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180B1 -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 - Google Patents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180B1
KR101228180B1 KR1020070001527A KR20070001527A KR101228180B1 KR 101228180 B1 KR101228180 B1 KR 101228180B1 KR 1020070001527 A KR1020070001527 A KR 1020070001527A KR 20070001527 A KR20070001527 A KR 20070001527A KR 101228180 B1 KR101228180 B1 KR 101228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inner rail
rail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526A (ko
Inventor
양성만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7000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18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12Metal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서기창의 창틀에 형성되는 내측 레일의 높이가 외측 레일의 높이보다 높은 계단식 구조의 창틀에 관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레일의 높이가 상기 외측레일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외부에서 비가 와서 창틀에 고여있는 빗물의 수면이 상승하여도 본 발명의 내측레일을 넘지 못하고 오히려 외측 레일을 타고 넘어가서 외부로 방출되게 되어 결국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창짝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링부재에 의해 외부에서 바람이 들이쳐도 상기 실링부재가 창틀의 내측 레일에 밀착하게 되어 상기 바람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바람에 의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창틀의 내측 레일이 높은 본 발명에 의해 상기 내측 레일에 끼워지는 풍압방지부재에 바람에 의한 풍압이 작용하여도 상기 내측 레일의 높이가 종래의 내측 레일보다 높아 상기 바람에 의한 풍압을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져 결국 풍압을 지지할 수 있는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내측 레일, 외측 레일, 실링부재, 풍압지지부재

Description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Window frame of stairs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미서기창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미서기창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미서기창에 대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창틀에 대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창틀과 창짝에 대한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창틀과 창짝에 대한 일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창틀과 창짝 그리고 풍압지지부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창틀 110 : 외측 레일
120 : 내측 레일 130 : 내측면판
140 : 외측면판 G : 글래스
200 : 창짝 210 : 외측 창짝
220 : 내측 창짝 300 : 풍압지지부재
400 : 실링부재
본 발명은 미서기창의 창틀에 형성되는 레일의 높이가 상호 다른 계단식 구조의 창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짝과 접촉되는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이 형성되는 미서기창의 창틀로서, 상기 내측레일의 높이가 상기 외측레일의 높이보다 높음에 의해 외부로부터 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서기창은 2짝, 또는 4짝으로 창틀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쪽을 밀어서 열게 되면 2짝이 겹쳐져서 서게 되는 창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미서기창의 한 형태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미서기창은 유리를 수용하는 2개의 창짝(20)과 상기 창짝(20)이 접촉되는 창틀(1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미서기창의 구조를 도 2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는 상기 미서기창의 하측면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미서기창은, 유리(G)가 삽입되어 있는 창짝(20)과 상기 창짝(20)에 접하게 되는 창틀(10)로 구성된다. 상기 창틀(10)은 상기 창짝(20)이 접하는 레일이 외측과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외측에 형성되는 레일을 외측 레일(11)로 칭하고 상기 내측에 형성되는 레일을 내측 레일(12)로 칭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서기창은 2짝의 창틀로 되는 창이어서 레일이 2개가 필요한 것이다.
한편 상기 외측 레일(11)의 외측에 외측면판(13)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측 레일(12)의 내측에는 내측면판(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창틀(10)에 상기 창짝(20)이 접하게 된다.
상기 창짝(20)은 상기 내측 레일(12) 또는 외측 레일(11)에 접함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창틀(20)을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구(21)가 장착되며, 만일 상기 회전구(21)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레인 수용부(22)가 상기 내측 레일(12) 또는 외측 레일(11)과 접촉하며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창틀(10)의 경우 상기 내측 레일(12)과 외측 레일(11)의 높이가 동일하다. 따라서 외부에서 비가 들이칠 경우 비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비가 들이치는 경우 상기 외측면판(13)과 외측 레일(11)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비가 고이게 되고, 계속 비가 들이치면 상기 고여있는 비가 상기 내측 레일(12)쪽으로 넘쳐 흐르게 되어 결국 내측면판(14)을 넘어 실내로 비가 유입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로부터 비와 함께 바람이 같이 들이치게 되면 그 유입되는 빗물의 양이 더욱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틀에 형성되는 레일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외부에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창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창짝에 접촉되는 내측 레일과 외측 레일이 각각 형성되는 미 서기창의 창틀로서, 상기 내측레일의 높이가 상기 외측레일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창짝의 하면에 실링부재를 부착하여 외부의 바람의 영향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내측레일에 풍압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외측 창틀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창틀에 형성되는 레일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외부에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창틀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창틀(100)에 대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레일(120)이 외측 레일(110)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경우 비가 들이치는 경우에도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즉, 빗물이 외측면판(130)과 외측 레일(110)과의 공간 그리고 상기 외측 레일(110)과 내측 레일(120)의 공간에 고여있다가 비가 계속 들이쳐서 빗물이 넘쳐 흐르는 경우에도 상기 내측 레일(120)의 높이가 더 높아서 빗물이 내측 레일(120)을 타고 넘을 수 없고, 빗물의 수면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빗물은 오히려 외측 레일(110) 쪽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창틀과 같이 레일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에는 고여있는 빗물의 수면이 상승하면 내측 레일을 타고 넘어 실내측으로 유입되나, 본 발명과 같이 내 측 레일(120)이 외측 레일(110)보다 높은 경우에는 빗물의 수면이 상승함에 따라 외측 레일(110) 쪽으로 넘어가게 되어 결국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창틀 구조에 의해 빗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나 비와 함께 바람이 들이치는 경우에는 상기 바람에 의해 빗물이 유입될 수 있어 상기 바람을 차단하는 실링부재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실링부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측 레일에 접하는 창짝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짝은 외측 창짝(210)과 내측 창짝(22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외측 창짝(210)의 하면에 본 발명의 실링부재(40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재(400)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실링부재(400)는 상기 외측 창짝(210)의 하면에 밀착되는 수평 밀착부(420)와 상기 수평 밀착부(420)의 단부에 꺾여지게 형성되는 회전 밀착부(430)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의 실링부재(4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출부(4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링부재(400)에 의해 상기 외측 창짝(210)에 고정되는 한편 외부에서 바람이 들이쳐도 상기 회전 돌출부(430)가 상기 바람에 의해 내측 레일(120)에 밀착되게 되어 결국 상기 바람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바람에 의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실링부재(400)는 상기 도 6과 같이 하측면의 창틀에 만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창틀의 상하면등 나머지 면에 모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비가 들이치는 경우에도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바람이 같이 들이쳐도 빗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 내측 레일(120)에 풍압지지부재(300)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레일에 창짝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창짝에 바람이 부딪히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풍압지지부재(300)가 끼워져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내측 레일(120)에 상기 풍압지지부재(300)가 끼워지는 경우 상기 끼워지는 내측 레일(120)의 높이가 종래의 내측 레일보다 높아 상기 바람에 의한 풍압을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측 레일(120)에 의해 풍압을 지지할 수 있는 성능이 향상게 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내측 레일과 외측 레일의 높이가 동일하여 외부에서 비가 들이칠 경우 고여있는 빗물의 수면이 상승하면서 빗물이 상기 내측 레일을 넘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의 경우 내측레일의 높이가 상기 외측레일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고여있는 빗물의 수면이 상승하여도 상기 내측레일을 넘지 못하고 오히려 외측 레일을 타고 넘어가서 외부로 방출되게 되어 결국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외측 창짝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링부재에 의해 외부에서 바람이 들이쳐도 상기 실링부재가 창틀의 내측 레일에 밀착하게 되어 상기 바람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바람에 의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창틀의 내측 레일이 높은 본 발명에 의해 상기 내측 레일에 끼워지는 풍압방지부재에 바람에 의한 풍압이 작용하여도 상기 내측 레일의 높이가 종래의 내측 레일보다 높아 상기 바람에 의한 풍압을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져 결국 풍압을 지지할 수 있는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창짝에 접촉되는 내측 레일과 외측 레일이 각각 형성되는 미서기창의 창틀로서, 상기 내측레일의 높이가 상기 외측레일의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창짝은 외측 장짝과 내측 창짝을 포함하는데, 상기 외측 창짝의 하면에 부착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외측 창짝의 하면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출부와, 상기 외측 창짝의 하면에 밀착되는 수평밀착부와, 상기 수평밀착부의 단부에 꺽여지게 형성되는 회전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내측 레일에 끼워지는 풍압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
KR1020070001527A 2007-01-05 2007-01-05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 KR10122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527A KR101228180B1 (ko) 2007-01-05 2007-01-05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527A KR101228180B1 (ko) 2007-01-05 2007-01-05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526A KR20080064526A (ko) 2008-07-09
KR101228180B1 true KR101228180B1 (ko) 2013-01-30

Family

ID=3981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527A KR101228180B1 (ko) 2007-01-05 2007-01-05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428B1 (ko) * 2010-01-25 2011-02-21 주식회사 효성금속 바닥 은폐형 계단식 안전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142A (ko) * 2003-06-18 2004-12-31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발코니용 창틀
KR200391983Y1 (ko) * 2005-05-12 2005-08-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닥창틀 및 이를 이용한 창호시스템
KR200423725Y1 (ko) * 2006-05-15 2006-08-1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내풍압 강화 기능 보조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142A (ko) * 2003-06-18 2004-12-31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발코니용 창틀
KR200391983Y1 (ko) * 2005-05-12 2005-08-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닥창틀 및 이를 이용한 창호시스템
KR200423725Y1 (ko) * 2006-05-15 2006-08-1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내풍압 강화 기능 보조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526A (ko)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JPH09125829A (ja) サッシの下横枠材取付構造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0819935B1 (ko)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101302341B1 (ko) 방수 가스켓을 갖는 창호
KR101228180B1 (ko) 계단식 구조의 미서기창 창틀
KR200411821Y1 (ko)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JP4822808B2 (ja) 改装サッシ
JP4600157B2 (ja) サッシの排水具
KR100491963B1 (ko) 공동주택 창문 빗물커버용 알루미늄 인방틀 설치공법
KR101650872B1 (ko) 빗물침투를 방지하고 자연스러운 배수구조를 갖는 창문샤시
JP4707064B2 (ja) 水切り及びその水切りを備えた窓
JP2005188248A (ja) 引違いサッシ
KR200406608Y1 (ko) 문틀 섀시
JP2009144509A (ja) ドア用下枠フラットサッシ構造
JP4104564B2 (ja) サッシ窓
KR200173201Y1 (ko) 창호 구조
KR200430518Y1 (ko) 창호시스템의 빗물 차단판 구조
KR200309088Y1 (ko) 창문의 기밀 구조
KR100799462B1 (ko) 수밀성 기능을 가지는 미서기창
KR200391863Y1 (ko) 엘리베이터 기계실용 창문틀
JP4056483B2 (ja) サッシ窓
KR100912103B1 (ko)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JPH10169330A (ja) 引違い窓の下枠水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