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473B1 -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 - Google Patents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473B1
KR102281473B1 KR1020170081473A KR20170081473A KR102281473B1 KR 102281473 B1 KR102281473 B1 KR 102281473B1 KR 1020170081473 A KR1020170081473 A KR 1020170081473A KR 20170081473 A KR20170081473 A KR 20170081473A KR 102281473 B1 KR102281473 B1 KR 10228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rigger
dozer
state
doser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582A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5688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01651B1/ko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17008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4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or pushing means arranged on the front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627Devices to connect beams or arms to tractors or similar self-propelled machines, e.g. driv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80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웃트리거(50)를 포함하는 도저(20)가 제공된다.
상기 아웃트리거(50)를 포함하는 도저(20)는 도저(20)의 트랙터를 향한 면에 힌지 결합되어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에서 힌지 이동 가능한 아웃트리거(50)와, 상기 수납 상태에서 상기 아웃트리거(50)의 도저(20) 내측을 향한 면에 접촉하는 제1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5)와,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아웃트리거(50)의 도저(20) 외측을 향한 면에 접촉하는 제2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6)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트리거(50)는 상기 제1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5)와 제2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6) 사이에서 아래 방향으로 힌지 운동한다.

Description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DOZER INCLUDING OUTTRIGGER}
본 발명은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웃트리거를 포함하여 지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트랙터에 장착되는 도저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는 작물의 운반 또는 기계화 농업에 사용되고 있다. 트랙터는 그 전방에 상하 회동할 수 있는 로더를 포함한다. 이러한 로더에는 베일 집게, 버킷, 후크 등의 다양한 작업을 위한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트랙터의 후방에는 로터베이터, 트레일러, 도저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트랙터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작업기구 중 도저가 설치된 경우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1은 트랙터 후방에 도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에서 도면부호 11은 상부링크를 지시한다. 이러한 상부링크(11)는 통상적으로 트랙터 후방의 중앙으로부터 연결되며, 상하 회동 가능하다. 상부 링크(11)는 도저 중앙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링크 결합 브래킷(22)에 결합된다. 도1에서 도면부호 12는 하부링크를 지시한다. 이러한 하부 링크(12)는 통상적으로 트랙터 후방의 좌우측으로부터 각 1개씩 연결되며, 전후 회동 가능하다. 하부 링크(12)는 도저 좌우측 중앙에 설치되는 하부링크 결합 브래킷(도1에서 도시 생략됨)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저(20)가 상하부 링크(11, 12)에 의해 트랙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체 트랙터 구조가 지표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것이 요청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중장비가 작업을 수행할 때, 지표면으로부터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는 아웃트리거(outrigger)가 사용된다. 도2는 아웃트리거가 탑재된 이동형 중장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웃트리거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로부터 수평 슬라이딩 가능한 부재에 수직으로 설치된 유압 피스톤/실린더 구조로 구현된다. 지표면으로부터의 안정적인 지지가 필요 없는 경우, 예컨대 중장비가 이동 중인 때, 아웃트리거 구조물은 도2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 있다. 중장비가 작업 구역으로 이동하여 지표면으로부터의 안정적인 지지가 필요한 경우, 예컨대 크레인 작업 중인 때, 아웃트리거 구조물은 도2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전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 슬라이딩 부재는 슬라이딩 동작하여 아웃트리거를 중장비로부터 돌출시키고, 슬라이딩 부재에 수직으로 설치된 유압 피스톤/실린더 구조는 지표면 측 단부에 지지판을 장착한 유압피스톤을 지표면측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전체 중장비를 안정적으로 지표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아웃트리거를 트랙터에 연결된 도저에 장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로써, 도저가 트랙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지표면으로부터의 안정적인 지지가 필요한 작업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종래의 유압 피스톤/실린더 구조의 아웃트리거를 변형하여 트랙터에 연결된 도저에 간단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면서,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에서 안정적인 전환이 가능한 아웃트리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웃트리거(50)를 포함하는 도저(20)가 제공된다.
상기 아웃트리거(50)를 포함하는 도저(20)는 도저(20)의 트랙터를 향한 면에 힌지 결합되어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에서 힌지 이동 가능한 아웃트리거(50)와, 상기 수납 상태에서 상기 아웃트리거(50)의 도저(20) 내측을 향한 면에 접촉하는 제1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5)와,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아웃트리거(50)의 도저(20) 외측을 향한 면에 접촉하는 제2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6)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트리거(50)는 상기 제1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5)와 제2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6) 사이에서 아래 방향으로 힌지 운동한다.
상기 아웃트리거(50)를 포함하는 도저(20)는 상기 수납 상태와 상기 사용 상태 사이의 중간 지점에서 탄성력이 최대로 되고, 상기 중간 지점으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에 이르기까지 탄성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중간 지점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 이르기까지 탄성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일단부가 아웃트리거(50)에, 타단부가 도저(20)에 연결된 스프링(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트리거(50)는 동력원에 의해 상기 수납 상태와 상기 사용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상기 아웃트리거(50)가 상기 수납 상태와 상기 사용 상태 사이에서 동력원에 의해 전환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트리거(50)를 포함하는 도저(20)는, 도저(20)에 설치된 수직 지지부(23, 24)에 삽입 지지되며,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 공급에 따라 수평 방향 이동 가능한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와, 상기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아웃트리거(50)에 타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트리거(50)를 포함하는 도저(20)에서, 상기 수평 슬라이딩 부재(30)는 슬라이딩이동 제한부(31)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이동 제한부(31)는 제1 수직 지지부(23)와 제2 수직 지지부(24) 사이에서 슬라이딩 부재(30)의 수평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이동 제한부(31)는 상기 동력원에 구동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트리거(50)는 지지면(5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면(54)은 상기 사용 상태에서 지표면과 수평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트랙터의 링크(11, 12)가 도저(20)를 지표면을 향해 하강시키면 상기 아웃트리거(50)의 지지면(54)은 지표면과 접촉함으로써 트랙터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트리거(50)를 포함하는 도저(20)에서, 상기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와 상기 링크 부재 사이의 링크 결합부는 장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홀 구조에서는, 수평 슬라이딩 부재(30)가 링크 부재를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의 정확한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지 않고 대략적으로만 위치 설정하더라도 스프링(60)이 작용하는 탄성력으로 인하여 아웃트리거(50)를 그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에 정확히 위치 설정 가능하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추가의 구성이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트리거를 트랙터에 연결된 도저에 장착하는 구조가 제공된다. 이로써, 도저가 트랙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지표면으로부터의 안정적인 지지가 필요한 작업이 효과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유압 피스톤/실린더 구조의 아웃트리거를 변형하여 트랙터에 연결된 도저에 간단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면서,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에서 안정적인 전환이 가능한 아웃트리거 구조가 제공된다.
도1은 트랙터 후방에 연결된 도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종래기술의 중장비에 설치된 유압 피스톤/실린더로 구현된 아웃트리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에서 아웃트리거가 수납 상태인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에서 아웃트리거가 사용 상태인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에서 트랙터와 도저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에서 일단부는 도저에 타단부는 아웃트리거에 고정된 스프링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에서 수평 슬라이딩 부재와 링크 부재가 장홀 구조의 힌지 결합부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는 아웃트리거를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에서 힌지 이동시킴에 있어서 동력원, 즉 수동 또는 구동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말해, 동력을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무동력의 수동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일단 동력을 사용하는 방식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 후, 무동력의 수동 방식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동력을 사용하는 방식의 실시예>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에서 아웃트리거가 수납 상태인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도저의 작업면의 반대쪽 면을 도시한다. 도저의 작업면은 도1에서 도면부호 21에 의하여 지시되는 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저의 작업면(21)의 반대쪽 면, 즉 트랙터를 향한 면에 아웃트리거 등의 구조가 장착되므로, 이러한 아웃트리거 등의 구조는 트랙터와 도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는 도저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 구조와 우측 구조가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도저에는 수평 슬라이딩 부재(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평 슬라이딩 부재(30)는 수직 지지부(23, 24)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수직 지지부(23)와 제2 수직 지지부(24) 각각에는 수평 슬라이딩 부재(3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평 슬라이딩 부재(30)는 이들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수평 슬라이딩 부재(30)는 제1 수직 지지부(23)와 제2 수직 지지부(24)에 삽입 지지된 상태로 도3에 도시 생략된 구동장치에 의해 도저(20)의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상기 구동장치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아웃트리거(50)의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에서 수평 슬라이딩 부재(30)를 슬라이딩 구동시킬 수 있는 한, 모든 구현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이하의 본원의 도5와 관련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넓은 범주에 포괄되는 하나의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제한부(31)가 제공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아웃트리거(50)의 수납 상태에서,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에 제공된 슬라이딩 제한부(31)는 제1 수직 지지부(23)의 외측면에 접촉한 상태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제한부(31)로 인하여, 수평 슬라이딩 부재(30)는 아웃트리거(50)의 수납 상태에서 도저(20) 내측으로 더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제한부(31)는 아래가 뚫린 거꾸로 된 U자형으로 도3에 도시된다. 이러한 형상의 슬라이딩 제한부(31)는 이하의 도5와 관련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단부가 상방을 향한 후크로 형성된, 트랙터의 하부 링크(12)와 연결된 후크 결합부(80)에 걸릴 수 있고, 후크 결합부(8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평 슬라이딩 부재(30)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수평 슬라이딩 부재(30)는 링크 부재와 힌지 결합된다. 힌지 결합점은 상기 제2 수직 지지부(24)의 외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측"은 도저의 중앙에서 먼 쪽 측면을 의미한다. 링크 부재는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와 힌지 결합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서 아웃트리거(50)와 역시 힌지 결합한다.
아웃트리거(50)는 아웃트리거 힌지 결합부(52)에 의하여 도저(20)와 힌지 결합한다. 아웃트리거(50)의 수납 상태에서, 아웃트리거(50)의 내측 수납 이동은 제1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5)에 접촉한다. 제1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5)로 인하여, 아웃트리거(50)는 수납 상태에서 도저(20)의 내측(도저의 중앙에 가까운 쪽)으로 더 회전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도저(20)와 아웃트리거(50)는 스프링(6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스프링(60)의 일단부는 도저(20)에 마련된 제1 스프링 결합부(27)에, 타단부는 아웃트리거(50)에 마련된 제2 스프링 결합부(51)에 연결된다. 스프링(60)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6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에서 아웃트리거가 사용 상태인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는 상술한 도3의 수납 상태와 도4의 사용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도4에서, 수평 슬라이딩 부재(30)는 도저(20)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였다.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에 마련된 슬라이딩 제한부(31)는 도저(20)에 구비된 제2 수직 지지부(24)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제한부(31)의 제2 수직 지지부(24) 내측면으로의 접촉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30)는 도저(20)의 외측으로 더 슬라이딩 하는 것이 제한된다.
수평 슬라이딩 부재(30)가 도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에 링크 결합된 링크 부재는 자신에 힌지 결합된 아웃트리거(50)를 도저(20)의 외측으로 힌지 이동시킨다. 링크 부재의 아웃트리거(50)측 힌지 결합점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트리거(50)를 기준으로 아웃트리거 힌지 결합부(52)의 아래에 형성되므로,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링크 부재는 아웃트리거(50)를 아웃트리거 힌지 결합부(52)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힌지 이동시키게 된다(도3과 도4에 도시된 도저에서 우측 아웃트리거 기준). 도3과 도4의 실시예에서, 링크 부재는 단일의 링크 요소로 구현되어 있으나, 링크 부재가 복수개의 링크 요소로 구현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저(20)의 수평방향 길이에 따라,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와 아웃트리거(50) 사이의 거리 또는 상호간의 위치 관계가 단일의 링크 요소로 구현된 링크 부재로 구동 연결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복수개의 링크 요소로 구현된 링크 부재를 사용하여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아웃트리거(50)를 힌지 이동시키는 기능을 달성 가능하다.
이와 같이, 링크 부재에 의해 중개되는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의 수평 방향 슬라이딩 동작에 의한 아웃트리거(50)의 도저(20) 외측으로의 힌지 이동은 제2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6)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제2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6)는 도저(20)의 양쪽 단부에 설치되며, 도3과 도4의 실시예에서 트랙터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삼각형 형상으로 실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2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6)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도록 아웃트리거(50)의 도저(20) 외측을 향한 면에는 걸림부(53)가 마련된다. 걸림부(53)의 상부면이 제2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6)의 하부면에 접촉함으로써 아웃트리거(50)의 도저(20) 외측으로의 힌지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아웃트리거(50)의 지지면(54)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 상태에서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는 각도로 아웃트리거(50)의 지표면쪽 단부에 설치된다. 도4의 사용 상태에서, 아웃트리거(50)의 지지면(54)이 지표면과 수평각도로 지표면을 향한 상태에서, 도저(20)를 트랙터와 연결하는 링크(11, 12)가 도저(20)를 지표면쪽으로 하강시키면, 아웃트리거(50)의 지지면(54)이 전체 트랙터를 지표면에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에서 트랙터와 도저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5에 도시된 후크 결합부(80)는 트랙터의 하부 링크(12)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랙터의 하부 링크(12)에 연결된 채로 후크 결합부(80)는 상방을 향한 후크가 도저(20)의 핀(70, 도3과 도4에 도시 생략됨)을 아래에서 위로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 때, 도5에 도시된 후크 결합부(80)의 B부분은 핀(70)을 지지하게 되며, 후크 결합부(80)의 A부분은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의 아래가 뚫린 거꾸로 된 U자형의 슬라이딩이동 제한부(31)에 걸리게 된다. 핀(70)은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와 달리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으며, 도3 및 도4와 같은 구조의 도저에서 제1 수직 지지부(23)와 제2 수직 지지부(24) 사이에 용접 고정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80)는 트랙터의 하부 링크(12)에 연결된 채로, 별도의 유압 장치에 의해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후크 결합부(80)는 트랙터 후방으로부터 좌우측 한 개씩 연결된 하부 링크(12)에 연결되므로, 역시 좌우측 한 개씩 제공되어 도저(20)에 두 곳의 연결점을 형성하는데, 유압 장치에 의한 후크 결합부(80)의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은 두 개의 후크 결합부(80)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도록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 결합부(80)의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도5에서 후크 결합부(80)의 A부분에 걸리게 되는 슬라이딩이동 제한부(31)를 포함하는 수평 슬라이딩 부재(30) 역시 동일한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에서 일단부는 도저에 타단부는 아웃트리거에 고정된 스프링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스프링(60)은 그 일단부가 도저(20)에 마련된 제1 스프링 결합부(27)에, 타단부는 아웃트리거(50)에 마련된 제2 스프링 결합부(51)에 연결된다.
도6은 아웃트리거(50)가 수납 상태일 때를 도시한다. 이 때, 아웃트리거 힌지 결합부(52)와 제1 스프링 결합부(27)를 양쪽 단부로 하는 가상의 선분을 A라고 하고, 아웃트리거 힌지 결합부(52)와 제2 스프링 결합부(51)를 양쪽 단부로 하는 가상의 선분을 B라고 하고, 제1 스프링 결합부(27)와 제2 스프링 결합부(51)를 양쪽 단부로 하는 가상의 선분을 C라 하고, A와 B사이의 각도를 θ라 할 때, A와 B는 고정된 길이인 반면, C의 길이와 θ는 도5와 같은 아웃트리거(50)의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에서 변화하는 값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웃트리거(50)의 수납 상태로부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웃트리거(50)의 사용 상태로 전환될 때 θ값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5에 도시된 아웃트리거(50)의 수납 상태로부터 θ값이 커지는 쪽으로 전환이 이루어지다가, 가상의 선분 A, B, C가 일직선상이 되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각각의 상태의 중간 지점에서 θ값이 최대인 180도가 된다. 또한, 이를 기점으로 θ값은 도4에 도시된 사용 상태에 가까워질수록 다시 작아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θ값의 변화에 따라, 가상의 선분 C의 길이, 즉 스프링(60)의 길이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5에 도시된 아웃트리거(50)의 수납 상태로부터 스프링(60)의 길이는 길어지는 쪽으로 전환이 이루어지다가, 가상의 선분 A, B, C가 일직선상이 되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각각의 상태의 중간 지점에서 스프링(60)의 길이는 최대가 된다. 또한, 이를 기점으로 스프링(60)의 길이는 도4에 도시된 사용 상태에 가까워질수록 다시 짧아지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술한 "중간 지점"이란 용어는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에서의 정확한 이등분점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중간 지점은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의 스프링(60)의 탄성력이 최대로 작용하는 임의의 지점이다.
따라서, 도6의 실시예에서 인장 스프링으로 실시되는 스프링(60)은 아웃트리거(50)의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의 중간 지점에서 그 인장력이 최대가 되고, 인장력이 최대가 되는 상기 중간 지점으로부터 수납 상태 사이에서 인장력이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이 구간에서는 수납 상태일 때 인장력이 최소로 된다. 또한, 인장력이 최대가 되는 상기 중간 지점으로부터 사용 상태 사이에서도 인장력이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이 구간에서는 사용 상태일 때 인장력이 최소로 된다.
이러한 이유로, 스프링(60)은 아웃트리거(50)가 그 수납 상태와 상기 인장력이 최대인 중간 지점 사이에 있을 때는 아웃트리거(50)를 수납 상태쪽으로 힌지 이동시키려는 힘을 작용하고, 아웃트리거(50)가 그 사용 상태와 상기 인장력이 최대인 중간 지점 사이에 있을 때는 아웃트리거(50)를 사용 상태쪽으로 힌지 이동시키려는 힘을 작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프링(60)의 작용으로 인하여, 아웃트리거(50)는 그 사용 상태에서 아웃트리거(50)의 걸림부(53)가 도저(20)의 제2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6)에 안정적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아웃트리거(50)의 지지면(54)과 지표면의 수평각도 형성을 정확히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프링(60)의 작용으로 인하여, 아웃트리거(50)는 그 수납 상태에서 아웃트리거(50)의 도저(20) 내측 표면이 제1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5)에 안정적으로 접촉하여 이동 중 덜그럭거림이 없는 안정적인 아웃트리거(50)의 수납 상태 형성을 정확히 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프링(60)의 작용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트리거를 포함한 도저에서,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와 링크 부재 사이의 링크 결합부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홀 구조에서는, 수평 슬라이딩 부재(30)가 링크 부재를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의 정확한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 시키지 않고 대략적으로만 위치 설정하더라도, 스프링(60)이 작용하는 탄성력으로 인하여 아웃트리거(50)를 그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에 정확히 위치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무동력의 수동 방식의 실시예>
상술한 동력을 사용하는 방식의 실시예에서, 수평 방향 슬라이딩 동력은 유압 장치에 연결된 후크 결합부(80), 후크 결합부(80)에 걸림으로써 동력 연결되는 수평 슬라이딩 부재(30),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 부재를 거쳐 아웃트리거(50)로 전달되었다. 그런데, 무동력의 수동 방식의 실시예들에서는 상기한 동력 연결 구성요소들은 모두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무동력의 수동 방식 실시예에서는 아웃트리거(50)의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에서의 전환을 위한 힌지 이동이 인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위한 도면은 별도로 제공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도저(20)로부터 상술한 동력 연결 구성요소들이 제거된 상태이다.
구동 장치 및 상술한 동력 연결 구성요소들이 제거되므로, 본 실시예의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는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도, 도저(20)의 양 단부에 힌지 결합된 아웃트리거(50), 스프링(60), 스프링(60)의 양 단부를 각각 결합하는 제1 스프링 결합부(27)와 제2 스프링 결합부(51), 아웃트리거(50)의 힌지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5)와 제2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6), 아웃트리거(50)의 사용 상태에서 제2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26)에 맞닿을 수 있으며, 아웃트리거(50)에 제공되는 걸림부(53) 등은 아웃트리거(50)의 원활한 힌지 작동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저(20)에서 트랙터의 상부 링크(11)가 상승 이동하게 되면, 도저(20)의 양 단부에 힌지 결합된 아웃트리거(50)는 지표면에 걸리지 않고 힌지 이동 가능한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 때, 작업자는 도3에서와 같이 수납 상태에 있는 아웃트리거(50)를 도저(20)의 외측을 향하여 힌지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도 스프링(60)은 동력을 사용하는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아웃트리거(50)를 그 수납 상태로부터 수동으로 도저(20) 외측을 향하여 힌지 이동시킬 때 스프링(60)은 인장되기 시작한다. 스프링(60)의 인장력은 도6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상의 선분 A, B, C가 일직선상이 되는 지점, 즉, 아웃트리거(50)의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의 중간 지점에서 최대로 된다. 이 지점에 이르기까지 작업자는 아웃트리거(50)를 힌지 이동시킬수록 점차적으로 큰 힘을 가해야 하지만, 상기 중간 지점을 넘어서는 순간 아웃트리거(50)는 스프링(60)이 가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양호하게는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고도 스스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실제로는 아웃트리거(50)의 힌지 이동에 대한 마찰력이 스프링(60)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 작업자는 약간의 힘을 보조적으로 작용해야 할 수도 있다.
아웃트리거(50)의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의 무동력 전환도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 상부 링크
12: 하부 링크
20: 도저
21: 도저면
22: 상부 링크 결합 브래킷
23: 제1 수직 지지부
24: 제2 수직 지지부
25: 제1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
26: 제2 아웃트리거 이동 제한부
27: 제1 스프링 결합부
30: 수평 슬라이딩 부재
31: 슬라이딩이동 제한부
50: 아웃트리거
51: 제2 스프링 결합부
52: 아웃트리거 힌지 결합부
53: 걸림부
54: 지지면
60: 스프링
70: 핀
80: 후크 결합부

Claims (4)

  1. 도저(20)의 트랙터를 향한 면에 힌지 결합되어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 사이에서 힌지 이동 가능한 아웃트리거(50)와,
    도저(20)에 설치되어 동력원로부터의 동력 공급에 따라 수평 방향 이동 가능한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와,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아웃트리거(50)에 타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일단부는 아웃트리거(50)에, 타단부는 도저(20)에 연결되는 스프링(60)을 포함하는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슬라이딩 부재(30)는 슬라이딩이동 제한부(31)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이동 제한부(31)는 제1 수직 지지부(23)와 제2 수직 지지부(24) 사이에서 수평 이동이 제한되는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웃트리거(50)는 지지면(5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면(54)은 상기 사용 상태에서 지표면과 수평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트랙터의 링크(11, 12)가 도저(20)를 지표면을 향해 하강시키면 상기 아웃트리거(50)의 지지면(54)은 지표면과 접촉함으로써 트랙터를 지지하게 되는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슬라이딩 부재(30)와 상기 링크 부재 사이의 링크 결합부는 장홀 구조로 형성되는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
KR1020170081473A 2015-11-09 2017-06-27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 KR10228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473A KR102281473B1 (ko) 2015-11-09 2017-06-27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880A KR101801651B1 (ko) 2015-11-09 2015-11-09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는 도저
KR1020170081473A KR102281473B1 (ko) 2015-11-09 2017-06-27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880A Division KR101801651B1 (ko) 2015-11-09 2015-11-09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는 도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582A KR20170078582A (ko) 2017-07-07
KR102281473B1 true KR102281473B1 (ko) 2021-07-26

Family

ID=5935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473A KR102281473B1 (ko) 2015-11-09 2017-06-27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4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7190A1 (en) 1992-02-25 1993-09-02 Davis, Isla, B. Front end loader attachment convertible between loading bucket and side-shift-angle dozer configurations
CN105178374A (zh) 2014-11-27 2015-12-23 上海彭浦机器厂有限公司 一种折叠式推土铲及推土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173Y1 (ko) * 1990-05-30 1994-0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아웃트리거와 도저블레이드를 갖춘 휠타입굴삭기
US5069296A (en) * 1990-06-05 1991-12-03 Case Corporation Pitch/tilt doz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7190A1 (en) 1992-02-25 1993-09-02 Davis, Isla, B. Front end loader attachment convertible between loading bucket and side-shift-angle dozer configurations
CN105178374A (zh) 2014-11-27 2015-12-23 上海彭浦机器厂有限公司 一种折叠式推土铲及推土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582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1607B1 (en) Dual mode outrigger for a boom truck or the like
US5556217A (en) Auger mount
US7153084B2 (en) Boom clamp
US3042236A (en) Trencher turret rotating apparatus
KR102281473B1 (ko)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도저
US20080276499A1 (en) Blade attachment device
US9957689B2 (en) Tilt bucket profile and front structure
KR200488425Y1 (ko) 굴착기용 지게차 어태치먼트
KR101801651B1 (ko)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는 도저
CN104975624A (zh) 伸缩式滑移转向装载机工作装置
CN105714868B (zh) 具有紧凑锁定构型的工具联接器
JPH07500155A (ja) 関節式ブームを備えた駆動機械
CA2398741C (en) Loader used in timber harvesting machines
DE60200655D1 (de) Erdbewegungsmaschine des lader-typs
US2687809A (en) Utility derrick
KR102496021B1 (ko)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KR200463378Y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US9719231B2 (en) Implement system for machine
KR101820033B1 (ko) 트랙터 로우더용 붐
KR101102515B1 (ko) 작업기용 연결장치
US10597847B2 (en) Implement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for managing a cable used for mounting the same to a vehicle
KR101924698B1 (ko)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KR200366077Y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JP5937541B2 (ja) 作業機の昇降装置
US2506107A (en) 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