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444Y1 - 마개가 설치된 단소 - Google Patents

마개가 설치된 단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444Y1
KR200367444Y1 KR20-2004-0016178U KR20040016178U KR200367444Y1 KR 200367444 Y1 KR200367444 Y1 KR 200367444Y1 KR 20040016178 U KR20040016178 U KR 20040016178U KR 200367444 Y1 KR200367444 Y1 KR 200367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danso
mouthpiece
mou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태
Original Assignee
이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태 filed Critical 이규태
Priority to KR20-2004-0016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1Tun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4Valves; Valve contr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통악기인 단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소의 취구를 입술로 막고 바람 불어 소리내는 것을 취구에 마개를 설치하여 보다 쉽게 소리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단에 취구(4)와 라비움(5)이 형성되고 다수의 지공을 개폐시킴으로써 음을 발생시키는 단소(1)에 있어서,
상기 단소(1)의 취구(4)에 약 4/5의 반원형태의 마개(6)를 설치하여 단소(1)를 쉽게 소리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개가 설치된 단소{a}
본 고안은 전통악기인 단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소의 취구를 입술로 막고 바람 불어 소리내는 것을 취구에 마개를 설치하여 보다 쉽게 소리낼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소의 재료는 3~4년 정도 묵은 황죽(黃竹), 오죽(烏竹), 청죽(靑竹:마디가 많음), 반죽(斑竹:얼룩대) 등을 많이 쓰며, 질은 산세(山勢), 토양, 기후 등 성장과정에 따라 다르며, 같은 밭에서 자란 대나무도 양지와 음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해풍(海風)의 영향을 받고 자란 야생으로 중부 이남의 경상도나 전라도 지방의 황죽이나 청죽을 많이 사용한다.
대(죽)는 둥근 숫대보다 납작한(타원형) 암대가 음색이 좋고, 연주하기가 편하다.
황죽은 대(죽)가 강해 약간 어둡고 무거운 편으로 기품이 있어 단소의 재료로 으뜸이며, 청죽은 황죽과 비슷하나 음색이 더욱 맑은 소리가 난다.
오죽은 운치가 있으며, 맑고 부드러운 소리가 나지만 재질이 약하고, 음색이 쉽게 퇴색되는 것이 흠이며, 좋은 재료를 구하기가 어렵다.
최근에는 인체에 해롭지 않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lene)와 같은 프라스틱재를 많이 사용하며, 프라스틱재의 단소가 초보자에게는 음을 비교적 정확하게 낼 수 있으므로 쉽게 연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선출원된 출원번호 20-2002-0022853호(블럭 삽입식 개량 단소)는 취구와 라비움 사이에 블럭을 삽입시킨 것으로 초보자나 어린아이가 단소를 불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단소의 형태는 취구에 라비움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상기 블럭삽입식 개량 단소는 취구부에 라비움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단소라 하기보다는 마치 피리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취구를 입술로 막고 바람을 불어 소리를 내는 단소의 경우, 초보자나 어린아이인 경우 취구를 입술로 막고 불기가 매우 어려워 제대로 소리 내지를 못하는 것을 취구에 마개를 설치하여 초보자나 어린아이에게 불기 편리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 는 종래의 블럭이 삽입된 개량단소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소 2 : 상부
3 : 하부 4 : 취구
5 : 라비움 6 : 마개
6' : 돌출부 7 : 번지공
8 : 뒷지공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단소(1)는 보통 원통의 상측에 4개의 번지공(7)이 형성되고 하측에 1개의 뒷지공(8)이 형성되며, 상부의 취구(4)에는 라비움(5)이 형성된다.
단소(1)의 연주 방법은 왼손 엄지로 뒷지공(8)을 막고 왼손의 식지와 장지 그리고 오른손 장지로 3개의 번지공(7)을 막는다. 마지막 번지공은 막지 않고 나머지 손가락들은 가볍게 악기위에 올려 놓고, 취구(4)에 입술로 약 4/5 가량 막고 바람을 불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소(1)를 상부(2)와 하부(3)로 분리 시켜 보관 및 취급이 편리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상부(2)의 일측에는 취구(4)와 라비움(5)이 형성되고, 상기 취구(4)에는 약 4/5의 반원 형태의 마개(6)가 설치되며, 타측에는 하부(3)와 결합할 수 있도록 요철부(2')와 뒷지공(8)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3)의 일측에는 상부(2)와 결합시킬 수 있도록 요철부(3')가 형성되고, 4개의 번지공(7)이 형성된다.
취구(4)에 설치된 마개(6)는 약 4/5의 반원형태로 취구(4)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6')를 형성하여 취구(4)에 설치 및 분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돌출부(6')가 형성된 마개(6)는 취구(4)에 설치하였다가, 사용자가 숙달이 되면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단소를 처음 대하는 초보자나 어린아이인 경우 소리를 내기 힘들어 쉽게 포기하는 것을 본 고안에 의해서 누구나 쉽게 단소의 소리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쉽게 배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Claims (2)

  1. 상단에 취구(4)와 라비움(5)이 형성되고 다수의 지공을 개폐시킴으로써 음을 발생시키는 단소(1)에 있어서,
    상기 단소(1)의 취구(4)에 약 4/5의 반원형태의 마개(6)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가 설치된 단소.
  2. 제 1항에 있어서, 마개(6)에 돌출부(6')를 설치하여 취구(4)에 설치 및 분리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가 설치된 단소.
KR20-2004-0016178U 2004-06-09 2004-06-09 마개가 설치된 단소 KR200367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78U KR200367444Y1 (ko) 2004-06-09 2004-06-09 마개가 설치된 단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78U KR200367444Y1 (ko) 2004-06-09 2004-06-09 마개가 설치된 단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444Y1 true KR200367444Y1 (ko) 2004-11-10

Family

ID=4944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178U KR200367444Y1 (ko) 2004-06-09 2004-06-09 마개가 설치된 단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4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251Y1 (ko) 개량형 정악대금
US7638700B1 (en) Mouthpiece for single reed woodwind instrument
US4041827A (en) Tone enhancing device for reed type musical instruments
CA2506123C (en) Transverse whistle flute and method of playing
KR200367444Y1 (ko) 마개가 설치된 단소
KR200483190Y1 (ko) 바로크식 운지법과 독일식 운지법의 선택 적용이 가능한 리코더 링
KR100658593B1 (ko) 바른 운지 학습용 단소
KR200435519Y1 (ko) 오카리나
KR200448359Y1 (ko)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WO2008056839A1 (en) T-type ocarina
CN2924715Y (zh) 巴芦笛
KR102067532B1 (ko) 관악기
KR200459972Y1 (ko) 경사면을 구비한 취구부를 포함하는 단소
KR20090077505A (ko) 리코더
CN219225881U (zh) 一种木管乐器辅助套筒
KR200483189Y1 (ko) 소금용 마우스피스 캡 및 그를 구비하는 소금
KR102331567B1 (ko) 개량 전통 관악기
KR20090004977U (ko) 보조 개폐구가 형성된 단소
KR200275588Y1 (ko) 오카리나
KR100798393B1 (ko) 오카리나
KR200359866Y1 (ko) 위치감지용 돌기가 형성된 단소
KR200256916Y1 (ko) 개량형 피리
KR101019110B1 (ko) 클라리넷
KR20160122555A (ko) 교재기능을 갖는 랭글리형 오카리나
KR200320690Y1 (ko) 리코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