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467B1 -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 Google Patents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467B1
KR101226467B1 KR1020100058911A KR20100058911A KR101226467B1 KR 101226467 B1 KR101226467 B1 KR 101226467B1 KR 1020100058911 A KR1020100058911 A KR 1020100058911A KR 20100058911 A KR20100058911 A KR 20100058911A KR 101226467 B1 KR101226467 B1 KR 10122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ction
chamber
case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184A (ko
Inventor
조철휘
조은정
Original Assignee
조은정
조철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정, 조철휘 filed Critical 조은정
Publication of KR20110132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환풍기 구조는 내부에 에어 소통 챔버(12)가 구비된 환풍 케이스(10)와,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에어 소통 챔버(12)에 내장되어 회전 작동에 따라 에어를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팬(20)과, 상기 환기팬(20)의 배출측에 연통되도록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 구비된 배출구(40)와, 상기 배출구(40)에 대하여 상하 높이가 다르도록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환풍 케이스(10) 내부의 상기 에어 소통 챔버(12)로 에어가 부하 저항 없이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4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Ventilator assembly}
본 발명은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흡입시 부하 저항(예를 들어, 에어 흡입시 내부에 부딪히는 충돌 현상으로 인한 부하 저항)을 받는 현상 등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공조 효율은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특수 설계된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 주택이나 산업 현장의 건물과 같이 다양한 건물에 환기팬 구조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환기팬 구조는 내부에 환기팬이 구비되어 건물의 천정 등에 설치되며 건물의 각 실내에 덕트 유닛(예를 들어, 플렉시블관과 디퓨저 등)을 매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환기팬의 구동에 의해 건물 내의 흡기 및 배기, 공기조화,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욕실이나 화장실, 드레스룸 또는 주방 등의 각 실내에서 연기나 냄새 등을 흡입 배출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환풍기 제품 중에는 환풍기 몸체를 구성하는 대략 사각 박스형태의 환풍 케이스에 모터로 회전되는 환기팬을 내장 설치하고, 환풍 케이스의 네 군데 측벽부 중에서 하나의 측벽부에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환풍 케이스의 다른 측벽부에는 구멍을 따내는 방식으로 흡입용 구멍으로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흡입용 구멍에는 별체로 구성된 흡입구 유닛을 결합하고, 이러한 흡입구 유닛에 형성된 흡입구에 건물의 각 실내와 연통되는 플렉시블관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된 제품이 출시되어 있기도 하다.
그런데, 상기 환풍기 제품의 경우에는 환풍 케이스의 측벽부에 구멍을 따내는 방식으로 형성된 에어 흡입용 구멍 부분에 상기 흡입구 유닛을 결합하면, 환풍 케이스 내부로 에어가 흡입되는 에어 유입 챔버와 흡입구 유닛의 흡입구가 제대로 맞지 않기 때문에, 에어를 흡입하는 힘(즉, 에어를 빨아들이는 힘)이 적게 되므로, 공조 효율 저하는 물론 소음도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환풍 케이스 내부에는 환기팬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흡입된 에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챔버이기도 함)을 확보해야 하는 공간상의 설계 요인으로 인하여, 환풍 케이스의 측벽부에 구멍을 뚫는 방식으로 흡입구를 형성하더라도, 이러한 흡입구가 환풍 케이스 내부의 에어 흡입 챔버와 제대로 맞지 않아서 에어 흡입시 바로 에어가 환기팬 설치 공간용 측벽부에 부딪히게 되고, 이처럼 에어가 흡입되면서 바로 부딪힘으로 인하여 에어 흡입시의 부하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에어를 빨아들이는 힘이 제대로 나오지 않게 되므로, 에어 흡입 효율 저하 및 이로 인한 공조 효율 저하를 초래할 수밖에 없으며, 아울러, 이처럼 에어 흡입시 에어가 바로 부딪힘으로 인하여 소음도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흡입시 부하 저항 현상(즉, 에어 흡입시 에어가 바로 부딪힘으로 인한 부하 저항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풍 작동시의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한편 공조 효율은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새롭게 발명된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에어 소통 챔버(12)가 구비된 환풍 케이스(10)와,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에어 소통 챔버(12)에 내장되어 회전 작동에 따라 에어를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팬(20)과, 상기 환기팬(20)의 배출측에 연통되도록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 구비된 배출구(40)와, 상기 배출구(40)에 대하여 상하 높이가 다르도록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환풍 케이스(10) 내부의 상기 에어 소통 챔버(12)로 에어가 부하 저항 없이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4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에어 소통 챔버(12)는 에어 흡입 챔버(12a)와 에어 배출 챔버(12b)로 구획되고, 상기 배출구(40)는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배출 챔버(12b)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구(30)는 상기 배출구(40)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측벽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와 연통됨으로써, 상기 배출구(40)와 상기 흡입구(30)가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 통합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호 높낮이가 다른 상하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구(30)의 하단부 높이는 흡입되는 에어가 걸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의 바닥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보다 높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바닥부에는 모터(22)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2)의 회전축에는 환기팬(20)이 축결합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모터 수용홈(14)의 상측부는 상면에 에어 소통홀(16a)을 갖는 별도의 후드 패널(16)에 의해 커버되어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내부를 상기 후드 패널(16)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와 에어 배출 챔버(12b)로 구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30)와 상기 배출구(40) 부분에는 체결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각각 흡입 슬리브(32)와 배출 슬리브(42)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 슬리브(32)와 상기 배출 슬리브(42)의 일단부에는 각각 흡입용 관체와 배출용 관체가 연결되며, 상기 흡입 슬리브(32)와 상기 배출 슬리브(42)는 상기 흡입용 관체와 상기 배출용 관체가 연결되는 일단부에서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흡입구(30)과 상기 배출구(4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내경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확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내부에 구획된 에어 흡입 챔버(12a)와 에어 배출 챔버(12b) 중에서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에 상기 흡입구(30)가 연통되고,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30)와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에어 배출 챔버(12b)와 연통된 흡입 가이더(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 가이더(60)는 내부에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덕트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환풍 케이스(10) 내부의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30)에서 상기 에어 배출 챔버(12b)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좌우 내경이 넓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 가이더(60)는 내부에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덕트 형태로 구성됨과 동시에 적어도 좌우측에는 별도의 체결구 결합편(62)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 결합편(62)을 통과하는 체결구를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 바닥면에 체결하여 상기 흡입 가이더(6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환풍 케이스 내부는 에어 흡입 챔버와 에어 배출 챔버로 구획되고, 환풍 케이스의 측벽부에는 에어 흡입 챔버와 에어 배출 챔버에 각각 연통되는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되, 이러한 흡입구는 배출구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배출구와 흡입구가 환풍 케이스의 측벽부에 통합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호 높낮이가 다른 상하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환풍 케이스 내부에 에어 배출 챔버를 형성하는 부분에 의해 흡입구 부분이 바로 가로막히는 경우가 없어서, 흡입구를 통해 환풍 케이스 내부의 에어 소통 챔버로 에어가 유입될 때에 에어가 배출 챔버 형성 부분(즉, 후드 패널 부분)에 바로 부딪힘으로 인한 부하 저항이 작용되지 않고, 이처럼 부하 저항 없이 유입된 에어는 에어 배출 챔버를 거쳐서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으므로, 에어 흡입 효율을 높여서 공조 효율의 상당한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처럼 에어가 흡입될 때에 부딪히는 저항이 생기지 않음으로 인하여 에어 흡입시의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경우도 방지하는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에어 흡입시의 부하 저항을 작용하지 않도록 흡입구의 높이를 배출구의 높이와 다르게 하는 심플하면서도 특수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에어 흡입시의 저항력은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에어 흡입 효율 나아가 건물 공조 효율 등을 극대화시키면서도 소음 발생의 극소화시키는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풍 케이스의 내부에 구획된 에어 흡입 챔버와 에어 배출 챔버 중에서 에어 흡입 챔버에 흡입구가 연통되고, 이러한 환풍 케이스의 에어 흡입 챔버 내부에는 흡입구와 연통됨과 동시에 에어 배출 챔버와 연통된 흡입 가이더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환기팬의 회전 작동으로 인해 환풍 케이스 측벽부의 흡입구를 통해 에어가 환풍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면, 이러한 흡입된 공기가 흡입 가이더에 의해 와류 현상 등이 생기지 않고 곧바로 에어 배출 챔버 상측의 에어 소통홀로 유입되어 그대로 에어 배출 챔버를 통해 바로 환풍 케이스 측벽부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므로, 에어 흡입 배기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에어가 추가로 구비된 흡입 가이더에 의해 와류 현상 등이 생기지 않고 모아져서 곧바로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에어 흡입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공조 효율 등을 보다 높이는 효과와 소음 저감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취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환풍 케이스의 측벽부에 구비된 흡입구와 배출구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요부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방향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3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흡입 가이더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흡입 가이더를 환풍 케이스 내부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환풍 케이스의 측벽부에 구비된 흡입구와 배출구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요부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방향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3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22)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환기팬(20)이 환풍 케이스(10) 내부의 에어 소통 챔버(12)에 설치되고,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는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각각 에어 흡입구(30)와 배출구(40)가 형성되어, 배출구(4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된 흡입구(30)를 통해 에어를 흡입할 때에 에어 충돌로 인한 높은 부하 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에어 흡입 효율을 높이고 전체 공조 효율 등을 향상시키면서도 환기 작동시의 소음을 현저히 줄이는 기능을 갖는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이다.
상기 환풍 케이스(10)는 대략 사각 박스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환풍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에어 소통 챔버(12)가 구비된다. 이때, 에어 소통 챔버(12)는 에어 흡입 챔버(12a)와 에어 배출 챔버(12b)로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환풍 케이스(10)의 바닥부에는 오목한 원형홈 형태의 모터 수용홈(14)이 형성되고, 이러한 모터 수용홈(14)의 상측부는 상면에 원형홀 형태의 에어 소통홀(16a)을 갖는 별도의 후드 패널(16)이 커버함으로써, 환풍 케이스(10)의 내부를 후드 패널(16)을 기준으로 에어 흡입 챔버(12a)와 에어 배출 챔버(12b)로 구획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후드 패널(16)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상면에 에어 소통홀(16a)을 갖는 원형 통로부(16b,16c)와, 이 원형 통로부(16b,16c)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배출구(40)와 연통되는 측방 연장 통로부(16b,16c)를 가지며 하측은 개구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후드 패널(16)의 둘레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홀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환풍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된 체결 보스부(19)에 체결하여 후드 패널(16)을 환풍 케이스(10) 내부에 고정함으로써, 후드 패널(16)의 내부는 에어 배출 챔버(12b)가 되고, 후드 패널(16) 외부는 에어 흡입 챔버(12a)가 되는 것이다.
또한, 환풍 케이스(10)의 바닥부 중에서 후드 패널(16)의 에어 소통홀(16a)과 마주하는 바닥부에는 오목한 원형홈 형태의 모터 수용홈(14)가 구비되고, 이러한 환풍 케이스(10) 내부 바닥면의 모터 수용홈(14)에는 모터(22)가 안착되어 체결구와 브라켓 등을 매개로 고정되며, 환풍 케이스(10)에 안착 수용된 모터(22)의 회전축에는 상기 환기팬(20)이 축결합식으로 장착되어, 모터(22)의 구동에 의해 환기팬(20)이 회전하면서 에어를 흡입 및 배출하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흡입구(30)와 배출구(40)가 상하 높이가 다른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즉, 환풍 케이스(10)에 내장된 환기팬(20)의 배출측, 다시 말해, 에어 흡입 챔버(12a)측에 연통되도록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는 배출구(40)가 형성되고, 이러한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는 배출구(40)의 옆에 위치되면서 동시에 배출구(40)에 대하여 상하 높이가 다르도록 흡입구(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흡입구(30)가 배출구(4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흡입구(30)와 배출구(40)는 사각홀 형태로 구성되는데, 흡입구(30)의 하단 높이가 배출구(40)의 하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흡입구(30)의 상단 높이도 배출구(40)의 상단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결국, 흡입구(30)와 배출구(40)가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 모아져서 배열됨과 더불어 흡입구(30)와 배출구(40)가 상하 높이가 다른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때, 흡입구(30)의 하단부 높이는 흡입되는 에어가 걸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환풍 케이스(10)의 에어 흡입 챔버(12a) 바닥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보다 높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흡입구(30)가 배출구(4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도 5의 평면도에서와 같이, 환풍 케이스(10) 내부에 에어 배출 챔버(12b)를 형성하는 부분, 다시 말해, 후드 패널(16)에 의해 흡입구(30) 부분이 가로막히는 경우가 없이 흡입구(30)로부터 후드 패널(16)의 외측부가 적당한 거리로 이격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환풍 케이스(10)는 흡입구(30)와 배출구(4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인접되도록 체결 보스부(19)가 구비되어, 흡입구(30)의 네 모서리부와 배출구(4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체결 보스부(19)가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흡입구(30)와 배출구(40)의 둘레부에 상하 좌우 네 개의 체결 보스부(19)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흡입구(30)와 배출구(40)는 모두 상부 좌우 두 개의 체결 보스부(19)에 보다 인접되도록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 형성된 흡입구(30)와 배출구(40) 부분에는 체결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각각 흡입 슬리브(32)와 배출 슬리브(42)가 구비된다. 이때,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 보스부(19)와, 흡입 및 배출 슬리브(32 및 42)의 네 모서리 부분을 전후로 관통하여 체결 보스부(19)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 슬리브(32)와 배출 슬리브(42)의 일단부에는 각각 흡입용 관체와 배출용 관체가 연결되는 한편, 이러한 흡입 슬리브(32)와 배출 슬리브(42)는 흡입용 관체와 배출용 관체가 연결되는 일단부에서 환풍 케이스(10)의 흡입구(30)와 배출구(4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내경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확관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흡입 슬리브(32)와 배출 슬리브(42)가 상하 부분에 확관부를 갖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환풍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된 모터(22)의 구동에 의해 환기팬(20)의 회전되면 플렉시블관과 같은 관체를 매개로 건물의 드레스룸이나 거실과 같은 각 실내에 연통된 환풍 케이스(10) 측벽부의 흡입구(30)를 통하여 에어가 흡입되어 환풍 케이스(10) 내부의 에어 흡입 챔버(12a)와 에어 배출 챔버(12b)를 거쳐서 다시 환풍 케이스(10) 측벽부의 배출구(40)를 통해 에어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주요 특징으로서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는 배출구(40)가 형성되고, 이러한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는 배출구(40)의 옆에 위치되면서 동시에 배출구(40)에 대하여 상하 높이가 다르도록 흡입구(30)가 형성되어 있어서, 흡입구(30)와 배출구(40)가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 모아져서 배열됨과 더불어 흡입구(30)와 배출구(40)가 상하 높이가 다른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처럼 주요부인 흡입구(30)가 배출구(4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환풍 케이스(10) 내부에 에어 배출 챔버(12b)를 형성하는 부분, 다시 말해, 후드 패널(16)에 의해 흡입구(30) 부분이 가로막히는 경우가 없이 흡입구(30)로부터 후드 패널(16)의 외측부가 적당한 거리로 이격된 구조를 취하게 되므로, 상기 환기팬(20)의 회전 작동에 의해 흡입구(30)를 통해 환풍 케이스(10) 내부의 에어 소통 챔버(12)로 에어가 유입될 때에 에어가 부하 저항 없이 유입되어 배출구(40)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흡입구(30)를 통해 환풍 케이스(10) 내부의 에어 소통 챔버(12)로 에어가 유입될 때에 에어 배출 챔버 형성 부분(즉, 후드 패널(16) 부분)에 에어가 바로 부딪힘으로 인한 부하 저항이 작용되지 않고, 이처럼 부하 저항 없이 유입된 에어는 에어 배출 챔버(12b)를 거쳐서 배출구(4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으므로, 에어 흡입 효율을 높여서 공조 효율의 상당한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에어가 흡입될 때에 부딪히는 저항이 생기지 않음으로 인하여 에어 흡입시의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경우도 방지하는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흡입 가이더(60)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흡입 가이더(60)를 환풍 케이스(10) 내부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 가이드를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환풍 케이스(10)의 내부에 구획된 에어 흡입 챔버(12a)와 에어 배출 챔버(12b) 중에서 에어 흡입 챔버(12a)에 흡입구(30)가 연통되고, 이러한 환풍 케이스(10)의 에어 흡입 챔버(12a) 내부에는 흡입구(30)와 연통됨과 동시에 에어 배출 챔버(12b)와 연통된 흡입 가이더(6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흡입 가이더(60)는 내부에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하단부는 개구된 덕트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에어 가이드는 환풍 케이스(10)에 구비된 흡입구(30)와 연결되는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측의 하부 양측에는 오목홈(60a)이 구비되어, 이러한 오목홈(60a)이 상기 후드 패널(16)의 일부 상측에 걸쳐지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흡입 가이더(60)는 내부에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덕트 형태로 구성됨과 동시에 적어도 좌우측에는 별도의 체결구 결합편(62)이 구비되어, 이러한 결구 결합편을 통과하는 체결구를 환풍 케이스(10)의 에어 흡입 챔버(12a) 바닥면에 체결함으로써, 환풍 케이스(10) 내부에 흡입 가이더(60)를 고정하게 되며, 이러한 흡입 가이더(60)를 매개로 환풍 케이스(10) 측벽부의 흡입구(30)와 에어 배출 챔버(12b), 구체적으로, 에어가 들어가는 부분인 에어 소통로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환풍 케이스(10) 내부의 환기팬(20)의 회전 작동으로 인해 환풍 케이스(10) 측벽부의 흡입구(30)를 통해 에어가 흡입되면, 이러한 흡입 공기가 흡입 가이더(60)에 의해 와류 현상 등이 생기지 않고 곧바로 에어 배출 챔버(12b) 상측의 에어 소통홀(16a)로 유입되어 그대로 에어 배출 챔버(12b)로 진입하고, 이렇게 에어 배출 챔버(12b)로 진입한 에어는 바로 환풍 케이스(10) 측벽부에 형성된 배출구(40)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므로, 에어 흡입 배기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추가로 구비된 흡입 가이더(60)에 의해 흡입된 에어를 와류 현상 등이 생기지 않고 에어를 모아서 곧바로 배출구(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에어 흡입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공조 효율 등을 보다 높이는 효과와 소음 저감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취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환풍 케이스(10)는 흡입 슬리브(32)와 배출 슬리브(42)가 설치된 측벽부와 반대되는 벽부와 바닥부 사이는 곡면부로 처리함으로써, 본 발명의 환풍기 구조의 주요부인 환풍 케이스(10)를 천정의 아래에 설치되는 마감판의 삽입홀을 통해 마감판 내부로 삽입 설치할 때에 환풍 케이스(10)의 흡입 슬리브(32)와 배출 슬리브(42) 설치면과 반대되는 부분이 마감판의 삽입홀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마감판 안쪽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흡입 가이더(60)는 내부에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덕트 형태로 구성되어 환풍 케이스(10) 내부의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에 고정됨과 동시에 흡입구(30)에서 에어 배출 챔버(12b) 방향, 구체적으로, 후드 패널(16)의 에어 소통홀(16a)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좌우 내경이 넓어지도록 된 구성되어 있어서, 에어 통과량을 충분히 늘려줌으로써 에어 흡입시의 부하 저항 극소화에 보다 기여하고 동시에 보다 원활한 에어 배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흡입 가이더(60)는 내부에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덕트 형태로 구성됨과 동시에 적어도 좌우측에는 별도의 체결구 결합편(62)이 구비되어, 체결구 결합편(62)을 통과하는 체결구를 환풍 케이스(10)의 에어 소통 챔버 바닥면에 체결함으로써, 보다 신속 용이하게 흡입 가이더(60)를 환풍 케이스(10) 내부에 설치하고, 분리시 등의 해체 작업도 보다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에어를 유입하기 위한 흡입구(30)를 환풍 케이스(10)의 모든 측벽부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측벽부에 추가로 구비하여 다방향에서 에어가 유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건물의 필요한 모든 개소의 실내에서 에어를 흡입하여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9와 도 10의 실시예에 의하면, 환풍 케이스(10)는 대략 네 개의 측벽부를 갖는 대략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환풍 케이스(10)의 네 개의 측벽부 중에서 측벽부뿐만 아니라 다른 필요한 측벽부에도 흡입구(30)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처럼 추가로 구비한 흡입구(30)에 상기 흡입 슬리브(32)를 설치하여 플렉시블관 등을 매개로 건물의 필요한 실내를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다방면에서 에어를 흡입하여 환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0에서는 다방면으로 흡입 슬리브(32)를 연결하여 다방면에서 에어를 흡입할 수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환풍 케이스(10)의 각 측벽부에는 흡입구(3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흡입구(30)의 모양에 상응하는 형상의 취약부를 미리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취약부의 안쪽 부분을 적절한 힘으로 가격하여 따내거나 취약부 부분을 컷터 등에 의해 오려서 따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손쉽게 흡입구(3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환풍기 본체(10)의 각 측벽부에 취약부를 미리 만들어 놓으면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 이러한 취약부를 이용하여 흡입구(30)를 보다 신속하고 손쉽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에서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흡입 가이더(60)를 응용하여 환풍 케이스(10) 각 측벽부의 흡입구(30)에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흡입 가이더(60a,60b,60c 및 60d)를 설치한 상태가 평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흡입 가이더(60a,60b,60c 및 60d)들은 도 7과 도 8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환풍 케이스(10)의 각 측벽부에 형성된 흡입구(30)를 통해 유입된 에어를 모아서 곧바로 환풍 케이스(10)의 배출구(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에어 흡입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환기 효율 등을 더욱더 높여주는 효과와 소음 저감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2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의 주요부인 가이더 모듈(60DM)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에 의하면, 상기 가이더 모듈(60DM)은 각 연결편(61)을 매개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각각의 흡입 가이더(60a,60b,60c 및 60d)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소통홀(61a)이 구비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가이더 모듈(60DM)은 중앙부에는 소통홀(61a)이 구비되고, 이 소통홀(61a)은 각 흡입 가이더(60a,60b,60c 및 60d)의 선단부와 연통되고, 각 흡입 가이더(60a,60b,60c 및 60d)는 환풍 케이스(10)의 각 측벽부에 형성된 흡입구(30)에 연통될 수 있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 상기 가이더 모듈(60DM)을 환풍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하기만 하면 각 흡입 가이더(60a,60b,60c 및 60d)의 기단부는 환풍 케이스(10) 각 측벽부의 흡입구(30)에 연통되고 중앙부의 소통홀(61a)를 매개로 각 흡입 가이더(60a,60b,60c 및 60d)의 선단부가 환풍 케이스(10)의 배출구(40)에 연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결과적으로 흡입 가이더(60a,60b,60c 및 60d)를 보다 신속하고 손쉽게 구비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4는 본 발명에 환풍 그릴(7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도 14에 의하면 환풍 그릴(70)은 에어 통과홀이 구비된 그릴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부인 환풍 케이스(10)의 아래측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본 발명에 의해 환풍 과정을 수행할 때에 환풍 그릴(70)을 통해 환풍 케이스(10) 내부로 에어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환풍 케이스(10)의 아래쪽 개구부를 천정 슬라브와 반대되는 방향(즉, 건물 실내의 바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뒤집어서 사용할 때에 상기 환풍 그릴(70)를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 설치하는 것인데, 도 14의 실시예의 경우 환기시 흡입구(30)를 통해 에어를 흡입하면서도 환풍 그릴(70)을 통해서도 에어를 흡입하여 환기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화장실에 설치한 경우에는 화장실 바닥과 마주하도록 상기 환풍 그릴(70)이 배치되고, 환풍 케이스(10)의 흡입구(30)는 흡입 슬리브(32)와 플렉시블관 등을 매개로 드레스룸에 연통되어, 화장실의 에어는 환풍 그릴(70)를 통해 흡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드레스룸의 에어는 환풍 케이스(10)의 흡입구(30)를 통해 흡입하여 환기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환풍 케이스 16. 후드 패널
20. 환기팬 30. 흡입구
40. 배출구 32. 흡입 슬리브
42. 배출 슬리브 60. 흡입 가이더

Claims (11)

  1. 삭제
  2. 내부에 에어 소통 챔버(12)가 구비된 환풍 케이스(10)와,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에어 소통 챔버(12)에 내장된 환기팬(20)과, 상기 환기팬(20)의 배출측에 연통되도록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 구비된 배출구(40)와, 상기 배출구(40)에 대하여 상하 높이가 다르도록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환풍 케이스(10) 내부의 상기 에어 소통 챔버(12)의 내부에 에어가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4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30)를 구비한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에어 소통 챔버(12)는 에어 흡입 챔버(12a)와 에어 배출 챔버(12b)로 구획되고, 상기 배출구(40)는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배출 챔버(12b)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구(30)는 상기 배출구(40)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측벽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와 연통됨으로써, 상기 배출구(40)와 상기 흡입구(30)가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측벽부에 통합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호 높낮이가 다른 상하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30)의 하단부 높이는 흡입되는 에어가 걸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의 바닥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보다 높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바닥부에는 모터 수용홈(14)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 수용홈(14)에 모터(22)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2)의 회전축에는 환기팬(20)이 축결합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모터 수용홈(14)의 상측부는 상면에 에어 소통홀(16a)을 갖는 별도의 후드 패널(16)에 의해 커버되어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내부를 상기 후드 패널(16)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와 상기 에어 배출 챔버(12b)로 구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30)와 상기 배출구(40) 부분에는 체결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각각 흡입 슬리브(32)와 배출 슬리브(42)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 슬리브(32)와 상기 배출 슬리브(42)의 일단부에는 각각 흡입용 관체와 배출용 관체가 연결되며, 상기 흡입 슬리브(32)와 상기 배출 슬리브(42)는 상기 흡입용 관체와 상기 배출용 관체가 연결되는 일단부에서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흡입구(30)과 상기 배출구(4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내경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확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내부에 구획된 에어 흡입 챔버(12a)와 에어 배출 챔버(12b) 중에서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에 상기 흡입구(30)가 연통되고,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30)와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에어 배출 챔버(12b)와 연통된 흡입 가이더(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가이더(60)는 내부에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덕트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환풍 케이스(10) 내부의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30)에서 상기 에어 배출 챔버(12b)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좌우 내경이 넓어지도록 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가이더(60)는 내부에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덕트 형태로 구성됨과 동시에 적어도 좌우측에는 별도의 체결구 결합편(62)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 결합편(62)을 통과하는 체결구를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에어 소통 챔버(12) 바닥부에 체결하여 상기 흡입 가이더(6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 케이스(10)는 복수개의 측벽부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30)는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복수개의 측벽부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측벽부에 추가로 구비하여 다방향에서 에어가 유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내부에 구획된 에어 흡입 챔버(12a)와 에어 배출 챔버(12b) 중에서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에 상기 흡입구(30)가 연통되고,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상기 에어 흡입 챔버(12a) 내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흡입구(30)와 연통되면서 상기 에어 배출 챔버(12b)와 연통된 복수개의 흡입 가이더(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패널 형상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연결편(61)을 매개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복수개의 흡입 가이더(60a,60b,60c 및 60d)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가이더 모듈(60DM)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KR1020100058911A 2010-06-01 2010-06-22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KR101226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710 2010-06-01
KR20100051710 2010-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184A KR20110132184A (ko) 2011-12-07
KR101226467B1 true KR101226467B1 (ko) 2013-01-28

Family

ID=4550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911A KR101226467B1 (ko) 2010-06-01 2010-06-22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4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18A (ko) 2015-06-25 2017-01-04 임종갑 환풍기 그릴 체결장치
KR20210085752A (ko) 2019-12-31 2021-07-08 장동식 욕실용 환풍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112A (ja) * 2004-05-06 2005-11-17 Fujio Hori 吸引装置
KR20060042374A (ko) * 2004-11-09 200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112A (ja) * 2004-05-06 2005-11-17 Fujio Hori 吸引装置
KR20060042374A (ko) * 2004-11-09 200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18A (ko) 2015-06-25 2017-01-04 임종갑 환풍기 그릴 체결장치
KR20210085752A (ko) 2019-12-31 2021-07-08 장동식 욕실용 환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184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6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80512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N100593674C (zh) 空调
CN106016453B (zh) 顶棚埋入型空气调节器
JP6272489B2 (ja) 除湿機
CN106403232B (zh) 顶棚埋入型空气调节器
TWI575201B (zh) 氣流交換裝置及其室內盒
JP3230389U (ja) ダンパー内蔵型換気扇
KR10245476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081777A (ko) 에어컨 실내기
JP4779554B2 (ja) ダクトファン
US7260953B2 (en) Air conditioner
KR101226467B1 (ko) 고정압 고효율 환풍기 구조
JP4661068B2 (ja) ダクトファン
JP6344684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10114071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4670273B2 (ja) ダクトファン
CN111637549B (zh) 室内空气处理装置
KR20180070253A (ko)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
KR20100069405A (ko) 공기조화기
JP2002276992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20150025468A (ko) 천장부착형 공기 순환기
WO2023065692A1 (zh) 空调室内机
KR10115812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98909B1 (ko)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