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608Y1 - 문틀 섀시 - Google Patents

문틀 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608Y1
KR200406608Y1 KR2020050031224U KR20050031224U KR200406608Y1 KR 200406608 Y1 KR200406608 Y1 KR 200406608Y1 KR 2020050031224 U KR2020050031224 U KR 2020050031224U KR 20050031224 U KR20050031224 U KR 20050031224U KR 200406608 Y1 KR200406608 Y1 KR 200406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door frame
dam member
indoor sid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에바다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바다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에바다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2020050031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6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6Covering plastic frames with metal or plastic profil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조립식 건물 등에 많이 사용되는 문틀 섀시가 개시된다. 개시된 문틀 섀시는, 문이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실내 측과 실외 측의 단턱이 각각 마련된 섀시 본체와, 실내 측 단턱 위에 설치되어 실외 측 단턱과 가이드레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장벽을 형성해주는 댐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문틀 섀시는, 빗물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댐부재가 효과적으로 막아주기 때문에, 문틀을 타고 빗물이 실내로 스며들어서 생길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간단히 해결해준다.
문틀, 섀시, 빗물

Description

문틀 섀시{Chassis for door frame}
도 1은 종래의 문틀 섀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 섀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문틀 섀시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문틀 섀시 110...섀시 본체
111...가이드레일 112,113...실내외측 단턱
120...댐부재 121...탄력후크
122...커버부 123...패킹
본 고안은 건물 등에 문을 내는데 많이 사용되는 문틀 섀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빗물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문틀 섀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현장용 임시 건물을 세우거나 할 경우에는, 샌드위치 패널을 연결하 여 벽체를 만드는 조립식 건물이 많이 선호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11)을 이용하여 만든 건물의 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건물은 샌드위치 패널(11)로 벽체가 이루어져 있고, 문틀이 되는 섀시(12)와 미닫이 문(13)이 벽체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패널(11)로 둘러싸인 안쪽 공간이 실내가 되며, 실내와 실외는 문틀 섀시(12)에 달린 출입문(13)을 통해 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출입문(13)을 예시하고 있는데, 창문의 경우도 마찬가지가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패널(11)과 섀시(12)를 조립하여 만든 건물(10)에 비가 내리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 섀시(12)의 가이드레일(12a)과 단턱(12b)(12c)을 넘어서 실내로 빗물이 넘어들어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즉, 비가 오게 되면 그 빗물이 문틀 섀시(12)의 가이드레일(12a)과 실내외측 단턱(12b)(12c) 사이의 홈에 고이게 되고, 이것이 레일(12a)과 단턱(12b)(12c) 높이 이상이 되면 안쪽으로 넘쳐서 들어오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실내가 빗물에 의해 오염되기 때문에, 실내환경이 크게 훼손될 뿐 아니라, 폭우 시에는 자칫 침수로 이어질 가능성마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빗물이 실내로 넘어들어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문틀 섀시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빗물이 실내 쪽으로 넘어들어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문틀 섀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문틀 섀시는, 출입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실내 측과 실외 측의 단턱이 각각 마련된 섀시 본체와, 상기 실내 측 단턱 위에 설치되어 상기 실외 측 단턱과 가이드레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장벽을 형성해주는 댐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댐부재는 상기 실내 측 단턱에 형성된 장홈에 끼워지는 탄력후크와, 하부로 연장된 커버부 및 양단부에 패킹을 구비하여서, 탄력후크가 상기 장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커버부가 실내 측 단턱에 덧대어지며, 섀시 본체 양단부에 결합되는 좌,우측 섀시와 패킹이 면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 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 섀시(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문틀 섀시(100)는, 출입문(130)이 달리는 가이드레일(111) 및 실내외측 단턱(112)(113)이 각각 마련된 본체(110)와, 실내측 단턱(112)에 설치되는 댐부재(12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댐부재(120)는 실내측 단턱(112)의 높이를 다른 실외측 단턱(113)이나 가이드레일(111) 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여주기 위한 일종의 방어벽으로서, 하부에 마련된 탄력후크(121)가 상기 실내측 단턱(112)의 장홈(112a)에 끼워지며 결합된다. 즉, 탄력후크(121)가 장홈(112a)에 들어가면서 탄력적으로 오므려졌다가 펴지며 로킹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댐부재(120)의 하부면 일측에는 소정길이 연장된 커버부(122)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커버부(122)는 댐부재(120)가 단턱(122)에 결합됨에 따라 단턱(122) 일부에 덧대어짐으로써 단턱(112)과 댐부재(120) 사이의 틈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댐부재(120)의 양단부에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패킹(123)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패킹(123)은 섀시 본체(110) 양단부에 결합되는 좌우측 섀시(130)에 탄력적으로 면접됨으로써 좌우측 섀시(130)와 섀시 본체(110) 사이의 틈을 기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실내측 단턱(112)의 높이가 댐부재(120)이 높이만큼 더 높아지게 되므로, 실외측 단턱(113)이나 가이드레일(111)에 비해 압도적인 높이를 갖게 되며, 댐부재(120)의 결합에 따라 생길 수 있는 결합틈을 기밀하게 막아 빗물이 고여 넘치게 되더라도, 실내 쪽으로 넘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바깥 쪽으로 넘치게 된다. 즉, 빗물이 실내로 넘어오는 것이 원천적으로 봉쇄된다.
도 4는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섀시(100)를 설치했을 때 빗물이 넘치는 상황을 가정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면과 같이, 빗물이 가이드레일(111)과 단턱(112)(113)들 사이에 고여서 불어나다가 그 높이를 넘으면 옆으로 넘치며 넘어가게 되는데, 실내측 단턱(112) 위에는 상기 댐부재(120)가 버티고 있기 때문에, 안으로는 넘치지 못하고 바깥 쪽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따라서, 아무리 비가 많이 오더라도 문틀을 타고 빗물이 안으로 넘어오는 일은 사실상 사라지게 된다.
상기 댐부재(120)는 압출 또는 사출공정에 의해 섀시(100)와 동일한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으로 만드는 것이 무난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문틀 섀시는, 빗물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댐부재가 효과적으로 막아주기 때문에, 문틀을 타고 빗물이 스며들어서 생길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간단히 해결해준다.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출입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실내 측과 실외 측의 단턱이 각각 마련된 섀시 본체와,
    상기 실내 측 단턱 위에 설치되어 상기 실외 측 단턱과 가이드레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장벽을 형성해주는 댐부재를 포함하는 문틀 섀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재는 상기 실내 측 단턱에 형성된 장홈에 끼워지는 탄력후크와, 하부로 연장된 커버부 및 양단부에 패킹을 구비하여서, 탄력후크가 상기 장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커버부가 실내 측 단턱에 덧대어지며, 섀시 본체 양단부에 결합되는 좌,우측 섀시와 패킹이 면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섀시.
KR2020050031224U 2005-11-03 2005-11-03 문틀 섀시 KR200406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224U KR200406608Y1 (ko) 2005-11-03 2005-11-03 문틀 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224U KR200406608Y1 (ko) 2005-11-03 2005-11-03 문틀 섀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608Y1 true KR200406608Y1 (ko) 2006-01-23

Family

ID=4175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224U KR200406608Y1 (ko) 2005-11-03 2005-11-03 문틀 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6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239B1 (ko) * 2018-09-10 2019-08-13 김순석 물넘침 방지 및 창문 이탈방지를 위해 턱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틀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239B1 (ko) * 2018-09-10 2019-08-13 김순석 물넘침 방지 및 창문 이탈방지를 위해 턱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틀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007B1 (ko)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US4765107A (en) Vertical joint sealing of horizontal wall panels
KR100819935B1 (ko)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101421247B1 (ko) 고기밀성 단열 수밀성 창틀
US11846134B2 (en) Modular sill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0778140B1 (ko) 고기밀성 단열창호
KR101717570B1 (ko) 창틀 프레임 구조체
KR101786546B1 (ko) 빗물 유입 방지 창호
KR100789439B1 (ko) 다 기능성 알루미늄 창호 시스템
KR101896771B1 (ko)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US20070220818A1 (en) Concrete masonry units window and door flashing and installation
KR100900479B1 (ko) 물받이가 구비된 조립식 창틀용 프레임구조
KR101400318B1 (ko) 창호 시스템
KR101354665B1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200406608Y1 (ko) 문틀 섀시
KR101234284B1 (ko) 문짝 및 폐쇄창의 설치용 유리 실외 끼움 창호프레임 구조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JP2747249B2 (ja) 改装窓
KR101956069B1 (ko) 3d 단열 시스템
JP4928371B2 (ja) 建具周囲の排水構造
KR101436609B1 (ko) 창호 시스템
KR200423740Y1 (ko) 창문의 풍지판 구조
KR20170052197A (ko) 창호용 기밀성 방풍구조
KR100491963B1 (ko) 공동주택 창문 빗물커버용 알루미늄 인방틀 설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