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227Y1 - 창문샤시 - Google Patents

창문샤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227Y1
KR200362227Y1 KR20-2004-0017946U KR20040017946U KR200362227Y1 KR 200362227 Y1 KR200362227 Y1 KR 200362227Y1 KR 20040017946 U KR20040017946 U KR 20040017946U KR 200362227 Y1 KR200362227 Y1 KR 200362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window
support protrusion
screen
lower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로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로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로샤시
Priority to KR20-2004-0017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12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two or more sealing-lines or -planes between the wing and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 개폐되는 창문과 방충망을 지지하는 창문샤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창문샤시는 내부 전방에 설치되는 방충망에 강한 바람이 작용하게 되면 방충망이 받침돌기에서 이탈하여 자연 낙하하게 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염분이 포함된 해풍과 해수가 접촉될 우려가 많은 바닷가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항시 외부에 노출되는 금속재의 방충망이 해풍과 해수에 의해 쉽게 부식되어 그 수명이 길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창문과 받침돌기 사이의 기밀성이 좋지 못하여 창문을 닫았을 때에 창문과 받침돌기 사이의 틈새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강한 비바람이 몰아칠 때 빗물이 실내까지 유입될 수 있게 되는 등 단열효율과 소음차단효율, 그리고 방수성, 방충성 등이 그다지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하부샤시(10)의 상단면 및 하부샤시(20)의 하단면을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은 2단 경사면(13)(23)으로 형성하고, 하부샤시(10) 상단 중앙과 상부샤시(20) 하단 중앙에 각각 중앙 방충망(300c) 설치를 위한 중앙 받침돌기(12)(22)를 마련하며, 하부샤시(10)의 후방 받침돌기(12r)를 제외한 각 레일돌기(11f)(11r)와 각 받침돌기(12c)(12f)의 하단에 다수의 배수구멍(14)을 형성하고, 하부샤시(10)의 중앙 받침돌기(12c) 및 후방 받침돌기(12r)의 전면 상부 및 상부샤시(20)의 중앙 받침돌기(22c) 및 후방 받침돌기(22r) 전면 하부에 형성한 끼움홈(15)(25)에 기밀유지구(50)(60)를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하부샤시(10) 상단으로 떨어지는 빗물이나 해수, 세척수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하부샤시(10) 상단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고, 하부샤시(10) 및 상부샤시(20)의 전방 또는 중앙에 방충망(300f)(300c)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특히 강한 바람이 부는 지역 등에서 중앙 방충망(300c)을 사용하게 되면 이탈 및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오염과 손상을 저감할 수 있게 되며, 하부샤시(10) 및 상부샤시(20)의 2단 경사면(13)(23)과 기밀유지구(50)(60)를 통해 창문을 닫았을 때 외부의 바람이나 이물질, 빗물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단열성, 방음성, 방충성, 방수성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창문샤시 { a window sash }
본 고안은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 개폐되는 창문과 방충망을 지지하는 창문샤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내부로 진입한 물을 간편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방충망을 내부 전방과 내부 중앙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창문과의 기밀성을 향상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 개폐되는 창문과 방충망을 지지하는 창문샤시는 하부샤시와 상부샤시, 그리고 좌측샤시와 우측샤시의 4개의 샤시를 장방형으로 조립한 형태를 갖는 바, 하부샤시의 상단 및 상부샤시의 하단에는 창문과 방충망의 하단과 상단에 마련되는 레일홈과 대응되는 레일돌기 및 받침돌기가 마련된다.
한편 창문을 열어두게 되면 바람과 함께 실내쪽으로 외부의 이물질과 빗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작은 입자상의 이물질이나 빗물이 특히 하부샤시의 레일홈 사이에 축적되면 미관을 해치게 되고 창문의 원활한 좌우이동을 방해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창문이나 샤시의 손상을 촉진할 수 있게 되고 위생상에도 좋지 않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지만 종래의 창문샤시는 하부샤시의 각 레일돌기 및 받침돌기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부터 이물질이나 빗물을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창문을 닫아두게 되더라도 해안가 등의 지역에서 강한 비바람이 작용하는 경우 빗물이 하부샤시 상단과 창문 하단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실내까지 유입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창문샤시는 하부샤시 상단 전방 및 상부샤시의 하단 전방에만 방충망 설치를 위한 받침돌기가 형성되기 때문에 강한 바람이 부는 지역 등에 설치되는 경우 창문샤시 가장 바깥쪽에 설치되는 방충망에 강한 바람이 작용하게 되면 방충망이 받침돌기에서 이탈하여 자연 낙하하게 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염분이 포함된 해풍과 해수가 접촉될 우려가 많은 바닷가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항시 외부에 노출되는 금속재의 방충망이 해풍과 해수에 의해 쉽게 부식되어 그 수명이 길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창문샤시는 창문과 받침돌기 사이의 기밀성이 좋지 못하여 창문을 닫았을 때에 창문과 받침돌기 사이의 틈새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므로 단열효율과 소음차단효율, 그리고 방수성, 방충성 등이 그다지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하부샤시 상단의 각 레일돌기 및 받침돌기 사이에 축적된 이물질과 빗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방충망의 이탈방지와 수명연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창문과 받침돌기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창문샤시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하부샤시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창문샤시 10 : 하부샤시
20 : 상부샤시 30 : 좌측샤시
40 : 우측샤시 11f, 11r, 21f, 21r : 레일돌기
12f,12c, 12r, 22f, 22c, 225 : 받침돌기
13, 23 : 경사면
14 : 배수구멍 15, 25 : 끼움홈
50 : 기밀유지구 51 : 끼움부
52 : 절곡밀착부 60 : 기밀유지구
61 : 끼움부 62 : 밀착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샤시의 상단면을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은 2단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하부샤시 상단 중앙과 상부샤시 하단 중앙에 방충망 설치를 위한 중앙 받침돌기를 형성하고, 각 레일돌기의 하단과 받침돌기 하부에 배수구멍을 형성하는 것과, 후방 받침돌기 및 중앙 받침돌기의 전면 상부에형성한 끼움홈에 기밀유지구를 삽입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하부샤시(10)와 상부샤시(20), 그리고 좌측샤시(30)와 우측샤시(40)의 4개의 샤시를 장방형으로 조립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샤시(10) 상단과 상부샤시(20) 하단에 전방 방충망(300f) 설치를 위한 전방 받침돌기(12f)(22f), 전방 창문(200f) 설치를 위한 한 쌍의 전방 레일돌기(11f)(21f)와 후방 창문(200r) 설치를 위한 한 쌍의 후방 레일돌기(11r)(21r), 후방 받침돌기(12r)(22r)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창문샤시(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샤시(10) 상단 중앙과 상부샤시(20) 하단 중앙에 각각 중앙 방충망(300c) 설치를 위한 중앙 받침돌기(12)(22)를 마련하고, 하부샤시(10)의 상단면 및 상부샤시(20) 하단면을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은 2단 경사면(13)(23)으로 형성하며, 후방 받침돌기(12r)를 제외한 각 하부샤시 레일돌기(11f)(11r)와 받침돌기(12c)(12f)의 하단에 다수의 배수구멍(14)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며, 아울러 하부샤시(10)의 후방 받침돌기(12r) 및 중앙 받침돌기(12c)의 전면 상부, 그리고 상부샤시(20)의 후방 받침돌기(22r) 및 중앙 받침돌기(22c) 전면 하부에 각각 끼움홈(15)(25)을 형성하고, 각 끼움홈(15)(25)에 기밀유지구(50)(60)를 삽입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하부샤시 중앙 받침돌기(12c) 및 상부샤시 중앙받침돌기(22c)에 형성한 끼움홈(15)(25)에 끼움부(51)와 그 전방의 절곡밀착부(52)로 이루어지는 기밀유지구(50)를 설치하고, 하부샤시 후방 받침돌기(12r) 및 상부샤시 후방 받침돌기(22r)에 형성한 끼움홈(15)(25)에 끼움부(61)와 그 전방의 밀착솔(62)로 이루어지는 기밀유지구(60)를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하부샤시(10)의 상단면이 2단 경사면(13)으로 형성되고, 하부샤시(10)의 후방 받침돌기(12r)를 제외한 각 레일돌기(11f)(11r)와 각 받침돌기(12c)(12f)의 하단에 배수구멍(14)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과정에서 창문(200)에 부딪혀 하부샤시(10) 상단으로 떨어지는 빗물이나 해수, 그리고 창문(200)이나 방충망(300) 세척과정에서 하부샤시(10) 상단으로 떨어지는 세척수 등을 경사면(13)과 배수구멍(14)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하부샤시(10)의 각 레일돌기(11) 및 받침돌기(12) 사이에 이물질이 축적된 경우 물로 씻어내게 되면 세척수와 함께 이물질을 배수구멍(14)을 통해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하부샤시(10) 및 상부샤시(20)의 전방 또는 중앙에 방충망(300f)(300c)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바람이 강하고 바람에 염분이 포함한 바닷가 지역 등에서는 전방 방충망(300f) 대신 하부샤시(10) 상단 중앙 및 상부샤시 하단 중앙에 마련된 중앙 받침돌기(12c)(22c)를 통해 전방 창문(200f)과 후방 창문(200r) 사이에 중앙 방충망(300c)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중앙 방충망(300c)을 사용하는 경우 강한 바람에 의한 중앙 방충망(300c)의 자연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해수, 해풍과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하부샤시(10)의 상단면 및 상부샤시(20) 하단면이 2단 경사면(13)으로 형성되며, 하부샤시 중앙 받침돌기(12c) 및 상부샤시 중앙 받침돌기(22c), 그리고 하부샤시 후방 받침돌기(12r) 및 상부샤시 후방 받침돌기(22r)에 각각 설치되는 기밀유지구(50)(60)를 통해 각 창문(200f)(200r)과 받침돌기(12c)(12r)(22c)(22r)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창문(200)을 닫았을 때에 외부의 바람과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며, 해안가 등에서 강한 비바람이 몰아치게 되더라도 하부샤시(10) 상단 전방과 전방 창문(200f) 하단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빗물이 2단 경사면(13)의 단턱에 걸리게 되는 동시에 하부샤시 중앙 받침돌기(12c)에 설치된 기밀유지구(50)에 의해 차단되어 실내쪽으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부샤시(10)의 상단면 및 하부샤시(20)의 하단면을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은 2단 경사면(13)(23)으로 형성하고, 하부샤시(10) 상단 중앙과 상부샤시(20) 하단 중앙에 각각 중앙 방충망(300c) 설치를 위한 중앙 받침돌기(12)(22)를 마련하며, 하부샤시(10)의 후방 받침돌기(12r)를 제외한 각 레일돌기(11f)(11r)와 각 받침돌기(12c)(12f)의 하단에 다수의 배수구멍(14)을 형성하고, 하부샤시(10)의 중앙 받침돌기(12c) 및 후방 받침돌기(12r)의 전면 상부 및 상부샤시(20)의 중앙 받침돌기(22c) 및 후방 받침돌기(22r) 전면 하부에 형성한 끼움홈(15)(25)에 기밀유지구(50)(60)를 삽입설치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부샤시(10) 상단으로 떨어지는 빗물이나 해수, 세척수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하부샤시(10) 상단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고, 하부샤시(10) 및 상부샤시(20)의 전방 또는 중앙에 방충망(300f)(300c)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특히 강한 바람이 부는 지역 등에서 중앙 방충망(300c)을 사용하게 되면 이탈 및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오염과 손상을 저감할 수 있게 되며, 하부샤시(10) 및 상부샤시(20)의 2단 경사면(13)(23)과 기밀유지구(50)(60)를 통해 창문을 닫았을 때 외부의 바람이나 이물질, 그리고 빗물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단열성, 방음성, 방충성, 방수성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하부샤시(10)와 상부샤시(20), 그리고 좌측샤시(30)와 우측샤시(40)의 4개의 샤시를 장방형으로 조립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샤시(10) 상단과 상부샤시(20) 하단에 전방 방충망(300f) 설치를 위한 전방 받침돌기(12f)(22f), 전방 창문(200f) 설치를 위한 한 쌍의 전방 레일돌기(11f)(21f)와 후방 창문(200r) 설치를 위한 한 쌍의 후방 레일돌기(11r)(21r), 후방 받침돌기(12r)(22r)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샤시(10) 상단 중앙과 상부샤시(20) 하단 중앙에 각각 중앙 방충망(300c) 설치를 위한 중앙 받침돌기(12)(22)를 마련하고, 하부샤시(10)의 상단면 및 상부샤시(20) 하단면을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은 2단 경사면(13)(23)으로 형성하며, 후방 받침돌기(12r)를 제외한 각 하부샤시 레일돌기(11f)(11r)와 받침돌기(12c)(12f)의 하단에 다수의 배수구멍(14)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며, 아울러 하부샤시(10)의 후방 받침돌기(12r) 및 중앙 받침돌기(12c)의 전면 상부, 그리고 상부샤시(20)의 후방 받침돌기(22r) 및 중앙 받침돌기(22c) 전면 하부에 각각 끼움홈(15)(25)을 형성하고, 각 끼움홈(15)(25)에 기밀유지구(50)(60)를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샤시.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샤시 중앙 받침돌기(12c) 및 상부샤시 중앙 받침돌기(22c)에 형성한 끼움홈(15)(25)에 끼움부(51)와 그 전방의 절곡밀착부(52)로 이루어지는 기밀유지구(50)를 설치하고, 하부샤시 후방 받침돌기(12r) 및 상부샤시 후방 받침돌기(22r)에 형성한 끼움홈(15)(25)에 끼움부(61)와 그 전방의 밀착솔(62)로 이루어지는 기밀유지구(6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샤시.
KR20-2004-0017946U 2004-06-24 2004-06-24 창문샤시 KR200362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946U KR200362227Y1 (ko) 2004-06-24 2004-06-24 창문샤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946U KR200362227Y1 (ko) 2004-06-24 2004-06-24 창문샤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934A Division KR100614765B1 (ko) 2004-09-20 2004-09-20 창문샤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227Y1 true KR200362227Y1 (ko) 2004-09-16

Family

ID=4935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946U KR200362227Y1 (ko) 2004-06-24 2004-06-24 창문샤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22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77B1 (ko) 2007-07-03 2009-10-06 김한 Pvc창호용 창유리세척 와이퍼 어셈블리 및 이를 장착한pvc창틀
KR100919678B1 (ko) 2007-07-04 2009-10-06 김한 Pvc창호용 창유리 세척 와이퍼 지지대
KR20210058507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건원 개선된 복원 구조를 가지는 유동 방지형 미서기 창호
KR20210060838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윈체 배수가 용이한 창틀용 샤시프레임
KR20210097973A (ko)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경연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구조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77B1 (ko) 2007-07-03 2009-10-06 김한 Pvc창호용 창유리세척 와이퍼 어셈블리 및 이를 장착한pvc창틀
KR100919678B1 (ko) 2007-07-04 2009-10-06 김한 Pvc창호용 창유리 세척 와이퍼 지지대
KR20210058507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건원 개선된 복원 구조를 가지는 유동 방지형 미서기 창호
KR20210060838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윈체 배수가 용이한 창틀용 샤시프레임
KR102350873B1 (ko) * 2019-11-19 2022-01-14 주식회사 윈체 배수가 용이한 창틀용 샤시프레임
KR20210097973A (ko)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경연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2669C1 (ru) Окно, имею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образованной за счет конденсации
KR102277890B1 (ko) 기밀성 및 수밀성과 방충기능을 갖는 단열 창호
KR200362227Y1 (ko) 창문샤시
KR100614765B1 (ko) 창문샤시
KR200411821Y1 (ko)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KR100530240B1 (ko) 회동식 창틀 구조
JP4502850B2 (ja) 吊りタイプのひさし
JP2007120245A (ja) 改装サッシ
KR19990003488U (ko) 창틀용 프레임
JP3187101U (ja) 道路遮音壁の吸音板
JP2006291476A (ja) サッシ枠
KR200418504Y1 (ko) 창틀의 배출구 장착용 배출구커버
KR101228180B1 (ko)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
JP2009019422A (ja) シャッターボックス
US5123224A (en) Drainable louver
KR200263706Y1 (ko)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KR200405559Y1 (ko) 고정샷시 장착용 물받이샷시
KR200430518Y1 (ko) 창호시스템의 빗물 차단판 구조
KR200220318Y1 (ko) 알루미늄 창문틀용 모서리 연결구의 배수구조.
KR200276842Y1 (ko) 미서기 창호용 방음부재
KR200463669Y1 (ko) 결로 배출용 가스켓
JP4006736B2 (ja) 改装サッシ
KR200214806Y1 (ko) 여닫이 창문용 레일 골조
KR102500300B1 (ko) 창틀프레임의 배수공용 방충캡
JP3840428B2 (ja) サッシ用排水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