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077Y1 -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077Y1
KR200366077Y1 KR20-2004-0022973U KR20040022973U KR200366077Y1 KR 200366077 Y1 KR200366077 Y1 KR 200366077Y1 KR 20040022973 U KR20040022973 U KR 20040022973U KR 200366077 Y1 KR200366077 Y1 KR 200366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ixed frame
tractor
frame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혁
Original Assignee
신화파스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파스칼(주) filed Critical 신화파스칼(주)
Priority to KR20-2004-0022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0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01B59/004Length-adjusta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 작업기를 트랙터에 구비된 로우더나 승강장치와 같은 본체측 연결부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하고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핀의 간격이 각기 다른 다양한 트랙터 작업기를 체결할 수 있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는, 트랙터 본체측에 구비된 본체측 연결부와 상하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부체결핀 및 하부체결핀이 구비된 트랙터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후방에 상기 본체측 연결부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체결핀이 상방에서 접근되어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상부체결홈이 전방 상부에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의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막대부재로서 하측 말단부에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된 로드와, 상기 하부체결핀이 아래 방향에서 접근되어 수용되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하부체결홈이 전방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상부에서 상기 스토퍼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로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 로드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에 하방으로 탄발력을 가하도록 일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스프링과, 연직면 내에서 상기로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측 말단부가 상기 로드의 상측 말단부에 힌지 연결된 링크와, 연직면 내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측 말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링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가 상기 링크의 상측 말단부에 힌지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A COUPLING FOR TRACTOR INSTRUMENT}
본 고안은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 작업기를 트랙터에 구비된 로우더나 승강장치와 같은 본체측 연결부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핀 사이의 간격이 각기 다른 다양한 트랙터 작업기를 체결할 수 있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는 포크, 집게, 버킷과 같은 다양한 트랙터 작업기를 본체측에 구비된 트랙터 로우더나 승강장치와 같은 본체측 연결부에 연결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한 대의 트랙터로 수행하기 위해서 트랙터 작업기가 수시로 교체된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트랙터 작업기를 핀이나 볼트 등으로 본체측 연결부에 탈부착시켜 왔다. 그러나 핀이나 볼트로 트랙터 작업기를 공구를 사용하여 본체측 연결부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힘들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죠오와 가동죠오를 구비하여 작업기에 평행하게 구비된 체결핀 중 하나가 고정죠오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동죠오를 이동시켜 나머지 체결핀을 가동죠오에 결합시키는 퀵커플러가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상기 가동죠오의 운동은 회동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가동죠오의 운동이 회동방식인 경우에는 체결핀이 결합된 고정죠오의 위치와 가동죠오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적이기 때문에 체결핀간의 거리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85000호에는 가동죠오를 회동운동방식이 아닌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성하여 체결핀간 거리가 달라져도 항상 동일한체결력으로 작업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기계의 작업공구 체결용 퀵커플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건설기계의 작업공구 체결용 퀵커플러는 스크류를 돌려 가동죠오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작업기의 연결 및 분리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체결핀 사이의 거리가 다른 다양한 트랙터 작업기의 연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레버의 회동으로 이동프레임을 간단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트랙터의 작업기를 트랙터 본체측에 구비된 본체측 연결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계단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의해 트랙터 작업기의 하나인 버킷이 연결된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본체측 연결부
2 트랙터 작업기(버킷)
3a 상부체결핀
3b 하부체결핀
4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10 고정프레임
11 결합부
12 상부체결홈
13 가이드부
14 락킹슬롯
20 로드
21 스토퍼
30 이동프레임
31 하부체결홈
32 로드구멍
33 락킹돌기
40 스프링
50 링크
60 레버
70 안전수단
71 개폐구
72 개폐구스프링
F1 하부체결핀이 이동프레임에 가하는 힘의 연직성분
F2 스프링이 이동프레임에 가하는 힘의 연직성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는, 트랙터 본체측에 구비된 본체측 연결부와 상하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부체결핀 및 하부체결핀이 구비된 트랙터 작업기를 연결하기위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후방에 상기 본체측 연결부와 결합되기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체결핀이 상방에서 접근되어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상부체결홈이 전방 상부에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의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막대부재로서 하측 말단부에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된 로드와, 상기 하부체결핀이 아래 방향에서 접근되어 수용되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하부체결홈이 전방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상부에서 상기 스토퍼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로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 로드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에 하방으로 탄발력을 가하도록 일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스프링과, 연직면 내에서 상기 로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측 말단부가 상기 로드의 상측 말단부에 힌지 연결된 링크와, 연직면 내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측 말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링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가 상기 링크의 상측 말단부에 힌지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는, 상기 하부체결핀이 하부체결홈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에 가하는 힘의 연직성분과 상기 스프링이 상기 이동프레임에 가하는 힘의 연직성분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하부체결핀이 하부체결홈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에 가하는 힘의 연직성분이 지나는 연직선과 상기 스프링이 상기 이동프레임에 가하는 힘의 연직성분이 지나는 연직선 사이에서 일정한 폭으로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된 락킹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락킹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락킹슬롯에 끼이는 락킹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는, 일부가 상기 상부체결홈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상부체결홈의 일측에서 전후진이 가능하게 상기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에 상기 상부체결홈의 개구를 막는 방향으로의 탄발력을 가하도록 일단은 상기 개폐구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개폐구스프링을 구비하는 안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체결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4)에 의해 트랙터 작업기(2)의 일례로서 버킷이 연결된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4)는 트랙터 본체(도면에 미도시)측에 구비된 본체측 연결부(1)와 트랙터 작업기(2)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4)는 후방에 상하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부체결핀(3a) 및 하부체결핀(3b)이 구비된 트랙터 작업기(2)에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결핀(3a)과 하부체결핀(3b)은 그 간격이 매우 다양하며,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4)는 상기 상부체결핀(3a)과 하부체결핀(3b)의 간격이 다른 다양한 트랙터 작업기(2)에 사용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본체측 연결부(1)는 로우더의 선단이나 승강장치 등과 같이 트랙터 작업기(2)가 부착되어 작업 작동을 행하는 부분이며,트랙터 작업기(2)는 버킷, 포크, 집게 등과 같이 작업을 행하는 공구를 말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4)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4)의 단면을 도시한 계단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4)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4)는 고정프레임(10), 로드(20), 이동프레임(30), 스프링(40), 링크(50), 레버(60), 및 안전수단(7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후방에 상기 본체측 연결부(1)와 연결되기 위한 결합부(11)가 구비되고, 전방의 상부에 상기 상부체결핀(3a)이 수용되어 체결되기 위한 상부체결홈(12)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체결홈(12)은 상기 상부체결핀(3a)이 상방에서 접근되어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구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프레임은 베이스브라켓(15)의 배면에 상기 결합부(11)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브라켓(16)이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하로 나란하게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브라켓(15)의 전면에 한 쌍의 브라켓(17)이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하로 나란하게 고정되고, 그 브라켓(17) 각각의 상단부에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상부체결홈(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에는 상기 이동프레임(30)이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30)을 상하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인 로드(20), 링크(50), 레버(60) 및 상기 이동프레임(30)을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40)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상기 베이스브라켓(15)의 전면에 부착 고정된 한 쌍의 브라켓(17)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10)에는 상기 로드(20)가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기 지지되기 위한 가이드부(13)가 구비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13)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5)의 전면에 부착 고정된 브라켓(17) 중 하나의 내측면에 상기 로드(2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상하의 관통구멍을 갖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에는 상기 이동프레임(30)에 구비된 락킹돌기(33)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프레임(30)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프레임(30)에 회전모멘트가 걸리면 상기 락킹돌기(33)가 그 사이에 끼임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3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락킹슬롯(14)이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락킹슬롯(14)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5)의 전면에 부착 고정된 한 쌍의 브라켓(17) 각각에 폭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로드(20)는 단면이 원형인 막대부재로서 하측 말단부에는 상기 이동프레임(30)이 걸리기 위한 스토퍼(21)가 구비된다. 상기 로드(20)는 상기 고정프레임(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13)에 지지된다.
상기 이동프레임(30)은 상기 상부체결핀(3a)이 상기 상부체결홈(12)에 체결된 상태에서 하부체결핀(3b)이 전방 하부에 형성된 하부체결홈(31)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지지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체결홈(31)은 상기 하부체결핀(3b)이 아래 방향에서 접근되어 수용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30)의 전방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프레임(30)은 상기 로드(20)와 함께 상하로 왕복이동이 되도록 상기 로드(20)에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프레임(30)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로드구멍(32)이 구비되고,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로드구멍(32)에 상기 로드(20)가 삽입되며, 상기 로드구멍(32)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로드(20)의 하측 말단부에 상기 스토퍼(2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이동프레임(30)은 상기 스토퍼(21)에 걸린 상태로 상기 로드(2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2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프레임(30)은 상기 스토퍼(21)에 걸려 상기 로드(20)와 일체로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로드(2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하부체결홈(31)에 하부체결핀(3b)에 걸릴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프레임(3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베이스브라켓(15)의 전면에 부착 고정된 한 쌍의 브라켓(17)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이동프레임(30)의 폭방향으로의 양측면 각각에는 상기 락킹슬롯(14)에 삽입되는 락킹돌기(33)가 구비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락킹돌기(33)는 상기 락킹슬롯(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락킹슬롯(14)에 삽입된다. 동시에 상기 락킹돌기(33)는 상기 이동프레임(33)에 회전모멘트가 걸려 상기 이동프레임(30)이 회전되면 상기 락킹슬롯(14)에 끼일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는 상기 이동프레임(33)이 상기 스프링(40)의 가압으로 상기 하부체결홈(31)에 하부체결핀(3b)이 체결되도록 밀착되는데, 작업도중 상기 하부체결핀(3b)이 상기 이동프레임(30)을 밀치는 경우에 상기 락킹돌기(33)가 상기 락킹슬롯(14)에 끼임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30)이 상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프레임(30)이 상부로 이동되면 상부 또는 하부 체결핀(3a,3b)이 상부 또는 하부 체결홈(12,31) 각각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체결장치(4)는 상기 하부체결핀(3b)이 하부체결홈(31)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30)에 가하는 힘의 상방으로 향하는 연직성분(F1)과 상기 스프링(40)이 상기 이동프레임(30)에 가하는 힘의 하방으로 향하는 연직성분(F2)이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스프링(40)이 상기 이동프레임(30)에 연결된 위치와 상기 하부체결홈(31)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서로 평행하고 방향이 반대인 힘 F1과 F2는 짝힘으로 작용되어 상기 하부체결핀(3b)이 상기 하부체결홈(31)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프레임(30)을 회전시키는 회전모멘트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락킹슬롯(14)은 상기 하부체결핀(3b)이 하부체결홈(31)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30)에 가하는 힘의 연직성분(F1)이 지나는 연직선과 상기 스프링(40)이 상기 이동프레임(30)에 가하는 힘의 연직성분이 지나는 연직선 사이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그 사이의 중앙지점에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락킹돌기(33)는 상기 락킹슬롯(14)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락킹슬롯(14)에 끼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락킹돌기(33)와 상기 락킹슬롯(14) 사이에는 큰 마찰저항이 생겨 상기 이동프레임(30)은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락킹돌기(33)가 상기 락킹슬롯(14)에 끼이기 위해서는 상기 락킹돌기(33)는 상기 락킹슬롯(14)의 양측 내면에 맞닿는 평행한 양측면을 갖도록 형성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이동프레임(30)에 하방으로 탄발력을 가하기 위한압축스프링으로서 일단은 상기 이동프레임(3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지지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로드(20)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로드구멍(32)의 주위에서 상기 이동프레임(3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가이드부(13)의 하측 단부에 지지된다.
상기 링크(50)는 상기 레버(60)의 회동운동으로 상기 로드(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60)와 상기 로드(2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직면 내에서 상기 로드(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측 말단부가 상기 로드(20)의 상측 말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측 말단부는 상기 레버(60)에 연결된다.
상기 레버(60)는 상기 로드(2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직면 내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측 말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0)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레버(60)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에 힌지 연결된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가 상기 링크(50)의 상측 말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링크(50)가 연결된다.
상기 안전수단(70)은 상기 상부체결홈(12)에 체결된 상부체결핀(3a)이 상기 상부체결홈(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구(71)와 개폐구스프링(72)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구(71)는 일부가 상기 상부체결홈(12)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상부체결홈(12)의 일측에서 전후진이 가능하게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지지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구(71)는 상기 상부체결홈(12)의 일측에 구비된 개폐구지지부(73)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개폐구스프링(72)은 상기 개폐구(71)에 상기 상부체결홈(12)의 개구를 막는 방향으로의 탄발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개폐구(71)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과 일체로 구비된 상기 개폐구지지부(73)에 지지된다. 상기 개폐구(71)는 상기 개폐구스프링(72)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상부체결홈(12)의 개구를 막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체결핀(3a)은 상기 상부체결홈(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개폐구레버(71a)를 파지하여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개폐구스프링(72)이 압축되면서 상기 개폐구(71)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체결홈(12)의 개구가 개방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는 상기 레버(60)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이동프레임(30)이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체결홈(12)으로 상부체결핀(3a)을 체결한다. 상기 상부체결핀(3a)이 상기 상부체결홈(12)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60)을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링크(50)가 회전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링크(50)에 연결된 로드(20)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21)가 상기 이동프레임(30)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상기 이동프레임(30)은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로드(20)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된다. 도 7b는 상기 이동프레임(30)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중간단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30)은 상기 하부체결홈(31)에 상기 하부체결핀(3b)이 수용되어 걸리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다. 이에따라, 상기 스토퍼(21)는 상기 이동프레임(30)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상기 레버(60)는 완전히 하방으로 회동된다. 도 7c는 상기와 같이 하부체결핀(3b)이 하부체결홈(31)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체결장치(4)는 상기 이동프레임(30)이 상기 로드(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이동프레임(30)이 상기 하부체결핀(3b)에 걸려 체결되면 더이상 이동되지 않고 상기 로드(20)만 하방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상부체결핀(3a)과 상기 하부체결핀(3b) 사이의 거리가 다양해도 그 거리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상태로부터 상부체결핀(3a) 및 하부체결핀(3b)을 분리는 상기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7c에서와 같이 하부체결핀(3b)이 하부체결홈(31)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60)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프레임(30)은 상방으로 이동되게 되게 상기 하부체결핀(3b)은 상기 하부체결홈(31)으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상기 안전수단(7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체결핀(3a)을 상기 상부체결홈(12)으로 삽입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작업시에는 상기 개폐구(71)를 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상부체결홈(12)을 개구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결핀(3a)이 상기 상부체결홈(1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구(71)는 전진하여 상기 상부체결홈(12)의 개구를 막게 되고, 상기 상부체결핀(3a)은 상기 개폐구(71)의 말단부에 거려 상기 상부체결홈(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체결장치는 체결핀 사이의 거리가 다른 다양한 트랙터 작업기의 연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레버의 회동으로 이동프레임을 간단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트랙터의 작업기를 트랙터 본체측에 구비된 본체측 연결부에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트랙터 작업기용 체결장치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트랙터 본체측에 구비된 본체측 연결부와 상하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부체결핀 및 하부체결핀이 구비된 트랙터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후방에 상기 본체측 연결부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체결핀이 상방에서 접근되어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상부체결홈이 전방 상부에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의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막대부재로서 하측 말단부에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된 로드와,
    상기 하부체결핀이 아래 방향에서 접근되어 수용되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하부체결홈이 전방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상부에서 상기 스토퍼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로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 로드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에 하방으로 탄발력을 가하도록 일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스프링과,
    연직면 내에서 상기 로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측 말단부가 상기 로드의 상측 말단부에 힌지 연결된 링크와,
    연직면 내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측 말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링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가 상기 링크의 상측 말단부에 힌지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결핀이 하부체결홈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에 가하는 힘의 연직성분과 상기 스프링이 상기 이동프레임에 가하는 힘의 연직성분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하부체결핀이 하부체결홈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에 가하는 힘의 연직성분이 지나는 연직선과 상기 스프링이 상기 이동프레임에 가하는 힘의 연직성분이 지나는 연직선 사이에서 일정한 폭으로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된 락킹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락킹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락킹슬롯에 끼이는 락킹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부가 상기 상부체결홈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상부체결홈의 일측에서 전후진이 가능하게 상기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에 상기 상부체결홈의 개구를 막는 방향으로의 탄발력을 가하도록 일단은 상기 개폐구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개폐구스프링을 구비하는 안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20-2004-0022973U 2004-08-11 2004-08-11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200366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973U KR200366077Y1 (ko) 2004-08-11 2004-08-11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973U KR200366077Y1 (ko) 2004-08-11 2004-08-11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077Y1 true KR200366077Y1 (ko) 2004-10-28

Family

ID=4944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973U KR200366077Y1 (ko) 2004-08-11 2004-08-11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07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24B1 (ko) 2007-05-28 2008-08-22 이리중 트랙터용 보조작업기 연결장치
KR101416514B1 (ko) 2013-07-05 2014-07-14 (주)태성공업 트렉터용 작업기 탈부착 구조
KR20190056806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아세아텍 다목적 관리기용 작업기 탈부착장치
KR20220064687A (ko) * 2020-11-12 2022-05-19 남기성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24B1 (ko) 2007-05-28 2008-08-22 이리중 트랙터용 보조작업기 연결장치
KR101416514B1 (ko) 2013-07-05 2014-07-14 (주)태성공업 트렉터용 작업기 탈부착 구조
KR20190056806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아세아텍 다목적 관리기용 작업기 탈부착장치
KR102007197B1 (ko) 2017-11-17 2019-08-05 주식회사 아세아텍 다목적 관리기용 작업기 탈부착장치
KR20220064687A (ko) * 2020-11-12 2022-05-19 남기성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KR102501849B1 (ko) 2020-11-12 2023-02-20 남기성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9834B1 (en) An attachment organ for coupling a tool to an operating arm with a safety block
US8328459B2 (en) Coupler for excavators
JP5237561B2 (ja) アタッチメントカプラ
US7014385B2 (en) Attachment coupling device for heavy machinery
US7735249B2 (en) Quick-change device
GB2359062B (en) Universal coupler for bucket excavators
US8602676B2 (en) Compact quick coupling mechanism for tool attachment
EP1393861A2 (en) Clamping device for work pieces, with scraping member
CA2590464A1 (en) Quick coupling mechanism for tool attachment
KR200413755Y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200366077Y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20050085291A (ko) 잠금기구 부착 조임장치
KR200416471Y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US20070031234A1 (en) Adapter for mounting skid-steer loader attachments onto an excavator arm
KR20030030432A (ko) 건설기계의 작업공구 체결용 퀵커플러
KR101809406B1 (ko) 굴삭기용 다기능 집게장치
KR20120006017U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JP2021139181A (ja) クイックカプラ
CN107201756B (zh) 用于器具组件的联接件
KR101378570B1 (ko) 중장비용 작업기 퀵 체인저
KR101801651B1 (ko)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는 도저
KR102281473B1 (ko)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
KR200356041Y1 (ko)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
KR101121686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장착 클램프
KR20210000035U (ko) 중장비용 도어 힌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