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475Y1 -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 Google Patents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475Y1
KR200367475Y1 KR20-2004-0022223U KR20040022223U KR200367475Y1 KR 200367475 Y1 KR200367475 Y1 KR 200367475Y1 KR 20040022223 U KR20040022223 U KR 20040022223U KR 200367475 Y1 KR200367475 Y1 KR 200367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edling
frames
transfer devic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춘
Original Assignee
서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춘 filed Critical 서영춘
Priority to KR20-2004-0022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4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4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7Grids for supporting several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된 육묘상자를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손쉽게 꺼내어 이앙기에 옮길 수 있도록 하여 허리통증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 이 상/하부 프레임(11)(12)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14)과, 이 수직프레임들 사이에 횡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3)으로 구성된 육묘운반틀(10)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수직프레임 중 양측단에 위치된 수직프레임(14a)(14a)의 전면에 서로 동일선상에 오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4a)(14a)의 전면에 결합된 2개의 브라켓(20)(20)들과, 상기 브라켓(20)에 거치되는 거치편(31)이 양측단에 각각 돌설된 2개의 양측프레임(32)(32)들과 이 양측프레임(32)(32)들을 연결하는 2개의 횡간프레임(33)(33)들과, 상기 횡간프레임(33)(33)들의 내부에 다수개 구비된 롤링가이드부재(40)를 갖는 이송장치(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은, 지지프레임에 육묘상자를 다수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고, 운반시 많은 양의 육묘상자가 한번에 운반됨에 따라 운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송장치에 의해 수납된 육묘상자를 용이하게 꺼내어 모를 심는 현장에 내려놓을 수 있어 작업자가 일일이 허리를 굽히는 동작이 생략됨에 따라, 작업자의 소인원만으로도 모를 심는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SAPLINGS CARRYING FRAME WITH TRANSFER DEVICE}
본 고안은 다수개의 육묘상자를 보관함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육묘운반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틀을 이루는 프레임의 일측에 브라켓을 구비하고 이 브라켓에 지지되어 보관되거나 또는 이 브라켓에 거치시켜 사용되는 이송장치를 더 구비하여 육묘틀에 보관된 육묘상자를 내려 작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육묘상자를 들고 이동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허리를 반복적으로 굽히지 않고도 쉽게 육묘상자를 운반틀에서 내려 놓을 수 있도록 한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모를 논에 심는 이른바, 모내기를 하기 위해서는 육묘상자를 이용하여 못자리에서 육묘를 키운 후, 이 육묘가 심어진 육묘상자를 리어카나 지게를 이용하여 일일이 논으로 옮긴 다음, 이앙기를 이용하여 논에 모를 심었기 때문에, 육묘를 이앙기에 옮기거나 또는 못자리에서 육묘상자를 작업자가 일일이 리어카나 지게 등을 이용하여 옮김에 따라 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많은 인원이 요구될 수 밖에는 없는 실정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육묘상자가 적층된 육묘운반틀(육묘장치)이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육묘운반틀은 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의 보관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모의 생육을 위한 육묘상자를 다수개 적층시켜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종래의 육묘운반틀은 대략 정방형의 받침 프레임체가 구비되고 그 받침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상면에 측면 프레임체가 수직으로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 자유단부 사이에는 연결프레임이 다수개 결합된다. 여기에 각각의 연결프레임 일측에는 상부 끼움고리가 바깥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이와 상응한 위치의 받침 프레임체의 일측과 타측에는 하부 끼움고리가 바깥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체의 내부 즉, 받침프레임과 연결프레임에 양측단이 연결된 수직프레임 사이에는 상측으로 절곡된 지지벽을 갖는 육묘상자 지지판재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육묘운반틀은, 상기 육묘상자 지지판재에 육묘상자를 올려 놓음으로써, 많은 양의 육묘상자를 하나의 틀에 보관할 수 있고, 또한 많은 양의 육묘상자를 트렉터 등을 이용하여 한번에 운반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인원이 적게 들고 작업효율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육묘운반틀에 보관된 육묘상자를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꺼내어야 함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자주 굽히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함에 따라 허리통증 등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무거운 육묘상자를 들다가 자칫 부주의로 인해 작업자가 허리디스크 등과 같은 요추에 무리를 주게 되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다수개의 육묘상자가 보관 또는 운반되는 육묘운반틀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관된 육묘상자를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여 허리통증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의 구성요부인 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의 구성요부인 롤링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a,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의 구성요부인 이송장치가 육묘운반틀에 거치되어 보관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의 구성요부인 이송장치가 육묘운반틀에 지지되어 육묘상자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육묘운반틀 11 : 상부프레임
12 : 하부프레임 13 : 지지프레임
14 : 수직프레임 20 : 브라켓
21 : 결합편 22 : 연장편
23 : 지지편 30 : 이송장치
31 : 거치편 32 : 양측프레임
33 : 횡간프레임 40 : 롤링가이드부재
41 : 지지축 42 : 롤링부
43 : 베어링 50 : 육묘상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이 상/하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과, 이 수직프레임들 사이에 횡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육묘운반틀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수직프레임 중 양측단에 위치된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서로 동일선상에 오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된 2개의 브라켓들과; 상기 브라켓에 거치되는 거치편이 양측단에 각각 돌설된 2개의 양측프레임들과 이 양측프레임들을 연결하는 2개의 횡간프레임들과, 상기 횡간프레임들의 내부에 다수개 구비된 롤링가이드부재를 갖는 이송장치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결합편이 일측에 형성되고, 이 결합편으로부터 연장된 연장편과, 이 연장편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입설된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이 브라켓의 결합편에 별도의 핀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부와 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의 횡간프레임의 내측부에 다수개 구비된 롤링가이드부재는, 상기 2개의 횡간프레임의 내측 양단에 양측이 용착된 지지축과, 이 지지축의 외주연에 포설된 롤링부와 이 롤링부의 양측단 내측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지지축에 축설된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구성된 본 고안은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은, 지지프레임에 육묘상자를 다수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고, 운반시 많은 양의 육묘상자가 한번에 운반됨에 따라 운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송장치에 의해 수납된 육묘상자를 용이하게 꺼내어 모를 심는 현장에 내려놓을 수 있어 작업자가 일일이 허리를 굽히는 동작이 생략됨에 따라, 작업자의 소인원만으로도 모를 심는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고안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의 구성요부인 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의 구성요부인 롤링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은,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 이 상/하부 프레임(11)(12)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14)과, 이 수직프레임들 사이에 횡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3)으로 구성된 육묘운반틀(10)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수직프레임 중 양측단에 위치된 수직프레임(14a)(14a)의 전면에 서로 동일선상에 오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4a)(14a)의 전면에 결합된 2개의 브라켓(20)(20)들과, 상기 브라켓(20)에 거치되는 거치편(31)이 내측단에 각각 돌설된 2개의 양측프레임(32)(32)들과 이 양측프레임(32)(32)들을 연결하는 2개의 횡간프레임(33)(33)들과, 상기 횡간프레임(33)(33)들의 내부에 다수개 구비된 롤링가이드부재(40)를 갖는 이송장치(30)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20)은 상기 수직프레임(14a)(14a)의 전면에 결합되는 결합편(21)이 일측에 형성되고, 이 결합편(21)으로부터 연장된 연장편(22)과, 이 연장편(22)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입설된 지지편(2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0)은, 이 브라켓(20)의 결합편(21)에 별도의 핀(P)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4a)(14a)의 전면부와 핀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핀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브라켓(20)의 결합편(21)을 상기 수직프레임(14a)(14a)의 전면부와 용접작업에 의해 용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이송장치(30)의 횡간프레임(33)(33)들의 내측부에 다수개 구비된 롤링가이드부재(40)는, 상기 2개의 횡간프레임(33)(33)들의 내측 양단에 양측이 용착된지지축(41)과, 이 지지축(41)의 외주연에 포설된 롤링부(42)와 이 롤링부(42)의 양측단 내측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지지축(41)에 축설된 베어링(4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은, 육묘상자(50)를 상기 지지프레임(13)에 수납하여 보관하다가, 모내기를 하고자 할 때, 별도의 트렉터 등과 같은 운송장치를 이용하여 모내기를 하는 논으로 운반하여 이앙기에 상기 육묘상자를 옮기어 모내기를 작업을 수행한다.
본 고안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은, 상기 모내기를 하기 위해 육묘운반틀에 보관된 육묘상자를 이앙기에 옮기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육묘운반틀에 구비된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쉽게 이앙기에 육묘상자를 옮길 수 있음에 따라, 모내기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이송장치(30)는, 육묘상자(50)가 보관된 육묘운반틀(10)의 수직프레임(14a)(14a) 전면부에 결합된 브라켓(20)에 거치되다가, 필요할 때에 이송장치(30)를 육묘운반틀(1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 이송장치(30)를 육묘운반틀(10)에 보관하는 방법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30)를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세운 상태에서 상기 육묘운반틀(10)에 구비된 수직프레임(14)들 중, 양측 끝단에 입설된 수직프레임(14a)(14a)의 전면부에 핀(P)에 의해 결합된 브라켓(20)의 지지편(23) 내측, 다시 말해 이 지지편(23)과 브라켓(20)이 결합편(21) 사이에 상기 이송장치(30)의 내측단에 돌설된 거치편(31)(31)을 각각 거치 하여 보관한다.
또한, 육묘운반틀(10)에 보관된 육묘상자(50)를 꺼내어 이앙기로 옮기기 위해 상기 이송장치(30)를 사용할 경우엔, 상기 브라켓(20)에 거치된 이송장치(30)의 거치편(31)(31)을 상기 브라켓(20)의 지지편(23) 내측으로부터 이탈시켜 이송장치(30)를 육묘운반틀(10)로부터 분리한 후, 이 이송장치(30)를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뉘여 상기 이송장치(3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된 양측 횡간프레임(33)(33)들 중, 어느 하나의 횡간프레임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0)의 지지편(23)과 결합편(21)사이에 인입시켜 끼워 상기 이송장치(30)의 내측에 구비된 롤링가이드부재(40)가 수평되게 한 후, 이 롤링가이드부재(40)의 상단측에 육묘상자(50)를 올려 놓고 밀어 육묘상자를 이송시켜 이앙기에 옮기면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이송장치(30)의 끝단에 위치하고 있다가 이송되는 육모상자를 이앙기에 옮기어 실으면 되기 때문에, 육묘상자를 이송장치에 옮기는 작업자와 이송된 육묘상자를 이앙기에 옮기는 작업자 2명만 있으면, 간단하게 해결될 수 있어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치 않게 된다.
본 고안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의 양측 끝단에 구비되는 브라켓은 상측부와 하측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브라켓은 육묘운반틀의 수직프레임 어느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된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에 의하면, 지지프레임에 육묘상자를 다수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고, 운반시 많은 양의 육묘상자가 한번에 운반됨에 따라 운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송장치에 의해 수납된 육묘상자를 용이하게 꺼내어 모를 심는 현장에 내려놓을 수 있어 작업자가 일일이 허리를 굽히는 동작이 생략됨에 따라, 작업자의 소인원만으로도 모를 심는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4)

  1.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 이 상/하부 프레임(11)(12)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14)과, 이 수직프레임들 사이에 횡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3)으로 구성된 육묘운반틀(10)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수직프레임 중 양측단에 위치된 수직프레임(14a)(14a)의 전면에 서로 동일선상에 오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4a)(14a)의 전면에 결합된 2개의 브라켓(20)(20)들과;
    상기 브라켓(20)에 거치되는 거치편(31)이 내측단에 각각 돌설된 2개의 양측프레임(32)(32)들과 이 양측프레임(32)(32)들을 연결하는 2개의 횡간프레임(33)(33)들과, 상기 횡간프레임(33)(33)들의 내부에 다수개 구비된 롤링가이드부재(40)를 갖는 이송장치(3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은 상기 수직프레임(14a)(14a)의 전면에 결합되는 결합편(21)이 일측에 형성되고, 이 결합편(21)으로부터 연장된 연장편(22)과, 이 연장편(22)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입설된 지지편(23)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은, 이 브라켓(20)의 결합편(21)에 별도의 핀(P)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4a)(14a)의 전면부와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30)의 횡간프레임(33)(33)들의 내측부에 다수개 구비된 롤링가이드부재(40)는, 상기 2개의 횡간프레임(33)(33)들의 내측 양단에 양측이 용착된지지축(41)과, 이 지지축(41)의 외주연에 포설된 롤링부(42)와 이 롤링부(42)의 양측단 내측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지지축(41)에 축설된 베어링(43)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KR20-2004-0022223U 2004-08-03 2004-08-03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KR200367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223U KR200367475Y1 (ko) 2004-08-03 2004-08-03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223U KR200367475Y1 (ko) 2004-08-03 2004-08-03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475Y1 true KR200367475Y1 (ko) 2004-11-10

Family

ID=4935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223U KR200367475Y1 (ko) 2004-08-03 2004-08-03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4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5975B (fi) Menetelmä taimien istutuskoneessa ja taimien istutuskone
KR200367475Y1 (ko)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JP2007222091A (ja) 田植機の予備苗台構造
KR200386608Y1 (ko) 지지부재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CN209739100U (zh) 一种苗木种植用搬运装置
KR200389359Y1 (ko) 육묘운반틀의 이송장치 지지구조
JP3090257U (ja) 育苗箱の搬送具
KR200375666Y1 (ko) 개량형 육묘운반들
KR200390118Y1 (ko) 발 받침부재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KR200381382Y1 (ko) 커버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KR200390117Y1 (ko) 발 받침부재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JP2547707Y2 (ja) 苗箱収納枠搬送用フレーム
JPS5814829Y2 (ja) 田植機の予備苗収容装置
JP2007006760A (ja) 可撓性のポット苗箱の積載方法及びその運搬具
JP2009011231A (ja) 苗運搬用のコンテナ
JP4928389B2 (ja) 苗箱保持枠
JPH0623208Y2 (ja) 田植機の苗供給構造
JP3205447U (ja) 育苗箱運搬具
JP3175806U (ja) 育苗箱運搬具
JP2547969B2 (ja) 紙筒整列苗供給装置
JP2015029485A (ja) 移動栽培装置
JPH08104424A (ja) 育苗箱用播種段積運搬装置
KR20030048286A (ko) 모판 운반대
JP4067020B2 (ja) 田植機
JPH11199057A (ja) 苗コンテナの積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