンクリート覆工型枠の天井フォームの吊り上げ方法、コンクリート覆工型枠の組み上げ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覆工型枠の解体方法
JP5538150B2 (ja) 住宅用基礎を形成するのに用いられる仮設材のための仮設材定規
KR100538133B1 (ko) 건축물의 창문틀 고정 구조
KR20110131593A (ko) 슬라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130028846A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KR200423402Y1 (ko) 유로 폼
KR20050110579A (ko)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측면 보강시설
KR101381660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101038353B1 (ko) 매립형 통신기기 수납함
JP2012240279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梁部材の製造用型枠、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梁部接合用部材の製造用型枠、インサートキット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梁部材用位置決め金具
KR200462050Y1 (ko) 거푸집 판넬
KR100650919B1 (ko) 고정브라켓
JP2007092310A (ja) 内型枠構造
KR200397219Y1 (ko) 거푸집의 스라브 횡지지대
JP4780439B2 (ja) 鋼管柱
KR100641411B1 (ko) 고정브라켓
JP5913265B2 (ja) 梁補強方法および構造、ならびに補助梁支持具
JP7462101B1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及び、型枠設置方法
JP2003184305A (ja) 型枠組立て用のフックボルト
JP4938808B2 (ja) サポート設置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