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109Y1 -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109Y1
KR200364109Y1 KR20-2004-0018536U KR20040018536U KR200364109Y1 KR 200364109 Y1 KR200364109 Y1 KR 200364109Y1 KR 20040018536 U KR20040018536 U KR 20040018536U KR 200364109 Y1 KR200364109 Y1 KR 200364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ishing rod
frame
support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문재
Original Assignee
유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문재 filed Critical 유문재
Priority to KR20-2004-0018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1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발사권 가이드의 프레임을 낚싯대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가이드의 구부러진 절곡부를 펀칭하여 낚싯대와 접하여 받침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공정으로 가이드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는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센터링을 삽설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 소정 절곡된 절곡부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어 낚싯대와 면접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지지받침을 돌출 형성하여 낚싯대에 접함으로써 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structure of guide for fishing-rod}
본 고안은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외발사권 가이드의 프레임을 낚싯대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가이드의 구부러진 절곡부를 펀칭하여 낚싯대와 접하여 받침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공정으로 가이드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가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는 프레임에 센터링을 삽설하여 낚싯줄을 안내하며, 프레임의 하부로 지지대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낚싯대에 고정되게 형성된다.
한편, 일본특개평 08-252040호에서는 프레임의 일부에 돌출 부위를 형성하여 외발 사권 가이드의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를 제시하였고, 일본특개평 10-313744호에서는 외발 사권 가이드의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물을 장착하는 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리고, 일본특개평 11-000084호에서는 외발 사권 가이드의 낚싯대 부착시 취약 부분을 보완하여 낚싯대에 가이드 고정구조를 제안하였고, 일본특개 2001-095433호에서는 낚싯대 제조시 외발 사권 가이드의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낚싯대에 돌출 부분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부착함으로써 외발 사권 가이드의 취약부분을 보완하는 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또한, 일본실공 51-4238호에서는 외발 사권 가이드의 사권용 프레임 반대측에 일부 돌출부위를 형성하여 외발 사권 가이드의 취약부분을 개선하는 구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일본의장등록공보 제426576호 유사의장 24와 25와 일본의장공보795933호 및 유사의장 1에서는 낚싯대 고정 부위의 프레임을 반대측과 연결하여 돌출하는 형상이 제안되어 있고, 일본의장등록공보 제1129582호에서는 사용상태 참고도에서 외발 사권 가이드 일측에 외부 충격 보호용 보조 돌출 부위를 형성함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이드는 낚싯대에 지지되어 요동되지 않기 위해 낚싯대와의 받침부위에 별개의 부재를 형성하거나 또는 낚싯대의 외주연을 변형하여 가이드를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상의 번거로움과 함께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낚싯대와의 받침부위에 해당하는 부위를 펀칭하여 돌출시켜 돌출부위를 통해 가이드를 낚싯대에 지지되도록 하여 가이드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가이드를 낚싯대에 간단히 고정하고 이를 위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센터링을 삽설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 소정 절곡된 절곡부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어 낚싯대와 면접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지지받침을 돌출 형성하여 낚싯대에 접함으로써 프레임을 지지하는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낚싯대 20: 가이드
22: 센터링 24: 프레임
26: 지지대 28: 절곡부
30,40: 지지받침 42: 통구공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는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센터링(22)을 삽설한 프레임(24)과, 상기 프레임(24)에서 소정 절곡된 절곡부(28)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어 낚싯대(10)와 면접되어 프레임(24)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대(26)로 이루어진 낚싯대의 외발 사권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28)에 지지받침(30,40)을 돌출 형성하여 낚싯대(10)에 접함으로써 프레임(24)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1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가이드(20)를 고정 부착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20)는 외발사권 가이드를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0)는 낚싯줄을 삽입하여 안내하는 센터링(22)을 삽착한 프레임(24)과, 상기 프레임(24)에서 연장되어 낚싯대(10)에 고정되는 지지대(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26)와 프레임(24)의 사이에는 절곡부(28)가 형성되어 지지대(26)에 대해 프레임(24)을 소정각도 절곡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절곡부(28)에는 지지받침(30)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받침(30)은 펀칭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압되어 지지대(26)와 일직선상이 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지지받침(30)은 절곡부(28)의 중앙에 펀칭되어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받침(30)을 형성하기 위해 펀칭된 절곡부(28)의 상측은 상향으로 소정 절곡되어 프레임(24)이 낚싯줄의 장력에 의해 외측으로 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받침(30)은 낚싯대(10)에 접하여 프레임(24)을 지지함으로써 가이드(20)는 양발사권의 효과를 얻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20)는 센터링(22)을 형성한 프레임(24)과, 상기 프레임(24)에 연장되는 지지대(26)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4)과 지지대(26)의 연결부위에는 절곡부(28)가 형성되어 상호 소정각도를 이루며 절곡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24)은 센터링(22)의 하부에서 지지대(26)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긴 경우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4)의 하부는 통구공(42)을 형성한다.
상기 통구공(42)은 센터링의 하부에서 절곡부(28)에 걸쳐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6)와 인접한 통구공(42)의 하부는 펀칭되며 지지대(26)와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프레임(24)이 낚싯대(10)에 안정적으로 접하며 낚싯줄의 장력에 의해 쉽게 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통구공(42)의 양측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24)은 안쪽으로 모여지도록 굴곡되어 프레임(24)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는 센터링을 삽착한 프레임의 하부를 펀칭하여 지지대와 함께 낚싯대에 지지되며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간단한 공정으로 가이드를 낚싯대에 고정할 수 있으면서 이런 가이드 구조로 인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센터링을 삽설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 소정 절곡된 절곡부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어 낚싯대와 면접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지지받침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낚싯대에 접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받침을 기준으로 양쪽에서 상향되게 소정 굴곡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받침의 상부에 통구공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
KR20-2004-0018536U 2004-06-30 2004-06-30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 KR200364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536U KR200364109Y1 (ko) 2004-06-30 2004-06-30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536U KR200364109Y1 (ko) 2004-06-30 2004-06-30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109Y1 true KR200364109Y1 (ko) 2004-10-11

Family

ID=4935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536U KR200364109Y1 (ko) 2004-06-30 2004-06-30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1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723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ductive member thereof
KR100595545B1 (ko) 압축기의 지지장치
US20190136599A1 (en) Window Regulator
US20110303046A1 (en) Damper Element for Springs and Vehicle Pedal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20190280406A1 (en) Electrical contact having bulged retention section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rein
KR200364109Y1 (ko) 낚싯대의 외발사권 가이드 구조
US20060032107A1 (en) Structure of single fishing line guide for fishing rod
US20190136598A1 (en) Window regulator
KR200475421Y1 (ko) 휀스
JP3107247U (ja) 釣り竿の片足釣り糸ガイド構造
JP2009011113A (ja) 円筒部品の固定構造
JP5433442B2 (ja) 配線規制装置及び配線規制方法
KR200339249Y1 (ko) 낚시대의 가이드 구조
JP2006166640A (ja) ケーブル保護カバー
JP2010057258A (ja) 電気接続箱
KR100705052B1 (ko) 연료탱크용 패드
JP2005093270A (ja) 自己調芯型コネクタ
KR100353724B1 (ko) 캥거루범퍼 상부 캡의 조립구조
CA2343342C (en) Improved structure foldable assembly-type lamp shade
JP2008260397A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のコイルスプリング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09121563A (ja) チューブ押え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ボールねじ装置
CA2459536C (en) Improved structure foldable assembly-type lamp shade
JP4835200B2 (ja) 雨樋取付構造
KR20070095655A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RU2021130995A (ru) Крепление оси для ос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а также осевая плита для нег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