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100Y1 -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 - Google Patents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100Y1
KR200367100Y1 KR20-2004-0024606U KR20040024606U KR200367100Y1 KR 200367100 Y1 KR200367100 Y1 KR 200367100Y1 KR 20040024606 U KR20040024606 U KR 20040024606U KR 200367100 Y1 KR200367100 Y1 KR 200367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auxiliary duct
auxiliary
hoo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Priority to KR20-2004-0024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1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직배기관(1)에 연결설치되며, 하부 중앙에 주방의 랜지후드(6)와 연결되는 후드배기구(21)가 형성되고, 보조배기구(5)와 연결된 플렉시블관(4)과 연결되는 연결구(22)가 형성되는 공지의 보조덕트(2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덕트(20)의 내측에, 일단이 상기 보조덕트(20)의 내측 후방 내주면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된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구(22)가 형성된 보조덕트(20)의 내측 후방으로부터 내측 전방측으로 좁아지도록 보조덕트(20) 내측의 전방 상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공간분배격판(23)이 더 구비되는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후드배기구(21)와 연결구(22)로 배출되는 주방의 실내공기가 보조덕트(20) 내부의 공간분배격판(23) 상하측의 두개의 공간으로 각각 배기되므로 배기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공간분배격판(23)의 상측 좁은 공간을 통해 배기되는 연결구(22)로의 배기시는 벤츄리관 효과에 의해 수직배기관(1)과 비교적 멀리떨어진 보조배기구(5)를 통해 배출되는 주방의 실내공기를 유도배출하는 포집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보조덕트의 일측 단부를 좁게 형성하기 위해 길이를 연장하였던 종래와 달리 보조덕트(20)의 규격이 최소화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연결구(22)에 역류방지도어(30)가 구비될시 수직배기관(1)의 압력 증가되어 그 내부의 공기가 보조배기구(5)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assistance duct structure for vertical exhaust pipe coupling}
본 고안은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력이 향상되도록 한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각 공간의 실내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해 건물 벽체에 부설된 수직배기관(1)에 각 실내에서 연결되는 보조덕트(10)를 연결설치한다.
여기서, 보조덕트(10)는 하부 중앙에 후드배기구(11)가 형성되고 후방에 연결구(12)가 형성되어, 후드배기구(11)가 후드팬(7)이 설치된 랜지후드(6)와 연결되며 연결구(12)는 랜지후드(6) 일측 천정에 형성된 보조배기구(5)과 연결되는 플렉시블관(4)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수직배기관(1)에 연결설치되는 종래의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는, 보조덕트(10)가 전체가 같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실내공기를 보조덕트(10)를 통해 수직배기관(1)으로 배출시켜서 수직배기관(1) 상부의 배기팬(3)에 의해 유도배기시 보조덕트(10)의 후드배기구(11)로 랜지후드(6)를 작동시켜 후드팬(7)에 의해 주방의 실내공기를 배출시켜 수직배기관(1)으로 배기되도록 하며, 랜지후드(6)에서 미쳐 배출되지 못한 주방의 실내공기는 보조배기구(5)에 의해 플렉시블관(4)을 통과하여 보조덕트(10)의 연결구(12)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실내공기를 배출시 랜지후드(6)에서 후드배기구(11)로 직접배출되는 실내공기와 보조배기구(5)에 의해 연결구(12)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는 보조덕트(10) 내에서 부딪혀 섞이게 되며, 이에 따라 랜지후드(6)에서 후드배기구(11)를 통해 수직배기관(1)으로 직접배출되는 실내공기는 그 대부분이 수직배기관(1) 상부의 배기팬(3)에 의해 배기되고, 이와 반면 보조배기구(5)에 의해 배출되는 실내공기는 랜지후드(6)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부딪혀 섞이게 되면서 비교적 멀리떨어진 수직배기관(1)의 배기팬(3)에 의해 유도배출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보조덕트(10)를 통한 실내공기의 배기시 배기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보조배기시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유도배출하기 위한 포집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직배기관(1)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 수직배기관(1) 내의 공기가 보조덕트(10)의 연결구(12) 측으로 역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조덕트의 길이를 연장하여 전방과 후방의 직경을 달리하고 후방 연결구 측의 직경을 최소화하여 벤츄리관의 효과를 구현하도록 한 보조덕트를 고안하였으나, 이는 그 길이 및 폭이 증대됨에 따라 설치공간이 증대되어 좁은 공간에서는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기력 및 포집력이 향상되고,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수집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는, 건물벽체에 부설된 수직배기관에 연결설치되고 랜지후드에 연결설치되는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기관에 연결설치되며, 하부 중앙에 주방의 랜지후드와 연결되는 후드배기구가 형성되고, 보조배기구와 연결된 플렉시블관과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는 공지의 보조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덕트의 내측에, 일단이 상기 보조덕트의 내측 후방 내주면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된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구가 형성된 보조덕트의 내측 후방으로부터 내측 전방측으로 좁아지도록 보조덕트 내측의 전방 상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공간분배격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보조덕트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구의 관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연결구를 통한 배기시에만 열리도록 설치되는 역류방지도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후드배기구와 연결구로 배출되는 주방의 실내공기가 보조덕트 내부의 공간분배격판 상하측의 두개의 공간으로 각각 배기되므로 배기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공간분배격판의 상측 좁은 공간을 통해 배기되는 연결구로의 배기시는 벤츄리관 효과에 의해 수직배기관과 비교적 멀리떨어진 보조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주방의 실내공기를 유도배출하는 포집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보조덕트의 일측 단부를 좁게 형성하기 위해 길이를 연장하였던 종래와 달리 보조덕트의 규격이 최소화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연결구에 역류방지도어가 구비될시 수직배기관의 압력 증가되어 그 내부의 공기가 보조배기구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를 보이는 부분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덕트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직배기관 2 ; 건물벽체
3 ; 배기팬 4 ; 플렉시블관
5 ; 보조배기구 6 ; 랜지후드
7 ; 후드팬 20 ; 보조덕트
21 ; 후드배기구 22 ; 연결구
23 ; 공간분배격판 30 ; 역류방지도어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를 보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로써, 수직배기관(1)에 연결설치되어 주방 등의 실내공기를 배기시키도록 구비되는 보조덕트(20)는, 랜지후드(6)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천정내에 설치되고 일측은 수직배기관(1)에 연결되며, 하부에는 후드팬(7)이 설치된 랜지후드(6)와 연결되어 랜지후드(6)로 유입되어 후드팬(7)에 의해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후드배기구(2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랜지후드(6)의 일측에서 천정에 형성되는 보조배기구(5)에 연결된 플렉시블관(4)과 연결되는 연결구(2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덕트(20)의 내부에는 도2와 같이 후드배기구(21)와 연결구(22) 사이에 공간분배격판(23)이 더 구비되는바, 공간분배격판(23)은 보조덕트(20)의 내부공간이 넓은 면적과 좁은 면적의 두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일단이 보조덕트(20)의 내측 후방 내주면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된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보조덕트(20) 내주면의 상측에 가깝도록 보조덕트(20)의 전방측으로 절곡형성된다.
여기서, 공간분배격판(23)은 보조덕트(20)의 벤츄리관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배기구(5)를 통한 보조배기시 연결구(22)로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공간분배격판(23)에 의해 구획된 보조덕트(20) 내의 좁은 공간을 통해 신속하게 배기되도록 하여 후드배기와 함께 보조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덕트(20)는 천정내에서 랜지후드(6)의 상부에 위치되어 전방은 건물의 벽체(2)에 부설된 수직배기관(1)에 연결되고, 하부 중앙의 후드배기구(21)는 랜지후드(6)에 연결되며, 후방의 연결구(22)는 랜지후드(6) 일측의 천정에 형성된 보조배기구(5)에 연결되는 플렉시블관(4)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보조덕트(20)가 수직배기관(1)에 연결된 상태에서 주방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주방의 랜지후드(6)를 작동시켜서 후드팬(7)에 의해 주방내의 공기를 보조덕트(20)의 후드배기구(21)로 배출시킨다.
후드배기구(21)로 배출된 실내공기는 보조덕트(20) 내에 구비된 공간분배격판(23)의 하측 즉, 공간분배격판(23)에 의해 구획된 넓은 공간을 통과하면서 수직배기관(1)으로 배출된다. 보조덕트(20)를 통해 배출된 수직배기관(1) 내의 공기는 상부의 배기팬(3)에 의해 상부로 유도 배출되어 주방내의 실내공기가 배기된다.
그리고, 랜지후드(6)로 미쳐 유입되지 못한 실내공기는 랜지후드(6) 일측의 천정에 형성된 보조배기구(5)에 의해 플렉시블관(4)을 통해서 보조덕트(20)의 연결구(22)로 배출된다.
이때, 플렉시블관(4)을 통해 보조덕트(20) 내부로 배출된 실내공기는 공간분배격판(23)의 상측 즉, 공간분배격판(23)에 의해 구획된 좁은 공간을 통과시, 일부가 가늘게 설계된 관에 공기를 흐르게 하면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벤츄리관 효과에 의해 공간분배격판(23)의 상측 좁은 공간으로 신속하게 통과되면서 수직배기관(1)으로 확실히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덕트(20)를 통해 배출된 수직배기관(1) 내의 공기는 상부의 배기팬(3)에 의해 상부로 유도 배출되어 주방내의 실내공기가 배기된다.
이러한 본 고안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는, 보조덕트(20)의 내부에서 후드배기구(21)와 연결구(22)의 사이에 공간분배격판(23)이 구비되므로 보조덕트(20) 내부가 두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두개의 배출통로를 가지게 됨에 따라 후드배기구(21)와 연결구(22)로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보조덕트(20) 내에서 섞이지 않고 공간분배격판(23)의 상측 및 하측의 공간을 통해 각각 수직배기관(1)으로 배기되어 배기력이 증대될 수 있다.
공간분배격판(23)이 연결구(22)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배출통로가 좁아지도록 보조덕트(20)의 내주면 후방 하단에서 전방 상측으로 절곡형성되어 구비되므로 연결구(22)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벤츄리관 효과에 의해 공간분배격판(23)의 상측의 좁은 공간을 통과할시 빠르게 통과되어 수직배기관(1)과 비교적 멀리떨어진 보조배기구(5)을 통해 배출되는 주방의 실내공기를 유도배출하는 포집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의 일측을 좁게 형성하기 위해 보조덕트의 길이가 연장되어 구비됨에 따라 보조덕트의 폭과 길이가 증대되었던 종래와 달리 보조덕트(20)의 길이를 연장할 필요없이 보조덕트(20) 내부에 공간분배격판(23)을 구비하여 보조덕트(20) 내부를 넓고 좁은 두개의 공간이 구획되도록 하므로 보조덕트(20)의 폭과 길이가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보조덕트(20)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되어 좁은 공간을 활용하여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로써, 보조덕트(20)의 내측에서 연결구(22)의 관단부에 힌지결합되고연결구(22)를 통한 배기시에만 열리도록 설치되는 역류방지도어(30)가 더 구비된다.
이 역류방지도어(30)는 보조배기구(5)에 의해 연결구(22)로 주방의 실내공기를 연결구(22)로 배기시킬시 연결구(22)를 직진으로 통과하는 실내공기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열리게 된다.
그리고, 수직배기관(1)에서 과도하게 압력이 증가하여 그 압력이 보조덕트(20)의 배기력보다 클시 수직배기관(1) 내의 공기가 연결구(22) 측으로 역류하게 되는데, 이때 역류방지도어(30)가 연결구(22)를 막고 있으므로 수직배기관(1) 내의 공기가 연결구(22)와 연결되는 보조배기구(5)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에 의하면, 후드배기구(21)와 연결구(22)로 배출되는 주방의 실내공기가 보조덕트(20) 내부의 공간분배격판(23) 상하측의 두개의 공간으로 각각 배기되므로 배기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공간분배격판(23)의 상측 좁은 공간을 통해 배기되는 연결구(22)로의 배기시는 벤츄리관 효과에 의해 수직배기관(1)과 비교적 멀리떨어진 보조배기구(5)를 통해 배출되는 주방의 실내공기를 유도배출하는 포집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보조덕트의 일측 단부를 좁게 형성하기 위해 길이를 연장하였던 종래와 달리 보조덕트(20)의 규격이 최소화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연결구(22)에 역류방지도어(30)가 구비될시 수직배기관(1)의 압력 증가되어그 내부의 공기가 보조배기구(5)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물벽체에 부설된 수직배기관에 연결설치되고 랜지후드에 연결설치되는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기관(1)에 연결설치되며, 하부 중앙에 주방의 랜지후드(6)와 연결되는 후드배기구(21)가 형성되고, 보조배기구(5)와 연결된 플렉시블관(4)과 연결되는 연결구(22)가 형성되는 공지의 보조덕트(2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덕트(20)의 내측에, 일단이 상기 보조덕트(20)의 내측 후방 내주면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된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구(22)가 형성된 보조덕트(20)의 내측 후방으로부터 내측 전방측으로 좁아지도록 보조덕트(20) 내측의 전방 상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공간분배격판(2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덕트(20)의 내측에서 상기 보조배기구(22)의 관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보조배기구(22)를 통한 배기시에만 열리도록 설치되는 역류방지도어(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
KR20-2004-0024606U 2004-08-27 2004-08-27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 KR200367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606U KR200367100Y1 (ko) 2004-08-27 2004-08-27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606U KR200367100Y1 (ko) 2004-08-27 2004-08-27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042A Division KR100596289B1 (ko) 2004-08-27 2004-08-27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100Y1 true KR200367100Y1 (ko) 2004-11-08

Family

ID=4935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606U KR200367100Y1 (ko) 2004-08-27 2004-08-27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1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577B1 (ko) * 2007-03-21 2008-07-10 삼성물산 주식회사 보조덕트가 구비된 레인지후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577B1 (ko) * 2007-03-21 2008-07-10 삼성물산 주식회사 보조덕트가 구비된 레인지후드
WO2008114906A1 (en) * 2007-03-21 2008-09-25 Samsung Corporation Range hood with auxiliary 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0038B1 (en) Suction and exhaust device
US20120292407A1 (en) Aspirating induction nozzle
CN216479098U (zh) 一种外导流式防火止回阀
JP3327247B2 (ja) 換気装置
US20070227526A1 (en) Backpressure-inhibiting device for exhausting apparatus
KR200367100Y1 (ko)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
CN113864492A (zh) 一种外导流式防火止回阀
KR100596289B1 (ko) 수직배기관 연결용 보조덕트 구조
KR101150935B1 (ko) 차량용 송풍장치
JP201113315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06626682U (zh) 壁挂式空调一体机
CN201412899Y (zh) 一种家用抽油烟机
CN108386890A (zh) 吸油烟机
CN105090119B (zh) 蜗壳及具有其的涡流风机、空调器
KR200436421Y1 (ko) 건물 지붕용 환기장치
JP2005326033A (ja) 屋外設置型燃焼器
KR101226467B1 (ko)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CN108468838B (zh) 烟道止回阀和具有其的烟道系统
KR200382865Y1 (ko) 기류형성 루버가 구비된 배기장치
JP2008057840A (ja) 空気調和機
KR100343318B1 (ko) 보일러용 급배기관
KR20150021197A (ko) 차량용 송풍장치
CN218495044U (zh) 一种吸油烟机
KR101703668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0115755Y1 (ko) 수직배기관의 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7

Year of fee payment: 3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