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496Y1 -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496Y1
KR200363496Y1 KR20-2004-0019758U KR20040019758U KR200363496Y1 KR 200363496 Y1 KR200363496 Y1 KR 200363496Y1 KR 20040019758 U KR20040019758 U KR 20040019758U KR 200363496 Y1 KR200363496 Y1 KR 200363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plate
air conditioner
ope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규
Original Assignee
유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규 filed Critical 유대규
Priority to KR20-2004-0019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4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11) 또는 바닥측(13)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어서 그 양단부가 벽측(11)에 형성된 오목부(15)를 통해 실내 또는 실외로 노출되는 연결관체(20)와, 상기 오목부(15)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체(20)의 양단부를 상기 실내기(5)와 실외기(9)에 연결하는 연결유닛(30)을 구비한 에어콘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30)은, 상기 오목부(15)와 대응하도록 그 중앙에 관통부(52)가 형성되면서 오목부(15)의 가장자리 벽측(11)과 밀착 고정되는 케이스 받침판(50)과, 상기 케이스 받침판(50)의 관통부(52)와 대응하도록 그 중앙에 관통구(62)가 형성되면서 케이스 받침판(50)의 정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케이스 덮개판(60)과, 상기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 좌측 및 우측단에 각각 지지되어 가로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관통부(52)를 개폐하도록 여러개가 겹쳐진 채로 접히고 펼쳐지는 여닫이식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들을 상기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으로 항상 탄발력을 가하도록 상기 케이스 받침판(50)의 정면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판스프링(90)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결유닛(30)의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보호덮개를 분실할 염려가 없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FOR CONNECTING UNIT OF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벽속에서 외부로 빠져나오는 연결관체(고압측 및 저압측 냉매순환관부, 드레인호스부, 전선 커넥터 연결부)와 에어컨(실내기와 실외기)의 연결부가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벽면에 매설되는 연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에 연결될 때 개방되고, 미사용시에는 폐쇄되도록 연결유닛의 개구부가 수동작에 의해 개폐되는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에서 설치되는 분리형 에어콘은 실내의 벽측 또는 바닥측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베란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별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고압측 및 저압측 냉매순환관부, 드레인호스부, 전선 커넥터 연결부로 이루어진 연결관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연결관체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침실방 또는 거실 등의 실내에서 베란다로 통할 때 벽면을 관통하여 베란다의 바닥으로 노출되어 지며, 또한 별도의 보온부재에 의해 감싸여져 외부온도와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에어콘의 연결관체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할 때 벽면을 관통하여 베란다의 바닥위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후 별도의 보호부재에 의해 감싸여져 마무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작업시 고압측 및 저압측 냉매순환관부, 드레인호스부, 전선부를 소정각도로 꺽어서 배치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불량(심한 꺽임현상) 등이 발생되었고, 또한 연결관체가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하여 미관을 저해시킴은 물론 베란다의 활용공간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외부온도와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없어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그래서, 종래는 이런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제337490호(등록일자 : 2003.12.19)가 제안되어 왔었다. 동 공보에 의한 에어컨 실내기와 실외기의 연결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실(1) 또는침실(3)에 설치되는 실내기(5)와, 베란다(7)의 내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9)와, 상기 실내기(5)와 실외기(9)를 연결하도록 건물시공(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벽체(11) 또는 바닥측(13)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면서 그 양단부가 벽측(11)에 형성된 오목부(15)를 통해 실내 또는 실외로 노출되는 고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P1), 저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P2), 드레인호스 연결부(P3), 전선 커넥터 연결부(P4)로 이루어진 연결관체(20)와, 상기 오목부(15)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체(20)의 양단부를 상기 실내기(5)와 실외기(9)에 연결하는 연결유닛(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체(20)는 고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P1), 저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P2), 드레인호스 연결부(P3), 전선 커넥터 연결부(P4)로 각각 이루어져 있고, 이들 고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P1), 저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P2), 드레인호스 연결부(P3), 전선 커넥터 연결부(P4)는 상기 오목부(15)측으로 각각 노출됨과 동시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분산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30)은 상기 오목부(15)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관체(20)의 단부를 관통시키는 내부판넬(32)과, 상기 내부판넬(32)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체(20)의 단부측 나사면에 패킹부재(34)를 개재하여 결합되면서 내부판넬(32)에 밀착 고정되는 제1어댑터(36)와, 상기 내부판넬(32)의 개구를 통해 삽입됨과 동시에 그 가장자리가 오목부(15)의 가장자리측 벽면에 다수의 체결부재(38)를 매개로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1어댑터(36)의 끝단을 관통시키는 외부판넬(40)과, 상기 외부판넬(40)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어댑터(36)의 끝단측 나사면에 패킹부재(34)를 재하여 결합되면서 외부판넬(40)에 밀착 고정되며또한 상기 실내기(5)와 실외기(9)에 연결되는 제2어댑터(42)와, 상기 외부판넬(40)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보호덮개(4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유닛(30)은 그 외부판넬(40)의 정면에 대하여 일측에는 실내기(5)와 실외기(9)를 연결하는 제2어댑터(42)를 매개로 고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P1), 저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P2), 드레인호스 연결부(P3)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분산 설치되고, 그 외부판넬(40)의 정면에 대하여 타측에는 실내기(5)와 실외기(9)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커넥터 연결부(P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는 고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P1), 저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P2), 드레인호스 연결부(P3), 전선 커넥터 연결부(P4)로 이루어진 연결관체(20)가 건물시공(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벽체(11) 또는 바닥측(13)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고, 상기 연결관체(20)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콘크리트 벽에 내부판넬(32), 패킹부재(34), 제1어댑터(36), 체결부재(38), 외부판넬(40), 제2어댑터(42), 보호덮개(44)로 이루어진 연결유닛(30)이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거실(1) 또는 침실(3)에 설치되는 실내기(5)와 베란다(7)의 내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9)를 연결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에어컨 실내기와 실외기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연결유닛(30)은 그 외부판넬(40)의 개구를 개폐할 때 별도로 제작된 보호덮개(44)를 도 2와 같이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실의 염려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유닛의 개구부를 회전형 접이식 셔터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하여, 연결유닛의 외관을 좋게하고, 종래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보호덮개를 분실할 염려가 없는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는 벽체 또는 바닥측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면서 그 양단부가 벽측에 형성된 오목부를 통해 실내 또는 실외로 노출되는 고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 저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 드레인호스 연결부, 전선 커넥터 연결부로 이루어진 연결관체와,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체의 양단부를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에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구비한 에어콘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오목부와 대응하도록 그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되면서 오목부의 가장자리 벽측과 밀착 고정되는 케이스 받침판과, 상기 케이스 받침판의 관통부와 대응하도록 그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면서 케이스 받침판의 정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케이스 덮개판과, 상기 케이스 덮개판의 후면 좌측 및 우측단에 각각 지지되어 가로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도록 여러개가 겹쳐진 채로 접히고 펼쳐지는 여닫이식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들을 상기 케이스 덮개판의 후면으로 항상 탄발력을 가하도록 상기 케이스 받침판의 정면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컨 연결유닛이 적용되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에어컨 연결유닛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에어컨 연결관체가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스 받침판에 다수개의 판스프링이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케이스 덮개판에 좌측 및 우측 셔터부재가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후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좌측 셔터부재가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및 저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우측 셔터부재가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및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케이스 받침판과 덮개판의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리도,
도 9는 본 고안의 셔터부재가 열린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셔터부재가 반열린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셔터부재가 닫힌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9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연결관체 30 : 연결유닛
50 : 케이스 받침판 52 : 관통부
54 : 지지홈 56 : 체결홀
60 : 케이스 덮개판 62 : 관통구
64 : 레일홈 66 : 체결홀
70,72 : 체결나사 80a,80b :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
82,84,86 : 제1 내지 제3셔터판 82a,84a,86a : 걸림턱
82b,84b : 걸림돌기 86b,86c : 결합부
88 : 손잡이 90 : 판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연결유닛(30)은, 상기 오목부(15)와 대응하면서 연결관체(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중앙에 관통부(52)가 형성되면서 오목부(15)의 가장자리 벽측(11)과 밀착 고정되는 케이스 받침판(50)과, 상기 케이스 받침판(50)의 관통부(52)와 대응하도록 그 중앙에 관통구(62)가 형성되면서 케이스 받침판(50)의 정면에 밀착되어 다수개의 체결나사(70)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스 덮개판(60)과, 상기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 좌측 및 우측단에 각각 지지되어 가로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관통부(52)를 개폐하도록 적어도 3단이상으로 각각 겹쳐진 채로 접히고 펼쳐지는 여닫이식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들을 상기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으로 항상 탄발력을 가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 받침판(50)의 정면에 대하여 관통부(52)와 인접한 상부 및 하부단에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지지되는 다수개의 판스프링(9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스 받침판(5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에 가로변보다 세로변이 짧은 직사각형상의 관통부(52)가 형성되고, 그 정면에 대하여 상기 관통부(52)의 상부 및 하부와 인접한 부분의 가로방향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판스프링(90)이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배열되면서 판스프링(90)이 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지지되도록 다수개의 지지홈(54)이 형성되며, 그 정면 가장자리 코너측에는다수개의 체결나사(70)에 의해 케이스 받침판(50)이 상기 벽측(11)에 고정되게 하거나 또는 케이스 받침판(50)과 케이스 덮개판(60)을 서로 고정하도록 다수개의 체결홀(56)이 분산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지지홈(54)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90)의 양단이 삽입되도록 2조 한쌍씩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여러개가 배열되며, 상기 2조 한쌍의 지지홈(54)의 가로측 간격은 상기 판스프링(90)의 길이변보다 짧게 형성되어 판스프링(90)이 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덮개판(60)에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에 상기 케이스 받침판(50)에 형성된 관통부(52)와 대응하는 관통부(62)가 형성되고, 그 후면 좌측 및 우측단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면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의 바깥단 상부 및 상부면 일부가 걸린 채로 소정거리 만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안내함과 동시에 셔터수단(80a)(80b)들이 각각 접히거나 펼쳐질 때 이탈되지 않도록 상하 한쌍의 좌측 및 우측 레일홈(64)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며, 그 후면 가장자리 코너측에는 다수개의 체결나사(70)에 의해 케이스 받침판(50)과 케이스 덮개판(60)을 서로 고정하도록 다수개의 체결홀(66)이 분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 좌측 및 우측단에 형성된 상하 한쌍의 좌측 및 우측 레일홈(64)에 걸린 채로 가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제1셔터판(82)과, 상기 제1셔터판(82)의 정면에 포개어진 채로 슬라이딩되어 접이거나 또는 펼쳐지면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제2셔터판(84)과, 상기 제2셔터판(84)의 정면에 포개어진 채로 슬라이딩되어 접이거나 또는 펼쳐지면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제3셔터판(86)과, 상기 제3셔터판(86)의 정면 끝단에 제3셔터판(86)를 가로방향으로 밀고 당길 수 있도록 고정되는 손잡이(88)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좌우 한쌍의 제1셔터판(82)에는, 그 일측단 상부 및 하부면에 상기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 상부 및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레일홈(6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걸림턱(82a)이 일체로 돌설되고, 그 타측단 상부 및 하부면에 상기 제2셔터판(84)이 펼쳐질 때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82b)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제2셔터판(84)에는, 그 일측단 상부 및 하부면에 상기 제1셔터판(82)으로부터 제2셔터판(84)이 펼쳐질 때 제1셔터판(82)의 타측단에 돌설된 걸림돌기(82b)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84a)이 일체로 돌설되고, 그 타측단 상부 및 하부면에 상기 제3셔터판(86)이 펼쳐질 때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84b)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제3셔터판(86)에는, 그 일측단 상부 및 하부면에 상기 제2셔터판(84)으로부터 제3셔터판(86)이 펼쳐질 때 제2셔터판(84)의 타측단에 돌설된 걸림돌기(84b)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86a)이 일체로 돌설되고, 그 타측단에 좌측 제3셔터판(86)와 우측 제3셔터판(86)가 서로 펼쳐져 맞닿을 때 틈새를없애도록 상호 대응되는 요철형상의 결합부(86b)(86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88)는 상기 좌우 한쌍의 제3셔터판(86)의 정면에 대하여 상기 결합부(86b)(86c)와 인접한 부분에 다수개의 체결나사(72)에 의해 고정되며, 이들 다수개의 체결나사(72)의 나선부는 상기 제3셔터판(86)의 후면에서 정면으로 관통되어 손잡이(88)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1과 같이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에 의해 케이스 받침판(50)의 관통부(52)와 케이스 덮개판(60)의 관통구(62)와의 통로가 폐쇄(담힘)된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에 대하여 좌우 한쌍의 제3셔터판(86)의 정면에 설치된 손잡이(88)를 잡고 각각 바깥측 가로방향으로 여닫이방식에 의해 밀어 주면, 이들 좌우 한쌍의 제3셔터판(86)은 각각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좌우 한쌍의 제2셔터판(84)의 정면으로 대부분이 겹쳐지면서 어느 싯점에 도달될 때 각각 걸림작용에 의해 상기 좌우 한쌍의 제2셔터판(84)을 물고 같이 슬라이딩되고, 이들 좌우 한쌍의 제2셔터판(84)은 상기 제3셔터판(86)가 슬라이딩되는 힘에 의해 같이 슬라이딩되다가 좌우 한쌍의 제1셔터판(82)의 정면으로 대부분이 겹쳐지면서 어느 싯점에 도달될 때 또 다시 걸림작용에 의해 상기 좌우 한쌍의 제1셔터판(82)을 물고 같이 슬라이딩됨으로써 도 9 또는 도 12와 같이 케이스 받침판(50)의 관통부(5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키게 된다.
즉,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을 여닫이방식에 의해 가로측 바깥방향으로 밀어 제치면, 좌우 한쌍의 제3셔터판(86)의 후면 선단(안쪽단)에 각각 돌설된 요철형상의 결합부(86b)(86c)가 어느 싯점에서 좌우 한쌍의 제2셔터판(84)의 선단에 돌설된 걸림돌기(82b)에 접촉되면서 밀어줌과 동시에 같이 슬라이딩되고, 수초 후 좌우 한쌍의 제2셔터판(84)의 후면 선단(안쪽단)에 돌설된 걸림돌기(84b)가 좌우 한쌍의 제1셔터판(82)의 후면 선단(안쪽단)에 돌설된 걸림돌기(82b)에 접촉되면서 밀어줌과 동시에 같이 슬라이딩되게 된다.
이때, 좌우 한쌍의 제1셔터판(82)은 그 후단 후면 상하부에 돌설된 걸림턱(82a)이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 상하부에 형성된 레일홈(64)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좌우 한쌍의 제1셔터판(82)의 정면에 순차적으로 겹쳐진 제2 및 제3셔터판(84)(86)을 케이스 받침판(50)과 케이스 덮개판(60)과의 사이측 좌우 바깥단 끝까지 각각 밀어줌으로써 케이스 받침판(50)과 케이스 덮개판(60)에 형성된 관통부(52)(62)가 좌우 한쌍의 제1 내지 제3셔터판(82)(84)(86)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개방된다.
또, 좌우 한쌍의 제1 내지 제3셔터판(82)(84)(86)은 케이스 받침판(50)의 정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판스프링(90)의 탄발력에 의해 항상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을 향해 밀착되어 있으므로, 좌우 한쌍의 제1 내지 제3셔터판(82)(84)(86)이 열림 또는 닫힘동작시 유동없이 부드럽게 슬라이딩되어진다.
한편,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을 닫힘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케이스 덮개판(60)의 관통구(62)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결러있는 손잡이(88)를 각각 내측으로 잡아당기면, 이들 손잡이(88)와 결합된좌우 한쌍의 제3셔터판(86)은 동시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술한 열림동작의 역순으로 제3셔터판(86)에 연결된 제2셔터판(84)과 제1셔터판(82)을 수초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도 11과 같이 케이스 받침판(50)의 관통부(52)를 폐쇄시키게 된다.
즉, 좌우 한쌍의 제3셔터판(86)을 내측으로 잡아당기면, 이들 좌우 한쌍의 제3셔터판(86)은 각각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좌우 한쌍의 제2셔터판(84)의 정면과 겹쳐진 부분이 서서히 감소되면서 어느 싯점에 도달될 때 제3셔터판(86)의 후면 후단(바깥단)에 돌설된 걸림턱(86a)이 제2셔터판(84)의 후면 선단(안쪽단)에 돌설된 걸림돌기(84b)를 견인함으로써 제3셔터판(86)과 제2셔터판(84)이 동시 슬라이딩하게 되고, 또 제3 및 제2셔터판(86)(84)이 동시 슬라이딩될 때 제2셔터판(84)의 후면과 제1셔터판(82)이 겹쳐진 부분이 서서히 감소되면서 어느 싯점에 도달될 때 제2셔터판(84)의 후면 후단(바깥단)에 돌설된 걸림턱(84a)이 제1셔터판(82)의 후면 선단(안쪽단)에 돌설된 걸림돌기(82b)를 견인함으로써 제2셔터판(84)과 제1셔터판(82)이 동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좌우 한쌍의 제3셔터판(86)의 선단(안쪽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형상의 결합부(86b)(86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결합부(86b)(86c)가 닫힘동작에 의해 서로 맞닿을 때 도 13과 같이 요철형상의 결합되어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은 열림 또는 닫힘동작이 케이스 받침판(50)과 케이스 덮개판(60)과의 사이틈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열림 및 닫힘동작시 종래와 같이 연결유닛(30)으로부터 이탈시켜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는 연결유닛의 케이스 받침판과 케이스 덮개판과의 사이에 수동조작에 의해 여닫이방식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접히고 펼쳐지는 3단 접이식 좌우 한쌍의 제1 내지 제3셔터판을 내장 설치하여 케이스 받침판의 중앙에 뚫린 관통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유닛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보호덮개를 분실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벽체(11) 또는 바닥측(13)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면서 그 양단부가 벽측(11)에 형성된 오목부(15)를 통해 실내 또는 실외로 노출되는 고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P1), 저압측 냉매순환관 연결부(P2), 드레인호스 연결부(P3), 전선 커넥터 연결부(P4)로 이루어진 연결관체(20)와, 상기 오목부(15)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체(20)의 양단부를 상기 실내기(5)와 실외기(9)에 연결하는 연결유닛(30)을 구비한 에어콘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30)은,
    상기 오목부(15)와 대응하도록 그 중앙에 관통부(52)가 형성되면서 오목부(15)의 가장자리 벽측(11)과 밀착 고정되는 케이스 받침판(50)과,
    상기 케이스 받침판(50)의 관통부(52)와 대응하도록 그 중앙에 관통구(62)가 형성되면서 케이스 받침판(50)의 정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케이스 덮개판(60)과,
    상기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 좌측 및 우측단에 각각 지지되어 가로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관통부(52)를 개폐하도록 여러개가 겹쳐진 채로 접히고 펼쳐지는 여닫이식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들을 상기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으로 항상 탄발력을 가하도록 상기 케이스 받침판(50)의 정면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판스프링(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받침판(50)의 정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판스프링(90)을 지지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지지홈(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지지홈(54)은 상기 판스프링(90)의 양단이 끼워져 고정될 때 판스프링(90)이 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지지되도록 판스프링(90)의 길이변보다 짧은 간격으로 2조 한쌍씩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여러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 좌측 및 우측단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면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의 바깥단 상부 및 상부면 일부가 걸린 채로 소정거리 만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안내함과 동시에 셔터수단(80a)(80b)들이 각각 접히거나 펼쳐질 때 이탈되지 않도록 상하 한쌍의 좌측 및 우측 레일홈(64)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셔터수단(80a)(80b)은,
    상기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 좌측 및 우측단에 형성된 상하 한쌍의 좌측 및 우측 레일홈(64)에 걸린 채로 가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제1셔터판(82)과,
    상기 제1셔터판(82)의 정면에 포개어진 채로 슬라이딩되어 접이거나 또는 펼쳐지면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제2셔터판(84)과,
    상기 제2셔터판(84)의 정면에 포개어진 채로 슬라이딩되어 접이거나 또는 펼쳐지면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제3셔터판(86)과,
    상기 제3셔터판(86)의 정면 끝단에 제3셔터판(86)를 가로방향으로 밀고 당길 수 있도록 고정되는 손잡이(8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제1셔터판(82)에는,
    그 일측단 상부 및 하부면에 상기 케이스 덮개판(60)의 후면 상부 및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레일홈(6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82a)과,
    그 타측단 상부 및 하부면에 상기 제2셔터판(84)이 펼쳐질 때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82b)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제2셔터판(84)에는,
    그 일측단 상부 및 하부면에 상기 제1셔터판(82)으로부터 제2셔터판(84)이 펼쳐질 때 제1셔터판(82)의 타측단에 돌설된 걸림돌기(82b)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84a)과,
    그 타측단 상부 및 하부면에 상기 제3셔터판(86)이 펼쳐질 때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84b)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제3셔터판(86)에는,
    그 일측단 상부 및 하부면에 상기 제2셔터판(84)으로부터 제3셔터판(86)이 펼쳐질 때 제2셔터판(84)의 타측단에 돌설된 걸림돌기(84b)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86a)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제3셔터판(86)와 우측 제3셔터판(86)에는 서로 펼쳐져 맞닿을 때 틈새를 없애도록 상호 대응되는 요철형상의 결합부(86b)(86c)가 각각 형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KR20-2004-0019758U 2004-07-12 2004-07-12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KR200363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758U KR200363496Y1 (ko) 2004-07-12 2004-07-12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758U KR200363496Y1 (ko) 2004-07-12 2004-07-12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496Y1 true KR200363496Y1 (ko) 2004-10-02

Family

ID=4943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758U KR200363496Y1 (ko) 2004-07-12 2004-07-12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4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5201A (en) Joints and connector mechanisms for wall systems
US11408222B2 (en) Sill pan assembly for pocket door systems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815524B1 (ko) 폴딩 도어용 단열 프레임
KR200363496Y1 (ko)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KR101099373B1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연결구조
KR20140128127A (ko) 창틀 보조용 덧창
JP5172744B2 (ja) 窓ユニット
KR102039141B1 (ko) 커튼월 개구부 일체형 복합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32950B1 (ko) 프레임 비노출형 단열 폴딩창호
KR20210060417A (ko) 상하부패널 및 몰딩부가 개선된 욕실 구조체
JP2015172314A (ja) 建具枠
JP2004245525A (ja) 観音開き式冷蔵庫ドアのドア体組立構造
KR101311727B1 (ko) 창호용 유리 마감테 결합구조
US20140292169A1 (en) Built-in closet assembly
JP6498909B2 (ja) 方立
KR102577335B1 (ko) 서브프레임 창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7247150A (ja) 引戸構造施工方法及び引戸構造
JP2012046907A (ja) タイト材及びそれを備えた窓用縦枠材
KR200490980Y1 (ko)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KR20190023181A (ko) 유리 고정이 용이한 복합 소재 창짝프레임
CN117513940A (zh) 外开门扇组件及其门套
JP3162088U (ja) 避難所用簡易型間仕切り
KR200363495Y1 (ko) 에어컨 연결유닛 개폐구조
KR20230150679A (ko) 창틀의 마감구
JP4332453B2 (ja) 出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