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483Y1 -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 Google Patents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483Y1
KR200362483Y1 KR20-2004-0018427U KR20040018427U KR200362483Y1 KR 200362483 Y1 KR200362483 Y1 KR 200362483Y1 KR 20040018427 U KR20040018427 U KR 20040018427U KR 200362483 Y1 KR200362483 Y1 KR 200362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ooth
tooth
artificial
root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순
Original Assignee
이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순 filed Critical 이형순
Priority to KR20-2004-0018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4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19Blade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못과 같이 잇몸 치조골에 박아 넣을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 상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1)는 몸통(10) 전체가 치조골(9)에 심어지며, 상단 부분이 가공치아(7)를 연결하기 위한 지대주(5)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인공치근(3)을 구비한 인공치아(1)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근(3)은 봉형의 외주면 위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블레이드(1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에 의하면, 치조골 안으로 간단히 박아 넣을 수 있는 봉형 인공치근의 장점과 치조골과의 결합력이 뛰어난 나사형 인공치근의 장점을 모두 살려 인공치근의 시술 편의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Implant provided with a blade type fixture}
본 고안은 인공치아(dental implan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치아 중 자연치아의 치근 역할을 하는 인공치근(fixture)의 외주면에 다양한 형상의 블레이드를 형성한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저작, 발음 및 심미적인 기능이 있으며, 치아의 저작 기능이란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소화가 잘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만일 이러한 치아가 소실되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고 소화가 잘 안되므로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영양분의 원활한 섭취도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치아는 예로부터 신체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간의 치아는 아동기에 1회에 걸쳐 영구치로 교환된 이후에는 치아를 상실하게 될 경우 더 이상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으므로 치과에서 보철치료를 통해 상실된 치아나 그 주위조직을 수복하여 저작기능 등을 회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일반적 치과치료방법은 인접해 있는 치아나 주위 잇몸 및 뼈조직에 어느 정도의 손상을 가져오므로 이를 감수하지 않을 수 없고, 틀니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자연치아에 비해 저작 능력의 감소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불편감이나 이물감 등을 초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보편적인 보철치료방법의 단점을 보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인공치아 이식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치아 결손시 주위의 치아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거의 자연치아와 동일한 모든 기능과 외모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인공치아는 자연치아의 인공 대체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치근(103), 지대주(105), 가공치아(107)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인공치근(103)은 자연치아의 치근과 같이 결손된 치아부위의 치조골(109) 속에 심어져 가공치아(107)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체이다. 또한, 지대주(105)는 지대치라고 하며 잇몸(111)에 심어져 있는 인공치근(103)과 가공치아(107)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공치아(107)는 지대주(105)에 의해 구강내에 고정되어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재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인공치아(101)를 이용하여 상실된 치아를 회복하고자 할 때의 이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식과정은 크게 외과적 술식 즉, 수술방식과 보철적 수복으로 구분되며, 수술에 앞서 적합성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혈액검사 등의 기본적인 검사를 시행하고, 이식할 부위를 선정하여 그 부위의 골조직 질과 양을 평가하기 위해 구강검사 및 방사선 사진검사 등을 선행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검사가 완료되면 외과적 술식에 들어가는데, 먼저 국소마취하에 치근에 해당하는 인공치근(103)을 골(109) 내에 이식하기 위한 1차 수술시 잇몸(111)을 절개하고 골조직(109)을 노출시킨 다음 인공치근(103)을 삽입한 후 잇몸(111)을 일단 봉합한다.
그리고 나서, 골질에 따라 3 내지 6 개월이 경과한 뒤 2차 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봉합했던 잇몸(111)을 재차 절개하고 이미 골(109)내에 이식된 인공치근(103)의 상면에 지대주(105)를 얹어놓는다. 그런 다음 지대주(105)의 중심에 형성된 삽입공(113)을 통해 연결나사(115)를 삽입하여, 인공치근(103)의 중심부에 삽입공(113)과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17)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잇몸(111) 내에서 지대주(105)를 인공치근(103) 상단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잇몸(111)을 통해 구강내로 지대주(105)를 돌출시킨 다음 2차 수술이 치유되면 보철치료를 시행하게 되는데, 먼저 지대주(105)의 상면에 골드 실린더(gold cylinder; 121)를 동축상으로 얹어놓는다. 이때, 연결나사(115)의 상단 돌출부(119)는 골드 실린더(121)의 원뿔대 모양의 하부 관통공(123)에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골드 실린더(121) 상단에서 가공치아(107)를 제작한 후 가공치아(107)의 중심선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는 치아공(127)을 통해 골드 스크류(129)를 삽입하여, 연결나사(119)의 돌출부(119) 상면에 관통된 체결공(125)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인공치아(101)의 이식이 완결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인공치아(101)의 구성 및 이식과정은 일반적인 것으로, 최근에는 이러한 일반형 인공치아(101)가 갖고 있는 이식 적용대상 등에 따른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인공치아가 개발되고 있는 바, 이들 인공치아(101)는 대부분 도시된 것처럼 외주면이 스크류와 같이 나사 가공된 나사형의 인공치근(103) 아니면 예컨대 못과 같이 길게 연장되어 있는 봉형 인공치근(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나사형 인공치근(103)은 도시된 것처럼, 외주면이 나사 가공되어 있으므로 시술 시 인공치근(103)을 치조골(109)에 돌려 심게 되는데, 잇몸 위에서부터 잇몸에 직각방향으로 인공치근(103)을 돌려 심는 것은 인접한 치아와 회전 공구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작업과정이 까다로울 뿐 아니라, 시술시간이 길어지므로 시술을 받는 환자나 시술을 하는 의사 모두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외주면이 못과 같이 길게 연장되어 있는 봉형 인공치근의 경우에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시술 시 못을 박듯이 치조골위에 인공치근을 세우고 망치과 같은 타격 공구로 타격하여 박아 넣도록 되어 있으므로 인공치아의 시술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지만, 시술 후 인공치근 위에 지대주를 결합하는 과정 등에서 인공치근에 회전력이 가해질 때 회전을 억제할 만한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불필요하게 회전하거나 더 나아가 인공치근 외주면과 잇몸 치조골 사이의 유착력이 나사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져 비교적 쉽게 골흡수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인공치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봉체의 인공치근 외주면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형성함으로써 나사형 치근과 봉형 치근의 장점만을 살려 시술의 편의성 뿐만 아니라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형 인공치아의 구조 및 이식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의 구조 및 이식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공치근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공치근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인공치근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인공치근의 몸통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인공치아의 구조 및 이식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인공치아 3 : 인공치근
5 : 지대주 7 : 가공치아
9 : 치조골 11 : 블레이드
13 : 잇몸 15 : 돌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몸통 전체가 치조골에 심어지며, 상단 부분이 가공치아를 연결하기 위한 지대주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에 있어서, 인공치근은 봉형의 길게 연장된 외주면 위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블레이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인공치아는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인공치근과 마찬가지로 크게 인공치근(3)과 지대주(5) 그리고 가공치아(7)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서 인공치근(3)은 치조골(9)에 심어져 자연치아의 치근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가공치아(7)는 자연치아의 역할을 수행하고, 지대주(5)는 인공치근(3)과 가공치아(7) 중간에서 양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본 고안의 인공치아(1)는 특히 인공치근(3)이 기존의 인공치근과 차이를 나타내는 바, 치조골(9)에 심어지도록 되어 있는 몸통(10) 부분과 지대주(5)가 결합되는 몸통(10) 상단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전체적인 형상은 종래의 인공치근과 유사하나, 특히 몸통(10)이 봉과 같이 길게 연장되어 있고, 이 외주면 상에 축방향으로 복수 개의 블레이드(11)가 형성되어 있는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1)의 인공치근(3)은 못과 같이 망치 등으로 때려 박는 봉형 인공치근과 동일하게 치조골(9)에 박아 넣을 수 있도록 외주면이 길게 연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치조골(9)에 박아 넣은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자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블레이드(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각각의 블레이드(11)는 치근(3)의 외주면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바, 기본적으로 치조골(9)에 박아 넣는 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칼날과 같이 끝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하나 이상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각각의 블레이드(11)는 도시된 것처럼 4방으로는 물론, 6방 또는 8방 이상 다양한 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블레이드(11)는 축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인접한 블레이드(11',11) 끼리 축방향으로 서로 높이 차이가 나도록 상하 교대로 배열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하로 2단 이상, 다단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단형 인공치근(203)을 들 수 있다. 이 인공치근(20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인공치근과 마찬가지로 외주면이 길게 연장된 몸통(210)과 몸통(210) 상단의 지대주 결합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몸통(210)이 상대적으로 다른 인공치근의 몸통에 비해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짧다. 따라서 치조골의 높이가 낮은 환자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길이가 짧아진 대신에 이를 보완할 수 있게 블레이드(211)의 돌출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되어 있는데, 예컨대, 몸통(210)의 반경 정도 또는 그 이상 되는 높이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인공치근(303)을 들 수 있다. 이 인공치근(30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폭을 줄이기 위해 반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바, 단면 상 반원의 모서리 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될 경우 이 모서리 부분에 접하고 있는 인공치 부분에 골유착을 강화시키기 위해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실시예와 반대로 잇몸 즉, 치조골의 높이는 평균적이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환자의 경우에 적용하기 알맞게 되어 있다.
또한, 다른 인공치근과 마찬가지로 몸통(310)의 외주면이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 외주면에 복수의 블레이드(311)가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바, 몸통(310)의 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거나 몸통(310)의 곡면 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근(303)의 경우 몸통(310)이 축선을 중심으로 비대칭이므로 몸통(310) 윗 부분에 지대주를 별도로 형성하여 결합하기 곤란하므로 지대주(305) 부분을 몸통(310)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몸통(310)에는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오목부(310a)가 형성되어 골유착을 강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인공치근(403)을 들 수 있다. 상기 인공 치근(40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길게 연장된 몸통(410)과 몸통(410) 상단의 지대주 결합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통(410) 부분에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411)가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410)과 마주하여 상기 블레이드(411) 중 하나에 보조 몸통(4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공치근(403)은 잇몸 양쪽 끝 어금니 부분과 같이 양방향으로 블레이드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근(3,203,303) 들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다수의 돌기(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근(3)을 사용하여 인공치아(1)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먼저 잇몸(13)을 절개하고, 드러난 치조골(9) 위의 인공치아(1)를 심고자 하는 잇몸(13) 부분에 소정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인공치근(3)을 세워 두고 망치와 같은 별도의 공구로 상단 부분을 타격하는 것으로, 마치 못을 박듯이 간단하게 치조골(9) 안으로 인공치근(3)을 심어 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근(203)의 경우에도 치조골(9)에 인공치근(203)을 박아 넣는 시술 과정은 위의 경우와 동일하나,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짧은 형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잇몸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적용하기 적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근(303)의 경우에도 치조골(9)에 인공치근(303)을 박아 넣는 시술 과정은 위와 동일하나, 마찬가지로 반원형 인공치근(303)의 폭이 원통형인 일반적인 인공치근의 절반 밖에 안되는 형태적 특성 상 잇몸의 폭이 좁은 환자에 적용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근(403)은 양 쪽 끝 어금니와 같이 양쪽으로 블레이드를 형성할 수 없는 곳에 적용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에 의하면, 인공치근이 봉 모양 외주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마치 못을 박듯이 손쉽게 인공치근을 치조골에 박아 넣을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인공치근의 몸통 외주면에 축선 방향을 길게 연장된 블레이를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인공치근이 봉 모양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력으로 인해 쉽게 회전하거나 변위되지 않도록 하여 나사형 치근과 봉형 치근의 장점만을 살려 인공치근의 시술 편의성 및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몸통(10) 전체가 치조골에 심어지며, 상단 부분이 가공치아(7)를 연결하기 위한 지대주(5)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인공치근(3)을 구비한 인공치아(1)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근(3)은 봉형의 길게 연장된 외주면 위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1,11')는 인접한 블레이드(11',11)와 축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11)는 치조골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 적용되는 짧은 인공치근(203)의 몸통(210) 길이의 절반 이상되는 길이를 가지며, 몸통(210) 반경 이상되는 높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203)의 몸통(210)에 오목부(31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5. 제 1 항에 있어서, 인공치근 몸통(410)에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411)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410)과 마주하여 상기 블레이드(411) 중 하나에 보조 몸통(4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인공치근(403)을 구비한 인공치아.
KR20-2004-0018427U 2004-06-29 2004-06-29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KR200362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427U KR200362483Y1 (ko) 2004-06-29 2004-06-29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427U KR200362483Y1 (ko) 2004-06-29 2004-06-29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999A Division KR100630441B1 (ko) 2004-06-17 2004-06-17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483Y1 true KR200362483Y1 (ko) 2004-09-18

Family

ID=4943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427U KR200362483Y1 (ko) 2004-06-29 2004-06-29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4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85B1 (ko) 2007-11-05 2009-11-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85B1 (ko) 2007-11-05 2009-11-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63223T3 (es) Sistema de implante en una sola etapa.
ES2325954T3 (es) Sistema de implante dental.
RU2597776C2 (ru) Фиксатор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со свободно регулируемым углом и положением
KR100938991B1 (ko) 미니 임플란트.
EP3585300B1 (en) Dental technology kit
KR101388185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20200053276A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100332383B1 (ko) 만곡 인공치아 지대주
KR100630441B1 (ko)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KR101363062B1 (ko)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임프레션 캡
KR20150115057A (ko) 임플란트용 인공치근
KR200362483Y1 (ko)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CN101889904A (zh) 牙科植体
JPH0449958A (ja) 人工歯根
KR100925285B1 (ko) 임플란트
KR100333231B1 (ko) 인공치아이식물장치
US20060110707A1 (en) Dental implant
KR200357422Y1 (ko) 플랜지에 이단 홈이 가공된 인공치아의 지대주
KR100743929B1 (ko)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과 마운트의 결합구조
ES2311851T3 (es) Implante endostal, estetico.
KR100622545B1 (ko) 앞니용 인공치근
KR200452712Y1 (ko) 치과용 회전기구
KR100280119B1 (ko) 치과용 인공치아의 인공치근
KR200357421Y1 (ko)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KR20050078806A (ko) 임시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