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231B1 - 인공치아이식물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치아이식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231B1
KR100333231B1 KR1019970704301A KR19970704301A KR100333231B1 KR 100333231 B1 KR100333231 B1 KR 100333231B1 KR 1019970704301 A KR1019970704301 A KR 1019970704301A KR 19970704301 A KR19970704301 A KR 19970704301A KR 100333231 B1 KR100333231 B1 KR 10033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rtificial tooth
implant means
section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 메나 라울
Original Assignee
알. 메나 라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메나 라울 filed Critical 알. 메나 라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치를 고정시키고 간극간에 이물질의 수용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치아 이식 장치 (10)에 관한 것이다. 치근형 삽입 고정체 (20)는 사용자의 턱뼈에 영구히 이식된다. 고정체 (40)는 각각 앵커부 및 맞물림부 (30, 40)를 포함한다. 맞물림부 (40)로는 앵커부에 인접한 실린더형 부분 (60), 실린더형 부분에 인접하고 실린더형 부분에 관하여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사진 부분, 및 상기 경사진 부분에 인접하고 경사진 부분에 관하여 동축으로 배치된 육각형부 (80)가 있다.

Description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DENTAL IMPLANT DEVICE}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인공치아이식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본 발명자는 가장 유사한 기준이 스트리커 덴탈 임플렌츠(Stryker Dental Implants, Kalamazoo, MI 49001)에 의해 시판되는 이식물, 특히 스트리커 핀 임플랜트(Stryker Fin Implant) 모델 번호 260-135-008 및 균등물에 해당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이 기준은, 이들이 다면체(육각형 부분)와 여기에 인접해 있는 베벨링된(beveled) 부분을 갖는 말단부에, 파편 트랩 없이 보철용 가공의치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과적인 적합한 경계면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과는 다르다. 또한, 종래 기술에는 지대치(abutment)에 대한 회전 방지 메카니즘이 교시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나선형 그루브를 갖는 실린더 치근형 이식물 고정체 또는 스크루타입 치근형 이식물 고정체가 공지되지 않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요 목적 중의 하나는 타액, 혈액 세균, 연조직 함입물 또는 임의의 그 밖의 물질을 수집할 수 있는 파편 트랩 또는 포켓이 없는 이식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응 지대치와의 맞물림을 위한 베벨링된 부분을포함하는 이식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타입의 보철용 지대치가 장착될 수 있는다용도 이식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식물을 뼈에 삽입시키는데 필요한 회전력의 인가를 용이하게 하는 육각형 요소를 제공하고, 개별적 또는 단일 치아 이식물상에서의 지대치 헤드의 회전을 억제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효과를 보유하는 동안에는 유지 비용이 저렴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명세서의 하기 부분에서 나타날 것이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제공될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 대한 간단한 설명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관련 목적을 고려해 볼때, 본 발명은 부품들의 구조 및 결합의 상세한 설명에 있으며, 이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해석될 때, 하기 설명으로부터 더욱 상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나사식 사프트 타입의 치근형 이식물 고정체와 활면 맞물림용 테이퍼화된 샤프트를 갖는 지대치에 대한 바람직한 구체예 중의 하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활면 맞물림용 테이퍼화된 샤프트가 나사식 단부를 포함하고, 앵커리지 섹션이 도 5의 라인 2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에서 부분 도시되는 또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3은 핀(fin) 타입의 치근형 이식물 고정체에 대한 제 2의 또 다른 구체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나선형 그루브 타입의 실린더형 이식물 고정체에 대한 제 3의 또 다른 구체예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5는 제 2의 또 다른 구체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분리성 지대치 헤드를 갖는 제 4의 또 다른 구체예의 횡단면이 일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7은 조립된 후의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구체예가 일반적으로 숫자 (10)으로 언급되어 있는 도 1을 참조하면, 이것은 치근형 이식물 고정체(20)와 지대치 부재(1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관찰될 수 있다. 치근형 이식물 고정체(20)는 앵커리지 섹션(30)과 맞물림 섹션(목)(40)을 포함한다.
앵커리지 섹션(30)은 충분히 떨어져 있는 나사산을 갖는 샤프트(32)를 포함하여, 샤프트가 삽입되는 뼈가 나사산 사이의 공간을 점유하게 함으로써, 최상의 앵커리지 결과가 수득된다. 샤프트(32)는 도 3에 숫자 3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타입으로서 당 분야에 공지된 타입을 또한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수 개의 디스크는 샤프트(32´)에 단단히 결합된 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 관계를 유지하면서 이격되어 있다. 또 다른 타입의 샤프트 (32")는 도 4에 도시된 샤프트이고, 이것은 나선형 그루브를 갖는 실린더에 해당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섹션 (40)은 샤프트 (32)의 한 쪽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실린더 부분(60), 베벨링된 부분(70) 및 다면 부분(80)을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서로에 대해 이러한 순서로 인접해 있다. 다면 부분 (80)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육각형을 갖는다.
중심 및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캐비티 (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형 부분, 베벨링된 부분 및 다면 부분 (60, 70 및 80)의 중심 뿐만 아니라 샤프트(32)의 일부를 통해 뻗어있다. 바람직한 구체예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또 다른 구체예의 경우, 캐비티(90)는 앵커리지 섹션(30)으로 뻗어나가면서 좁아진다 (테이퍼화된다).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체예 및 도 2의 또 다른 구체예 둘 모두의 경우, 바람직한 구체예의 지대치의 포스트(120)에 대응 나사산이 없더라도 동일한 캐비티 (90)가 사용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지대치 부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포스트(120)가 형성되어 있는 헤드(110)를 갖는다. 부재(100)의 장축에 대한 헤드 (110)의 각도는, 필요할 수 있는 병행을 위한 교정에 좌우되어 변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대치를 연결 각도 0으로 나타내었다. 병행의 결함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는 고정체(20)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 일어난다.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는 연장된 포스트(120)는, 매끄럽고, 중심 캐비티(90)의 내벽과 맞물림으로써, 적소에 고정된다. 포스트(120)와 캐비티(90)의 내벽의 금속 대 금속 맞물림은 지대치(100)를 유지시키고, 캐비티(90)내의 임의의 비점유된 공간에 대한 밀폐를 제공함으로써, 타액,혈액 또는 그 밖의 임의의 충치유발 물질의 수집을 억제시킨다.
도 2에 있어서, 또 다른 지대치 부재(100')는 포스트(120')의 원위 단부에 단단하게 장착된 나사식 핀(130')을 포함한다. 나사식 핀 (130')은 캐비티 (90)의 나사산의 바닥 부분(92)과 서로 맞물리게 된다.
고정체(20" 및 20"')에 대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 2 및 제 3의 또 다른 구체예는, 앵커리지 섹션(30" 및 30"')의 샤프트(32" 및 32"')가 각각 핀형 그루브 타입과 나선형 그루브 타입을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체예와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제 4의 또 다른 구체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숫자 10""으로 언급된다.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10"")에 사용되는 치근형 이식물 고정체 (20"")는 장치 (10 및 10')에 사용되는 고정체와 동일하다. 고정체(20"")는 임의의 타입(나사산, 핀 또는 실린더)을 가질 수 있다. 지대치 헤드(110"")는 고정체(2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고정체상에 비회전식으로 맞물려있다. 내부에 둥근 홈이 파인 가장자리(112"")는 베벨링된 부분 (70"")과 상호보완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가장자리 (112"")와 베벨링된 부분(70"")의 이 평평한 면 대 면 맞물림에 의해 타액, 세균, 삼출물 또는 연조직 함입물 또는 그 밖의 임의의 외래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밀봉부가 생성될 것이다. 내부의 다면 소켓 (114"")은 다면 부분(80"")과 유사하게 서로 맞물림으로써, 지대치(110")의 회전을 방지한다.
포스트(120"")는 지대치 헤드 (110"")의 중앙 개구부(111"")를 통해 동축 삽입되고, 한 쪽 단부에 있는 핀 부재(130"")는 가장자리 (112"")를 통해 돌출하여 고정체(20"")내의 캐비티 (90"")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맞물림은 바람직한 구체예 및 제 1의 또 다른 구체예에 대해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유일한 차이점은 포스트(120"")에 내부 소켓 (122"")을 또한 제공하여, 포스트를 회전시키고, 슬리브(124"")를 대응구멍 표면(116"")과 접촉시킴으로써, 지대치 헤드 (110"")를 조인다.
스크루 부재(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고정식 또는 분리식)을 지대치 헤드 (110"")에 고정시키도록 설계된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의 최상의 이해를 제공한다. 다양한 구체예가 본 발명의 독창적인 개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모든 내용은 예시적으로만 해석되며,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장치가 인공치아이식물과 함께 사용되기에 매우 바람직하다는 것은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Claims (16)

  1. A. 앵커리지 섹션과 맞물림 섹션을 가지며, 사용자의 턱뼈에 이식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으로서, 앵커리지 섹션은 턱뼈에 맞물리게 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맞물림 섹션은 앵커리지 섹션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앵커리지 섹션에 인접해 있고 앵커리지 섹션에 대해 동축 배열되어 있는 실린더형 부분, 실린더형 부분에 인접해 있고 실린더형 부분에 대해 동축 배열되어 있는 베벨링된 부분 및 베벨링된 부분에 인접해 있고 베벨링된 부분에 대해 동축 배열되어 있는 다면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식물 수단; 및
    B.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지대치 수단을 포함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이 중심에 배열된 테이퍼화된 캐비티를 포함하며, 지대치 수단이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대응 맞물림용 절두원추형 포스트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가 포스트 부재의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에 동축으로 단단하게 장착되는 나사식 핀 부재를 포함하며, 캐비티가 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나사식 기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의 샤프트가 나사산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의 샤프트에, 다수의 핀 부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의 샤프트가 나선형 그루브 타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7. A. 앵커리지 섹션과 맞물림 섹션을 가지며, 사용자의 턱뼈에 이식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으로서, 앵커리지 섹션은 턱뼈에 맞물리게 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맞물림 섹션은 앵커리지 섹션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앵커리지 섹션에 인접해 있고 앵커리지 섹션에 대해 동축 배열되어 있는 실린더형 부분, 실린더형 부분에 인접해 있고 실린더형 부분에 대해 동축 배열되어 있는 베벨링된 부분 및 베벨링된 부분에 인접해 있고 베벨링된 부분에 대해 동축 배열되어 있는 다면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식물 수단이 나사식 기저부를 갖는 중심에 배열된 테이퍼화된 캐비티를 포함하는 이식물 수단;
    B.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멍을 통해 중심에 배열되는 지대치 수단; 및
    C. 두 개의 단부를 가지며, 나사식 핀 부재가 포스트 수단의 근위 말단에 동축으로 단단하게 장착되어 있는 연장된 절두원추형 포스트 수단으로서, 나사식 핀 부재가 나사식 기저부에 의해 수용되는 포스트 수단을 포함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의 샤프트가 나사산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의 샤프트에, 다수의 핀 부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의 샤프트가 나선형 그루브 타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11. A. 앵커리지 섹션과 맞물림 섹션을 가지며, 사용자의 턱뼈에 영구 이식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으로서, 앵커리지 섹션은 뼈에 맞물리게 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맞물림 섹션은, 앵커리지 섹션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앵커리지 섹션에 인접해 있고, 샤프트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샤프트에 대해 동축 배열되어 있는 실린더형 부분, 실린더형 부분과 직경이 동일한 제 1의 단부와 제 2의 단부를 포함하며, 실린더형 부분에 인접해 있고, 실린더형 부분에 대해 동축 배열되어 있는 내부로 베벨링된 부분, 및 베벨링된 부분에인접해 있고 베벨링된 부분의 제 2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다면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식물 수단; 및
    B.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지대치 수단을 포함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이 중심에 배열된 테이퍼화된 캐비티를 포함하며, 지대치 수단이 원위 말단을 갖는 대응 맞물림용 절두원추형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가 포스트 부재의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에 동축으로 단단하게 장착된 나사식 핀 부재를 포함하며, 캐비티가 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나사식 기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의 샤프트가 나사산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의 샤프트에, 다수의 핀 부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형상을 갖는 이식물 수단이 나선형 그루브 타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이식물 장치.
KR1019970704301A 1994-12-23 1994-12-23 인공치아이식물장치 KR100333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4/014868 WO1996019950A1 (en) 1994-12-23 1994-12-23 Dental implan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3231B1 true KR100333231B1 (ko) 2002-07-18

Family

ID=2224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301A KR100333231B1 (ko) 1994-12-23 1994-12-23 인공치아이식물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841878B1 (ko)
JP (1) JPH10511291A (ko)
KR (1) KR100333231B1 (ko)
AT (1) ATE253873T1 (ko)
AU (1) AU706046B2 (ko)
BR (1) BR9408642A (ko)
CA (1) CA2208043C (ko)
DE (1) DE69433330T2 (ko)
ES (1) ES2328089T3 (ko)
WO (1) WO19960199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93A2 (ko) * 2009-05-13 2010-11-18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임플란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1004B1 (it) * 1999-03-16 2002-02-27 Antonio Gallicchio Impianto per denti artificiali.
US6824386B2 (en) * 2001-11-01 2004-11-30 Astra Tech Ab Components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WO2009015103A1 (en) 2007-07-20 2009-01-29 Cochlear Americas Coupling apparatus for a bone anchored hearing device
KR100938991B1 (ko) * 2008-01-25 2010-01-28 최경수 미니 임플란트.
KR101093512B1 (ko) 2011-05-26 2011-12-13 염명희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소재
US11240613B2 (en) 2014-01-30 2022-02-01 Cochlear Limited Bone conduction implant
IL300098B1 (en) * 2023-01-22 2024-05-01 Krausz Ronen Fixation connection system for dental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0129A5 (fr) * 1980-10-20 1983-12-30 Cbs Biotechnic Sa Implant endo-osseux en bioceramique pour la medecine dentaire.
US4531915A (en) * 1981-08-14 1985-07-30 Tatum Jr O Hilt Dental implant
US4466797A (en) * 1983-07-08 1984-08-21 Ray Dalph D Training device for bicyclists
US4976739A (en) * 1986-05-15 1990-12-11 Duthie Jr Robert E Implant system
US4738623A (en) * 1986-08-15 1988-04-19 Quintron, Inc. Dental implant and method
US4850870C1 (en) * 1987-10-23 2001-07-24 Implant Innovations Inc Prosthodontic restoration components
US5030095A (en) * 1989-08-16 1991-07-09 Niznick Gerald A Angled abutment for endosseous implants
US5269686A (en) * 1993-05-10 1993-12-14 James Robert A Threaded drivable dental impla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93A2 (ko) * 2009-05-13 2010-11-18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임플란트
WO2010131893A3 (ko) * 2009-05-13 2011-03-24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408642A (pt) 1999-12-07
DE69433330D1 (de) 2003-12-18
AU706046B2 (en) 1999-06-10
DE69433330T2 (de) 2004-09-09
AU1596295A (en) 1996-07-19
EP0841878A1 (en) 1998-05-20
EP0841878A4 (en) 1999-06-16
CA2208043A1 (en) 1996-07-04
WO1996019950A1 (en) 1996-07-04
ES2328089T3 (es) 2009-11-06
EP0841878B1 (en) 2003-11-12
JPH10511291A (ja) 1998-11-04
CA2208043C (en) 2004-07-20
ATE253873T1 (de) 200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6004A (en) Dental implant device
KR10048439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CA2123666C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various shaped healing cap assembly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US5362235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angled abutment assembly
US5297963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elliptical healing cap assembly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ES2300690T3 (es) Sistema de implante en una sola etapa.
US6290499B1 (en) Transfer-type impression coping
RU2637612C2 (ru) Набор для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US20060216673A1 (en) Dental implant
KR20010052059A (ko) 의치 이식 시스템
JP5976102B2 (ja) 2部材からなる歯科用部品
KR20150014947A (ko) 치과 보철 시스템
KR100333231B1 (ko) 인공치아이식물장치
ES2541027T3 (es) Implante dental
EP2811935B1 (de) Vorrichtungen zur verbindung einer dentalen prothesenkonstruktion mit einem kieferknochen
KR20080049377A (ko) 나사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KR101831328B1 (ko) 하나 이상의 외부 링을 갖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는 단일 부분 또는 다중 부분 임플란트 시스템
KR200428099Y1 (ko) 인공치아 시술용 픽스츄어드라이버
KR101937298B1 (ko) 경사 임플란트
US20190321142A1 (en) Dental implant
KR20028684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US11730565B1 (en) Sleeve for installing a crown on a miniature dental implant
KR100630441B1 (ko)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KR200428092Y1 (ko) 마운트를 사용하지 않는 치과용 임프란트 픽스츄어
KR200362483Y1 (ko)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