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292Y1 -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292Y1
KR200364292Y1 KR20-2004-0021137U KR20040021137U KR200364292Y1 KR 200364292 Y1 KR200364292 Y1 KR 200364292Y1 KR 20040021137 U KR20040021137 U KR 20040021137U KR 200364292 Y1 KR200364292 Y1 KR 200364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support member
connection member
side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메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메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메든
Priority to KR20-2004-0021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2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292Y1/ko
Priority to JP2007522429A priority patent/JP2008507444A/ja
Priority to PCT/KR2005/002367 priority patent/WO2006009405A1/en
Priority to CN2005800249278A priority patent/CN1989475B/zh
Priority to US11/656,130 priority patent/US20070114342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를 지지하면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모니터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모니터측지지부재, 베이스면에 지지되며 결합되는 베이스측지지부재,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의 상부를 연결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측연결부재 및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측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모니터용 경사각 조절장치는 모니터를 지지하면서도 경사각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고, 모니터의 경사각이 모니터의 무게로 인해 스스로 변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모니터 무게중심의 높이가 경사각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크게 변동되지 않도록 하고, 모니터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쉽게 이동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Tilt Controller For Monitor}
본 고안은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를 지지하면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PDP, LCD 모니터 등 박막형 디스플레이 장치, 모니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박막형의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CRT 모니터 하측의 다리형 받침대로 모니터를 지지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평면 판 형상의 모니터 화면 뒷쪽에서 수직형의 스탠드로 고정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모니터 지지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니터(110)의 배면은 스탠드(120)에 결합되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에 위치하게 된다. 스탠드(120)는 바닥면에 접촉되는 받침대(122)와 받침대(122)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된 베이스(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니터(110)는 스탠드(120)의 베이스(124) 면에 힌지(132) 결합시키는 결합장치(130)로 고정된다. 힌지(132)에 의해 모니터(110)는 수직면에 대한 일정 기울기 θ의 경사로 움직이게 된다.
경사각 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힌지(132) 부위에 마찰력을 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모니터(110)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숙여지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경사각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정지마찰력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하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기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프링을 이용해서 반대방향으로 토크를 만들어 중력과 평형을 이루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으나, 스프링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고, 토크의 크기가 변할 경우 평형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예컨대 모니터를 기울여 수평에 가깝게 눕혀 사용하고자 할 때에, 스프링은 계속하여 작용하므로 모니터가 스스로 상승하여 기립하게 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모니터 지지장치의 경우 불특정한 모니터를 대상으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스프링의 탄성력을 어느 무게의 모니터에 맞추어야 하는지 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PDP 디스플레이 장치 처럼 무거운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강한 스프링을 사용하여야 하나, 이 경우 사용자가 손쉽게 각도를 변경할 수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게다가 이러한 일반적인 모니터 지지방식에 의하면, 기울기 θ의 변화에 따라 모니터(110)의 무게중심 G점의 높이가 급격히 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무실, 학교 등과 같이 장시간 사용되는 모니터(110)의 경우 사용자가 모니터(110)의 기울기를 약간밖에 움직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모니터(110)의 중심 높이가 급격하게 바뀌게 되면, 장시간의 모니터 사용자에게 목이나 눈의 피로감을 줄 수도 있다.
비록 스탠드(120)에 높이 조절장치를 더 구비하여, 경사를 조절한 후 높이를 추가로 조절하게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작업자에게 번거로운 것일 수 있다. 또한 모니터(110)의 무게중심 G가 모니터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힌지(132)의 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에 모니터(110)의 무게로 인한 토크가 발생되어 경사가 쉽게 변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을 가하거나 스프링을 부설해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의 기울기, 경사각이 쉽게 변경되지 않는 동시에, 모니터의 경사각을 조절하더라도 모니터 중심의 높이가 최소한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니터를 지지하면서도 경사각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모니터 경사각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모니터의 경사각이 모니터의 무게로 인해 스스로 변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니터 경사각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를 단순화한 개념도
도 4는 도 3의 개념도 중 일부 길이비를 특정하여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도 4의 개념도 중 모니터측라인 BC 의 경사각 θ을 수평거리 v 를 변경시켜가며 나타낸 무게중심 G 점을 표시한 그래프
도 6은 도 5에 나타난 무게중심 G의 높이 변화를 경사각 θ를 변수로 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도 4의 베이스측라인 ED의 사이각 α를 30도로 한 경우의 무게중심 G의 높이 변화를 경사각 θ를 변수로 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8a, 8b, 8c, 8d는 도 4의 닮은 이등변 삼각형에서 삼각형 ABC는 그대로 두고, 삼각형 AED의 크기를 바꿀 때의 무게중심 G의 움직임을 표시한 그래프
도 9a, 9b, 9c, 9d는 도 4의 닮은 이등변 삼각형에서 변 AB와 BE의 길이비는 1:0.5로 고정하고, 꼭지점 A의 꼭지각을 변화시킬 때의 무게중심 G의 움직임을 표시한 그래프
도 10a, 10b는 또 다른 형상의 사각 힌지 구조에서 나타나는 무게중심 G의운동양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도 4의 개념도 중 무게중심 G의 수직거리 u가 0 이 아닌 경우의 무게중심 G 점의 괘적을 표시한 그래프
도 12는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로 조합 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가 결합되는 각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가 결합되는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가 결합되는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니터 20 : 스탠드
30 :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32 : 모니터측지지부재
34 : 베이스측지지부재 36 : 상측연결부재
38 : 하측연결부재 40 : 플레이트
42 : 돌출결합부 50 : 회전판
52 : 배면홈 60 : 탄성부재
62 : 볼트 70 : 가이드 패드
80 : 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모니터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모니터측지지부재, 베이스면에 지지되며 결합되는 베이스측지지부재,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의 상부를 연결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측연결부재 및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측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B점과,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C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모니터측라인 길이는,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E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D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베이스측라인 길이보다 짧은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B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E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상측라인 길이와,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C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D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하측라인 길이가 같은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B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E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상측라인 길이보다,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C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D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하측라인 길이가 짧은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B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E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상측라인 길이보다,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C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D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하측라인 길이가 긴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가 지지되는 상기 베이스면은 벽면 또는 스탠드부재의 일면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가 지지되는 상기 베이스면은 바닥면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는 장형의 기둥 형상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 및 상기 하측연결부재는 각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는 두 개의 장형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는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의 장형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는 각각 두 개의 장형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는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장형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모니터측 단부는 모니터의 일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가압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가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배면홈이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모니터측 단부는 모니터의 일면에 부착된 플레이트에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가압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배면홈이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모니터의 일면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결합부, 상기 돌출결합부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탄성부재 및 상기 돌출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모니터 쪽으로 가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돌출결합부를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에 관통시켜 모니터를 결합시키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모니터의 일면에 결합되고, 배면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결합부를 구비한 플레이트, 상기 돌출결합부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탄성부재 및 상기 돌출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플레이트 쪽으로 가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돌출결합부를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에 관통시켜 상기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전방에 상기 돌출결합부를 관통하는 회전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이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배면홈이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의 테두리는 원 또는 원호의 형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며 끼워지고, 모니터의 일면에 결합되는 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과 모니터 일면 사이에는 모니터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링과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단부와 접촉되는 가이드 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패드는 모니터 측으로부터 지지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단부쪽으로 가압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구체적 실시례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의 측면도 및 이를 단순화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니터(10)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30)에 의해 스탠드(20)의 받침대(22) 수직 상방형성된 베이스(24) 면에 부착되어, 모니터(10)의 경사각 θ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모니터측지지부재(32)는 모니터(10)의 배면이 결합되는 판형상의 부재이며, 베이스측지지부재(34)는 베이스(24) 면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부재이다. 모니터측지지부재(32)와 베이스측지지부재(34)의 상하측에는 각각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가 결합되어 있다. 모니터측지지부재(32)와 모니터(10) 사이에는 추가적인 결합용 판재(미도시)를 도입하여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의 양단부는 모니터측지지부재(32)와 베이스측지지부재(34)의 상하단부에 힌지결합된다. 이렇게 힌지결합되는 중심축 지점을 측면상 B, C, D, E 점으로 표시한다. 즉, 모니터측지지부재(32)와 상측연결부재(36)가 힌지결합되는 측면상의 중심점을 B 점, 모니터측지지부재(32)와 하측연결부재(38)가 힌지결합되는 측면상의 중심점을 C 점, 하측결합부재(38)와 베이스측지지부재(34)가 힌지결합되는 측면상의 중심점을 D 점, 베이스측지지부재(34)와 상측연결부재(38)가 결합되는 측면상의 중심점을 E 점으로 지칭한다.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30)는 모니터측지지부재(32), 베이스측지지부재(34),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의 네가지 부재가 측면상 사각형을 형성하여 링크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를 사각 힌지기구라 부른다.
이와 같이 모니터를 지지하며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4개의 부재를 링크로 연결한 구조에 의하면, 각 부재의 길이, 길이비율 등을 조절하므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다양한 운동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각 부재의 길이를 약간씩만 수정하여 적합하게 사용하므로써 각 사용자에게 알맞는 지지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를 단순화한 개념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30)를 개념화하여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B 점과 C 점을 연결한 선을 모니터측라인이라 하고, C 점과 D 점을 연결한 선을 하측라인이라 하고, D 점과 E 점을 연결한 선을 베이스측라인이라 하고, E 점과 B 점을 연결한 선을 상측라인이라 한다.
G 점은 모니터의 무게중심 위치이고, 모니터측라인 BC의 중점 a로부터 상대적인 수평거리를 v, 수직거리를 u 라 나타낸다. 각 α는 베이스측라인이 수직선과 형성하는 사이각이다. 무게중심 G의 상대적 높이값을 z라 한다.
이러한 개념도에서 각각의 변수들을 설정함에 따라 여러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변수 특성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모니터의 경사각 θ가 변하더라도 모니터의 무게중심의 높이 z 값이 되도록 적게 변하도록 하고 싶다면, 모니터측라인, 하측라인, 베이스측라인, 상측라인 중 일부를 변경해가며 그 조건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건을 찾는 과정을 사각 힌지기구 특성의 특정조건 결정이라 지칭한다.
도 4는 도 3의 개념도 중 일부 길이비를 특정하여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사각 힌지기구의 특성 중 무게중심 높이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특정조건에 대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이등변삼각형 차트법이라 지칭한다.
꼭지점 A를 기준으로 B 점과 C 점이 이등변삼각형 ABC가 되도록 하고, AB 라인과 AC 라인을 연장하여 닮은꼴의 이등변삼각형 AED를 구성한다. 즉 도 3에서 α 를 0 으로 하고, 상측라인 BE 와 하측라인 CD 의 길이를 같게 한 것이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경사각 θ를 10도, 20도, 30도 등으로 증가시키거나, 반대 방향으로 -10도, -20도, -30도 등으로 감소시킬 때 모니터의 무게중심 G 의 위치가 변경되게 되는데, 이를 그래프 상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의 개념도 중 모니터측라인 BC 의 경사각 θ을 수평거리 v 를 변경시켜가며, 나타낸 무게중심 G 점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측라인 BC 의 경사각 θ를 0도, 10도, 20도, 30도 등으로 증가시키거나, -10도, -20도, -30도 등으로 감소시킬 때의 무게중심 G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수직거리 u 는 0으로 설정하고, BC의 길이를 4, ED의 길이를 8, 삼각형 ABC의 높이를 5, 삼각형 AED 의 높이를 10으로 설정한다. 운동특성은 각 라인의 길이비에 의해서만 정해지므로, 단위는 생략한다.
수평거리 v가 4인 경우(각 괘적의 측면에 표기된 숫자가 수평거리)에는 경사각 θ를 변경함에 따라 무게중심 G 의 위치가 그리스 문자 알파의 형상을 하는 괘적을 따라 바뀌게 된다. 수평거리 v가 6인 경우에는 무게중심 G 의 괘적이 그리는루프가 작아지며, 전방으로 얇고 길게 뻗는 형상을 하게 된다. 꼭지점 A를 기준으로 수평한 위치에 찍힌 점들은 θ가 0도일 때이며, 10도씩 증가할 때 찍히는 점들은 상측에, 10도씩 감소할 때 찍히는 점들은 하측에 찍히게 된다.
수평거리 v가 8인 경우에는 삼각형의 꼭지점 A를 중심으로 첨점(cusp)를 그리며, 상하측으로는 비스듬한 직선(I-I)에 가까운 곡선의 괘적을 그린다. 수평거리 v가 8을 초과하여 증가할 수록, 경사각 θ가 0도 근처에서는 완만해 지며, 0도에서 멀어질수록 직선에 가까운 괘적을 그리게 된다.
이렇듯 v가 8 이상일 때 무게중심 G의 괘적 중 직선과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는 부분이 본 고안의 무게중심 G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무게중심 G의 움직임을 경사각 θ를 변수로 한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6과 같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무게중심 G의 높이 변화를 경사각 θ를 변수로 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z 는 무게중심 G의 수직높이이며, 경사각 θ가 0일때를 기준점 0으로 하여 나타낸다. 그래프 상에서 z 옆에 나타낸 숫자는 수평거리 v 이다.
이러한 함수 zv(θ)가 나타내는 곡선을 살펴보면, θ가 -20도에서 +20도 사이의 구간에서 기울기가 비교적 완만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v 가 6, 7, 8일 때에는 아주 작은 기울기를 보이며, 변화폭이 상당히 작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상기와 같은 경사각, 수평거리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무게중심의 높이가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약간의 마찰력만 존재하더라도 모니터가 스스로 숙여지는 형상이 없어지며, 모니터의 중심이 제자리를 유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를 조금 더 응용하여, 베이스측라인 ED의 사이각 α를 조절하면, 더욱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4의 베이스측라인 ED의 사이각 α를 30도로 한 경우의 무게중심 G의 높이 변화를 경사각 θ를 변수로 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이각 α가 30도 일때, 함수 z'v(θ)의 움직임은 30도 에서 100도 사이에서 대체로 평평한 움직임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즉, 사이각 α를 조절하면 도 5 상의 I-I 직선과 근접하게 나타나는 괘적들이 수평하게 기울어지면서, 무게중심 G의 높이가 거의 변하지 않는 움직임을 보이게 할 수 있다. v 가 6인 경우에는 θ가 0도에서 70도 사이, 8인 경우에는 25도에서 105도 사이에서 무게중심 G의 높이 z 가 거의 일정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측라인을 일정 각도만큼 기울이는 경우에는 보다 뛰어난 모니터 무게중심 높이유지 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사각 링크구조는 길이비를 조절하거나, 베이스측라인의 사이각을 변경하는 등의 조절을 통해 모니터가 앞쪽으로 기울어지거나, 하방으로 흘러내리거나, 높이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사각 힌지구조의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특성을얻을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도 8a, 8b, 8c, 8d는 도 4의 닮은 이등변 삼각형에서 삼각형 ABC는 그대로 두고, 삼각형 AED의 크기를 바꿀 때의 무게중심 G의 움직임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8a는 변 AB와 BE의 길이비가 1:0.25, 도 8b는 1:0.5, 도 8c는 1:1, 도 8d는 1:2 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사이각 α는 0도로 설정).
도 8a, 8b, 8c, 8d를 참조하면, 꼭지점 A(v가 8일때)에서 무게중심 G의 괘적은 첨점을 형성하고, v가 8보다 작을 때에는 알파 모양의 곡선을, 8보다 클 때에는 완만해지는 첨점을 갖는 산 모양의 곡선이 된다. 알파 모양과 산 모양은 각각 BE의 길이비가 커질 수록 루프의 크기가 커지고, 뾰족해진다.
사각 힌지구조에서 경사각 θ가 증가함에 따라 각 CBE가 증가하게 되는데, 각 CBE가 180도로 증가하면 모니터측라인 BC 상에 설치된 상하 장형의 모니터 또는 물체가 E 점에 닿게 된다. 이 경우 더 이상 경사각 θ를 변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θ의 범위가 정해지게 된다. 경사각 θ는 도 8a, 8b, 8c, 8d 와 같은 경우 각각, 17도, 27도, 39도, 50도 까지로 범위가 제한되며, 이는 도면의 궤적에 작은 원으로 표시하였다. 경사각 θ의 제한 범위는 변 AB와 BE의 길이비가 커질수록 커짐을 알 수 있다.
변 AB와 BE의 길이비가 커지는 경우 경사각의 범위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이에 맞추어 상측라인과 하측라인의 길이도 길어져야 한다는 조건이 따르게 되는데,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각 범위 및 모니터 설치 위치 등의 조건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 모니터를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경사각이 -10도에서 +10도 사이의 범위에서 조절되면 충분하고, 모니터는 벽에 근접하여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도 8a와 같이 변 AB와 BE의 길이비를 작게 하고, v는 6 정도로 선택하면 된다. 한편, 모니터를 -50도에서 +50도 사이의 넓은 범위에서 조절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예컨대 모니터를 천장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8d와 같이 변 AB와 BE의 길이비를 크게 하고, v는 8 정도로 선택하면 된다.
도 9a, 9b, 9c, 9d는 도 4의 닮은 이등변 삼각형에서 변 AB와 BE의 길이비는 1:0.5로 고정하고, 꼭지점 A의 꼭지각을 변화시킬 때의 무게중심 G의 움직임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9a는 꼭지각이 8.96도, 도 9b는 17.98도, 도 9c는 36.42도, 도 9d는 77.36도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도 9a, 9b, 9c, 9d 각각에서 나타나는 무게중심 G의 괘적은 서로 같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네 경우 사각 힌지 구조가 형성하는 사각형의 모양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운동양태는 상호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변 AB와 BE의 길이비를 다르게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결국 사각 힌지 구조의 운동양태는 변 AB와 BE의 길이비 값에 따라서는 변화하나, 꼭지점 A의 꼭지각에 따라서는 달라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사각 힌지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각 사용자는 설계시에 상당한 시간 절약과 편리함을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각 θ는도 9a, 9b, 9c, 9d 와 같은 경우 각각, 42도, 33도, 27도, 18도 까지로 범위가 제한된다.
도 10a, 10b는 또 다른 형상의 사각 힌지 구조에서 나타나는 무게중심 G의 운동양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변 BE와 변 CD의 길이가 같고, 변 ED가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의 무게중심 G의 운동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변 BE와 변 CD의 길이를 다르게 한 상태로서, 변 ED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α만큼 기울어진 상태의 무게중심 G의 운동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두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경사각 θ가 -30도 에서 +30도의 범위에서는 도 10b의 괘도 곡선들은 마치 도 10a의 사각형을 사용한 사각힌지를 α 만큼 기울였을 때의 궤도 곡선들과 큰 차이 없이 일치한다.
경사각 θ가 그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절대값이 커져갈수록 도 10b의 궤도 곡선들은 도10a의 궤도 곡선의 운동양태와 동일하게 접근되어 간다. 실제적인 적용시에는 -30도 에서 +30도 사이의 범위면 대부분의 필요를 충족하므로 도 10b와 같이 변 CD를 일정 각도 만큼 기울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특허 도 10b의 곡선 중 v 가 8인 경우에는, θ가 -10도 에서 +30도의 범위에서 거의 수평의 궤도를 갖게 되며, 이 범위의 경사각은 실제적인 평판 모니터 사용시에 가장 일반적으로 필요한 경사각에 해당된다. 이러한 사각 힌지 장치 조건에 따라 z의 변화량을 표시하면, 도 6에 z"8(θ)로 표시한 곡선과 같다. 이를 참조하면, θ가 -10도 에서 +30도의 범위에서 높이가 거의 일정함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도 4의 개념도 중 무게중심 G의 수직거리 u가 0 이 아닌 경우의 무게중심 G 점의 괘적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변 BC 의 위치가 ⑤의 위치(θ가 0도)를 기준으로 10도씩 감소되며 ④, ③, ②, ①의 위치로 눕게 되거나, 10도씩 증가되며 ⑥, ⑦, ⑧, ⑨의 위치로 기울어지게 될 때, 수평거리 v에 따라 그리는 괘적을 각 위치별로 대응되는 숫자를 통해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수직거리 u가 4 인 경우에 무게중심 G 점은 도 10b와 같은 운동양태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즉, 도 11 상에서 수평거리 v 가 8인 곡선은 -10도에서 -40도의 범위에서 거의 수평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도 10b의 v 가 8인 괘적보다 수평을 유지하는 범위가 더 넓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0b의 기구는 변 DE를 일정 각도 비스듬하게 굽혀서 설치하여야 하나, 도 11 상에서는 변 DE를 수직으로 해도 된다는 유리한 점이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등변 삼각형을 이용하여 사각 힌지장치를 구성하고, 이를 기초로 각각의 특성에 맞게 길이비, 경사각, 사이각, 수평길이, 수직길이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나타내는 경사각 조절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니터측지지부재(32)에 결합된 상측연결부재(36) 및하측연결부재(38)를 길게 연장 형성하고, 베이스측지지부재(34)를 바닥 베이스면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는 모니터(10)와 접촉되지 않도록 중간 부분을 굽어지거나 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이스측지지부재(34)의 하측면에는 얇은 판형의 받침대(34a)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를 길게 하고, 베이스측지지부재(34)를 바닥 베이스면에 접촉되도록 하면, 모니터(10)는 큰 각도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모니터(10)를 잡아 당기면 상측연결부재(36)와 하측연결부재(38)는 호를 그리며 내려오고, 모니터(10)의 경사각은 커지게 된다.
모니터(10)를 전방으로 당기면 모니터(10)가 하방으로 눕혀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모니터(10)를 눕혀 '판서모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모니터(10)가 터치 스크린 방식인 경우에는 그 효용도가 더욱 크게 된다.
최근 평판 모니터에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판서모드' 사용 기능이 부가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로 보기만 하는 '모니터모드'와 입력까지도 가능하게 하는 '판서모드'의 기능을 하도록 설계될 필요성이 있다. 모니터모드에서는 경사각이 -5도에서 +45도 정도이며 작업자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동시에 높이 z가 큰 것이 바람직하며, 판서모드에서는 경사각이 +45도에서 +90도 정도의 범위에서 작업자에게 가까운 위치에서 z의 높이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모니터 고정장치는 경사각과 질량중심의 위치 사이가 연동되지 않아서 독립적으로 조정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판서모드' 또는 '모니터모드'로전환할 때마다, 여러 가지 조건을 조절해 줘야 하므로 번거로운 점이 많다. 또한 볼마운트 등을 이용한 종래 모니터 고정장치는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판서모드로 해놓고 하중을 가할 경우 위치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사각 힌지구조를 통해 판서모드 또는 모니터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여러 조건들이 단번에 조절되므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모드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판서를 위한 하중을 가하더라도 각 지지부재에서 충분히 하중을 지지하므로 위치가 쉽게 변경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도 12와 같은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30)는 판서모드 시에 넘어지지 않도록 길게 뻗은 받침대(34a)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받침대(34a)는 모니터모드에서는 큰 필요성이 없게 된다. 이러한 번거로운 구성을 제거하면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측연결부재(38)와 베이스측지지부재(34)를 하방으로 교차하며 연장 형성하여 하측의 지지부(38a, 34b)가 바닥 베이스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전술한 사각 힌지구조의 원리들은 이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하측연결부재(38)와 베이스측지지부재(34)의 지지부(38a, 34b)는 하방을 향하고, 서로 교차하며 연장되므로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30)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하측연결부재(38)의 지지부(38a)와 바닥면 사이의 마찰력을 베이스측지지부재(34)의 지지부(34b)와 바닥면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게 하여, 뒷쪽의 하측연결부재(38)의 지지부(38a)가 바닥면에서 움직이지 않고 앞쪽의 베이스측지지부재(34)의 지지부(34b)만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뒷쪽의 하측연결부재(38)의 지지부(38a)에 고무를 씌우거나, 앞쪽의 베이스측지지부재(34)의 지지부(34b)에 바퀴를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로 조합 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각 힌지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는 모니터측지지부재(32)가 나란한 두 개의 장형 지지부(32a)를 포함하고, 베이스측지지부재(34)도 나란한 두 개의 장형 지지부(34c)를 포함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30)이다.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는 모니터측지지부재(32)와 베이스측지지부재(34)의 장형 지지부(32a, 34c)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b)는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로 각각 두 개의 장형 지지부(36a, 38a)를 구비하고, 그 사이에 모니터측지지부재(32)와 베이스측지지부재(34)를 끼워 결합하게 된다.
(c)는 혼합된 형태로서, 모니터측지지부재(32) 및 베이스측지지부재(34)를 Y자 형으로 하여 상측에는 상측연결부재(36)를 끼우고, 하측에는 두 개의 장형 지지부(38a)에 끼워진다.
도 15는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가 결합되는 각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모니터(미도시)가 결합되는 플레이트(40)는 후방 중심에 돌출결합부(42)가 구비되고, 돌출결합부(42)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30)의 모니터측지지부재(32)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모니터측지지부재(32)를 관통한 돌출결합부(42)는 탄성부재(60)를 관통하여 볼트(62)에 의해 결합된다. 탄성부재(60)로는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출결합부(42)를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여 플레이트(40)와 모니터측지지부재(32)가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모니터측지지부재(32)의 측방으로는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가 결합되는데,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의 단부를 다소 연장하여 플레이트(40) 쪽으로 돌출시킨다. 이를 결합시키고 탄성부재(60)로 플레이트(40)와 모니터측지지부재(32)를 상호 밀착시키면 플레이트(40)의 배면은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의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플레이트(40)의 배면과 접촉된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의 단부는 마찰력으로 인해 쉽게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60)를 조이는 볼트(62)의 조임에 따라 탄성부재(60)가 플레이트(40)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가 회전되지 않게 되고, 자연스럽게 플레이트(40)가 전방으로 기울거나, 하방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플레이트(40)와 모니터측지지부재(32) 사이에는 회전판(50)을 더 구비하여, 플레이트(4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으며, 회전판(50)의 배면에는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의 단부 형상과 대응되는 배면홈(52)을 형성하여, 회전판(60)의 배면홈(52)과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의 단부가 더욱 넓은 면에서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면홈(52)은 회전판(50)이 없는 상태에서 플레이트(40)의 배면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본 고안의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가 결합되는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원 또는 원호 형상의 테두리를 포함하는 모니터측지지부재(32)와 이를 감싸며 끼워지는 링(80)에 플레이트(40)가 결합되므로써, 플레이트(40)가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3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링(80)은 모니터측지지부재(32)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링(80)과 플레이트(40) 상호 간에는 볼트 등으로 결합되고, 링(80)의 내측에는 가이드 패드(70)가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의 단부와 접촉되며 구비되고, 가이드 패드(70)의 타측에는 플레이트(40)와의 사이에 탄성부재(60)가 끼워지게 된다.
탄성부재(60)는 플레이트(40)와 가이드 패드(7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미는 방향으로 탄성을 전달하는 판 스프링으로서, 가이드 패드(70)를 모니터용 기울기조절장치(30) 쪽으로 밀어,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의 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된 상측연결부재(36) 및 하측연결부재(38)는 마찰력으로 인해 회전이 어렵게 되고, 위치를 유지하려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 때 링(80)과 모니터측지지부재(32)는 일정 각도 테이퍼진 상태로 밀착되며, 링(80)과 플레이트(40)가 모니터측지지부재(32) 쪽으로 밀착되도록 테이퍼의 방향을 조절한다. 이로써 하나의 탄성부재(60) 즉, 판스프링으로 각 구성을 조일 수 있도록 하는 간단한 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판스프링을 베이스측지지부재(34) 쪽에 설치하거나 양쪽 모두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측연결부재(36)는 아래쪽으로, 하측연결부재(38)는 위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휘도록 구성하여야 링(80)의 테이퍼진 내측면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만약 상측연결부재(36)와 하측연결부재(38)를 직선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링(80)의 안쪽 부분에 상측연결부재(36)와 하측연결부재(38)가 접촉되어 움직임이 제한되게 된다.
본 고안의 모니터용 경사각 조절장치는 모니터를 지지하면서도 경사각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모니터의 경사각이 모니터의 무게로 인해 스스로 변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모니터 무게중심의 높이가 경사각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크게 변동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모니터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쉽게 이동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3)

  1. 모니터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모니터측지지부재;
    베이스면에 지지되며 결합되는 베이스측지지부재;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의 상부를 연결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측연결부재; 및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측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B점과,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C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모니터측라인 길이는,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E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D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베이스측라인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B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E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상측라인 길이와,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C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D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하측라인 길이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B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E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상측라인 길이보다,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C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D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하측라인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B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E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상측라인 길이보다,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C점과,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와 상기 하측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측면 중심점인 제D점 사이의 직선 길이인 하측라인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가 지지되는 상기 베이스면은:
    벽면 또는 스탠드부재의 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가 지지되는 상기 베이스면은:
    바닥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는 장형의 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 및 상기 하측연결부재는 각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는 두 개의 장형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는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의 장형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는 각각 두 개의 장형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는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장형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모니터측 단부는 모니터의 일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조절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가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배면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모니터측 단부는 모니터의 일면에 부착된 플레이트에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배면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모니터의 일면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결합부;
    상기 돌출결합부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탄성부재; 및
    상기 돌출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모니터 쪽으로 가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돌출결합부를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에 관통시켜 모니터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모니터의 일면에 결합되고, 배면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결합부를 구비한 플레이트;
    상기 돌출결합부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탄성부재; 및
    상기 돌출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플레이트 쪽으로 가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돌출결합부를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에 관통시켜 상기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전방에 상기 돌출결합부를 관통하는 회전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이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배면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의 테두리는 원 또는 원호의 형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측지지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며 끼워지고, 모니터의 일면에 결합되는 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링과 모니터 일면 사이에는 모니터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링과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단부와 접촉되는 가이드 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드는 모니터 측으로부터 지지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상측연결부재 또는 상기 하측연결부재의 단부쪽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KR20-2004-0021137U 2004-07-23 2004-07-23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KR200364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137U KR200364292Y1 (ko) 2004-07-23 2004-07-23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JP2007522429A JP2008507444A (ja) 2004-07-23 2005-07-21 モニタ用傾き調節装置
PCT/KR2005/002367 WO2006009405A1 (en) 2004-07-23 2005-07-21 Controller for monitor
CN2005800249278A CN1989475B (zh) 2004-07-23 2005-07-21 监视器的控制器
US11/656,130 US20070114342A1 (en) 2004-07-23 2007-01-22 Controller for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137U KR200364292Y1 (ko) 2004-07-23 2004-07-23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292Y1 true KR200364292Y1 (ko) 2004-10-14

Family

ID=3578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137U KR200364292Y1 (ko) 2004-07-23 2004-07-23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14342A1 (ko)
JP (1) JP2008507444A (ko)
KR (1) KR200364292Y1 (ko)
CN (1) CN1989475B (ko)
WO (1) WO2006009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4328B2 (ja) * 2008-09-29 2013-12-11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スタンド付き表示装置
WO2012006593A2 (en) 2010-07-08 2012-01-12 Southco, Inc. Display support apparatus
EP3426965B1 (en) 2016-03-07 2021-04-21 Southco, Inc. A display support arm assembly for mounting a display
CN112212193A (zh) * 2020-10-27 2021-01-12 中拜出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抖动程度低的网约车支架
CN113306496A (zh) * 2021-06-30 2021-08-27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多媒体屏安装支架总成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790A (en) * 1905-03-06 1905-12-12 Henry F Foersterling Telephone-bracket.
US997650A (en) * 1908-05-23 1911-07-11 Andrew Dahlen Extensible bracket.
US3802702A (en) * 1973-03-07 1974-04-09 Equalizer Inc Support structure for basketball board and hoop combinations
US4805904A (en) * 1986-10-21 1989-02-21 Lifetime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basketball goal
KR940007011Y1 (ko) * 1989-12-23 1994-10-07 대우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용 회전 및 기울기 조절장치
US5108063A (en) * 1990-11-01 1992-04-28 Hill-Rom Company, Inc. Hospital room computer mounting arm
JP4442950B2 (ja) * 1999-05-31 2010-03-31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モニタ可動システム
JP3702132B2 (ja) * 1999-10-29 2005-10-05 加藤電機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用の画面角度調整装置
JP2001203473A (ja) * 2000-01-19 2001-07-27 Totoku Electric Co Ltd 情報端末装置
US6402109B1 (en) * 2001-05-16 2002-06-11 Chief Manufacturing, Inc. Self-balancing mounting system for a flat panel display
KR100377629B1 (ko) * 2001-06-05 200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장치
JP2002369101A (ja) * 2001-06-08 2002-12-20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用の画面角度調整装置
JP4094937B2 (ja) * 2001-11-19 2008-06-04 三星電子株式会社 モニタ装置
US6766994B2 (en) * 2002-04-05 2004-07-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abilized flat panel touch monitor
KR100461184B1 (ko) * 2002-05-28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6604722B1 (en) * 2002-06-10 2003-08-12 Seng-Ling Tan Display support
US7317611B2 (en) * 2003-07-23 2008-01-08 Chief Manufacturing Inc. Under-cabinet mount for flat-panel displays
KR100968455B1 (ko) * 2004-01-09 201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N100589209C (zh) * 2005-09-06 2010-02-10 全向装配系统公司 用于安装平板视频显示器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14342A1 (en) 2007-05-24
JP2008507444A (ja) 2008-03-13
WO2006009405A1 (en) 2006-01-26
CN1989475B (zh) 2011-05-18
CN1989475A (zh)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5743B2 (en) Elevation-adjustable display screen support arm
US6857610B1 (en) Position adjustable load support mechanism
US9316346B2 (en) Support system
US7438269B2 (en) Adjustable tilt mount
US10753531B2 (en) Multi-display stand
EP1492978B1 (en) Stabilized flat panel touch monitor
US20200191321A1 (en) Monitor and keyboard support arm
US4611777A (en) Computer terminal stand
US20160010788A1 (en) Hands-Free Holding Device
AU2017346515A1 (en) Display support system
US8087629B2 (en) Stand apparatus
US20070001076A1 (en) Support arm and method with variable counterbalance
KR20070006433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 장치
KR200364292Y1 (ko)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US4575033A (en) Tilt-swivel base for a CRT display terminal
KR100612605B1 (ko) 모니터용 기울기 조절장치
CN110088520B (zh) 倾斜机构
KR101621892B1 (ko) 3d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모니터 거치브라켓
CN101657669A (zh) 支架装置
JPH0511707A (ja) 画面向き調節装置
JP7110752B2 (ja) ディスプレイ用スタンド及び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システム
CN220671941U (zh) 一种角度可调节电阻式触摸屏
JPS60124183A (ja) 傾斜機構付き支持装置
JP3236707B2 (ja) 自立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038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817

Effective date: 201003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