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220Y1 - 거푸집용 이음판넬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이음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220Y1
KR200364220Y1 KR20-2004-0020082U KR20040020082U KR200364220Y1 KR 200364220 Y1 KR200364220 Y1 KR 200364220Y1 KR 20040020082 U KR20040020082 U KR 20040020082U KR 200364220 Y1 KR200364220 Y1 KR 200364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rmwork
timber
joi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태성판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판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성판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0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용 이음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벽체 판넬 생산 후 설치하여 그 위에 슬라브 합판을 설치하는 과정의 거푸집 설치에 있어 규격화된 벽체 판넬을 이용하는 거푸집용 판넬에 있어서, 높아진 층고를 보완하고 추락위험이 있는 슬라브합판 고정용 팀버의 설치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내부에 목재가 취부되는 팀버부 및 팀버부 하부에 용접결합되고 규격화된 벽체 판넬의 조립된 상부에 직진성을 유지한 채로 상부틀, 하부틀 및 나비형 웨지핀으로 이루어지는 크램프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 비규격판넬의 사용시 체결구멍 및 함입부의 증가를 없애고, 또한 이음판넬 고정앵글에 의해 벽체상부의 직진도가 확보되고, 벽체판넬에 고정된 크램프 사이로 이음판넬의 고정턱이 삽입되어 이음판넬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서 벽체 패널을 규격화된 기본 판넬을 사용하여 전용율을 높여 자재비 절감, 품질향상, 인건비 절감을 기할 수 있고, 크램프에 목재가 취부되는 팀버부가 거푸집 설치작업 이전에 형성되어 있어 추락위험이 있는 슬라브합판 고정용 팀버의 설치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거푸집용 이음판넬{JOINT PANEL FOR MOLD}
본 고안은 거푸집용 이음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증가된 층고부분을 다수개의 수직 판넬들과 연결되는 이음판넬을 크램프로 체결함으로서 종래 비규격판넬의 사용시 체결구멍 및 함입부의 증가를 없애고, 또한 이음판넬 고정앵글에 의해 벽체상부의 직진도가 확보되고, 벽체판넬에 고정된 크램프 사이로 이음판넬의 고정턱이 삽입되어 이음판넬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서 벽체 패널을 규격화된 기본 판넬을 사용하여 전용율을 높여 자재비 절감, 품질향상, 인건비 절감을 기할 수 있고, 크램프에 목재가 취부되는 팀버부가 거푸집 설치작업 이전에 형성되어 있어 추락위험이 있는 슬라브합판 고정용 팀버의 설치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거푸집용 이음판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설치는 복잡다단한 데, 일반적으로는 하부에 수평조절대를 설치하고 층간의 거리, 즉 층고에 맞추어 벽체의 판넬들을 생산한 후 설치하여 그 위에 슬라브용 합판을 설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건축회사는 이윤을 되도록 많이 남기기 위해서는 제한된 전체높이하에서 되도록 많은 층수를 지어야 하는 반면, 상기한 층고는 각종 소음, 진동 등의 환경영향의 규제를 받아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짓도록 정부는 규제를 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최근에는 이러한 환경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어 각종 법규 등의 변경으로 최소 층고를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법규변경 등으로 최소 층고가 높아지기 전에는 그 당시의 원하는 층고에 맞추어 규격화된 판넬들을 조립하여 거푸집을 설치시공하였다. 상기한 일정규격화된 판넬이라 함은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 그 팽창압력을 충분히 견뎌내어 판넬의 휘어짐, 배부름 현상, 콘크리트의 누설 등을 충분히 예방하여 콘크리트 면의 수직성 확보 및 할석 발생을 막는 등을 충분히 보장받을 수 있을 정도로 판넬의 폭, 길이, 두께, 강도, 체결위치 등이 사전에 이미 설정되어 규격화된 판넬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법규변경 전의 최소층고에 맞춘 규격화된 판넬의 설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ㄷ형강에 프렛타이가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일정규격화된 거푸집 판넬이 조립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체결구에 의한 체결은 도시되지 않음).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강(1)은 그 단면이 ㄷ자 단면으로서, 양쪽에 돌출턱(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턱(1a)의 중간에 일정간격으로 함입부(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입부(1b)에는 체결구멍(1c)이 관통형성되어 있다(도 2a 참조).
상기 함입부(1b)에 프렛타이(2)의 양단이 놓여지고, 쐐기, 핀 등의 체결구(3)가 상기 프렛타이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체결구멍(2a) 및 상기 ㄷ형강의 체결구멍(1c)를 관통하고, 완전히 관통하여 연결된 체결구에 또 다른 체결구가 체결구에 형성된 체결구멍(3a)를 다시 관통함으로서 단단히 체결되어진다. 관통하여 체결됨은 체결구멍을 통해서이긴 하나 그 단단함을 보장하기 위하여 망치 등으로 강하게 때려서 체결하는 방식을 쓰고 있다.
한편, 상기한 일정규격화된 판넬의 설치라고 할지라도 판넬 중 프렛타이가 설치되지 않는 부분 중에 팀버나 강철 등의 단단한 소재 의 수평보강대(6)를 보강후크(7)에 의해 보강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진동 등의 환경영향으로 법규변경 등에 의한 규제에 의해 층고가 높아지게 되었고, 이에 대해 건축회사 등에선 단순히 높아진 층고에 맞춘 비규격화된 판넬을 만들어 사용함으로서 후술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층고변경에 따른 비규격화된 거푸집 판넬이 조립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프렛타이 및 체결구에 의한 체결은 도시되지 않음), 도 3c는 종래 층고변경에 따른 비규격화된 거푸집 판넬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들의 후레임(frame)으로 ㄷ형강을 사용하고, 상기 ㄷ형강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구멍(1c)을 천공하고, ㄷ형강의 돌출턱(1a)을 깎아 함입부(1b)를 다수개 형성하여 프렛타이나 보강후크 설치공간을 확보하는 점은 규격판넬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다.
그러나, 비규격판넬을 사용하게 되면, 체결구멍(1c)을 양 방향(상부 기점과 하부 기점)에서 일정 간격으로 천공하여야 하는 바(그렇지 아니하면 콘크리트 경화압력때문에 체결구멍의 간격이 큰 쪽으로 판넬의 배부름 현상, 휘어짐 등의 큰 문제가 발생한다), 체결구멍(1c) 및 함입부(1b)가 도시된 바와 같이 많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후레임(frame)인 ㄷ형강의 강도가 약해지게 되고, 사용하지 않는 함입부(1b)의 증가로 콘크리트의 누출이 심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사용하지 않는 함입부(1b)가 없도록 모두 다 프렛타이로 체결한다는 것도 엄청난 인력이 소요되어 비현실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ㄷ형강에 함입부(1b)를 많이 형성하는 것은 엄청난 제조노력의 낭비가 되는 반면에, 비규격으로 제작되어 있는 바, 하나의 현장에서 사용 후 다른 현장에서는 전혀 전용할 수 없어 건축폐기물로 처리해야 하고 그에 따라 자원의 낭비, 처리비용의 증가 등 현실적으로 수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증가된 층고부분을 다수개의 수직 판넬들과 연결되는 이음판넬을 크램프로 체결함으로서 종래 비규격판넬의 사용시 체결구멍 및 함입부의 증가를 없애고, 또한 이음판넬 고정앵글에 의해 벽체상부의 직진도가 확보되고, 벽체판넬에 고정된 크램프 사이로 이음판넬의 고정턱이 삽입되어 이음판넬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서 벽체 패널을 규격화된 기본 판넬을 사용하여 전용율을 높여 자재비 절감, 품질향상, 인건비 절감을 기할 수 있고, 크램프에 목재가 취부되는 팀버부가 거푸집 설치작업 이전에 형성되어 있어 추락위험이 있는 슬라브합판 고정용 팀버의 설치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거푸집용 이음판넬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ㄷ형강에 프렛타이가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일정규격화된 거푸집 판넬이 조립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체결구에 의한 체결은 도시되지 않음),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층고변경에 따른 비규격화된 거푸집 판넬이 조립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프렛타이 및 체결구에 의한 체결은 도시되지 않음),
도 3c는 종래 층고변경에 따른 비규격화된 거푸집 판넬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층고가 변경되어 본 고안의 거푸집용 이음판넬이 조립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c는 상기 도 4a의 A부분을 확대도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거푸집용 이음판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거푸집용 이음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7a, 도 7b 및 도 7c는 각각 본 고안의 크램프 중 상부틀을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본 고안의 크램프 중 하부틀을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9a, 도 9b 및 도 9c는 각각 본 고안의 크램프 중 나비형 웨지핀을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본 고안의 조립된 크램프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ㄷ형강 1a : 돌출턱
1b : 함입부 1c, 2a, 3a : 체결구멍
2 : 프렛타이 3 : 체결구(쐐기, 핀, 나사)
4 : 슬라브 합판 5 : 팀버
6 : 수평보강대 7 : 보강후크
8 : 이음판넬 8a : 보강대
8b : 팀버부 8c : 고정턱
9 : 크램프 91 : 상부틀
91a, 92c : 웨지핀홀부 91b : 이음판넬 고정앵글
91c, 92b : 웨지핀홀 92 : 하부틀
92a : 판넬고정턱 93 : 나비형 웨지핀
93a : 이탈방지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체의 판넬들을 생산한 후 설치하여 그 위에 슬라브용 합판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거푸집 설치에 있어 규격화된 벽체 판넬을 이용하는 거푸집용 판넬에 있어서, 높아진 층고를 보완하고 상기 추락위험이 있는 슬라브합판 고정용 팀버의 설치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내부에 목재가 취부되는 팀버부(8b) 및 상기 팀버부(8b) 하부에 용접결합되고 상기 규격화된 벽체 판넬의 조립된 상부에 직진성을 유지한 채로 놓여 결합되는 고정턱(8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높아지는 층고의 증가가 팀버부의 높이보다 큰 경우 상기 팀버부(8b)의 하면 및 고정턱(8c)에 일정간격으로 용접결합되는 보강대(8a)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턱(8c)과 상기 규격화된 벽체 판넬의 조립된 상부와의 결합은 상면과 하면은 관통형성되어 ㄷ자 단면형상이고 정면과 후면의 중앙에 웨지핀홀(91c)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웨지핀홀부(91a)와 상기 웨지핀홀부의 측면에 용접결합되는 이음판넬 고정앵글(91b)로 이루어지는 상부틀(91); 돌출 상단이 상기 벽체판넬 상부의 체결구멍(1c)으로 삽입되는 판넬고정턱(92a)과 웨지핀홀(92b)이 중앙에 관통형성된 웨지핀홀부(92c)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틀(92) 및 일단의 상부에 이탈방지턱(93a)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핀홀(91c, 92b)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나비형 웨지핀(93)으로 이루어지는 크램프(9)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는 층고가 변경되어 본 고안의 거푸집용 이음판넬이 조립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c는 상기 도 4a의 A부분을 확대도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푸집용 이음판넬이 조립설치된 상태에서 중간부 및 하부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에서 벽체판넬 위에 본 고안의 이음판넬(8)이 직진성을 유지한 채로 놓여지고, 후술하는 크램프(9)가 벽체 판넬의 상부와 이음판넬(8)의 하부를 단단히 연결하고 있다. 연결방식에 대해서는 이음판넬 및 크램프에 대해 설명하면서 도 4c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거푸집용 이음판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변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음판넬(8)은 상부의 팀버가 취부되는 팀버부(8b)와, 중간부의 보강대(8a) 및 하부의 고정턱(8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팀버부(8b)는 목재가 취부되는 곳으로서 상면에는 못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슬라브합판(4)과 체결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거푸집 설치에 있어 추락위험이 있는 슬라브합판 고정용 팀버의 설치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팀버부 내부에는 목재가 취부되지만, 그 외면은 목재가 아닌 강철 등의 단단한 소재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그 하면에서 상기 보강대(8a) 및 고정턱(8c)의 상단과 용접결합되어진다.
상기 보강대(8b)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용접결합되는 것으로서, 팀버부를 지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턱(8c)은 그 하부가 돌출형성된 것으로서, 하부의 돌출된 부분은 후술하는 크램프와 벽체판넬 상부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서 이음판넬의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도 4c 참조)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거푸집용 이음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상기한 일실시예와는 달리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필요한 이음판넬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이음판넬로서, 보강대는 찾아볼 수 없고, 고정턱(8c)도 팀버부(8b) 측면의 일부에 용접결합되어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각각 본 고안의 크램프(9) 중 상부틀(91)을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틀(91)은 웨지핀홀부(91a)와 이음판넬 고정앵글(91b)이 상기 웨지핀홀부의 측면에 용접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웨지핀홀부(91a)의 정면과 후면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나비형 웨지핀(93)이 삽입되는 웨지핀홀(91c)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상면과 하면은 관통형성되어 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서 하면으로는 후술하는 하부틀(92)의 좌측의 웨지핀홀부(92c)가 삽입되어 나비형 웨지핀(93)이 관통되어 결합되어진다.
상기 이음판넬 고정앵글(91b)은 그 내면에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판넬의 고정턱(8c) 하부의 돌출형성된 부분이 밀접되어 연결됨으로서 크램프(9)와 이음판넬 하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본 고안의 크램프(9) 중 하부틀(92)을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틀(92)은 우측의 판넬고정턱(92a)과 좌측의 웨지핀홀부(92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의 웨지핀홀부(92c)의 중앙에는 웨지핀홀(92b)이 관통형성되어 있어, 웨지핀홀부(92c)의 상부가 상기 상부틀의 웨지핀홀부(91a)의 하면을 통해 삽입되면 웨지핀홀 91c와 92b가 나비형 웨지핀(93)이 관통할 수 있도록 서로 맞추어진다.
상기 우측의 판넬고정턱(92a)의 돌출 상단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판넬 상부의 ㄷ형강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1c) 안으로 삽입되어 크램프(9)와 벽체 판넬 상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각각 본 고안의 크램프 중 나비형 웨지핀(93)을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나비형 웨지핀(93)은 전체적인 형상이 나비넥타이와 같이 중앙의 높이폭은 작고 좌우양단은 크게 돌출형성되어 있는 형상으로서, 좌측 일단의 상부에는 이탈방지턱(93a)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에는 이탈방지턱(93a)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본 고안의 조립된 크램프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나비형 웨지핀(93)의 우측이 상기 상부틀의 웨지핀홀(91a)과 하부틀의 웨지핀홀(92b)을 관통하고 이어서 망치 등으로 좌측을 가격하여 단단히 크램프가 조립되도록 한다. 크램프가 단단히 조립되면 결과적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램프(9)에 의해 이음판넬 하부와 벽체판넬 상부가 단단히 연결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증가된 층고부분을 다수개의 수직 판넬들과 연결되는 이음판넬을 크램프로 체결함으로서 종래 비규격판넬의 사용시 체결구멍 및 함입부의 증가를 없애고, 또한 이음판넬 고정앵글에 의해 벽체상부의 직진도가 확보되고, 벽체판넬에 고정된 크램프 사이로 이음판넬의 고정턱이 삽입되어 이음판넬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서 벽체 패널을 규격화된 기본 판넬을 사용하여 전용율을 높여 자재비 절감, 품질향상, 인건비 절감을 기할 수 있고, 크램프에 목재가 취부되는 팀버부가 사전에 형성되어 있어 추락위험이 있는 슬라브합판 고정용 팀버의 설치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핀체결방식이 아닌 크램프 체결방식에 의하므로 이음판넬의 좌우상의 길이(동서남북 상의 길이)에 관계없이 체결이 가능한 효과도 갖는다.

Claims (3)

  1. 벽체의 판넬들을 생산한 후 설치하여 그 위에 슬라브용 합판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거푸집 설치에 있어 규격화된 벽체 판넬을 이용하는 거푸집용 판넬에 있어서,
    높아진 층고를 보완하고 상기 추락위험이 있는 슬라브합판 고정용 팀버의 설치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내부에 목재가 취부되는 팀버부(8b) 및
    상기 팀버부(8b) 하부에 용접결합되고 상기 규격화된 벽체 판넬의 조립된 상부에 직진성을 유지한 채로 놓여 결합되는 고정턱(8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이음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높아지는 층고의 증가가 팀버부의 높이보다 큰 경우 상기 팀버부(8b)의 하면 및 고정턱(8c)에 일정간격으로 용접결합되는 보강대(8a)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이음판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8c)과 상기 규격화된 벽체 판넬의 조립된 상부와의 결합은 상면과 하면은 관통형성되어 ㄷ자 단면형상이고 정면과 후면의 중앙에 웨지핀홀(91c)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웨지핀홀부(91a)와 상기 웨지핀홀부의 측면에 용접결합되는 이음판넬 고정앵글(91b)로 이루어지는 상부틀(91);
    돌출 상단이 상기 벽체 판넬 상부의 체결구멍(1c)으로 삽입되는 판넬고정턱(92a)과 웨지핀홀(92b)이 중앙에 관통형성된 웨지핀홀부(92c)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틀(92) 및
    일단의 상부에 이탈방지턱(93a)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핀홀(91c, 92b)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나비형 웨지핀(93)으로 이루어지는 크램프(9)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이음판넬.
KR20-2004-0020082U 2004-07-14 2004-07-14 거푸집용 이음판넬 KR200364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082U KR200364220Y1 (ko) 2004-07-14 2004-07-14 거푸집용 이음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082U KR200364220Y1 (ko) 2004-07-14 2004-07-14 거푸집용 이음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220Y1 true KR200364220Y1 (ko) 2004-10-11

Family

ID=4943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082U KR200364220Y1 (ko) 2004-07-14 2004-07-14 거푸집용 이음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2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5391A1 (en) Forms structure, panel support material, panel support material for internal corner, panel support material for external corn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rms
CN1313683C (zh) 采用不对称截面钢梁的钢-混凝土组合梁
KR20150019274A (ko) 광폭 pc 복합거더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0364220Y1 (ko) 거푸집용 이음판넬
KR101463106B1 (ko) 건축용 pc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JP4190390B2 (ja) 建物躯体へのパネル部材の取付構造
KR10062632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JP3392132B1 (ja) 型枠用セパレータ、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システム並びに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KR20070043641A (ko) 각도조절 가능한 거푸집
CN219825702U (zh) 一种建筑预制单元模块
CN220203062U (zh) 一种分体装配式墙板连接件及连接结构
JP2019044444A (ja) 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
JP4836565B2 (ja) 壁式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
JP2668510B2 (ja) Pc壁式工法における柱と梁の一体形成方法
KR101165587B1 (ko) 토목 건축용 다용도 패널
KR200391961Y1 (ko) 옹벽 마감용 패널
JP2003013502A (ja) 柱接合金物、基礎と柱との接合構造、柱接合金物の製造方法、柱接合金物の設置方法、設置用治具、建築用鋼材
JP4155880B2 (ja) 埋設型枠
JP4152328B2 (ja) 壁式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20230044916A (ko) 거푸집 체결 클램프
JP3046731U (ja) 木造建物における木造軸組用壁フレーム
JPH09328850A (ja) 構築用パネル体とその連結方法
KR200362827Y1 (ko) 콘크리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