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584Y1 -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584Y1
KR200367584Y1 KR20-2004-0024424U KR20040024424U KR200367584Y1 KR 200367584 Y1 KR200367584 Y1 KR 200367584Y1 KR 20040024424 U KR20040024424 U KR 20040024424U KR 200367584 Y1 KR200367584 Y1 KR 200367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w boss
screw
boss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4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5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기기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은, 프론트 프레임의 양쪽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프론트 스크류 보스; 리어 프레임에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와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리어 스크류 보스; 상기 리어 스크류 보스로부터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로 체결되는 스크류; 및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의 보강을 위하여 프론트 스크류 보스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 프론트 스크류 보스가 프론트 프레임의 내측벽에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프론트 스크류 보스의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충격 등에 의한 프론트 스크류 보스의 크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Screw fixing unit for assembling the frame of electronic machine}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시 많이 사용되는 스크류 체결유닛에 관한것이다.
전자기기, 예컨대, 프로젝션 텔레비젼 등의 프레임은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을 구비한다. 프레임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이 수용되기 때문에,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은 내부 부품의 보수 유지 등을 위하여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프로젝션 텔레비젼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구조로 스크류 체결유닛이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한 예인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프론트 프레임, 20은 리어 프레임, 그리고, 부호 30은 스크류 체결유닛이다.
상기 스크류 체결유닛(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양쪽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프론트 스크류 보스(31),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31)와 대응하도록 상기 리어 프레임(20)에 형성된 복수의 리어 스크류 보스(32) 및 상기 리어 스크류 보스(32)로부터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31)쪽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스크류(3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스크류 체결유닛(30)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프론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20)을 분리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제품의 보수 유지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은, 프론트 스크류 보스(31) 및 리어 스크류 보스(32)가 원통형으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외부 충격에 취약한 구조를 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금이 가거나 파손됨으로써 소비자 불만 사항으로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크류 보스 보강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한 예인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보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프론트 프레임 111: 프론트 스크류 보스
120: 리어 프레임 121: 리어 스크류 보스
130: 보강부재 131: 지지부
132: 고정부 133: 연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은, 전자기기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며,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양쪽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프론트 스크류 보스; 상기 리어 프레임에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와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리어 스크류 보스; 상기 리어 스크류 보스로부터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로 체결되는 스크류; 및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의 보강을 위하여 프론트 스크류 보스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프론트 프레임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또한,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 프론트 스크류 보스가프론트 프레임의 내측벽에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프론트 스크류 보스의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충격 등에 의한 프론트 스크류 보스의 크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은,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 리어 스크류 보스(121) 및 보강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는 텔레비젼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전면을 지지하는 프론트 프레임(110)의 양쪽 내측에 긴 원통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리어 스크류 보스(121)는 상기 전자기기의 후면을 지지하는 리어 프레임(120)에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와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와 리어 스크류 보스(121)는 나사공을 구비하여 하나의 스크류(134)에 의해 체결되어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134)는 리어 스크류 보스(121)로부터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로 체결되며, 이를 위해,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의 일단은 리어 스크류 보스(121)의 일단에 일부 삽입된다.
상기 보강부재(130)는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의 보강을 위하여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의 일측 외주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1), 고정부(132) 및 연결부(133)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31)는 리어 스크류 보스(121)에 일단이 삽입되는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에 간섭을 주지 않는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대략 원통형이다.
상기 고정부(132)는 지지부(131)로부터 연장되어 프론트 프레임(110)의 내측벽에 접착제와 같은 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는 프론트 프레임(110)에 대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되며,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가 삽입되는 리어 스크류 보스(121)도 리어 프레임(120)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133)는 고정부(132)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또한, 지지부(131)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고정부(132)와 지지부(131)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보강부재(130)에 의해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가 프론트 프레임(110)의 일측 내측벽에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의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외부충격 등에 의해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의 크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부재(130)의 형상을 고정부(132), 지지부(131) 및 연결부(133)를 구비하도록 도시하였으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프론트 스크류 보스(111) 및/또는 리어 스크류 보스(121)를 프론트 프레임(110) 및/또는 리어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시키고 외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것이든 관계없다.
또한, 상기 고정부(132)가 접착제와 같은 수단에 의해 프론트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도시하였으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크류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수단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은,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 프론트 스크류 보스가 프론트 프레임의 내측벽에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프론트 스크류 보스의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외부충격 등에 의한 프론트 스크류 보스의 크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기기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소비자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전자기기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양쪽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프론트 스크류 보스;
    상기 리어 프레임에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와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리어 스크류 보스;
    상기 리어 스크류 보스로부터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로 체결되는 스크류; 및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의 보강을 위하여 프론트 스크류 보스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프론트 스크류 보스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프론트 프레임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또한,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
KR20-2004-0024424U 2004-08-26 2004-08-26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 KR200367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424U KR200367584Y1 (ko) 2004-08-26 2004-08-26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424U KR200367584Y1 (ko) 2004-08-26 2004-08-26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584Y1 true KR200367584Y1 (ko) 2004-11-15

Family

ID=4944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424U KR200367584Y1 (ko) 2004-08-26 2004-08-26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5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6542B2 (ja) 画像表示装置
KR1004502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43525A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キャリアのラジエータアッパーマウンティング部構造
EP3763111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vibration-proof fixing structure for vibration-generating component
JP2005180793A (ja) 空気調和機
KR200367584Y1 (ko) 전자기기의 프레임 조립용 스크류 체결유닛
JP2005268868A (ja) 補強兼取付構造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11227355A (ja) 薄型表示装置
JP4977513B2 (ja) スピーカ固定構造及びその固定方法
JP4497152B2 (ja) 薄型表示装置
KR2009002312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12056A (ja)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EP2429213B1 (en) Fixing mechanism
KR10044542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116210A (ja) 駆動装置の取付構造
JP2009130538A (ja) 画像表示装置
KR20080038888A (ko) 패널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6237771A (ja) スピーカユニット、スピーカ装置及びスピーカシステム
KR100643245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12010034A (ja) ボックス型カメラ
JP2009207214A (ja) 筺体の構造
KR200398581Y1 (ko) 저장 장치 조립체
US20110096474A1 (en) Electronic device
JP2022168659A (ja) 表示装置用取付構造、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用取付構造の取付方法
KR100588673B1 (ko) 차량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