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596Y1 - 트랙터 작업기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작업기 체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2596Y1 KR200362596Y1 KR20-2004-0018638U KR20040018638U KR200362596Y1 KR 200362596 Y1 KR200362596 Y1 KR 200362596Y1 KR 20040018638 U KR20040018638 U KR 20040018638U KR 200362596 Y1 KR200362596 Y1 KR 2003625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 machine
- tractor
- frame
- width direction
- fasten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23—Lateral adjustment of their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 로더아암이나 승강장치와 같은 본체측 연결부에 트랙터 작업기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시킴으로써 트랙터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는, 트랙터 본체측에 구비된 본체측 연결부와 트랙터 작업기를 연결하도록 그 사이에 설치된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본체측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체결장치측 연결부와, 동력을 전달받아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작동기와,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상기 작동기의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서 상기 트랙터 작업기가 연결되는 작업기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 로더아암이나 승강장치와 같은 본체측 연결부에 트랙터 작업기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시킴으로써 트랙터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 로더아암의 선단이나 승강장치의 승강부에 구비된 트랙터 본체측 연결부에는 버킷, 베일러집게 등과 같은 트랙터 작업기가 연결된다. 특히, 다양한 트랙터 작업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측 연결부에 작업기 체결장치를 연결시키고 작업기를 상기 작업기 체결장치에 연결하도록 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6871호에는 상기와 같은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의 일례로서 승강장치의 승강부 또는 트랙터 로더아암의 선단에 다양한 트랙터 작업기를 착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랙터 작업기의 착탈이 용이한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기 체결장치는 이에 연결된 작업기가 폭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작업기 체결장치에 작업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업기를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트랙터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트랙터의 방향을 좌우로 틀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특히, 작업기의 폭은 트랙터의 전체 폭보다 작은 것이 일반적인데 좁은 공간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트랙터의 이동이나 방향전환이 불가능하여 작업기의 폭방향으로 좌우측의 작업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한편, 종래의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는 비교적 중량물인 트랙터 작업기를 체결장치에 연결하고 체결장치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은 매우 힘들고 위험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기를 교체하기 위해서 운전석에서 내려와 직접 수작업으로 작업기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로더아암의 선단과 같은 본체측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트랙터 작업기를 좌우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트랙터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트랙터 작업기를 체결장치에 연결하고 체결장치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자가 운전석에서 원격으로 조정하여 작업기의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의 작업기 연결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본체측 연결부 3 작업기
4 체결브라켓 4a,4b 체결핀
10 프레임 13 가이드봉
20 체결장치측 연결부 30 작업기 연결수단
31 지지브라켓 31a 가이드구멍
31b 작동기 연결부 33 고정부
33a 고정부 체결홈 35 락킹부
35a 락킹부 체결홈 37 락킹부 작동기
40 작동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는, 트랙터 본체측에 구비된 본체측 연결부와 트랙터 작업기를 연결하도록 그 사이에 설치된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본체측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체결장치측 연결부와, 동력을 전달받아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작동기와,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상기 작동기의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서 상기 트랙터 작업기가 연결되는 작업기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체측 연결부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의 체결장치측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트랙터의 작업을 위한 로더아암의 선단이나 트랙터 승강장치의 승강부에 구비된 핀홀이나 핀과 같은 구성을 말한다.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에는 버킷이나 베일러집게 등과 같은 트랙터 작업기가 연결되며, 상기 작동기의 작동으로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이 폭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트랙터 작업기가 폭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 체결장치는,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은 가이드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는, 상기 가이드가 상기 프레임에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가이드봉이고,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에는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구멍이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이 상기 가이드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기에는 일반적으로 큰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은 가이드봉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은 상기 가이드봉에 의해 가이드되기 때문에 폭방향으로 원활하게 왕복이동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는, 상기 트랙터 작업기의 후방에는 평행한 한 쌍의 체결핀이 각각 몸통이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은,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상기 작동기의 일부에 연결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전방에 상기 체결핀 중 하나의 몸통이 측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고정부삽입홈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체결핀 중 다른 하나의 몸통이 측방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락킹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삽입홈에 체결핀 중 하나의 몸통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부삽입홈에 다른 체결핀의 몸통이 삽입되는 방향과 이탈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지지브라켓의 후방에 힌지 연결된 락킹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부를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락킹부에 연결된 락킹부 작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은 상기 프레임과 작업기를 연결하는 볼트결합이나 핀결합과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트랙터 작업기는 중량물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의 작업기연결수단에 중량물이 작업기를 볼트결합이나 핀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시키는 작업은 매우 힘들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정부삽입홈에 작업기에 구비된 체결핀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부를 회전이나 직선이동시켜 락킹부 삽입홈에 다른 체결핀이 삽입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기가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에 간단하게 연결되고, 상기 락킹부 삽입홈으로부터 체결핀이 이탈되도록 상기 락킹부를 반대방향으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으로부터 작업기가 간단하게 분리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는, 상기 락킹부 작동기는 트랙터의 유압원으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유체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트랙터의 운전석에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작업기 연결수단과 작업기의 연결 및 분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의 작업기 연결수단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는 트랙터 본체측에 구비된 본체측 연결부(1,2)와 트랙터 작업기(4)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측 연결부(1,2)와 트랙터 작업기(4) 사이에 위치된다. 본체측 연결부는 트랙터 로더아암의 선단이나 작업기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트랙터 승강장치(도면에 미도시)의 승강부에 구비된 구성이다. 도 1은 상기 본체측 연결부가 트랙터 로더아암(1) 및 작동링크(2)로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트랙터 작업기(4)는 버킷이나 베일러집게 등과 같이 로더아암의 선단이나 승강부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도면에는 트랙터 작업기(3)의 일례로 버킷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는 프레임(10), 체결장치측 연결부(20), 작업기 연결수단(30) 및 작동기(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체결장치측 연결부(20)가 고정되고, 상기 작동기(40)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이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직선왕복운동하는 상기 작동기(40)의 일부(41)에 연결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상기 프레임(10)은 가능한 무게가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세장형의 봉재를 사용하여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프레임(10)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설계상 중량이 큰 요인으로 작용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프레임(10)은 주물로 제작된 철구조물로 구성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작동기(40)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이 상기 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상기 작동기(40)의 일부(41)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이 작동기(40)의 일부(41)에 지지되며, 상기 작동기(40)가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경우라면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작동기(40)가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는 작동기(40)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게 하는 원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에는 비교적 그 자체의 중량이 클 뿐만 아니라 중량물을 대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트랙터 작업기(3)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이 상기 작동기(40)의 일부(41)에 지지된 상태만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30)에는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에 가해지는 큰 하중을 고려하여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그 상태에서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이 좌우의 폭방향으로 원활하게 왕복이동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에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상기 가이드로서 가이드봉(13)이 상기 프레임(10)에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봉(13)은 폭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1개씩 구비된 2개의 작업기 연결수단(30) 각각에 대하여 상하로 한 쌍이 나란히 배열되어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에는 상기 가이드봉(13)이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구멍(31a)이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은 상기 가이드봉(13)이 상기가이드구멍(31a)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체결장치측 연결부(20)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 체결장치를 상기 본체측 연결부(1,2)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측 연결부(20)는 상기 본체측 연결부인 로더아암(1)과 작동링크(2)를 힌지 연결시키기 위해 핀을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서 폭방향으로의 양측에 각각 1개씩 고정된 한 쌍의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기(40)는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을 상기 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작동기(40)는 유압이나 전력과 같은 동력을 전달받아 적어도 일부(41)가 상기 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기(40)는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을 직선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직선왕복운동하는 일부(41)를 갖는 구성으로서, 유압모터나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랙 앤 피니언 기어(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구성이 이에 해당된다. 여기서 직선왕복운동하는 일부(41)는 랙기어이다. 한편, 도면은 상기 작업기(40)로 유압실린더를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직선왕복운동하는 일부(41)인 로드가 실린더의 양측으로 연장된 양로드타입의 유압실린더가 사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은 상기 작동기(40)의 작동으로 상기 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어 전방에 연결된 상기 트랙터 작업기(3)를 좌우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은 상기 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직선왕복동하는 상기작동기(40)의 일부(4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서 상기 트랙터 작업기(3)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기 연결수단(30)은 종래와 같이 볼트체결수단과 같이 2개의 구조물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트랙터로 다양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다양한 작업기(3)가 수시로 교체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기(3)는 일반적으로 그 자체가 중량물이기 때문에 이를 교체하는 작업은 매우 힘들고 위험하다. 따라서,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에는 상기 작업기(3)를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상기 트랙터 작업기(3)의 후방에는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의 구성에 대응하여 연결되기 위한 평행한 한 쌍의 체결핀(4a,4b)이 각각 몸통이 노출되게 구비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체결핀(4a,4b)은 각각 상기 작업기(3)의 후방에서 폭방향으로 양측 각각에 고정된 브라켓(4)의 대향하는 한 쌍의 벽사이에서 몸통이 노출되게 상기 한 쌍의 벽에 양단이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체결핀(4a,4b)은 평행하게 배열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이 구성되면 충분하다. 그러나, 하중은 하방으로 작용되며, 연직의 하중에 적합하도록 상기 한 쌍의 체결핀(4a,4b)은 수평하게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핀(4a,4b)과 대응하여 이에 간단하게 연결되는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30)은 지지브라켓(31), 고정부(33), 락킹부(35), 및 락킹부 작동부(37)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브라켓(31)은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상기 작동기의 일부에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브라켓(31)은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구멍(31a)에 상기 가이드봉(13)을 삽입하여 상기 가이드봉(13)에 지지되고, 후방으로 돌출된 작동기 연결부(31a)에 상기 작동기(40)의 일부(41)인 피스톤 로드가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33)에는 상기 지지브라켓(31)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핀(4a,4b) 중 하나(4a)의 몸통이 측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고정부삽입홈(33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고정부사입홈(33a)에 수용된 상기 체결핀 4a에 연결된다.
상기 락킹부(35)는 상기 체결핀(4a,4b) 중 다른 하나(4b)의 몸통에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기 락킹부작동기(37)의 작동으로 왕복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지지브라켓(31)의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왕복이동은 직선 또는 회전운동 모두 가능하다. 도면에는 상기 락킹부(35)가 왕복으로 회전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락킹부(35)에는 상기 체결핀(4a,4b) 중 다른 하나(4b)의 몸통이 측방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락킹부삽입홈(35a)이 형성된다. 상기 락킹부(35)는 상기 고정부삽입홈(33a)에 체결핀 중 하나(4a)의 몸통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부삽입홈(35a)에 다른 체결핀(4b)의 몸통이 삽입되는 방향과 이탈되는 방향으로 왕복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지지브라켓(31)의 전방에 힌지 연결된다. 도 4에는 상기 락킹부(35)의 회동으로 락킹부삽입홈(35a)에 체결핀 4b가 삽입되고 상기 랑킹부삽입홈(35a)으로부터 상기 체결핀 4b가 이탈되는 작동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락킹부 작동기(37)는 상기 지지브라켓(31)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부(35)를 왕복으로 직선 또는 회전 이동시키도록 상기 락킹부에 연결된다. 특히, 상기 락킹부 작동기(37)는 작업자가 트랙터의 운전석에서 상기 락킹부(35)를 회동시켜 트랙터 작업기(3)의 착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트랙터의 유압원으부터 공급된 고압의 유체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업기 연결수단(30)에 연결된 트랙터 작업기(3)는 좌우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5a에는 트랙터 작업기(3)가 중앙에 위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 및 도 5c에는 상기 작동기(40)의 작동으로 트랙터 작업기(3)가 작업기 연결수단(30)과 일체로 폭방향의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는, 로더아암의 선단과 같은 본체측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트랙터 작업기를 좌우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트랙터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는 트랙터 작업기를 체결장치에 연결하고 체결장치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자가 운전석에서 원격으로 조정하여 작업기의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 트랙터 본체측에 구비된 본체측 연결부와 트랙터 작업기를 연결하도록 그 사이에 설치된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에 있어서,프레임과,본체측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체결장치측 연결부와,동력을 전달받아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작동기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상기 작동기의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서 상기 트랙터 작업기가 연결되는 작업기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가 구비되고,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은 가이드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에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가이드봉이고,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에는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구멍이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이 상기 가이드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트랙터 작업기의 후방에는 평행한 한 쌍의 체결핀이 각각 몸통이 노출되게 구비되고,상기 작업기 연결수단은,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상기 작동기의 일부에 연결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전방에 상기 체결핀 중 하나의 몸통이 측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고정부삽입홈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체결핀 중 다른 하나의 몸통이 측방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락킹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삽입홈에 체결핀 중 하나의 몸통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부삽입홈에 다른 하나의 체결핀의 몸통이 삽입되는 방향과 이탈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지지브라켓의 후방에 설치된 락킹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부를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락킹부에 연결된 락킹부 작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락킹부 작동기는 트랙터의 유압원으부터 공급된 고압의 유체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의 체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8638U KR200362596Y1 (ko) | 2004-07-01 | 2004-07-01 | 트랙터 작업기 체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8638U KR200362596Y1 (ko) | 2004-07-01 | 2004-07-01 | 트랙터 작업기 체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2596Y1 true KR200362596Y1 (ko) | 2004-09-18 |
Family
ID=4943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8638U KR200362596Y1 (ko) | 2004-07-01 | 2004-07-01 | 트랙터 작업기 체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2596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9176B1 (ko) * | 2008-03-21 | 2008-07-30 | 조원일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KR100849175B1 (ko) | 2007-07-20 | 2008-07-30 | 조원일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KR100963940B1 (ko) | 2008-07-29 | 2010-06-17 | 대호 (주) | 좌우 이동 가능한 버킷 장치 |
KR101352431B1 (ko) | 2012-09-07 | 2014-01-20 | 대호 (주) | 트랙터 후방에 설치되는 링크 장치 |
-
2004
- 2004-07-01 KR KR20-2004-0018638U patent/KR20036259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9175B1 (ko) | 2007-07-20 | 2008-07-30 | 조원일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KR100849176B1 (ko) * | 2008-03-21 | 2008-07-30 | 조원일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KR100963940B1 (ko) | 2008-07-29 | 2010-06-17 | 대호 (주) | 좌우 이동 가능한 버킷 장치 |
KR101352431B1 (ko) | 2012-09-07 | 2014-01-20 | 대호 (주) | 트랙터 후방에 설치되는 링크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13756Y1 (ko) | 트랙터 작업기용 유압식 연결장치 | |
KR101988828B1 (ko) |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 장치 | |
AU2006246533B2 (en) | Industrial vehicle having working implement | |
US6088939A (en) | Implement adapter for an excavation tool assembly | |
US6390765B1 (en) | Power latched quick change attachment coupler for skid steer vehicles | |
EP1870525A1 (en) | Piping structure of front work machine | |
US20020178625A1 (en) | Excavator arm assembly with integral quick coupler | |
EP2686490A1 (en) | Quick coupler for an earth moving machine | |
CN110273444B (zh) | 工程机械的附件安装夹具和工程机械 | |
KR200362596Y1 (ko) | 트랙터 작업기 체결장치 | |
KR200402081Y1 (ko) | 트랙터 로더용 작업기 연결장치 | |
US6109363A (en) | Blade assembly with angular movement capability | |
CN109577405B (zh) | 一种属具用液压快换机构 | |
US7942209B1 (en) | Dual blade unit | |
KR100437486B1 (ko) | 건설기계의 작업공구 체결용 퀵커플러 | |
KR20100062505A (ko) | 트랙터용 작업기의 연결 장치 | |
CN110552390A (zh) | 一种施工机械的工具更换器 | |
KR101764708B1 (ko) | 중장비의 작업공구용 틸팅장치 | |
KR200254081Y1 (ko) | 유압 크레인 절단기용 어태치먼트 | |
WO2010047754A2 (en) | Rotational connector for lifting machine | |
AU2007278815B2 (en) | Improved boom arrangement | |
KR100431023B1 (ko) | 건설기계의 작업공구 체결용 퀵커플러 | |
US20230366170A1 (en) | Construction machine attachment mounting and demounting apparatus and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same | |
KR101378570B1 (ko) | 중장비용 작업기 퀵 체인저 | |
KR100276062B1 (ko) | 스키드 로더용 작업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